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247Y1 -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247Y1
KR200201247Y1 KR2020000011419U KR20000011419U KR200201247Y1 KR 200201247 Y1 KR200201247 Y1 KR 200201247Y1 KR 2020000011419 U KR2020000011419 U KR 2020000011419U KR 20000011419 U KR20000011419 U KR 20000011419U KR 200201247 Y1 KR200201247 Y1 KR 2002012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pipe
groundwater
pipe
intak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근묵
Original Assignee
안근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근묵 filed Critical 안근묵
Priority to KR2020000011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2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2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2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0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pit wells
    • E03B3/11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pit wells in combination with tubes, e.g. perforated, extending horizontally, or upwardly inclined, exterior to the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6Component parts of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6Component parts of wells
    • E03B3/18Well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지하수 개발 시설물, 이용 시설물 등의 상단에 설치하여 시설물의 기능 향상과 지상으로부터의 외부 오염을 차단하는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지중 암반을 관통하여 지하수 층과 연락되게 하는 제1취수관을 설치함과 아울러 제1취수관 내의 지하수는 모타 펌프로서 지하수 배관 시설물을 통하여 토출되게 하고, 상기 제1취수관의 상부는 개폐 가능한 덮개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보호되게 한 지하수 취수관용 보호장치로서, 상기 제1취수관의 상단에는 밀폐형 수밀 덮개를 갖는 동일 직경의 제2취수관을 용착하고, 또 상기 제2취수관의 수밀 덮개를 개방후 그 개구를 통해서는 취수관들의 내부로 지하수 토출관을 위치하며, 상기 제2취수관의 지하수 배관 시설물과의 대응 위치에 기 설치된 토출로를 갖는 연결구의 어느 일측에는 지하수 토출관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구의 타측에는 상기 토출관과 연락하기 위한 상기 배관 시설물을 수밀적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오염원이 지하수 취수관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지하수의 수질오염을 예방하고,심정의 상태 및 시설물의 기능을 향상 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prevent pollution installa-tion of underground water a tube well}
본 고안은 지하수를 취수하는 데에 사용하는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에 관 한것으로, 특히 지하수 취수용 관의 상부에는 그 취수관의 내부를 외부와 연락이 안되도록 차단하기 위한 밀폐 구조물을 채용 한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에 관 한 것 이다.
일반적으로 식수나 혹은 농업 및 산업용 목적으로 지하수 취수시설을 개발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며, 이에 대한 지하수 취수 시설의 일예를 도 1및 도 2에 표시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 차단 시설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그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암반 굴착으로 철(鐵)재 취수관(1)을 지하 암반층을 관통하여 지하수의 유동 위치에 도달되게 한후, 지중에 매설된 상기 취수관(1)의 상부 주위로는 시멘트 그라우팅(Grouting)부(2)를 설치하여 상기 취수관(Casing)(1)을 견고히 고정 지지되게 한다. 상기 보호관(1)의 상부 주위로는 소정 깊이(대략 1050mm)넓이(대략 1200mm)로서 터 파기를 한 후 그 내부에는 장방형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물(3)을 설치한다. 이때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취수관(1)은 지표로부터 대략 30cm의 정도의 길이 만을 남겨두고 절단되고, 또한 상기 구조물(3)의 상부에는 오염물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물 덮개(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취수관(1)의 상부 개구는 그 취수관(1)의 내부로 오염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철재의 취수관 덮개(5)가 얹혀지게 되는데, 상기 취수관 덮개(5)의 일부는 후술하는 시설물들을 상기 취수관(1)의 내부로 삽입 설치하기 위해 절개부 (11)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취수관(1)의 내부로는 그 취수관(1)내의 지하수를 양수(揚水)하여 토출하기 위한 토출관(6)이 상기 덮개(5)의 절개부(11)을 관통하는 상태로서 설치되어, 기존의 적산수량계(13), 압력계(15), 출수장치(16)및 역지변 (17)로 된 지하수 배관 시설물(7)과 연락되게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토출관 (6)의 하단 측에는 지하수를 양수하기 위한 수중 모타 펌프(8)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모타 펌프(8)은 상기 구조물(3)에 기 설치된 동력 제어기(9)에 상기 취수관 덮개(5)에 설치된 절개부(11)을 관통하여 주입된 동력전선(10)을 통하여 연결됨에 의해, 상기 모타 펌프(8)은 상기 제어기(9)에 의해서 자동 제어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취수관(1)의 내부로는 상기 토출관(6)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수위측정관(18)이 내장되어 상기 취수관 덮개(5)의 절개부(11)을 관통하는 상태로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동력 자동제어기(9)에의해 상기 모타 펌프(8)이 구동되면, 상기 취수관(1)의 내부에 저류되는 지하 암반수는 상기 모타 펌프(8)의 흡입력에 의하여 즉시 상기 토출관(6) 및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7)을 통하여 목적지 까지 보내지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상기와 같은 지하수 취수 시설은 토출관(6)이 취수관 덮개(5)위로 돌출되는 상태로 위치되어 상기 취수관(1)의 내부에 설치되는 양수 시설물(모타 펌프 및 수위 측정관 등)을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취수관 덮개(5)가 그 취수관(1)의 내외부를 차단하지 못하고 상시 개방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대기중의 오염물질(세균,매연,분진,중금속 등)이 쉽게 침투되는 우려가 있고, 또 콘크리트 구조물(3)의 방수가 완벽하지 못하거나 시설의 관리 소홀로 구조물(3)의 바닥에 물이 차게되는 경우에는 오염된 지표수가 쉽게 취수관(1)의 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습기가 많은 구조물(3)에서 번식될 우려성이 있는 유해한 미생울이나 세균,곤충 들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막을수 없게 되는 등의 수질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하절기에 홍수로 인해 수해 지역에서 상기 와같은 지하수 이용 시설이 물에 잠기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3)의 내부로 유입되는 흙물과 오염물질이 취수관 덮개(5)의 개방된 절개부(11)을 통해서 상기 취수관(5)내부로 직접 유입되어 취수공의 바닥에 쌓이므로서 직접적으로 지하수를 오염시키게되는 요인이되고 있고, 이렇게 오염된 지하수 취수관(1)은 그 내부의 청소 및 소독공사와 아울러 양수 시설물의 정비를 실시한 후에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막대한 복구 경비가 지출되며, 또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복구가 불가능하여 폐공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다.
또 유사시 생물.화학전이 전개되거나 혹은 방사능이 유출되어 주변이 오염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콘크리트 구조물(3)의 내부로 쉽게 유입될수 있는 전염병 균이나 독가스 또는 방사능 물질이 보호관 덮개(5)의 개방된 절개부(11)을 통하여 취수관(1)의 내부로 쉽게 침투되어 지하수를 오염 시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될 우려가 있고, 이러한 형태의 지하수 오염은 개선 및 복구가 불가능하여 지하수 자원 이용에 치명적인 악 영향을 미치게 되는 폐단이 있다.
또 지하수 법의 시설물 설치 기준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3)의 바닥으로부터 대략 30cm 이상 높게 설치되는 취수관(1)의 상단부를 덮는 취수관 덮개(5)의 상부로 돌출 설치되는 토출관(6)과 기존 지하수 배관 시설물(7)및 송수배관 등은 그 만큼 지표면과 가깝게 되어 동절기에 혹한이 계속되면 쉽게 동파에 노출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 설치된 취수관은 물론 신규 설치되는 취수관에는 그 상단부를 수밀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밀폐 장치의 채용으로, 지하수의 수질을 경제적이면서도 항시 깨끗한 상태로서 유지할 수 있게 한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취수관의 상태 및 시설물의 기능을 향상되게 한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는, 청구항 1의 고안과 관련된 지중 암반을 관통하여 지하수 층과 연락되게 매설됨에 의해 내부에는 모타 펌프로서 지하수 배관 시설물을 통하여 토출할수 있는 지하수가 유동되게 한 제1취수관을 구비하고, 그 제1취수관의 상부는 덮개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보호되게 한 지하수 취수관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취수관의 상단에는 밀페형 수밀 덮개를 갖는 동일직경의 제2취수관을 용착하고, 상기 수밀 덮개에 의해 개방된 상기 제2취수관을 통해 상기 취수관들의 내부에 완전히 몰입되게 내장한 지하수 토출관과, 상기 지하수 토출관이 내장된 취수관들 중 상기 제2취수관의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과의 대응 위치에 천공되어, 상기 토출관과 상기 지하수 배관 설비를 연락하기 위한 통공과, 상기 지하수 토출관과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과 연락하는 토출로를 구비하여 상기 통공에 취부되며, 상기 토출로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지하수 토출관이 그리고 토출로의 타측에는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을 각각 수밀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에서 연결구는 지하수 토출관과 연락되게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 소켓과, 상기 제2취수관의 통공에 취부되어 상기 제1연결소켓과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과를 연락하기 위한 제2연결용 소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취수관용 수밀 덮개는 상기 취수관에 수밀부재를 개재하여 체결되고, 그 수밀 덮개에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구동되는 항균 필터를 갖는 자동 배기구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취수관의 외벽에는 지하수의 수위감지봉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취수관들의 상기 제2취수관 측에는 하향 경사지게한 동력선 인출구를 설치 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 차단 시설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2는 그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의 시설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그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3 표시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A 내지 도 6H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의 제작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0,110 : 제1,제2취수관(Casing) 115 : 동력선 인출구
116 : 체결볼트 120 : 수밀 덮개
122 : 수밀부재 130 : 콘크리트 구조물
140 : 지하수 토출관 144 : 수중 모타 펌프
146 : 동력전선 148 : 자동제어기
150 : 지하수 배관 시설물 160 : 연결구
162 : 통로 164,166 : 제1,제2연결용 소켓
170 : 자동배기구(Air Vent) 172 : 솔레노이드밸브
174 : 항균필터 180 : 수위감지봉
190 : 수위측정계
이하, 첨부된 도면에의거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의 시설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그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3 표시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는 지중 암반을 관통하게 굴착하여 지하수 층과 연락되게 매설한 강재(鋼材)의 제1취수 관(1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취수관(100)의 상부는 작업실(134)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130)에 의해 보호되며,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30)의 상부는 작업구(134)를 갖는 덮개(132)에 의해서 개폐가능하게 폐쇄되어 있다.
상기 제1취수관(100)의 상단에는 밀폐형 수밀 덮개(120)을 갖는 동일직경의 제2취수관(110)을 용착하여 일체화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2취수관(110)은 부식방지를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취수관(100)은 상기 제2취수관(110)의 설치를 위해 사전에 대략 콘크리트 구조물(130)내의 바닥으로부터 대략 5cm정도 돌출되게 절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밀 덮개(120)은 상기 제2취수관(110)에 형성된 프랜지부(112)에 대하여 체결볼트 등의 체결수단(116)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고, 상기 수밀 덮개(120)과 프랜지부(112)와의 사이에는 수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 등의 수밀부재(1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밀 덮개(120)은 지하수 시설의 관리 소홀이나 기타 특별한 상황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130)의 내부로 유입될수 있는 오염된 지표수나 대기중의 오염물질이 취수공인 보호관들(100,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한다.
상기 취수관들(100,110)의 내부에는 상기 제2취수관(110)에 덮개(120)을 설치하기 전에 덮개(120)을 개방한 상태에서 지하수 토출관(140)이 완전히 몰입되게 내장되는데, 상기 지하수 토출관(140)은 상기 제2취수관(110)에서 적산 수량 계 (151), 압력계(152), 출수장치(153)및 역지변(154)로 된 지하수 배관 시설물(150)과의 대응 위치에 천공된 통공(118)에 수밀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토출관(140)과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150)과를 연락하는 통로(162)를 형성하는 연결구(160)측에 상기 통로(162)와 연락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관(140)으로부터 토출되는 지하수는 상기 연결구(160) 및 지하수 배관 시설물(150)을 통하여 목적지 까지 공급되게 된다.
상기 연결구(160)은 지하수 토출관(140)과 연락되게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 소켓(16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연결 소켓(164)는 상기 제2취수관(110)의 통공(118)에 취부되어 상기 제1연결소켓(164)과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150)과를 연락하기 위한 제2연결용 소켓(166)에 수밀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 소켓(166)의 타측은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150)과 연락되게 수밀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제2연결 소켓들(164,166)은 그 내부에 형성된 통로(162)에 의하여 상기 토출관(140)과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150)과를 연락되게 한다.
상기 연결구(160)은 제1연결 소켓(164)와 제2연결 소켓(166)으로 분리되면서, 상기 양수 시설물(모타펌프, 토출관 등) 일체를 상기 취수관 들(100,110)의 내부에 설치.고정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수밀 덮개(12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토출관(140)이 취수관들(100,110)의 내부에서 직접 기준 시설물에 연결되게 하므로 ,현재 지하수 시설의 구조상 콘크리이트 구조물(130)의 바닥에서 적어도 40cm이상 높게 설치할 수 밖에 없는 시설물(수량계, 압력계, 출수장치,역지변)과 여기에 연결되는 송수배관을 콘리트구조물(130)의 바닥에 가깝게 설치할 수 있다.이 때문에 동절기에 지하수 시설 이용물의 동파 위험성을 줄일수가 있다.
상기 토출관(140)의 하단에는 지하수의 양수를 위한 모타 펌프(144)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모타펌프(144)와 연결되는 동력 전선(146)은 상기 제2 취수관(110)의 어느 일측 주벽에 설치된 하향 경사진 인출구(115)를 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30)의 측벽부에 설치되는 자동 제어기(148)에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인출구(115)는 상기 동력 전선(146)만이 인출되는 부위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폐쇄되어,상기 취수관들(100,110)의 내부로 오염 물질이 유입됨을 완전히 폐쇄한다. 상기 모타 펌프(144)는 상기 자동 제어기(148)에 의한 제어 신호로 구동되면서 상기 토출관(140)으로부터의 지하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자동제어기(148)에 의한 모타 펌프(144)의 구동 혹은 중지에 대한 기술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한다.
상기 수밀용 덮개(120)에는 상기 취수관들(100,110)을 수밀용 덮개(120)으로서 밀폐적으로 폐쇄함으로 인해 그 내부에 발생하게 되는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172)를 갖는 자동배기구(1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2)는 상기 자동 제어기(148)와 전원이 연결되어 상기 모타 펌프(144)가 가동될 때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2)가 개방되어 상기 취수관들(100,110)의 내부로 필요로하는 공기를 유입시키고, 반대로 모타 펌프 (144)가 정지한 때에는 상기 밸브(172)가 폐쇄되어 외부의 공기 및 오염물질을 유입을 차단하므로, 기상 이변이나 홍수기에 수해 발생지역의 지하수 개발 시설물,이용 시설물 모두가 물에 잠기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오염물질이 취수관들 (100,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질오염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게 한다.이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130)내에 물이 빠지게 되면 언제라도 모타 펌프(144)를 가동하여 양질의 지하수를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2)는 취수관들(100,110)내부의 압력을 자동 조절하는 상기 자동배기구(170)과 함께 취수공인 상기 취수관들(100,110)내부의 일정한 압력의 진공 상태를 형성하여 상기 취수관들(100,110)의 내부에서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게되는 것을 억제하고, 점액의 형성을 예방하여 지하수를 퍼 올릴때에는 진공에 따른 흡인력으로 지하수의 유출속도를 증가시켜 수맥의 청소와 함께 확관 효과를 극대화 시켜서 지하수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고 항상 위생적인 우물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상기에서 솔레노이드 밸브(172)가 개방 및 폐쇄되는 일련의 구성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설명은 생략 한다.
상기 밸브(172)를 구비한 자동 배기구(170)에는 내장형 항균필터(17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장형 항균필터(174)는 일반적인 방독면에 사용하는 여과재와 동일 소재인데, 상기 항균 필터(174)는 지하수의 양수를 위한 상기 솔레 노이드밸브(172)가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상기 취수관들(100,110)의 내부로 유입될 때 함께 유입되는 대기중의 오염물질(세균,매연, 분진, 중금속,화학제 등)을 여과 시키는 역활을 하고, 평상시의 지하수 오염 예방은 물론 유사시 생물, 화학전이나 방사능의 유출 사고 등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수질이 오염됨을 극소화 한다.
상기 취수관(110)의 외주벽부에는 지하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봉 (18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위 감지봉(180)은 상기 자동제어기(14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30)의 내부에 물이 차게되는 경우 혹은 기상 이변에 따른 집중 호우로 긴급 대피하게 되므로 인해 인위적으로 자동 제어 기(148)의 전원을 차단하지 못하였을 경우 상기 코크리트 구조물(130)의 내부로 밀려들어서 차게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자동 제어기(148)로 하여금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되게 한다. 이는 상기 콘크리이트 구조물(130)의 내부에 물이 차있는 상태 임에도 불구하고 평상시와 같이 모타 펌프(144)가 작동을 하게 되는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72)의 개방으로 오염된 물이 상기 취수관들(100,11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될지도 모르는 상황 까지도 사전에 예방하여 상기 취수관 들 (100,110)내부의 지하수 수질을 보호한다.
상기 취수관들(100,110)에는 수위측정계(19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위 측정계(190)은 상기 토출관(140)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으며, 상기 취수관 들 (100, 110)의 내부에 지하수 수위를 읽어 내는 역활을 하게되므로 상기 수밀 덮개(120)이 취수관을 수밀적으로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그 내부의 지하수 수위를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도면부호(200)은 취수관(Casing)을 견고히 고정 지지하기 위해 설치한 시멘트 그라우팅(Grouting)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H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의 제작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지하수의 오염방지 장치의 제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6A는 암반굴착에 의해 취수공을 형성하는 제1취수관(100)의 매설 작업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취수관(100)의 설치와 아울러 지중에 굴착된 상부 주위로는 그 제1취수관(10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시멘트 그라우팅(200)이 시공된다.
도 6B는 상기 제1취수관(100)의 상부로 콘크리트 구조물(130)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취수관(100)의 상부 주위를 터 파기하여 내부 기준으로 대략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00cm이상 두께 15cm이상 크기를 갖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30)을 지면으로부터 위로 30cm이상 돌출되게 설치한다.
도 6C는 상기 제1취수관(100)을 절단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취수관(100)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30)의 설치작업 완료 후에는 그 제1취수관(100)의 상부를 구조물(130)바닥에서 대략 5cm정도 높이로 돌출된 상태로 하여 절단한다.그 이유는 후술하는 제2취수관(110)과의 용접 작업을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D는 상기 제1취수관(100)에 제2취수관(110)을 용착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취수관(100)의 상부에는 그 제1취수관(100)과 같은 직경을 갖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상기 제2취수관(110)을 위치하여 전기 용접으로 용착한다. 상기 제2취수관(110)에는 사전에 인출구(115), 수밀 덮개(120), 연결구(160), 자동배기구(170) 및 수위측정계(190)이 장착되어 일체화 된 상태에서 상기 제1취수관(100)에 일체적으로 용착된다.
도 6E는 취수관들(100,110)의 내부에 토출관(140)와 동력전선(146)을 내장하는 작업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2취수관(110)의 수밀 덮개(120)을 개방후 토출관(140)에 수중 모타 펌프(144)와 동력전선(146)을 일체화 되게 연결하여 상기 취수관들(110,110)의 내부로 계획된 심도 까지 삽입한다.
도 6F는 토출관(140)과 수위 측정계(190)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토출관(140)에 연결구(160)의 제1연결소켓(164)를 끼워서 상기 제2취수관 (110)에 기 설치된 제2연결소켓(166)에 결합하고, 수위측정용 관은 상기 수위측정계(190)에 결합한다.
도 6G는 연결구(160)에 기존 배관 시설물(150)을 연결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배관 시설물(150)을 상기 연결구(160)을 연결하므로써, 상기 토출관(140)과 배관 시설물(150)을 상기 연결구(160)을 통해서 연결되게 하고, 상기 제2취수관 (110)의 상부에는 상기 수위측정계(190)측으로 수위측정관을 결합 하고,상기 수밀 덮개(120)을 덮은 후에 볼트로서 체결하여 보호관들(100,110)의 내외부를 차단한다. 그리고 동력 전선(146)과 수위 감지선은 상기 제2취수관(110)의 인출구(115)를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130)에 기 설치된 동력 제어기(148)측으로 연결하여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한다.
도 6H는 콘크리트 구조물(130)의 상부에 덮개(132)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30)에 덮개(132)를 덮는 것에 의해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의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위해 단계적으로 설명 하였으나, 실 제로는 연속적으로 작업이 진행되는 것임을 밝혀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지하수 양수 시설물 일체를 취수관의 내부로 완전히 내장되게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극히 협소한 공간이나 특수한 여건으로 상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지 못하고 취수관의 상부만 지면에 노출 시킨 상태로 지하수를 사용해야만 하는 특별한 경우에도, 송수배관은 땅속에 매설되고 취수관의 상부에는 밀폐형 수밀 덮개가 설치되어 지상으로부터의 충격이나 무게 하중과 외부오염원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양수 시설물의 고장으로 인한 수리나 취수관 내부의 청소가 요구 될 경우에는 언제든지 수밀 덮개를 개방하고 양수 시설물을 토출관 연결구로부터 분리하여 인양 후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등이 있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①설치 방법이 간단하다.②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다. ③사용중인 지하수 시설을 변경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④기존 보호관의 취수공 직경에 따라 임의로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⑤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어 수명이 반 영구적이다. ⑥제작 및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의 구체적인 기술을 첨부도면과 같이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에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만을 일예로들어 설명한 것으로 이 기술내용이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는 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고 하면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지중 암반을 관통하여 지하수 층과 연락되게 매설됨에 의해 내부에는 모타 펌프로서 지하수 배관 시설물을 통하여 토출할수 있는 지하수가 유동되게 한 제1취수관을 구비하고, 그 제1취수관의 상부는 개폐가능한 덮개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해 보호되게 한 지하수 취수관용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취수관의 상단에는 밀폐형 수밀 덮개를 갖는 동일 직경의 제2취수관을 용착하여 일체화 하고, 상기 수밀 덮개에 의해 개방된 상기 제2취수관을 통해 상기 취수관들의 내부에 완전히 몰입되게 내장한 지하수 토출관;
    상기 지하수 토출관이 내장된 취수보호관들중 상기 제2취수관의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과의 대응 위치에 천공되어, 상기 토출관과 상기 지하수 배관 설비를 연락하기 위한 통공; 및
    상기 지하수 토출관과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과 연락하는 토출로를 구비하여 상기 통공에 취부되며, 상기 토출로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지하수 토출관이 그리고 토출로의 타측에는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을 각각 수밀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포함하는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구는 지하수 토출관과 연락되게 연결하기 위한 제1연결 소켓과, 상기 제2취수관의 통공에 취부되어 상기 제1연결소켓과 상기 지하수 배관 시설물과를 연락하기 위한 제2연결용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밀 덮개는 상기 취수관에 수밀부재를 개재하여 체결되고, 그 수밀 덮개에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구동되는 항균 필터를 갖는 자동 배기구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취수관의 외주벽부에는 지하수의 수위 감지봉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들의 상기 제2취수관 측에는 하향 경사지게 설설치한 동력선 인출구가 더 설치 됨을 특징으로하는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 방지 장치.
KR2020000011419U 2000-04-21 2000-04-21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KR2002012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419U KR200201247Y1 (ko) 2000-04-21 2000-04-21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419U KR200201247Y1 (ko) 2000-04-21 2000-04-21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247Y1 true KR200201247Y1 (ko) 2000-11-01

Family

ID=1965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419U KR200201247Y1 (ko) 2000-04-21 2000-04-21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2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143B1 (ko) 2006-06-26 2006-11-01 이동헌 관정 시설물 보호장치
KR100777127B1 (ko) 2007-03-06 2007-11-19 (주)티이엔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143B1 (ko) 2006-06-26 2006-11-01 이동헌 관정 시설물 보호장치
KR100777127B1 (ko) 2007-03-06 2007-11-19 (주)티이엔 지하수 공의 오염방지 밀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9626A (en) Protective system
KR100550097B1 (ko) 관정의 방오,방수장치
KR100371520B1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KR100976774B1 (ko) 지하수 보호 관정
KR100902278B1 (ko)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KR100299417B1 (ko) 지하수심도구간별채수장치및채수방법
KR200201247Y1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EP2456926B1 (en) A collecting system and method for unclogging and repairing a clogged drain
KR20100104443A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관정 보호장치
CN210315444U (zh) 一种适用于抽水蓄能电站地下厂房的渗漏水集水井
US86511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solating a section of fluid line
KR100621149B1 (ko) 수중 모터펌프의 설치공법
KR100717368B1 (ko) 방수 관정캡 고정장치 및 수중펌프 설치공법
KR200415971Y1 (ko) 부력볼밸브를 장착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상부덮개.
KR100862166B1 (ko) 개착식 하상여과공법을 이용한 집수시스템
KR100518684B1 (ko) 하수 맨홀에서의 하수 시료 자동 채취 장치
JP3648663B2 (ja) 廃棄物処分施設
KR101873958B1 (ko)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
KR200352126Y1 (ko)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KR100640143B1 (ko) 관정 시설물 보호장치
KR200433333Y1 (ko) 지하수 관정용 오염방지구조
JP5909395B2 (ja) 真空ステーション
KR200408786Y1 (ko) 채수가 용이한 양수장치용 밀폐식 상부 보호공
KR20090032323A (ko) 지하수 심정 덮개 및 보호장치
KR200345566Y1 (ko) 지하수 심정 침수방지용 동력판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