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739Y1 -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구조 - Google Patents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739Y1
KR200361739Y1 KR20-2004-0017849U KR20040017849U KR200361739Y1 KR 200361739 Y1 KR200361739 Y1 KR 200361739Y1 KR 20040017849 U KR20040017849 U KR 20040017849U KR 200361739 Y1 KR200361739 Y1 KR 200361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hamber
cylindrical member
valve
outer cylindrical
inner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환
Original Assignee
이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환 filed Critical 이종환
Priority to KR20-2004-0017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7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수의 공급원인 댐 또는 저수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농토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지하에 매설되는 농수로타입에서 공급되는 물을 농토와 근접된 수로 측으로 분기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시공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도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지는 지하 밸브실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밸브실(4)에 위치하는 밸브(3)의 저면에 설치된 바닥부재(11)와, 상기 밸브실의 높이에 알맞게 절단되어 밸브를 감싸게 설치되며 바닥부재의 접속면이 접착테이프(18)로 실링된 내측 원통부재(12)와, 상기 내측 원통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접착테이프(15)로 고정된 보강파이프(14)와, 상기 내측 원통부재와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내측 원통부재와 동심원형태로 설치되며 바닥부재의 접속면이 접착테이프(19)로 실링된 외측 원통부재(16)와, 파이프(2)가 통과되는 내측 원통통부재의 내측 및 외측 원통부재의 외측에 각각 접착 고정된 캡(20)(21)과, 상기 내, 외측 원통부재사이 및 내, 외측 원통부재에 형성된 틈새(t)를 통해 캡(20)(21)의 내부에 충진된 우레탄 폼(22)으로 구성되어 있어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도 밸브실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구조{omitted}
본 고안은 농수의 공급원인 댐 또는 저수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농토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지하에 매설되는 농수로타입에서 공급되는 물을 농토와 근접된 수로 측으로 분기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농수로 지하밸브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도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지는 밸브실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농수로 설치 상태를 나태낸 개략도로서, 농수 공급원(1)으로부터 물을 농토와 근접된 수로 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직경 1m 정도되는 파이프(2)가 지하에 매설되는데, 매설되는 파이프는 농수 공급원으로부터 자연적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시공된다.
도 2는 종래의 지하밸브실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로써, 상기한 매설식 농수로는 일정 간격으로 밸브(3)를 설치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되게 콘크리트를 사각틀 형태로 타설하여 일측에 밸브실(4)을 구성함과 동시에 다른 일측에는 오버 플로우실(5)을 형성하여 밸브(3)로부터 지상으로 인출된 축(6)을 회전시킴에 따라 파이프(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오버 플로우실(5)로 배출되어 일정량이 오버 플로우실에 차인 다음 넘쳐 수로에 공급되면 이를 농수로 이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밸브실(4)의 상부에는 밸브실(4) 및 밸브(3)의 유지 보수를 위해 출입구(7)가 형성되는데, 평상시에는 상기 출입구(7)는 덮개(8)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지하 밸브실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므로 인해 지반 침하 또는 진동 등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에 균열이 발생되므로 밸브실에 물이 차이게 된다.
둘째, 콘크리트 벽체상에 금속재질의 파이프가 통과하고 있어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부피가 감소되거나, 파이프가 부식되어 이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므로 밸브실에 물이 차이게 된다.
셋째, 전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밸브실에 물이 차이면 밸브가 부식되므로 인해 밸브의 내구성이 떨어져 필요시 제 기능을 못하게 된다.
넷째, 밸브의 파손 등으로 인해 유지, 보수작업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밸브실에 차인 물을 양수기 등으로 퍼내어야 되었으므로 신속한 유지, 보수가 곤란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부위에 몰타르를 덧씌우거나, 방수제를 코팅하여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수공법은 임시 방편에 불과한 것으로써 시간경과에 따라 누수가 서서히 진행되어 결국 밸브가 물에 잠기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이미 시공된 콘크리트 타설물을 완전히 해체한 다음 새로운 시공방법에 의해 밸브를 감싸는 시공을 하고 있으나, 밸브실의 설치 깊이가 깊은 곳은 8m 정도가 되어 밸브실의 콘크리트 타설물을 해체하는 작업이 방대하여 시공에 따른 시간이 오래 걸림은 물론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고, 해체된 콘크리트 타설물은 산업 폐기물로 분류되어 이를 처리하는데 적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도 밸브실을 구성하여 밸브실 내에 위치하는 밸브가 물에 침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충분한 양생시간이 필요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으므로 인해 공사기간 및 공사비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반이 침하되거나,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반복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밸브실에 균열이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밸브실에 위치하는 밸브의 저면에 설치된 바닥부재와, 상기 밸브실의 높이에 알맞게 절단되어 밸브를 감싸게 설치되며 바닥부재의 접속면이 접착테이프로 실링된 내측 원통부재와, 상기내측 원통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접착테이프로 고정된 보강파이프와, 상기 내측 원통부재와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내측 원통부재와 동심원형태로 설치되며 바닥부재의 접속면이 접착테이프로 실링된 외측 원통부재와, 파이프가 통과되는 내측 원통통부재의 내측 및 외측 원통부재의 외측에 각각 접착 고정된 캡과, 상기 내, 외측 원통부재사이 및 내, 외측 원통부재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캡의 내부에 충진된 우레탄 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농수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지하 밸브실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시공에 따른 공정도
도 5는 본 고안의 밸브실을 구성하는 내측 원통부재가 시공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내측 원통부재의 내부에 보강파이프가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8은 내측 원통부재의 외측으로 일정 간격 유지되게 동심원 형태로 외측 원통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
도 10은 내측 원통부재의 내측 및 외측 원통부재의 외측에 캡이 시공된 상태도
도 11은 내, 외측 원통부재 사이에 우레탄 폼이 충진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파이프 3 : 밸브
4 : 밸브실 11 : 바닥부재
12 : 내측 원통부재 14 : 보강파이프
16 : 외측 원통부재 20, 21 : 캡
23, 24 : 가스켓 25 : 고무테이프
26 : 하우징 28 : 상면부재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밸브실을 구성하는 내측 원통부재가 시공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내측 원통부재의 내부에 보강파이프가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밸브실(4)의 바닥면에 FRP재질의 바닥부재(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재의 상측으로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FRP재질의 내측 원통부재(12)가 밸브실(4)의 높이에 알맞게 절단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내측 원통부재(12)의 이음부위 및 바닥부재(11)와의 접속면이 접착테이프(13)(18)에 의해 실링되어 있는데, 상기 내측 원통부재(12)에는 파이프(2)가 통과되도록 절취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실(4)내에 설치되는 내측 원통부재(12)는 두께가 얇은 반면, 밸브실의 깊이(대략 2 - 8m 정도)가 깊어 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어 이를 보강하기 위해 수직면상에 보강파이프(14)가 도 7과 같이 설치되어 접착테이프(15)로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보강파이프(14)는 내측 원통부재(12)의 높이에 따라 설치되는 위치 및 개수가 적절히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원통부재(12)의 외측으로는 도 8과 같이 내측 원통부재와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절취부(16a)를 갖는 외측 원통부재(16)가 동심원형태로 설치되어 바닥부재(11)의 접속면 및 이음부위가 접착테이프(17)(19)로 실링되어 있다.
상기 지하 밸브실(4)을 방수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파이프(2)가 지나가는 지점, 즉 절취부(12a)(16a)와 파이프(2)의 접속면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 지점에서의 완벽한 방수를 위해 파이프(2)가 통과되는 내, 외측 원통부재(12)(16)의 절취부(12a)(16a) 내, 외측에 도 10과 같이 캡(20)(21)을 각각 설치하여 상기 캡(20)(21)의 플랜지(20a)(21a)를 내, 외측 원통부재(12)(16)에 접착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절취부(12a)(16a)의 직경은 파이프(2)와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 외측 원통부재(12)(16)사이에 우레탄 폼(22)을 충진하는 과정에서 우레탄 폼(22)이 절취부(12a)(16a)와 파이프(2)사이의 틈새(t)를 통해 원활히 유입되어 캡(20)(21)의 내부에 충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파이프(2)와 캡(20)(21)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캡(20)(21)의 내측면(우레탄 폼이 유입되는 반대편)에 고무재질의 가스켓(23)(24)을 설치하는 것이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우레탄 폼(22)이 틈새(t)를 통해 캡(20)(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캡(20)(21)과 파이프(2)사이의 틈새를 통해 내, 외측 원통부재(12)(16)의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보다 완벽하게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파이프(2)가 물에 젖어 있는 상태에서 우레탄 폼(22)을 이용하여 파이프(2)와 내, 외측 원통부재(12)(16)사이, 그리고 파이프(2)와 캡(20)(21)의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물기에 의해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어 파이프(2)가 물어 젖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내, 외측 원통부재(12)(16) 및 캡(20)(21)이 위치되는 부위의 파이프(2)를 고무테이프(25)로 감싼 다음 시공하여야 된다.
상기 외측 원통부재(16)의 상면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입구(28a)를 갖는 상면부재(2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면부재는 외측 원통부재(16)와 접착테이프(29)로 실링되어 있으며 출입구(28a)는 덮개(3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내측 원통부재(12)의 내부에 위치하는 밸브(3)를 하우징(26)으로 감싼 다음 그 내부에 우레탄 폼(27)을 충진하여 보다 완벽한 방수를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밸브실(4)의 바닥면 크기에 따라 소정 두께를 갖는 FRP재질의 바닥 부재(11)를 절단하여 설치한 다음(S1) 밸브실(4)의 깊이에 따라 내측 원통부재(12)를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이를 대략 원통형태로 말아 밸브실(4)에 넣은 다음 밸브실을 통과하고 있는 파이프(2)가 통과되도록 절취부(12a)를 형성한다.
그 후, 절취부(12a)를 파이프(2)에 끼운 다음 내측 원통부재(12)의 이음부위를 접착테이프(13)를 이용하여 실링한 후(S2) 내측 원통부재(12)의 강도 보강을 위해 도 7과 같이 밸브실(4)의 높이에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보강파이프(14)를 내측 원통부재(12)의 내부에 위치시킨 다음 접착테이프(15)로 이를 고정시키므로서 내측 원통부재(12)의 강도가 보강된다.(S3)
상기 내측 원통부재(12)의 강도를 보강하고 나면 내측 원통부재(12)와 동일한 높이로 절단된 외측 원통부재(16)에 내측 원통부재(12)와 마찬가지로 절취부(16a)를 형성하여 파이프(2)에 끼운 다음 외측 원통부재(16)를 둥그렇게 말아 내측 원통부재(12)와 동심원형태로 설치한 후 이들의 이음부위을 접착테이프(17)로 실링한다.(S4)
상기한 바와 같이 내, 외측 원통부재(12)(16)를 동심원형태로 시공하고 나면 상기 내, 외측 원통부재(12)(16) 및 바닥부재(11)의 접속면을 접착테이프(18)(19)로 실링하여 기밀을 유지한다.(S5)
그러나 이러한 내, 외측 원통부재(12)(16) 및 바닥부재(11)의 접속면 실링은 이들을 각각 설치하는 과정에서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내, 외측 원통부재(12)(16)를 동심원형태로 시공하고 나면 파이프(2)가 통과되는 절취부(12a)(16a)의 내, 외측에 캡(20)(21)을 각각 위치시킨 다음 플랜지(20a)(21a)를 내, 외측 원통부재(12)(16)의 내, 외측에 도 10과 같이 각각고정하는데, 이 때 상기 캡(20)(21)의 내부에 고무재질의 가스켓(23)(24)을 각각 위치시키면 파이프(2) 및 캡(20)(21)의 접속면에서 우레탄 폼(22)이 빠져나가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S6)
이와 같이 내, 외측 원통부재(12)(16)의 내, 외측에 캡(20)(21)을 각각 고정시키고 나면 내, 외측 원통부재(12)(16)사이의 공간부에 우레탄 폼(22)을 충진하게 되는데, 상기 우레탄 폼(22)은 이들 사이에 채워지면서 부풀어올라 공간부를 폐쇄함은 물론 파이프(2)와 내, 외측 원통부재(12)(16)사이의 틈새(t)를 통해 캡(20)(21)의 내부로 유입되어 충진되므로 파이프(2)와 내, 외측 원통부재(12)(16)사이의 기밀을 완벽하게 유지하게 된다.(S7)
이와 같이 내, 외측 원통부재(12)(16)의 사이에 우레탄 폼(22)을 충진하고 나면 우레탄 폼(22)이 실링역할은 물론 진동 및 흔들림에 의한 균열의 발생을 방지하며, 동절기에는 보온역할을 하게 되므로 밸브(3)가 동파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내, 외측 원통부재(12)(16)사이에 우레탄 폼(22)을 충진하고 나면 출입구(28a)가 형성된 상면부재(28)를 외측 원통부재(16)의 상면에 접착테이프(29)로 접착 고정함과 동시에 출입구(28a)를 덮개(30)로 폐쇄하므로서 지하 밸브실의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S8)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도 밸브실의 시공은 물론 완벽한 방수를 실현하게 되므로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도 밸브실을 시공하게 되므로 밸브실의 시공에 따른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으므로 인해 지반 침하, 반복되는 진동이 작용되더라도 벽체에 균열이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밸브실 내의 밸브가 침수되는 현상 또한 방지하게 된다.
셋째, 파이프가 통과되는 지점에 캡을 각각 설치하고 그 내부에는 우레탄 폼을 충진하므로 인해 완벽한 실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밸브실에 위치하는 밸브의 저면에 설치된 바닥부재와, 상기 밸브실의 높이에 알맞게 절단되어 밸브를 감싸게 설치되며 바닥부재의 접속면이 접착테이프로 실링된 내측 원통부재와, 상기 내측 원통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접착테이프로 고정된 보강파이프와, 상기 내측 원통부재와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내측 원통부재와 동심원형태로 설치되며 바닥부재의 접속면이 접착테이프로 실링된 외측 원통부재와, 파이프가 통과되는 내측 원통통부재의 내측 및 외측 원통부재의 외측에 각각 접착 고정된 캡과, 상기 내, 외측 원통부재사이 및 내, 외측 원통부재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캡의 내부에 충진된 우레탄 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내측면에 고무재질의 가스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를 하우징으로 감싸 그 내부에 우레탄 폼을 충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재 및 캡이 위치되는 부위의 파이프에 고무테이프가 감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장치.
KR20-2004-0017849U 2004-06-23 2004-06-23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구조 KR200361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849U KR200361739Y1 (ko) 2004-06-23 2004-06-23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849U KR200361739Y1 (ko) 2004-06-23 2004-06-23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821A Division KR100670754B1 (ko) 2004-06-22 2004-06-22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시공방법 및 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739Y1 true KR200361739Y1 (ko) 2004-09-13

Family

ID=4934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849U KR200361739Y1 (ko) 2004-06-23 2004-06-23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7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026B1 (ko) 기 매설된 관로에 대한 밸브실 구조물의 조립구조
JP2008095330A (ja) 仮締切用作業函
JP4479575B2 (ja) 防水材の密性検査方法
JP4611402B2 (ja) 溜池の堤体における複合型底樋
KR20160046750A (ko) 구조물 연결부위의 누수차단용 신축이음재
JP3198669U (ja) マンホール更新構造及び新設のマンホール構造
KR100670754B1 (ko)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200361739Y1 (ko)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구조
JP6183869B2 (ja) マンホールの更新方法及びマンホールの新設方法
KR101017030B1 (ko) 기 매설된 관로에 대한 밸브실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580882B1 (ko)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장치
KR200361733Y1 (ko)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장치
KR100589130B1 (ko) 교량의 교각 구조물 시공용 가물막이 구조
JP4977529B2 (ja) 止水構造体、仮締切構造体
KR100580881B1 (ko)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시공 방법
KR101254464B1 (ko) 상하수도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공법
KR100665267B1 (ko) 맨홀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43999A (ko) 밀폐식 지하수 관정보호통
JP2002167738A (ja) 水門坑口周縁部免震止水工法及びその構造
KR200352126Y1 (ko)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KR20110052980A (ko) 수로 이음부 누수방지장치
RU2814951C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уплотнения температурного и температурно-осадочного шва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го сооружения
JPH10194378A (ja) 潜凾式のコンクリート製組立容器
CN218970182U (zh) 井、池渗漏的组合式内衬修复结构
CN216923610U (zh) 一种密封检查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