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126Y1 -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126Y1
KR200352126Y1 KR20-2004-0005276U KR20040005276U KR200352126Y1 KR 200352126 Y1 KR200352126 Y1 KR 200352126Y1 KR 20040005276 U KR20040005276 U KR 20040005276U KR 200352126 Y1 KR200352126 Y1 KR 200352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over
groundwater
cylind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근묵
Original Assignee
(주) 두안수자원 개발
김은경
김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두안수자원 개발, 김은경, 김외순 filed Critical (주) 두안수자원 개발
Priority to KR20-2004-0005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1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5/00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 E03B5/04Use of pumping plants or installations; Layouts thereof arranged in wells
    • E03B5/06Special equipment, e.g. well seals and connections for well casing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공현장에서의 취수공의 덮개설치작업을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사전 조립된 패킹부재를 갖는 케이싱덮개의 조립체를 지하수 층과 연락되게 매설된 케이싱의 개구된 상단에 끼움 안착시켜 모터펌프의 자중에 의해 압착되게 한 구조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상부 개구를 수밀하게 밀폐시키게 위한 현장작업을 보다 쉽고 간단하게 완료하며, 지하수 취수시설을 시공하기 위한 공기 단축 및 노동력 감소와 아울러 시공비 절감을 얻게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Cap for sealing casing for pumping subterranean water}
본 고안은 지중 암반을 관통하여 지하수 층과 연락되게 매설된 케이싱의 개구된 상부에 설치되는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현장에서의 취수공의 덮개설치작업을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수나 혹은 농업 및 산업용 목적으로 지하수 취수시설을 개발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에 대한 지하수 취수 시설의 일예를 도1 및 도2에 표시하였다. 도1은 종래의 지하수 취수시설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표시 A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반 굴착으로 지하 암반층을 관통하여 지하수 유동 위치에 도달되게 케이싱(1)이 매설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1)의 상부 개구에는 덮개(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1)의 내부로는 그 케이싱(1)의 내의 지하수를 양수하여 토출하기 위한 양수관(3)이 상기 덮개(2)를 관통하는 상태로서 설치되어, 기존의 압력계(4a), 유량계(4b), 출수장치(4c) 및 케이트밸브(4d)로 된 지하수 배관 시설물(4)과 연락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양수관(3)의 하단 측에는 지하수를 양수하기 위해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모터펌프(5)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가되는 외부 전원으로 인해 상기 모터펌프(5)가 구동되면, 상기 케이싱(1)의 내부에 저류되는 지하 암반수는 상기 모터펌프(5)의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양수관(3) 및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4)을 통하여 목적지까지 보내지게 된다.
그러나, 오염된 지표수나 대기중의 오염물질이 상기 케이싱(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양수관(3)과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4)을 연락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1)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기 덮개(2)는 상기 케이싱(1)에 형성된 프랜지부(6)에 대하여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7)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덮개(2)를 상기 케이싱(1)에 대해 체결 가능하게 하는 상기 프랜지부(6)는 통상 전기용접을 통한 용착으로 상기 케이싱(1)에 부착되었다.
이 때문에, 전기시설이 없을 때에는 상기 케이싱(1)에 대한 상기 프랜지부 (6)의 부착 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시공자들은 전기시설이 된 곳으로부터 전기를 끌어서 사용했는데 민가나 전기설비가 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서는 이 역시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시공자들은 항시 별도의 자가 발전기를 준비하여야만 되는 번거로움이 있고, 설령 전기가 있다 하더라도 상기 케이싱(1)에 대한 상기 프랜지부(6)의 부착 작업을 산 또는 벌판과 같은 환경이 열악한 외부에서 수행하여야만 했기 때문에 기후로 인한 작업의 어려움이 있고, 특히 도1에 표시한 바와 같은 맨홀 내에서의 위와 같은 작업은 작업자들에게 많은 작업상의 불편을 주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작업시간의 증가로 인한 공기(工期) 지연과 아울러 그 만큼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모되어 경제적인 불이익을 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시공현장에서의 취수공의 덮개설치작업을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게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지하수 취수시설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표시 A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가 케이싱의 개구된 상부에 설치된 지하수 취수시설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도3에 있어서의 표시 B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케이싱 3:양수관
4:지하수 배관 시설물 5:모터펌프
10:케이싱덮개의 조립체 11:판
13:통체 13a:환형홈
13b:프랜지부 15:체결수단
16:수밀부재 20a∼20c:설치공
30:패킹부재 40:동력전선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하수 층과 연락되게 매설된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지지되어 지하수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된 수중 모터펌프를 구비한 지하수공 취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끼울 수 있는 직경을 이루며 하측 내부로 상기 케이싱의 상단이 끼워지는 환형홈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환형의 프랜지가 형성된 양단이 개구된 중공구조의 통체, 상기 통체의 직경보다 큰 넓이를 이루어 상기 프랜지와 결합되는 판(板)으로 사전 조립되어 상기 케이싱의 개구를 덮도록 된 케이싱덮개의 조립체; 상기 통체의 측벽 및 판에 각각 형성된 설치공; 및 상기 통체의 환형홈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싱덮개의 조립체가 상기 케이싱에 수밀하게 안착되도록 한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조에서, 상기 판는 상기 케이싱의 덮개구에 수밀부재를 개재하여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가 케이싱의 개구된 상부에 설치된 지하수 취수시설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도3에 있어서의 표시 B부분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중 암반을 관통하여 지하수 층과 연락되게 매설되며 내부에 지지되는 수중 모터펌프(5)를 갖는 양수관(3)로서 지하수 배관 시설물(4)을 통하여 토출할 수 있는 지하수가 유동되도록 한 케이싱(1)의 개구된 상부에 수밀성을 갖도록 밀폐되게 안착되어, 오염된 지표수나 대기중의 오염물질이 상기 케이싱(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는 상기 케이싱(1)의 개구된 상단에 안착되는 케이싱덮개의 조립체(10)와, 상기 케이싱덮개의 조립체(10)에 형성된 설치공(20a∼20c)과, 상기 케이싱덮개의 조립체(10)가 케이싱(1)에 수밀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케이싱덮개의 조립체(10)의 내부에 설치된 패킹부재(3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덮개의 조립체(10)는 상기 케이싱(1)의 외측으로 끼울 수 있는 직경을 이루며 하측 내부로 상기 케이싱(1)의 상단이 끼워지는 환형홈(13a)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환형의 프랜지(13b)가 형성된 양단이 개구된 중공구조의 통체(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 덮개용 조립체(10)는 상기 통체(13)의 직경보다 큰 넓이를 이루어 상기 프랜지(13b)와 결합되는 판(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판(11)은 상기 프랜지(13b)에 대하여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15)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통체(13)에 상기 판(11)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 것은 상기 통체(13)가 상기 케이싱(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양수관(3)의 설치를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케이싱(1)에 안착된 통체(13)에 상기 판(11)를 결합하기 전에 상기 판(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1)의 내부로 상기 양수관(3)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판(11)은 상기 통체(13)에 분리되게 결합된다. 상기 판(11)은 상기 통체(13)에 고무패킹 등의 수밀부재(16)를 개재하여 체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오염된 지표수나 대기중의 오염물질이 상기 케이싱(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기 케이싱덮개의 조립체(10)는 철재로 제조되며, 상기 케이싱덮개의 조립체(1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11,13)은 제조공장에서 사전에 조립되어 완성된다.
상기 설치공(20a∼20c)은 상기 통체(13)의 측벽 및 판(11)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통체(13)의 측벽에 형성된 설치공(20a)은 상기 모터펌프(5)와 연결되는 동력전선(40)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동력전선(40)만이 인출되는 부위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폐쇄되어 상기 케이싱(1)의 내부로 오염 물질이 유입됨을 완전히 차단한다. 또한, 상기 판(11)에 형성된 하나의 설치공(20b)은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4)과 연락하는 상기 양수관 (3)을 상기 판(11)에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고, 상기 판(11)에 형성된 다른 하나의 설치공(20c)은 상기 케이싱(1)의 내부에 지하수 수위를 읽어 내는 역활을 하는 수위측정관(50)을 상기 판(11)에 설치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패킹부재(30)는 상기 케이싱덮개의 조립체(10)가 상기 케이싱(1)의 상단에 끼움 안착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싱덮개의 조립체(10)를 수밀하게 안착하게 하여 상기 케이싱(1)의 개구된 상단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상기 패킹부재(30)는 상기 케이싱(1)의 상단면과 대면하는 상기 환형홈(13a)의 내부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싱(1)의 상단면과 밀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패킹부재(30)는 탄성이 좋은 예컨대, 고무재질 등으로 제조되며, O링의 형태로 상기 환형홈(13a)에 견고히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덮개의 조립체(10)의 통체(13)를 간편하게 상기 케이싱 (1)의 상단에 끼움 안착시킨 다음, 상기 판(11)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설치공들 (20a∼20c)을 통해 양수 시설물(양수관, 수위측정관, 동력전선 등)을 상기 케이싱 (1)에 대해 설치한 후, 개방한 상기 판(11)을 상기 통체(10)에 결합하면, 상기 케이싱(1)에 대한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의 설치가 간단하게 완료된다. 이에, 종래와 같이 덮개(2)를 상기 케이싱(1)의 개구된 상부에 설치하기 위해 프랜지부(6)를 용착하기 위한 별도의 전기시설 등의 마련을 피할 수 있게 하여, 지하수 취수시설을 시공하기 위한 공기 단축 및 노동력 감소와 시공비 절감을 얻게 한다.
지하수 취수시설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가 되면, 상기 모터펌프(5)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케이싱덮개의 조립체(10)는 상기 케이싱(1)을 수밀하게 밀폐시켜 오염된 지표수나 대기중의 오염물질이 상기 케이싱(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전 조립된 패킹부재를 갖는 케이싱덮개의 조립체를 지하수 층과 연락되게 매설된 케이싱의 개구된 상단에 끼움 안착시켜 모터펌프의 자중에 의해 압착되게 한 구조에 의해, 상기 케이싱의 상부 개구를 수밀하게 밀폐시키게 위한 현장작업을 보다 쉽고 간단하게 완료하며, 지하수 취수시설을 시공하기 위한 공기 단축 및 노동력 감소와 아울러 시공비 절감을 얻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지하수 층과 연락되게 매설된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지지되어 지하수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된 수중 모터펌프를 구비한 지하수공 취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끼울 수 있는 직경을 이루며 하측 내부로 상기 케이싱의 상단이 끼워지는 환형홈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환형의 프랜지가 형성된 양단이 개구된 중공구조의 통체, 상기 통체의 직경보다 큰 넓이를 이루어 상기 프랜지와 결합되는 판(板)으로 사전 조립되어 상기 케이싱의 개구를 덮도록 된 케이싱덮개의 조립체;
    상기 통체의 측벽 및 판에 각각 형성된 설치공; 및
    상기 통체의 환형홈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싱덮개의 조립체가 상기 케이싱에 수밀하게 안착되도록 한 패킹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는 상기 케이싱의 덮개구에 수밀부재를 개재하여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KR20-2004-0005276U 2004-02-27 2004-02-27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KR200352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276U KR200352126Y1 (ko) 2004-02-27 2004-02-27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276U KR200352126Y1 (ko) 2004-02-27 2004-02-27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126Y1 true KR200352126Y1 (ko) 2004-06-04

Family

ID=49346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276U KR200352126Y1 (ko) 2004-02-27 2004-02-27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12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368B1 (ko) 2006-12-06 2007-05-10 화동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수 관정캡 고정장치 및 수중펌프 설치공법
KR100778276B1 (ko) 2006-10-25 2007-11-22 이동헌 관정용 수중모터 제어박스 시공장치
KR200473856Y1 (ko) * 2013-10-04 2014-08-05 주식회사 웅지산업개발 대구경 공공관정 밀폐식 지하수 정호커버
KR101577663B1 (ko) * 2015-04-06 2015-12-15 주식회사 웅지산업개발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276B1 (ko) 2006-10-25 2007-11-22 이동헌 관정용 수중모터 제어박스 시공장치
KR100717368B1 (ko) 2006-12-06 2007-05-10 화동산업개발 주식회사 방수 관정캡 고정장치 및 수중펌프 설치공법
KR200473856Y1 (ko) * 2013-10-04 2014-08-05 주식회사 웅지산업개발 대구경 공공관정 밀폐식 지하수 정호커버
KR101577663B1 (ko) * 2015-04-06 2015-12-15 주식회사 웅지산업개발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774B1 (ko) 지하수 보호 관정
KR100902278B1 (ko)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KR200352126Y1 (ko)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CN213979225U (zh) 一种用于排水系统的检查井结构
KR100520482B1 (ko) 공동주택 지하 공동구 방수막 커버를 이용한 이음부 연결공법
KR200410189Y1 (ko) 맨홀 장치
CN108824559B (zh) 双检查口消防管道预制安全检查井
KR100371520B1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KR20120021589A (ko) 밀폐식 상부 보호공 장치
KR101961095B1 (ko) 지하수 상부 보호캡
JP5909395B2 (ja) 真空ステーション
KR100593172B1 (ko) 상수도관의 보호구조물
KR100600516B1 (ko) 방수밀폐형 맨홀
KR200329458Y1 (ko) 다수개의 급수배관 연결구를 갖는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
KR200176659Y1 (ko) 제수변 보호통
KR101069882B1 (ko) 침하 및 수밀방지용 연결부를 갖는 맨홀
KR200388847Y1 (ko) 맨홀 보강구조
KR200201247Y1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CN216923610U (zh) 一种密封检查井系统
KR200407181Y1 (ko) 방수밀폐형 맨홀
KR100670754B1 (ko) 농수로 지하 밸브실의 방수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200433333Y1 (ko) 지하수 관정용 오염방지구조
CN215488322U (zh) 一种生活污水排水管
KR102274213B1 (ko) 관정 밀폐 커버가 구비된 지하수 취수구조
JP3756794B2 (ja) 密閉式インバートのマンホ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