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821Y1 -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 Google Patents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821Y1
KR200411821Y1 KR2020050036801U KR20050036801U KR200411821Y1 KR 200411821 Y1 KR200411821 Y1 KR 200411821Y1 KR 2020050036801 U KR2020050036801 U KR 2020050036801U KR 20050036801 U KR20050036801 U KR 20050036801U KR 200411821 Y1 KR200411821 Y1 KR 200411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ouble
window frame
aggregate
auxiliary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헌
고종이
Original Assignee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6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8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8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호의 수밀 성능을 향상 시킬수가 있는 구성의,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에 관한 것으로;
최근, 주거 면적을 확장 사용 하기 위하여 거실을 발코니까지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인바, 확장 사용시 외부의 소음 전달 방지 및 단열성능 등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외창 및 내창으로 구성된 이중창을 내,외측 레일이 이중으로 구성된 이중창용 창틀골재의 레일부 상부에 각기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는바,
상기 외창 및 내창을 창틀에 장착하기 위하여, 그 저면부에 위치되는 이중 창틀의 레일부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중, 빗물 등의 물이 상기 레일부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등의 수밀 성능 상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바;
본 고안은, 수밀성능의 향상 및 상기 이중창틀의 내, 외측 레일의 높이를 그대로 유지하여 그 상부에 장착되는 내,외창을 구성하는 창짝을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를 할수 있는 동시에, 창틀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수밀성능 향상를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에 관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외창, 내창, 외측레일, 내측레일, 상부, 수밀성, 창틀골재, 창짝, 보조재

Description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water prevention construction of window fram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창틀골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창틀골재에 창짝이 결합된 상태의 결합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재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고안 창틀골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종래의 이중창용 창틀골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 창틀골재
10,10' 몸체
20,20' 레일부
21,21',22,22' 외측레일 23,23',24,24' 내측레일
25,25' 방충망 레일 26,26' 외측레일 저면부
27,27' 외측레일 상부 28,28' 내측레일 상부
29,29' 방충망레일 상부
30,30' 중앙경계부
31,31' 본체 32,32' 측면
33 방풍구삽입홀
34,34' 결합돌기
34a,34b 경사면 34c,34d 걸림면
35,35' 상부
40 보조재
41 본체 42,42' 측면
43 저면 44 내벽
45,45' 결합돌기
45a,45b 경사면 45c,45d 걸림면
46 방풍구삽입홀 47 상부
48 방풍구
50 차단판
51 본체 52 상부
53 방풍구삽입홀
200,200' 창짝
201,201',202,202' 외부창짝 203,203',204,204' 내부창짝
300 실외
400 실내
본 고안은 수밀 성능을 향상 시킬수가 있는 구조의,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에 관한것으로;
주거면적 확장을 위하여 사용되는 내창 및 외창으로 구성된 이중창을, 이중창용 창틀골재의 상부에 장착 사용시, 수밀성능을 향상 시킬수가 있는 별도의 보조재를 사용하여, 창호의 수밀성을 향상 시킬수가 있으며, 내,외창을 구성하는 각 창짝을 이중창용 창틀골재의 레일부에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를 할수가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최근, 주거면적을 확장 사용 하기 위하여, 거실을 발코니까지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인바, 확장 사용시 외부에서 전달되는 소음 방지 및 단열 성능 등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거실에 설치되어 있는 창호를 제거 후, 발코니에 내,외창이 각기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는 확장용 이중창 및 이중창용 창틀골재를 설치하여 사 용하고 있는바;
도 6에 도시 한바와 같이, 내창 및 외창이 각기 이중으로 구성된 이중창을, 내,외측 레일이 각기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중창용 창틀골재의 레일부 상부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는바, 상기 내,외창을 구성하고 있는 외부창짝(201',202') 및 내부창짝(203',204')을 이중창용 창틀골재(100')에 장착하기 위하여, 그 저면부에 위치되는 이중창용 창틀골재(100')의 외측레일(21',22') 및 내측레일(23',24'), 중앙경계부(30'), 차단판(50')을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여, 그 상부에 외부창짝(201',
202')및 내부창짝(203',204')을 장착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내,외측 레일(21',22',23',24') 및 중앙경계부(30'),차단판(50')의 높이가 동일 함으로 인하여, 실외의 빗물 등의 물이 외측레일(21',22')의 저면부
(26')에 적재된 상태로, 그 측면의 동일한 높이의 중앙경계부(30') 및 내측레일
(23',24'),차단판(50')을 통하여 실내로 물이 유입되는 등의 수밀성능 상의 문제점이 발생 되었으며;
이를 방지코저, 상기 중앙경계부(30') 또는 내측레일(23',24')의 높이를 외측레일(21',22')의 높이보다 다소 높게 형성하여 일부 사용 하고 있으나, 수밀성 향상을 위하여는 내측레일 상부(28') 또는, 중앙경계부(30')의 상부(35')가 외측레일 상부(27')보다 25㎜ 이상 높은 구조로 형성 되어야 하는바,
상기와 같이 외측레일 상부(27')와 25㎜ 이상의 차이로, 중앙경계부(30')의 상부(35') 또는 내측레일 상부(28')를 형성시, 외창에 해당하는 외부창짝(201',
202')을 창틀골재의 외측레일(21',22')에 장착이 불가능하여, 중앙경계부의 상부
(35') 또는 내측레일 상부(28')를 외측레일 상부(27') 보다, 5㎜ 정도의 다소 높은 높이의 상부로 형성하여 사용 하고 있어, 이 또한 수밀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 하였다.
따라서, 수밀성능을 향상 시키는 동시에, 각 레일의 상부에 장착되는 이중창용 창짝의 설치가 용이한 구조의 이중창용 창틀골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저, 결합돌기 등이 형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보조재를 이용하여 창틀에 착탈을 시킴으로서, 이중창용 창틀골재의 내,외측 레일의 상부에 위치되는 창짝을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를 할수가 있는 동시에, 수밀 성능의 향상 및 창틀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 및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창틀골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창틀골재에 창짝이 결합된 상태의 결합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재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창틀골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중창용 창틀골재는;
1) 이중창용 내,외측레일(21,22,23,24) 및 방충망레일(25), 중앙경계부(30),차단판(50)이 형성되어 있는 이중창용 창틀골재(100) 및,
2) 상기 창틀골재(100)의 중앙경계부(30)에 착,탈이 됨으로서,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구조의 보조재(40)로 구성되어;
본 고안의 보조재(40)를 창틀골재의 중앙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경계부
(30)에 착,탈을 함으로서, 상기 보조재(40)가 창틀골재(100)의 중앙경계부(30)에 결합 및 해체가 되는 구조로, 결합 사용시 보조재(40)의 측면 해당 높이만큼 외측레일(21,22)의 측면 높이보다 더 높은 상태의 중앙경계부(30)를 구비하여, 수밀성능을 향상 시킬수가 있는 동시에;
이중창을 구성하는 내,외부창짝(201,202,203,204)을 이중창용 창틀골재(100)의 외측(21,22) 및 내측레일(23,24)에 장착 및 분리가 용이토록 구성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외측(21,22) 및 내측레일(23,24) 및 방충망 레일(25), 중앙경계부(30), 차단판(50)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이중창용 창틀골재(100)의 외측레일(21,22)에, 외창을 구성하는 외부창짝(201,202)을 장착 한 후;
이중창의 외부창짝(201,202)과 내부창짝(203,204)을 분리 경계 하는 본체
(31) 및, 상기 본체(31)의 양 측면(32,32') 하부에, 일 방향으로만 경사가 진 경사면(34a,34b)이 형성 되어, 그 하부에 걸림면(34c,34d)이 구비되어 있는 삼각형태의 돌기인 결합돌기(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 측면 상부에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유지구인 방풍구가 삽입되는 삽입홀인 방풍구삽입홀
(33)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의 중앙경계부(30)에;
보조재(40)를 결합하여 상기 중앙경계부(30)의 외부에 보조재(40)가 위치되는 구조로;
상기 보조재(40)에 의하여, 외측레일(21,22)의 측면높이에 비하여 보조재
(40)의 측면 해당 높이만큼 더 높은 상태의 중앙경계부(30)를 구비하게 되며, 그 측면의 내측레일(23,24)에 내창을 구성하는 내부창짝(203,204)을 용이하게 장착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외부의 빗물 등의 물이 외측레일(21,22)의 저면부(26)에 적재시, 상기 보조재(40)가 결합된 상태의 중앙경계부(30)의 측면에 의하여, 내측레일(23,24)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밀성능이 향상 되는 동시에, 이중창을 구성하는 외부(201,202) 및 내부창짝(203,204)을 창틀의 외측(21,22) 및 내측레일(23,
24)에 장착키가 용이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보수 및 청소등을 위하여 각 창짝을 창틀에서 분리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내부창짝(203,204)을 내측레일(23,24)에서 분리한 후, 상기 중앙경계부(3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보조재(40)를 해체하여, 외부창짝(201,202)을 외측레일(21,22)에서 용이하게 분리 할 수가 있으며, 레일부의 먼지 및 이물질을 물 청소를 하여 외부로 배출 할수 있도록 구성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 한바와 같이, 상기 보조재(40)는 "ㄷ"자 형태의 본체
(41) 및 상기 본체(41)의 저면(43)이 개방된 상태로, 그 중앙부위에 상기 중앙경계부(30)의 상부에 적층되는 내벽(44)이 형성되어, 본체(41)를 중앙경계부(30)의 외부에 삽입시 상기 내벽(44)이 중앙경계부(30)의 상부에 적층되는 구조로;
그 양 측면(42,42')의 높이가, 외측레일(21,22)의 측면 높이에 비하여, 25 내지 35㎜ 더 높게 형성 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상기 중앙경계부(30)의 경사면
(34a,34b)과 동일한 일 방향의 경사면(45a,45b) 및 걸림면(45c,45d)으로 구성된 결합돌기(45,45')가 형성되어 있어,
본체(41)를 중앙경계부(30)의 외부에 착탈시, 중앙경계부(30)의 경사면
(34a,34b)과, 상기 경사면(45a,45b)이 일치된 상태로 서로 대응되는 중앙경계부
(30)의 걸림면(34c,34d)과,상기 걸림면(45c,45d)에 의하여 결합 또는 상기 중앙경계부(30)의 걸림면(34c,34d)에서, 상기 걸림면(45c,45d)을 외부로 이탈 시킴으로서 보조재(40)를 중앙경계부(30)의 외부에 결합 또는 외부로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 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 한바와 같이, 일 측면의 상부에 외측창짝의 측면에 맞닿아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 하는 역활의 방풍구(48)가 삽입되는 홀형태의 방풍구삽입홀
(46)이 형성 되어 있어, 상기 방풍구삽입홀(46)에 방풍구(48)를 결합하여 외부창짝
(201,202)을 통하여 실외(300)에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실내(4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구성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 5에 도시 한바와 같이, 실외(300)에서 유입되는 빗물 등의 물이 외측레일(21,22)의 저면부(26)에 적재시, 상기 중앙경계부(30)에 결합된 보조재(40)에 의하여, 외측레일 상부(27)와 중앙경계부(30)에 결합된 보조재(40)의 상부(47)간의 높이 차이를 크게 형성하여, 수밀성능이 향상되어, 내측레일(23,24)로 물이 유입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배출공 등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동시에, 이중창을 구성하는 외부창짝(201,202) 및 내부창짝(203,204)을 창틀의 외측레일(21,22) 및 내측레일(23,24)에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를 할수가 있는 구조로 구성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고안에 의한 이중창용 창틀골재는;
실외의 빗물 등이 외측레일 저면부에 적재되어, 동일한 높이의 내측레일을 통하여 실내로 물이 유입되는 종래기술의 수밀 성능 상의 문제점을 해결한 동시에;
특히, 외측레일의 상부와 본 고안 보조재의 상부의 높이 차이를 크게 형성하여, 수밀성능이 현저히 향상 되는 구조 및;
이중창을 구성하는 외부창짝 및 내부 창짝을 이중창용 창틀골재의 각 레일부에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 할수가 있으며, 사용중 유지 보수가 필요시 상기 보조재를 손쉽게 해체 및 결합을 함으로서, 창틀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수가 있는 구조로 구성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내,외측레일 및 중앙경계부,차단판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이중창용 창틀골재에 있어서, 이중창용 창틀골재가;
    본체(31)의 양 측면(32,32')하부에, 결합돌기(34,34')가 구비되어 있는 중앙경계부(30) 및;
    본체(41)의 양 측면(42,42')높이가 외측레일(21,22)측면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로 형성 되어 있으며, 그 저면(43)에 상기 중앙경계부의 결합돌기(34,34')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5,45')이 구비되어 있는 보조재(40)로 구성되어;
    상기 중앙경계부(30)에 보조재(40)를 결합 또는 외부로 분리를 함으로서, 보조재(40)의 측면 해당 높이만큼, 중앙경계부(30)가 외측레일(21,22)의 측면 높이보다 높게 구비 됨으로서, 수밀성능의 향상 및; 외부(201,202) 및 내부창짝(203,
    204)을 창틀의 외측(21,22) 및 내측레일(23,24)에 장착 또는 분리키가 용이한 구조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재(40)가 본체(41)의 저면(43)이 개방된 상태로, 그 중앙부위에 중앙경계부(30)의 상부에 적층되는 내벽(44)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재(40)의 양 측면(42,42')의 높이가, 외측레일(21,22)의 측면높이보다 25 내지 35㎜ 더 높은 높이로 형성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경계부(30) 및 보조재(40)의 결합돌기(34,34',45,45')가 동일한 구성의 일 방향의 경사면(34a,34b,45a,45b) 및 걸림면(34c,34d,45c,45d)으로 구비되어, 서로 대응되어 결합 또는 해체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상기 보조재(40)의 일 측면 상부에, 외부창짝(201,202)의 측면에 맞닿아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 하는 역활의 방풍구(48)가 삽입되는 홀 형태의 방풍구삽입홀(46)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KR2020050036801U 2005-12-29 2005-12-29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KR200411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801U KR200411821Y1 (ko) 2005-12-29 2005-12-29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801U KR200411821Y1 (ko) 2005-12-29 2005-12-29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821Y1 true KR200411821Y1 (ko) 2006-03-17

Family

ID=4176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801U KR200411821Y1 (ko) 2005-12-29 2005-12-29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82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462B1 (ko) 2006-01-04 2008-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밀성 기능을 가지는 미서기창
KR101242606B1 (ko) * 2012-05-22 2013-03-19 (주)하이산업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200467757Y1 (ko) * 2008-08-27 2013-07-03 (주)엘지하우시스 미서기 창틀용 커버
KR102263986B1 (ko) * 2021-01-05 2021-06-11 문성필 유동방지기능을 가진 기밀형 슬라이딩 창호
KR20220101291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이우드 이중 단열 복합창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462B1 (ko) 2006-01-04 2008-0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밀성 기능을 가지는 미서기창
KR200467757Y1 (ko) * 2008-08-27 2013-07-03 (주)엘지하우시스 미서기 창틀용 커버
KR101242606B1 (ko) * 2012-05-22 2013-03-19 (주)하이산업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2263986B1 (ko) * 2021-01-05 2021-06-11 문성필 유동방지기능을 가진 기밀형 슬라이딩 창호
KR20220101291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이우드 이중 단열 복합창
KR102642240B1 (ko) * 2021-01-11 2024-02-29 주식회사 이우드 이중 단열 복합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3747B2 (en) Modular window apparatus with liquid drainage ability
KR200411821Y1 (ko) 수밀성능 향상을 위한 이중창용 창틀골재
EP1214493A1 (en) The sliding window and door system of filling a rail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0789439B1 (ko) 다 기능성 알루미늄 창호 시스템
KR101896771B1 (ko) 수밀 최적화 구조가 적용된 입면 분할 창호
KR101869411B1 (ko) 슬라이딩 창호
KR200385577Y1 (ko) 방범창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KR200314547Y1 (ko) 단열 및 기밀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성수지제 창호
KR20100103273A (ko) 외동창형 창호프레임
KR200418951Y1 (ko) 슬라이드 창호의 창틀 프레임 구조
JP2008255761A (ja) リフォーム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JP4707064B2 (ja) 水切り及びその水切りを備えた窓
JP2006188939A (ja) 建具
JPS593106Y2 (ja) 戸袋の気密装置
KR102558132B1 (ko) 물넘침 방지를 위한 창틀의 분리형 레일
JP3960870B2 (ja) シャッター付サッシ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20190089652A (ko) 탈부착식 방충망 레일 프레임이 구비된 시스템 창호
GB2375561A (en) Sectional flood barrier
JP4104564B2 (ja) サッシ窓
JP2006188923A (ja) 建具
JP4056483B2 (ja) サッシ窓
KR102457522B1 (ko) 창호가 구비된 커튼월구조
JPH10169330A (ja) 引違い窓の下枠水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