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175Y1 - 열전사필름 융착장치 - Google Patents

열전사필름 융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175Y1
KR200362175Y1 KR20-2004-0016591U KR20040016591U KR200362175Y1 KR 200362175 Y1 KR200362175 Y1 KR 200362175Y1 KR 20040016591 U KR20040016591 U KR 20040016591U KR 200362175 Y1 KR200362175 Y1 KR 200362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film
thermal transfer
rollers
transfer member
pressur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식
Original Assignee
이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식 filed Critical 이상식
Priority to KR20-2004-0016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1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1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내장재, 가구나 액자프레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자재의 표면에 규칙적, 불류칙한 다양한 형태의 나뭇결 모양의 무뉘, 문자, 숫자, 색채 등을 갖춘 각양각색의 질감이 표현된 열전사필름지로 목재, 합성수지재, 중밀도섬유판재(MDF:Medium Density Fiberboard), 금속재, 비철금속재 등 선택된 재료의 표면 전체 내지 일부분에 열전사필름을 융착시키는 열전사필름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컴팩트하게 제작하여 장치의 코스트 및 유지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장소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전사필름이 피전사부재에 원활하게 전사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열전사필름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되는 피전사부재의 표면에 다양한 패턴의 문양이 인쇄된 열열전사필름을 전사하도록 된 열열전사필름 융착장치에 있어서, 횡방향을 따라 피전사부재의 이송경로가 마련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일측 전후방에 서로 대향되도록 수직설치되며 적어도 하나는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전후방가압롤러와, 이 전후방가압롤러의 일측에 각각 수직설치되어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양측면과 전후방가압롤러 사이로 열전사필름을 공급하는 전후방공급보빈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 상하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피전사부재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평설치되며 적어도 하나는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상면과 저면을 가압하는 한쌍의 상하부가압롤러와, 이 상하부가압롤러의 일측에 상하부가압롤러와 평행하도록 수평설치되어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상저면과 상하부가압롤러 사이로 열전사필름을 공급하는 상하부공급보빈과, 상기 전후방가압롤러 및 상하부가압롤러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가압롤러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필름 융착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열전사필름 융착장치{a heat transcription film melting apparatus}
본 고안은 건축내장재, 가구나 액자프레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자재의 표면에 규칙적, 불류칙한 다양한 형태의 나뭇결 모양의 무뉘, 문자, 숫자, 색채 등을 갖춘 각양각색의 질감이 표현된 열전사필름지로 목재, 합성수지재, 중밀도섬유판재(MDF:Medium Density Fiberboard), 금속재, 비철금속재 등 선택된 재료의 표면 전체 내지 일부분에 열전사필름을 융착시키는 열전사필름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컴팩트하게 제작하여 장치의 코스트 및 유지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장소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전사필름이 피전사부재에 원활하게 전사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낮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열전사필름 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생산되는 액자 프레임이나 가구용 패널, 인테리어용 몰딩부재 등(이하, 피전사부재)에는 제품의 표면에 다양한 패턴의 문양이 인쇄된 열전사필름을 열전사하여 다양한 질감을 갖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피전사부재에 열전사필름을 열전사하는 열전사기는 다양한 구조로 제작되는데, 이 중 하나의 장치로 상면과 저면은 물론 양측면을 순차적으로 열전사하거나 어느 일면만 선택적으로 열전사할 수 있도록 된 열전사필름 융착장치가 특허등록번호 제 0363275호에 의해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융착장치를 설명하면, 상면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피전사부재 이송경로가 마련된 몸체와, 이 몸체의 횡방향 양측에 서로 평행하도록 수직설치된 한 쌍의 전후지지대와, 이 각각의 전후지지대 일측에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상하측에 위치되도록 피전사부재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전사필름이 권취된 한 쌍의 상하측보빈과, 상기 각각의 전후지지대의 일측에 피전사부재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수평설치되어 각각의 상하측보빈에서 풀려나오는 전사필름을 피전사부재의 상면이나 저면에 전사되도록 하는 수평열압착롤러 및 수평받침롤러와, 상기 몸체의 전후방 일측에 각각 수직설치되어 피전사부재의 양측으로 열전사지를 공급하는 한 쌍의 전후방공급보빈과, 상기 몸체의 상면 양측의 피전사부재의 이송방향 양측에 서로 평행하도록 수직설치되어 각각의 전후방공급보빈에서 풀려나오는 전사필름을 피전사부재의 좌측이나 우측면에 각각 전사되도록 하는 수직열압착롤러 및 전후부 수직받침롤러로 구성된다.
따라서, 피전사부재의 상면에만 전사할 경우에는 상측보빈과 전방지지대에 구비된 수평열압착롤러와 수평받침롤러를 작동시켜 피전사부재에 상측보빈에서 풀려나오는 전사필름이 전사되도록 한다. 즉, 피전사부재의 어느 일면만 전사지를 전사할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보빈과 열압착롤러 및 받침롤러를 작동시켜 보빈에서 풀려나오는 전사필름을 피전사부재에 열전사 하거나, 피전사부재의 상면과 저면 및 좌우측면을 전사할 경우에는 상하측보빈과 전후방공급보빈은 물론 상기 열압찰롤러 및 받침롤러를 모두 작동시켜서 전사지가 피전사부재의 상면과 좌우측면, 저면이 순차적으로 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열전사필름 융착장치는 열압착롤러의 대향되는 위치마다 각각 별도의 받침롤러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부품수가 많고 조립공정이 늘어나 장치의 코스트가 상승함은 물론 부품수가 많은 만큼 유지보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전사기는 전사필름을 피전사부재에 전사시키는 열압착롤러가 피전사부재의 이송경로를 따라 길게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장치가 너무 대형화되어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전사필름 융착장치는 열압착롤러에 가열하는 히터가 열압착롤러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열압착롤러의 구조가 복잡하고 유지보수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열압착롤러를 내측에서 가열하게 되므로, 전사필름이 접촉되는 외주면은 신속하게 가열되지 못함은 물론 높은 온도로 가열되지 못하고 내주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가열되어, 전사필름이 피전사부재에 전사되지 못하여 제품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효율의 히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할 경우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수를 줄여 장치의 코스트 및 유지보수를 절감할 수 있고, 컴팩트하게 제작하여 설치공간을 줄여 설치장소의 활용공간을 넓힐 수 있고, 열압착롤러의 외주면을 직접가열하여 전사필름이 피전사부재에 원활하게 전사되도록 하여제품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열전사필름 융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열전사필름 융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열전사필름 융착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상기 융착장치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융착장치의 전후방가압롤러의 위치조절수단의 구성도
도 5는 상기 융착장치의 상하부가압롤러부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피전사부재 10. 프레임
20. 전방가압롤러 26. 후방가압롤러
30. 전방공급보빈 36. 후방공급보빈
40. 상부가압롤러 46. 하부가압롤러
50. 상부공급보빈 56. 하부공급보빈
60. 가열수단 70. 위치조절체
80. 높이조절체
본 고안에 따르면, 공급되는 피전사부재의 표면에 다양한 패턴의 문양이 인쇄된 열열전사필름을 전사하도록 된 열열전사필름 융착장치에 있어서, 횡방향을 따라 피전사부재의 이송경로가 마련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일측 전후방에 서로 대향되도록 수직설치되며 적어도 하나는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전후방가압롤러와, 이 전후방가압롤러의 일측에 각각 수직설치되어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양측면과 전후방가압롤러 사이로 열전사필름을 공급하는 전후방공급보빈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 상하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피전사부재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평설치되며 적어도 하나는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상면과 저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상하부가압롤러와, 이 상하부가압롤러의 일측에 상하부가압롤러와 평행하도록 수평설치되어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상저면과 상하부가압롤러 사이로 열전사필름을 공급하는 상하부공급보빈과, 상기 전후방가압롤러 및 상하부가압롤러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가압롤러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필름 융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후방가압롤러의 타측 전후방에는 전후방공급보빈에서 공급되어 피전사부재에 전사되고 남은 박리지를 권취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전후방권취롤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가압롤러의 타측 상하부에는 상하부공급보빈에서 공급되어 피전사부재에 전사되고 남은 박리지를 권취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상하부권취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필름 융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가압롤러의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에 고정되어 가압롤러의 반원을 깜싸는 히터하우징과, 이 히터하우징의 내부에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어 가압롤러의 외주면을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필름 융착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가압롤러의 하측에는 프레임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된 승강실린더와, 이 승강실린더의 일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상부에는 상기 하부가압롤러가 연결설치된 승강판으로 구성되어 하부가압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체과 구비되고, 이 높이조절체와 하부가압롤러의 사이에는 상기 승강판의 모서리부에 수직설치되는 다수개의 볼트축과, 이 볼트축에 너트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그 상면에는 하부가압롤러가 설치되는 수평판으로 구성되어 하부가압롤러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된 수평조절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필름 융착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열전사필름 융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열전사필름 융착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융착장치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4는 상기 융착장치의 전후방가압롤러의 위치조절체의 구성도이고, 도 5는 상기 융착장치의 상하부가압롤러부의 측단면도를 각각 가리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사필름 융착장치는 열전사필름(F)을 공급되는 피전사부재(2)의 양측면이나 상저면을 각각 동시에 전사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중앙부에 횡방향으로 피전사부재(2)의 이송경로가 마련된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의 일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수직설치되며 고무재로 된 한 쌍의 전후방가압롤러(20,26)와,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수평설치되며 고무재로 된 한 쌍의 상하부가압롤러(40,46)와, 상기 가압롤러(20,26,40,46)를 각각 가열하는 가열수단(60)과, 상기 피전사부재(2)의 좌우측 및 상저면과 전후방가압롤러(20,26) 및 상하부가압롤러(40,46) 사이로 열전사필름(F)을 공급하는 전후방공급보빈(30,36) 및 상하부공급보빈(50,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가압롤러(20,26)는 후술할 가열수단(60)에 의해 가열되어 열전사필름(F)을 피전사부재(2)의 양측면에 전사되도록 하거나 피전사부재(2)를 프레임(10)의 이송경로인 횡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받침롤러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프레임(10)의 일측 전후방, 즉, 피전사부재(2)의 이송방향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수직설치되어, 후술할 위치조절체(70)에 의해 전후로, 즉, 피전사부재(2)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며, 각각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전후방가압롤러(20,26)의 일측, 즉, 상기 프레임(10)의 일단부 전후방에는 이송되는 피전사부재(2)의 양측면과 전후방가압롤러(20,26) 사이로 열전사필름(F)를 공급하는 전후방공급보빈(30,36)이 수직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가압롤러(20,26)의 타측에는 열전사필름(F)의 박리지를 권취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전후방권취롤(32,38)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방공급보빈(30,36)에서 공급되는 열전사필름(F)이 가열수단(60)에 의해 가열된 전후방가압롤러(20,26)에 의해 피전사부재(2)의 양측면에 전사되고, 전사되고 남은 박리지는 각각의 전후방권취롤(32,38)에 권취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전후방가압롤러(20,26)의 양측에는 한 쌍의 종바아(11,12)가 서로 평행하도록 프레임(1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종바아(11,12)에는 한 쌍의 안내바아(13)와 안내롤러(14)가 전후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안내바아(13)에 의해 전후방공급보빈(30,36)에서 풀려나오는 열전사필름(F)을 전후방가압롤러(20,26)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안내롤러(14)에 의해 열전사필름(F)에서 박리된 박리지가 각각의 전후방권취롤(32,38)에 원활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후방공급보빈(30,36)에는 안내바아(13)를 전후방권취롤(32,38)에는 안내롤러(14)를 구비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모두 안내바아를 설치하거나 안내롤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보빈(30,36)에는 안내롤러 권취롤(32,38)측에는 안내바아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전후방가압롤러(20,26)의 하측에는 이 각각의 전후방가압롤러(20,26)를 피전사부재(2)의 이송경로와 교차되는 방향인 전후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체(70)이 구비된다. 이 위치조절체(70)은 피전사부재(2)의 하측에 이 피전사부재(2)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프레임(10)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아(72)와, 이 가이드바아(7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부에는 각각의 전후방가압롤러(20,26)가 결합되는 한 쌍의 전후방슬라이드블록(73,74)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아(72)의 사이에 전후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단부가 프레임(10)에 전후방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전후방슬라이드블록(73,74)을 전후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전후방리드스크류(75,76)와, 이 각각의 전후방리드스크류(75,76)의 노출부 단부에 결합되어 이 전후방리드스크류(75,76)를 회전시키는 전후방조작핸들(77,78)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방조작핸들(77,78)을 정역회전시키면 전후방슬라이드블록(73,74)의 상부에 구비된 각각의 전후방가압롤러(20,26)가 피전사부재(2)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인 전후로 위치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방가압롤러(20,26)가 전후로 위치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므로, 다양한 규격의 피전사부재에도 열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가압롤러(40,46)도 후술할 가열수단(60)에 의해 가열되어 열전사필름(F)을 피전사부재(2)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전사되도록 하거나 피전사부재(2)를 수평상태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받침롤러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프레임(10) 타측 상하부, 즉, 피전사부재(2)의 상하부에 피전사부재(2)의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수평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하부가압롤러(46)는 높이 조절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가압롤러(46)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체(8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된 승강실린더(82)와, 이 승강실린더(82)의 일단부에 고정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상기 하부가압롤러(46)가 연결설치되는 승강판(8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실린더(82)를 신장시키거나 신축시켜서 이 승강실린더(82)에 연결된 하부가압롤러(46)의 높이를 조절하여 이 하부가압롤러(46)가 상부가압롤러(40)와 인접되거나 이격시켜 상하부가압롤러(40,46)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규격의 피전사부재에도 열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가압롤러(46)와 높이조절체(80) 사이에는 하부가압롤러(46)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수평조절체(85)가 구비된다. 이 수평조절체(85)는 상기 승강판(84)의 모서리부에 수직설치되는 다수개의 볼트축(86)과, 이 볼트축(86)에 너트(87)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그 상면에는 하부가압롤러(46)가 설치되는 수평판(88)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너트(87)를 풀거나 조여서 수평판(88)에 설치된 하부가압롤러(46)가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이 하부가압롤러(46)가 피전사부재(2)에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전사필름(F)이 피전사부재(2)에 원활하게 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상하부가압롤러(40,46)의 일측 상하부, 즉, 전후방가압롤러(20,26)측 상하부에는 이송되는 피전사부재(2)의 상저면과 상하부가압롤러(40,46) 사이로 열전사필름(F)을 공급하는 상하부공급보빈(50,56)이 수평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가압롤러(40,46)의 타측 상하부, 즉, 프레임(10)의 타측 상하부에는 열전사필름(F)의 박리지를 권취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상하부권취롤(52,58)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공급보빈(50,56)에서 공급되는 열전사필름(F)이 가열수단(60)에 의해 가열되는 상하부가압롤러(40,46)에 의해 피전사부재(2)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전사되고, 전사되고 남은 박리지는 각각의 상하부권취롤(52,58)에 권취되게 된다.
상기 가열수단(60)은 각각의 가압롤러(20,26,40,46)의 외주면을 가열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전후방가압롤러(20,26) 및 상하부가압롤러(40,46)의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각각의 가압롤러(20,26,40,46)의 반원을 감싸도록 일면이 개구된 반원형의 히터하우징(62)고, 이 히터하우징(62)의 내벽면을 따라 구비되어 가압롤러(20,26,40,46)의 외주면을 직접가열하는 히터(6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60)은 히터(64)가 반원형의 히터하우징(62)의 내벽면에 구비되어, 가압롤러(20,26,40,46)의 외주면을 직접 가열하게 되므로, 가압롤러(20,26,40,46)가 신속하게 가열됨은 물론 높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미설명 번호 17은 상하부가압롤러(40,46)의 일측에 가압롤러(40,46)와 평행하도록 수평설치되며 회전 및 방사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부공급보빈(50,56)에서 풀려나오는 열전사필름(F)이 피전사부재(2)의 상저면과 상하부가압롤러(40,46) 사이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하는 수평안내바아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열전사필름 융착장치는 프레임(10)의 일측에 피전사부재(2)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전후방가압롤러(20,26)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프레임(10)의 타측에 피전사부재(2)의 상저면을 가압하는 상하부가압롤러(40,46)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므로, 어느 일면만 열전사 경우에는 필요로 하는 가압롤러(20,26,40,46)만 가열수단(60)에 의해 가열하고 마주보는 전후방가압롤러(20,26)나 상하부가압롤러(40,46)는 피전사부재(2)의 타측면을 받쳐주는 받침롤러를 기능을 하여 열전사필름(F)을 피전사부재(2)의 전사하여 이송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피전사부재(2)의 사면을 열전사할 경우에는 가압롤러(20,26,40,46) 전체를 가열함과 동시에 피전사부재(2)의 좌우측면 및 상저면에 가압밀착시키면 피전사부재(2)의 좌우측면이 동시에 열전사필름(F)이 전사되고, 이어서 상저면이 동시에 전사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사피름 융착장치는 전후방가압롤러(20,26) 및 상하부가압롤러(40,46)가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있으므로, 열전사필름(F)을 피전사부재(2)에 전사되도록 하는 가압하는 가압롤러(20,26,40,45) 역할은 물론 받침롤러 역할을 겸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열압착롤러의 대향되는 위치마다 각각 별도의 받침롤러를 구비하는 것에 비해 부품수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조립공정이 줄어들어 장치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부품수가 적어 유지보수비가 적게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전사기는 전후방가압롤러(20,26) 및상하부가압롤러(40,46)가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각면을 가압하는 열압착롤러가 피전사부재의 이송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된 것에 비해, 장치의 사이즈가 줄어들어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협소한 장소에서도 활용공간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전사필름 융착장치는 가압롤러(20,26,40,46)를 가열하는 가열수단(60)이 가압롤러(20,26,40,46)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압롤러(20,26,40,46)의 외주면을 직접 가열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가열수단이 롤러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에 비해, 유지보수가 간편함은 물론 가압롤러(20,26,40,46)를 신속하고 높은 온도로 가열할 수 있으므로, 열전사필름(F)이 피전사부재(2)에 원활하게 전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열전사필름 융착장치는 열전사필름이 피전사부재의 양측면에 전사되도록 하는 전후방가압롤러 및 피전사부재의 상저면에 전사되도록 하는 상하부가압롤러가 각각 서로 대향되록 구비되므로, 부품수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조립공정을 줄어드므로, 장치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유지보수비가 적게들고, 장치의 사이즈가 줄어들어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협소한 장소에서도 활용공간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가압롤러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이 가압롤러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주면을 직접 가열하게 되므로, 유지보수가 간편함은 물론 가압롤러를 신속하고 높은 온도로 가열할 수 있어, 열전사필름이 피전사부재에 원활하게 전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목적, 구성,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대체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공급되는 피전사부재의 표면에 다양한 패턴의 문양이 인쇄된 열열전사필름을 전사하도록 된 열열전사필름 융착장치에 있어서,
    횡방향을 따라 피전사부재의 이송경로가 마련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일측 전후방에 서로 대향되도록 수직설치되며 적어도 하나는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양측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전후방가압롤러와, 이 전후방가압롤러의 일측에 각각 수직설치되어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양측면과 전후방가압롤러 사이로 열전사필름을 공급하는 전후방공급보빈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 상하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피전사부재 이송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수평설치되며 적어도 하나는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상면과 저면을 가압하는 한 쌍의 상하부가압롤러와, 이 상하부가압롤러의 일측에 상하부가압롤러와 평행하도록 수평설치되어 이송되는 피전사부재의 상저면과 상하부가압롤러 사이로 열전사필름을 공급하는 상하부공급보빈과, 상기 전후방가압롤러 및 상하부가압롤러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가압롤러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필름 융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가압롤러의 타측 전후방에 수직설치되어 전후방공급보빈에서 공급되어 피전사부재에 전사되고 남은 박리지를 권취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전후방권취롤과, 상기 상하부가압롤러의 타측 상하부에 수평설치되어 상하부공급보빈에서 공급되어 피전사부재에 전사되고 남은 박리지를 권취하도록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상하부권취롤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필름 융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가압롤러의 서로 마주보는 반대편에 고정되어 가압롤러의 반원을 깜싸는 히터하우징과, 이 히터하우징의 내부에 내벽면을 따라 배치되어 가압롤러의 외주면을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필름 융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압롤러의 하측에는 프레임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된 승강실린더와, 이 승강실린더의 일단부에 고정설치되어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상부에는 상기 하부가압롤러가 연결설치된 승강판으로 구성되어 하부가압롤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체과 구비되고, 이 높이조절체와 하부가압롤러의 사이에는 상기 승강판의 모서리부에 수직설치되는 다수개의 볼트축과, 이 볼트축에 너트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그 상면에는 하부가압롤러가 설치되는 수평판으로 구성되어 하부가압롤러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된 수평조절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필름 융착장치.
KR20-2004-0016591U 2004-06-14 2004-06-14 열전사필름 융착장치 KR200362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591U KR200362175Y1 (ko) 2004-06-14 2004-06-14 열전사필름 융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591U KR200362175Y1 (ko) 2004-06-14 2004-06-14 열전사필름 융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175Y1 true KR200362175Y1 (ko) 2004-09-16

Family

ID=4935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591U KR200362175Y1 (ko) 2004-06-14 2004-06-14 열전사필름 융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1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931B1 (ko) 2008-05-09 2010-09-30 전용진 패널용 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사방법과 전사패널
KR101712876B1 (ko) 2016-05-31 2017-03-08 주식회사 건웅전자 Tv받침대의 경사면 열전사필름 전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931B1 (ko) 2008-05-09 2010-09-30 전용진 패널용 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사방법과 전사패널
KR101712876B1 (ko) 2016-05-31 2017-03-08 주식회사 건웅전자 Tv받침대의 경사면 열전사필름 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123B1 (ko) 핀치 롤 장치의 롤러 간격 조정 구조체
KR200460345Y1 (ko) 주름판재 성형장치
WO2021082701A1 (zh) 一种双工位转盘式烫印装置
WO2018214510A1 (zh) 塑料地板压合成型设备
CN110588199B (zh) 一种纸类产品生产用双面印刷工艺
KR20120017461A (ko) 금박인쇄기의 가열금형 조절장치
KR200362175Y1 (ko) 열전사필름 융착장치
CN109466166B (zh) 一种车牌烫印机
CN211335202U (zh) 一种用于彩印机的封膜装置
KR100980340B1 (ko) 평면 인쇄장치
CN110406723A (zh) 覆膜叠片机
CN215321308U (zh) 一种便于拆卸的印刷设备用印刷辊冷却装置
KR100799600B1 (ko) 열전사필름 융착장치
CN111532039B (zh) 一种圆形纸盒质检后打标装置
CN210788841U (zh) 一种花纹铝箔辊压压花设备
CN208855036U (zh) 一种xps挤塑板压花机
CN219076525U (zh) 一种浴缸包边板材成型压纹机构
CN219906285U (zh) 一种印刷用纸张收卷装置
CN211077889U (zh) 一种薄膜压纹机
CN209999574U (zh) 一种组合式橡胶生产用压延机
CN219360470U (zh) 一种多层裱纸机
CN211710333U (zh) 一种面料生产用烫金装置
CN215893041U (zh) 一种用于纸板加工的烘干装置
CN219686863U (zh) 一种包装用彩色花纹纸的节能烘干装置
CN216579814U (zh) 一种数码印花机平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