KR100912103B1 -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 Google Patents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103B1
KR100912103B1 KR1020070105005A KR20070105005A KR100912103B1 KR 100912103 B1 KR100912103 B1 KR 100912103B1 KR 1020070105005 A KR1020070105005 A KR 1020070105005A KR 20070105005 A KR20070105005 A KR 20070105005A KR 100912103 B1 KR100912103 B1 KR 100912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rainwater
derailment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9390A (ko
Inventor
박용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성
Priority to KR1020070105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1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12Metal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의 실내 유입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초강력 강풍이나 실내에서 학생들이 장난 중에 부딪치는 어떠한 힘에도 창호의 탈선을 막을 수 있게 한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창호을 여닫을 수 있게 하는 레일를 갖는 창호 프레임 본체에는, 하부프레임의 실 내측 단부에서 실 외측 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게 형성하여 유입되는 빗물을 실외로 속히 배수될 수 있게 한 빗물배수용 경사면과 그 경사면의 일측 단부에는 빗물이 실내로 쉽게 넘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빗물유입방지부재를 같이 설치하여, 폭우 속에서도 빗물의 실내 유입을 완벽히 차단되게 하며, 또 창호의 하단으로 돌출되게 탈선방지부재를 설치하여 초강력 강풍이나 실내에서 학생들이 장난 중에 부딪치는 등 어떠한 힘에도 창호의 탈선을 막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창호, 창호프레임, 빗물유입방지, 경사면, 탈선방지

Description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windows frame}
본 발명은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빗물을 신속히 배수되게 유도하기 위한 빗물 배수용 경사면과 아울러 유입되는 빗물이 실내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기 위한 빗물유입방지부재를 같이 설치하여, 실내로 유입되려고 하는 빗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하며, 창호의 하단으로 돌출되게 탈선방지부재를 착탈되게 설치하여 초강력 강풍이나 실내에서 학생들이 장난 중에 부딪치는 어떠한 힘에도 창호의 탈선을 막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탈선방지부재가 창틀의 하부로 결합된 상태에서도 창호를 창틀용 프레임에 장착 및 쉽게 탈착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창문을 여닫을 수 있게 한 창호 프레임이 설치된다.
상기 창호프레임은 상하부프레임들과 좌우측프레임들로 이루어진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창문들이 좌우로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어 창호 프레임을 개폐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창호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실내측 단부와 실외측 단부가 동일한 높이로 이루어져 있음과 아울러 바닥 또한 수평면을 이루고 있어, 빗물이 쉽게 실내로 들어오게 됨과 아울러 유입된 빗물 또한 신속한 배수가 실행되지않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창호프레임은 빗물 유입에 대한 차단 능력이 떨어져 서, 빗물이 쉽게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창호프레임은 창문이 쉽게 탈선되는 문제가 있다. 즉, 창호프레임에 설치되는 창문의 크기가 상기 창호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어야 함으로, 외부의 인위적인 힘, 예컨대 초강력 강풍이나 실내에서 학생들이 장난 중에 부딪치는 등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창문이 탈선된다고 하는 문제와 아울러 교체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프레임에 빗물배수용 경사면과 아울러 빗물 유입방지부재를 같이 구비하여, 폭우에서도 빗물을 신속히 배수시키는 배수성 향상과 아울러 빗물이 실내로 넘어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빗물 차단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창호의 하단으로 돌출되게 탈선방지부재를 설치하여 초강력 강풍이나 실내에서 학생들이 장난 중에 부딪치는 등 어떠한 힘에도 창호의 탈선을 막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탈선방지부재가 창틀의 하부로 결합된 상태에서도 창호를 창틀용 프레임에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게 한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빗물배수용 경사면을 갖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좌우측프레임과 상기 좌우측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빗물이 실내로 넘어오지 못하게 빗물유입방지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각틀 형상의 창틀용프레임; 상기 창틀용프레임에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는 창호를 고정할 수 있게 상기 창호의 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고정부재와 상기 하부고정부재의 양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창호의 좌우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측고정부재와 상기 좌우측고정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창호의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고정부재에는 탈선방지부재를 하부로 돌출되게 결합하여 상기 창틀용프레임으로부터 창호가 탈선되지 못하게 하는 창틀을 포함하는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재의 측면으로 삽입구를 갖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간의 삽입구를 통해 상기 탈선방지부재의 상단부를 삽입 결합함에 의해 상기 탈선방지부재는 상기 삽입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게 하면서 상기 창틀의 하단부로 돌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은, 하부프레임에 빗물배수용 경사면과 빗물유입방지부재를 같이 설치하여, 폭우에서도 빗물을 신속히 배수되게 하면서도 그 창호 프레임을 넘어서 실내로 유입되는 빗물이 없도록 차단하여, 빗물의 차단효과를 더욱 배가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프레임은 창호의 하단으로 탈선방지부재를 돌출되게 설치하여 초강력 강풍이나 실내에서 학생들이 장난 중에 부딪치는 등 어떠한 힘에도 창호의 탈선을 막을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탈선방지부재가 창틀의 하부로 결합된 상태에서도 창호를 창틀용 프레임에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의 설치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은 사각틀 형상의 창틀용프레임(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창틀용프레임(110)에는 창호(130)가 좌우로 슬라이드 되어 개폐되게 설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창틀용프레임(110)은 창호(130)를 좌우로 슬라이드 시킬 수 있게 하는 레일(118a,118b)들을 갖는 하부프레임(112)과 상기 하 부프레임(112)의 양단부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좌우측프레임(116a,116b)과 상기 좌우측프레임(116a,116b)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프레임(11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창틀용프레임(110)의 하부프레임(112)에는 빗물배수용 경사면(112a)이 구비된다. 이 빗물유도용 경사면(112a)은 상기 하부프레임(112)의 바닥면에 실내측 단부(113a)에서 실외측 단부(113b)로 갈수로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를 형성하여 빗물이 상기 경사에 의해 실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112)에는 배수공들을 형성하여 빗물이 실내측 단부(113a)에서 실외측 단부(113b)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실외로 완전히 배수되게 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은 빗물유입방지부재(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빗물유입방지부재(120)는 상기 하부프레임(112)의 실내측 단부(113a)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12)의 실내측 단부(113a)의 높이를 실외측 단부(113b)의 높이보다 높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빗물유입방지부재(120)에 의해 빗물이 실내로 넘어오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유입방지부재(120)는 하부프레임(112)의 전(全)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프레임(112)의 실내측 단부(113a)에 상부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빗물유입방지부재(120)는 전(全)길이에 걸쳐 하부가 개구된 중공구조의 사각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좋고, 상기 개구의 양단부에는 전(全)길이에 걸쳐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프레임(112)의 실내측 단부(113a)에 착탈 가능하 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빗물유입방지부재(120)를 하부프레임(11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결합하게 되면, 상기 하부프레임(112)의 실내측 단부(113a)의 높이가 실외측 단부(113b)의 높이보다 높아지게 되어 빗물이 넘어오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은 상기 창틀용프레임(110)내에 좌우로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어 개폐되는 창호(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창호(130)에는 호차(136)가 설치되어 상기 레일(118a,118b)에 안내됨에 의해 창호(130)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창호(130)는, 상기 호차(136)를 설치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유리창(132)의 테두리를 고정하기 위한 창틀이 구비된다. 상기 창틀은 유리창(132)의 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고정부재(134)와 상기 하부고정부재(134)의 양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리창(132)의 좌우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측고정부재(134a,134b)와 상기 좌우측고정부재(134a,134b)의 상부에서 상기 유리창(132)의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고정부재(134c)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고정부재(134)에는 하부프레임(112)의 레일(118a,118b)을 따라 슬라이드 시킬 수 있게 하는 호차(136)가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는 하부와 일측이 개구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호차(136)를 설치함과 아울러 일측의 개구를 탈선방지부재(140)로 막도록 설치한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은 상기 창호(130)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부재(1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탈선방지부재(140)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상기 하부고정부재(134)의 측면으로 삽입구(142a)를 갖는 삽입공간(142)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공간(142)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삽입공간(142)의 삽입구(142a)를 통해 탈선방지부재(140)의 상단부를 삽입 결합함에 의해 상기 삽입공간(142)내에서 상기 탈선방지부재(140)가 상하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창호(130)의 하단으로 탈선방지부재(140)가 돌출되게 결합하여 창호의 탈선을 방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탈선방지부재(140)가 창틀의 하부로 결합된 상태에서도 창호를 창틀용 프레임에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탈선방지부재(140)가 상기 삽입공간(142) 내에서 상하로 이동됨에 의해 탈선방지부재(14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창호의 장착 및 탈착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탈선방지부재(140)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 4a ~도 4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에 구비되는 탈선방지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부재(134)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삽입공간(142)의 삽입구(142a)를 통해 탈선방지부재(140)를 배치한 후,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탈선방지부재(140)를 경사지게 하여 상기 삽입구(142a)를 통해 탈선방지부재(140)의 상단부를 삽입 결합하며,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상태로 위치되게 한다. 이후, 상기 탈선방지부재(140)를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로 내리게 되면, 상기 탈선방지부재(140)가 하부고정부재(134)의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도면 부호 (140a)는 상기 탈선방지부재(140)에 결합되는 고무패킹부재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고무패킹부재(140a)에 의해 상기 탈선방지부재(140)가 하부고정부재(134)의 삽입공간(142) 내에 밀착되게 하여 지지한다. 이러한 고무패킹부재(140a)는 상기 탈선방지부재(140)의 상부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전(全) 길이에 걸쳐 위치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고무패킹부재(140a)가 결합되는 탈선방지부재(140)는 상단부가 상기 삽입공간(142)에 위치되어 고무패킹부재(140a)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며, 하단부는 창호의 하단으로 돌출되어 탈선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탈선방지부재(140)를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의 역순으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선방지부재(14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창틀용 프레임에 창호를 장착하거나 혹은 탈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상기 탈선방지부재(140)를 상부로 밀어 올린 상태로 하여 즉, 도 4c와 같은 상태로 탈선방지부재(140)를 위치시키게 되면 창틀용 프레임에 상기 창틀을 장착하거나 혹은 탈착시킬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01)는 바람막이부재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바람막이부재(101)는 상기 창틀과 창틀용프레임의 상호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는 브러시 형태이고, 또한 미설명 부호 (109)는 방충망을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방충망(109)에 의해 여름철 파리, 모기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창호프레임은 상기 창틀용프레임(110)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112)의 바닥면에 형성한 빗물배수용 경사면(112a)에 의해 빗물이 실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수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프레임(112)의 실내측 단부(113a)에 설치한 빗물유입방지부재(120)에 의해 빗물이 실내로 넘어오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음으로써, 해안가에서 강풍을 동반한 폭우시 물이 내부로 넘치는 현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130)의 하단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탈선방지부재(140)에 의해 창호(130)가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탈선방지부재(140)가 창호의 하부고정부재(134)의 하단으로 돌출되게 설치됨에 의해 초강력 강풍이나 실내에서 학생들이 장난 중에 부딪치는 등 어떠한 힘에도 창호의 탈선을 막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탈선방지부재가 상하로 이동됨에 의해, 창틀의 하부로 돌출되게 탈선방지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창호를 창틀용 프레임에 장착 및 탈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의 설치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4a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에 구비되는 탈선방지부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창틀프레임 112 : 하부프레임
114 : 상부프레임 116a,116b : 좌우측프레임
120 : 빗물유입방지부재 130 : 창호
132 : 유리창 140 : 탈선방지부재

Claims (2)

  1. 삭제
  2. 빗물배수용 경사면을 갖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좌우측프레임과 상기 좌우측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빗물이 실내로 넘어오지 못하게 빗물유입방지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각틀 형상의 창틀용프레임;
    상기 창틀용프레임에 슬라이드 되게 설치되는 창호를 고정할 수 있게 상기 창호의 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고정부재와 상기 하부고정부재의 양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창호의 좌우측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좌우측고정부재와 상기 좌우측고정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창호의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창틀 ; 및
    상기 하부고정부재의 측면에 형성한 삽입구를 갖는 삽입공간을 구비하여, 상단부는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로 탈착되게 삽입 결합하여 상기 삽입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게 하고, 하단부는 상기 하부고정부재의 하부로 돌출되게 하여 상기 창틀용프레임과 결합되게 함에 의해, 상기 창틀용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창호의 탈선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KR1020070105005A 2007-10-18 2007-10-18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KR100912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005A KR100912103B1 (ko) 2007-10-18 2007-10-18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005A KR100912103B1 (ko) 2007-10-18 2007-10-18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390A KR20090039390A (ko) 2009-04-22
KR100912103B1 true KR100912103B1 (ko) 2009-08-13

Family

ID=4076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005A KR100912103B1 (ko) 2007-10-18 2007-10-18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931B1 (ko) 2012-03-16 2012-11-05 이선중 창문 탈선 방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733Y1 (ko) * 2001-02-14 2001-07-31 주식회사 남선알미늄 아파트 베란다용 창틀의 물넘이 방지장치
KR200283912Y1 (ko) * 2002-05-15 2002-07-27 김광영 창문 프레임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733Y1 (ko) * 2001-02-14 2001-07-31 주식회사 남선알미늄 아파트 베란다용 창틀의 물넘이 방지장치
KR200283912Y1 (ko) * 2002-05-15 2002-07-27 김광영 창문 프레임의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931B1 (ko) 2012-03-16 2012-11-05 이선중 창문 탈선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390A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994B1 (ko) 레일 은폐 구조를 갖는 창호장치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US7574829B1 (en) Apparatus for draining rain water from window tracks during high winds
KR100819935B1 (ko) 이중 창틀의 방풍구조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0778140B1 (ko) 고기밀성 단열창호
JP2007170142A (ja) サッシ窓
KR100912103B1 (ko)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KR200411821Y1 (ko)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EP1647660A1 (en) Patio door structure
KR20120136778A (ko) 창틀 새시
KR102034572B1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조립구조
KR102172592B1 (ko) 중연창의 중간바 배수구조
KR20230114049A (ko) 단열기능을 갖는 해수 및 빗물유입방지용 미서기창호
KR200430518Y1 (ko) 창호시스템의 빗물 차단판 구조
JP4268121B2 (ja) 建具
KR20090113427A (ko) 미닫이 창문
US8256162B2 (en) Double hung window with improved water management system
JP3213877B2 (ja) 窓用サッシの下枠の排水機構
JP4104564B2 (ja) サッシ窓
KR200465549Y1 (ko) 방풍 및 빗물배출 기능이 구비된 창문구조
CN219974325U (zh) 门窗用防风排水装置和一种门窗型材
KR102439954B1 (ko) 물 유입 차단 및 단열 구조를 가진 해안용 슬라이딩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