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931B1 - 창문 탈선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탈선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931B1
KR101197931B1 KR1020120027292A KR20120027292A KR101197931B1 KR 101197931 B1 KR101197931 B1 KR 101197931B1 KR 1020120027292 A KR1020120027292 A KR 1020120027292A KR 20120027292 A KR20120027292 A KR 20120027292A KR 101197931 B1 KR101197931 B1 KR 101197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ndow
block
coupling
horizon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중
Original Assignee
이선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중 filed Critical 이선중
Priority to KR1020120027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003Anti-dropp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탈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창문틀의 내측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제 1 가이드 홈을 가지며, 창문 프레임의 상부 일단 또는 양단에 삽입되어 돌출턱에 의해 지지되고, 내측 하부면에 제 1 지지 로드가 구비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블록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제 2 가이드 홈을 가지며, 상기 지지 블록에 결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고, 내측 상부면에 제 2 지지 로드가 구비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블록과, 상기 제 1 지지 로드 및 제 2 지지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 블록에 상기 결합 블록이 결합될 경우 상기 결합 블록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 탈선 방지 장치{WINDOW ANTI-DERAILING DEVICE}
본 발명은 창문이 창문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안전하게 안내되고, 창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 탈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 틀을 갖는 창문은 창문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끼워져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즉, 창문은 창문 프레임의 상하부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창문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창문을 끼울 때 외부에서부터 내측으로 창문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이 창문틀 내측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깊숙이 끼운 후 창문 하단부를 창문틀 하단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올려놓는 방식으로 창문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창문틀과 창문의 구조는 창문틀에 창문을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한 후, 창문이 창문틀의 내측 상하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로 하강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창문은 창문틀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창문 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이 대략 2-4mm 정도 걸린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건축물은 시공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화되는 과정에서 창문틀, 창문 등이 약간씩 내려앉게 됨으로 인해서 창문가 창문틀의 사이가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창문틀에 비틀림이 생겨 창문이 잘 열리지 않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창문틀과 창문의 간격이 설치 때보다 상대적으로 더 벌어질 경우 창문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과 창문틀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이 불완전하게 결합된 상태가 되며, 외부적인 환경(예를 들면, 강풍, 태풍, 물리적인 외력 등)에 의해 쉽게 창문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창문틀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을 가지며, 창문 프레임의 상부 일단 또는 양단에 삽입 장착되고, 탄성 부재를 내설하여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창문틀에 가이드되면서 창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 탈선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창문틀의 내측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제 1 가이드 홈을 가지며, 창문 프레임의 상부 일단 또는 양단에 삽입되어 돌출턱에 의해 지지되고, 내측 하부면에 제 1 지지 로드가 구비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블록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제 2 가이드 홈을 가지며, 상기 지지 블록에 결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고, 내측 상부면에 제 2 지지 로드가 구비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블록과, 상기 제 1 지지 로드 및 제 2 지지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 블록에 상기 결합 블록이 결합될 경우 상기 결합 블록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창문 탈선 방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창문틀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을 가지며, 창문 프레임의 상부 일단 또는 양단에 삽입 장착되고, 탄성 부재를 내설하여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창문틀에 가이드되면서 창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탈선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창문을 예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탈선 방지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탈선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창문이 창문틀에 장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탈선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창문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탈선 방지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탈선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창문이 창문틀에 장착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2a는 결합도이고, 도 2b는 분해도이며, 도 2c는 돌출된 단면도, 도 2d는 삽입된 단면도를 의미한다.
도 1과 도 2a 내지 도2d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탈선 방지 장치(1000)는 창문(20)의 창문 프레임(21, 22, 23, 24) 중 좌측 프레임(21)의 상단 또는 우측 프레임(22)의 상단이나 좌측 프레임(21)의 상단 및 우측 프레임(22)의 상단에 결합된 상태로 돌출되는 것으로, 지지 블록(100), 결합 블록(200), 탄성 부재(3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면부호 23은 상부 프레임, 도면부호 24는 하부 프레임, 도면부호 25는 유리창을 의미한다.
지지 블록(100)은 창문틀(1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1)에 대응하는 제 1 가이드 홈(101)을 가지며, 창문 프레임(21, 22, 23, 24)의 상부 일단 또는 양단(즉, 창문 프레임(21, 22, 23, 24) 중 좌측 프레임(21)의 상단 또는 우측 프레임(22)의 상단이나 좌측 프레임(21)의 상단 및 우측 프레임(22)의 상단)에 삽입되어 돌출턱에 의해 지지되고, 내측 하부면에 제 1 지지 로드(107)가 구비되어 상방으로 돌출된다.
여기에서, 지지 블록(100)은 창문틀(1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1)에 대응하는 제 1 가이드 홈(101)을 갖도록 제 1
Figure 112012063298735-pat00007
형 플레이트(102)가 구비되며, 제 1
Figure 112012063298735-pat00008
형 플레이트(102)의 각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수평 플레이트(103) 및 제 2 수평 플레이트(104)가 구비되고, 제 1
Figure 112012063298735-pat00009
형 플레이트(102), 제 1 수평 플레이트(103) 및 제 2 수평 플레이트(104)의 하부 후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후단 플레이트(105)가 구비되며, 제 1 후단 플레이트(105)의 후면에서 양측 끝단과 기 설정된 깊이를 갖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 2
Figure 112012063298735-pat00010
형 플레이트(106)가 구비되고, 제 2
Figure 112012063298735-pat00011
형 플레이트(106)의 내측 하부 양단에 원형의 제 1 지지 로드(10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수평 플레이트(103) 및 제 2 수평 플레이트(104)는 창문 프레임(21, 22, 23, 24) 중 좌측 프레임(21)의 상단 또는 우측 프레임(22)의 상단이나 좌측 프레임(21) 및 우측 프레임(22)의 상단에 삽입될 경우 돌출턱을 갖도록 좌측 프레임(21) 및 우측 프레임(22)의 상단의 상부 너비방향 양단에서 더 돌출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블록(100)은 제 1 후단 플레이트(105)에서 연장되는 제 2
Figure 112012063298735-pat00012
형 플레이트(106)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결합홈(108)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블록(100)은 제 2
Figure 112012063298735-pat00013
형 플레이트(106)의 내측 하부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구(109)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 블록(200)은 창문틀(10)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1)에 대응하는 제 2 가이드 홈(201)을 가지며, 지지 블록(100)에 결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고, 내측 상부면에 제 2 지지 로드(208)가 구비되어 하방으로 돌출된다.
여기에서, 결합 블록(200)은 창문틀(10)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1)에 대응하는 제 2 가이드 홈(201)을 갖도록 제 3
Figure 112012063298735-pat00014
형 플레이트(202)가 구비되며, 제 3
Figure 112012063298735-pat00015
형 플레이트(202)의 각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3 수평 플레이트(203) 및 제 4 수평 플레이트(204)가 구비되고, 제 3
Figure 112012063298735-pat00016
형 플레이트(202), 제 3 수평 플레이트(203) 및 제 4 수평 플레이트(204)의 하부 후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후단 플레이트(205)가 구비되며, 제 2 후단 플레이트(205)의 전면에서 양측 끝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 플레이트(206)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207)가 구비되고, 제 3 수평 플레이트(203) 및 제 4 수평 플레이트(204)의 하부 양단에 제 1 지지 로드(107)에 대응하는 제 2 지지 로드(208)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 블록(200)은 지지 블록(100)에 구비되는 결합홈(108)에 대응하여 제 1 측면 플레이트(206)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207)의 각 전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209)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홈(108)에 결합돌기(209)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지지 블록(100) 및 결합 블록(20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블록(200)은 지지 블록(100)에 구비되는 걸림구(109)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 3 ??형 플레이트(202)의 내측 하부에 걸림홀(21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걸림홀(210)에 걸림구(109)가 결합되어 지지 블록(100)에서 결합 블록(200)이 장착 후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결합 블록(200)은 제 3
Figure 112012063298735-pat00017
형 플레이트(202)의 내측 양측면(A, 점선부분)에 제 1 완충모를 각각 구비할 수 있고, 제 3 수평 플레이트(203) 및 제 4 수평 플레이트(204)의 상부면(B, 점선부분)에 제 2 완충모를 각각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틈새로의 공기 유통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탄성 부재(300)는 제 1 지지 로드(107) 및 제 2 지지 로드(208)를 양단으로 하여 결합되며, 지지 블록(100)에 결합 블록(200)이 결합될 경우 결합 블록(200)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창문 탈선 방지 장치(1000)는 지지 블록(100), 결합 블록(200) 및 탄성 부재(300)가 결합된 형태로 창문(20)의 창문 프레임(21, 22, 23, 24) 중 좌측 프레임(21)의 상단 또는 우측 프레임(22)의 상단이나 좌측 프레임(21)의 상단 및 우측 프레임(22)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 프레임(23)의 상부면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결합 블록(200)을 누른 상태(도 2d 참조)를 유지하면서 창문틀(10)의 가이드 레일(1)에 제 1 가이드 홈(101) 및 제 2 가이드 홈(201)을 끼운 후에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내부에 구비된 탄성 부재(300)의 탄성력에 따라 결합 블록(200)이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창문(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창문틀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을 가지며, 창문 프레임의 상부 일단 또는 양단에 삽입 장착되고, 탄성 부재를 내설하여 돌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창문틀에 가이드되면서 창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창문틀 20 : 창문
100 : 지지 블록 200 : 결합 블록
300 : 탄성 부재 1000 : 창문 탈선 방지 장치

Claims (7)

  1. 창문틀의 내측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제 1 가이드 홈을 가지며, 창문 프레임의 상부 일단 또는 양단에 삽입되어 돌출턱에 의해 지지되고, 내측 하부면에 제 1 지지 로드가 구비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 블록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제 2 가이드 홈을 가지며, 상기 지지 블록에 결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고, 내측 상부면에 제 2 지지 로드가 구비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블록과,
    상기 제 1 지지 로드 및 제 2 지지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 블록에 상기 결합 블록이 결합될 경우 상기 결합 블록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창문 탈선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가이드 홈을 갖도록 제 1
    Figure 112012063298735-pat00018
    형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Figure 112012063298735-pat00019
    형 플레이트의 각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수평 플레이트 및 제 2 수평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Figure 112012063298735-pat00020
    형 플레이트, 제 1 수평 플레이트 및 제 2 수평 플레이트의 하부 후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후단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후단 플레이트의 후면에서 양측 끝단과 기 설정된 깊이를 갖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 2
    Figure 112012063298735-pat00021
    형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Figure 112012063298735-pat00022
    형 플레이트의 내측 하부 양단에 원형으로 상기 제 1 지지 로드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탈선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블록은,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가이드 홈을 갖도록 제 3
    Figure 112012063298735-pat00023
    형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 3
    Figure 112012063298735-pat00024
    형 플레이트의 각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3 수평 플레이트 및 제 4 수평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 3
    Figure 112012063298735-pat00025
    형 플레이트, 제 3 수평 플레이트 및 제 4 수평 플레이트의 하부 후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후단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후단 플레이트의 전면에서 양측 끝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 플레이트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 3 수평 플레이트 및 제 4 수평 플레이트의 하부 양단에 상기 제 1 지지 로드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지지 로드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탈선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제 1 후단 플레이트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 2
    Figure 112012063298735-pat00026
    형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 블록은,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측면 플레이트 및 제 2 측면 플레이트의 각 전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에 상기 결합돌기가 수직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 블록 및 결합 블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탈선 방지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록은, 상기 제 2
    Figure 112012063298735-pat00027
    형 플레이트의 내측 하부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구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 블록은, 상기 걸림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 3
    Figure 112012063298735-pat00028
    형 플레이트의 내측 하부에 걸림홀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홀에 상기 걸림구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 블록에서 상기 결합 블록이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탈선 방지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블록은, 상기 제 3
    Figure 112012063298735-pat00029
    형 플레이트의 내측 양측면에 제 1 완충모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탈선 방지 장치.
  7. 제 4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블록은, 상기 제 3 수평 플레이트 및 제 4 수평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제 2 완충모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탈선 방지 장치.
KR1020120027292A 2012-03-16 2012-03-16 창문 탈선 방지 장치 KR101197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292A KR101197931B1 (ko) 2012-03-16 2012-03-16 창문 탈선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292A KR101197931B1 (ko) 2012-03-16 2012-03-16 창문 탈선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931B1 true KR101197931B1 (ko) 2012-11-05

Family

ID=4756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292A KR101197931B1 (ko) 2012-03-16 2012-03-16 창문 탈선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9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518B1 (ko) 2014-08-27 2016-03-07 안산건업 주식회사 추락방지 미서기창의 창문이탈 방지장치
KR101778283B1 (ko) * 2015-12-08 2017-09-13 주식회사 제스트 미닫이 창호의 틈새 방지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103B1 (ko) 2007-10-18 2009-08-13 주식회사 진성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KR100954862B1 (ko) 2009-05-04 2010-04-29 이은옥 창문용 이탈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KR100986118B1 (ko) 2009-08-14 2010-10-07 동양산업건설(주) 창문용 이탈방지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103B1 (ko) 2007-10-18 2009-08-13 주식회사 진성 빗물유입방지 및 이탈방지용 알루미늄 창호프레임
KR100954862B1 (ko) 2009-05-04 2010-04-29 이은옥 창문용 이탈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KR100986118B1 (ko) 2009-08-14 2010-10-07 동양산업건설(주) 창문용 이탈방지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518B1 (ko) 2014-08-27 2016-03-07 안산건업 주식회사 추락방지 미서기창의 창문이탈 방지장치
KR101778283B1 (ko) * 2015-12-08 2017-09-13 주식회사 제스트 미닫이 창호의 틈새 방지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000B1 (ko) 도어 글라스 클램프장치
KR101197931B1 (ko) 창문 탈선 방지 장치
KR101252696B1 (ko) 미서기 또는 미닫이식 창 또는 문짝의 이탈 방지장치
CN101581529A (zh) 伸缩式搁物架
KR101226087B1 (ko) 창문이탈방지구
JP2013215031A (ja) 保安器のdinレールへの取付装置
KR101550404B1 (ko) 3중 연동 도어의 도어 고정장치
KR101200794B1 (ko) 수납 장치
KR20180070687A (ko) 전원 장치
KR100952674B1 (ko) 미닫이 및 고정창호 겸용 창틀 프레임 구조
JP2013147897A (ja) 移動式パネル
KR101441071B1 (ko) 창문에 구비된 가동틀과 고정틀의 단열구조
KR101555308B1 (ko) 엘리베이터의 인테리어 판넬 조립방식 핸드레일 장치
KR101518964B1 (ko) 미닫이창의 레일 은폐구조
CN218708395U (zh) 一种电梯井道
JP4838200B2 (ja) シャッター付きサッシ
CN213082767U (zh) 一种写字板边框组件
KR20170032204A (ko)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
CN209976345U (zh) 一种平开推拉门安装部的定轨型材
CN217485053U (zh) 可快装快拆的指示灯
CN201667216U (zh) 一种停车场出入口机柜
JP5843738B2 (ja) 建具
JP6704835B2 (ja) 建具
JP2014163101A (ja) 窓材ホルダ
JP2010174485A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