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958B1 -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 - Google Patents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958B1
KR101873958B1 KR1020170170801A KR20170170801A KR101873958B1 KR 101873958 B1 KR101873958 B1 KR 101873958B1 KR 1020170170801 A KR1020170170801 A KR 1020170170801A KR 20170170801 A KR20170170801 A KR 20170170801A KR 101873958 B1 KR101873958 B1 KR 101873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roundwater
casing
water
intak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
김현중
김병효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재)에스지환경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에스지환경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에스지환경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7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6Component parts of w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는: 지중을 향해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취수관; 상기 취수관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수중모터펌프; 상기 취수관의 주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취수관을 상기 케이싱의 중앙에 고정하는 지지부; 상기 케이싱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부가 지면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관정; 상기 관정의 상부면을 밀폐하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버; 상기 관정의 노출된 측면에 형성된 흡기체크밸브; 상기 관정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토출관; 상기 취수관과 상기 토출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토출관 상에 설치된 고압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의 입측에 분기관을 설치하고,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며 상기 관정의 상부 측면을 관통하는 출수관을 설치하며, 상기 출수관의 출구에 개폐밸브를 구비하되, 상기 케이싱의 둘레에는 내부에 액상 용매가 수용되도록 반투막으로 이루어진 오염물질 흡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오염물질 흡착부의 둘레에는 상기 오염물질 흡착부가 지중으로부터 격리되도록 기밀 패킹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설비 내로 들어온 지하수와 외부의 지하수 상호 간에 확실한 기밀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오염의 전달이 차단됨과 동시에, 지하수 수질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 {upper protective equipment of underground water well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underground water}
본 발명은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수를 취출하기 위한 지하수 관정을 보호하며, 우천으로 인한 침수나 함몰을 방지하고, 지표수나 지하의 오염물질에 의해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수는 지하의 지층이나 암석 사이를 채우고 있거나 흐르는 물을 일컫는 것으로서, 자연환경이 주거환경 및 산업시설에 오염됨으로 인해 지하수의 대부분이 화학유기물과 혼합되어 수질이 악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소구경의 심정 즉, 50 mm, 65 mm, 75 mm, 100 mm, 125 mm, 150 mm, 200 mm, 250 mm의 직경을 가지는 외부 케이싱은 상단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로 외기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평상시에 벌레와 같은 곤충이나 오염물질이 투입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곤충과 이물질이 심정에서 부패하여 수질을 오염시키게 되므로, 심정의 물을 펌핑하여 식수로 사용할 경우에는 2차 오염이 예상되므로 그 문제가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817903호(2008년03월24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에 의하여도 설비 내로 들어온 지하수와 외부의 지하수 상호 간에 별도의 기밀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어느 한 곳의 지하수가 오염되면 다른 곳의 지하수도 함께 쉽게 오염되어 지하수 수질 오염이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817903호(2008년03월24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설비 내로 들어온 지하수와 외부의 지하수 상호 간에 확실한 기밀이 이뤄지도록 하여 오염의 전달이 차단됨과 동시에, 지하수 수질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하수 관정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의 오염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확실히 차단함과 동시에, 설비 내로 들어온 지하수의 오염물질들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하여 식수로서 사용하기에도 적합한 지하수의 수질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는: 지중을 향해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취수관; 상기 취수관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수중모터펌프; 상기 취수관의 주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취수관을 상기 케이싱의 중앙에 고정하는 지지부; 상기 케이싱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부가 지면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관정; 상기 관정의 상부면을 밀폐하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버; 상기 관정의 노출된 측면에 형성된 흡기체크밸브; 상기 관정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토출관; 상기 취수관과 상기 토출관을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토출관 상에 설치된 고압체크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의 입측에 분기관을 설치하고,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며 상기 관정의 상부 측면을 관통하는 출수관을 설치하며, 상기 출수관의 출구에 개폐밸브를 구비하되,
상기 케이싱의 둘레에는 내부에 액상 용매가 수용되도록 반투막으로 이루어진 오염물질 흡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오염물질 흡착부의 둘레에는 상기 오염물질 흡착부가 지중으로부터 격리되도록 기밀 패킹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비 내로 들어온 지하수와 외부의 지하수 상호 간에 확실한 기밀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오염의 전달이 차단됨과 동시에, 지하수 수질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하수 관정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의 오염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확실히 차단함과 동시에, 설비 내로 들어온 지하수의 오염물질들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식수로서 사용하기에도 적합한 지하수의 수질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염물질 흡착부를 설치 또는 교체하기 위한 설치 공간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착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밀 패킹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오염도 측정센서와 오염 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을 향해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취수관(100)과, 상기 취수관(1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수중모터펌프(110)와, 상기 취수관(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취수관(100)의 주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200)과, 상기 케이싱(20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취수관(100)을 상기 케이싱(200)의 중앙에 고정시키는 지지부(300)와, 상기 케이싱(200)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부가 지면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관정(400)과, 상기 관정(400)의 상부면을 밀폐하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버(410)와, 상기 관정(400)의 노출된 측면에 형성되는 흡기체크밸브(420)와, 상기 관정(40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토출관(500)과, 상기 취수관(100)의 출구 측과 상기 토출관(500)의 입구 측을 연결하는 연결관(600)과, 상기 토출관(500) 상에 설치되는 고압체크밸브(510)를 포함한다.
취수관(100)은 금속 재질의 강관으로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단이 지하수 수면 아래에 놓이도록 설치된다.
취수관(100)의 하단에는 수중모터펌프(110)가 연결되며, 수중모터펌프(110)는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전원에 연결되어 동작하게 된다. 취수관(100)은 케이싱(200)에 의하여 주변을 보호받게 된다. 실질적으로 지중에 설치되는 것은 케이싱(200)이며, 케이싱(200)의 내부에 취수관(100)이 배치되는 것이다. 케이싱(200)의 외부는 토사와 직접 접촉하게 되며, 내부에는 지하수가 올라오게 된다. 따라서, 케이싱(200)은 내 부식성이 뛰어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표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 섬유강화 플라스틱 재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취수관(100)은 지하수를 공급하는 관으로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수관(100)은 케이싱(200)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수관(100)이 일측으로 치우치면 수중모터펌프(110)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취수관(100)과 케이싱(200)의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다. 취수관(100)과 케이싱(200)의 고정은 지지부(30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부(300)는 케이싱(200)의 상단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그 중앙으로 취수관(100)을 관통시키며 고정하게 된다. 지지부(300)에는 통기공(310)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300)에 통기공(310)이 설치되지 않으면 지지부(300)가 케이싱(200)의 상단면을 밀폐하게 되는데, 케이싱(200) 내부에는 지하수가 채워져 있으므로 수중모터펌프(110)를 동작시키게 되면 케이싱(200)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어 지하수가 원활하게 펌핑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지부(300)에 통기공(310)을 구비하여 케이싱(200) 외부의 공기가 케이싱(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지부(300)의 통기공(310)에 의해 관정(400) 내부의 공기와 케이싱(200) 내부의 공기가 서로 소통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싱(200) 내부 압력의 저하를 방지하여 지하수의 펌핑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지하수의 사용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유량감지센서(7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감지센서(740)는 취수관(10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유량감지센서(740)는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유량을 감지하는 것이므로 지하수의 역류가 발생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취수관(100)의 상단부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지하수가 수평으로 흐르는 부분을 마련하고, 수평부분의 말단에 유량감지센서(74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수관(100) 상단부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은 지지부(300) 위쪽에 형성되어 취수관(100)이 지지부(300) 아래쪽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유량감지센서(740)에서 검출된 유량은 유량표시부(750)에 표시된다. 유량표시부(750)는 지면 위쪽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지하수 사용유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표시부(750)는 후술하는 관정(400)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지상으로 노출되는 검침박스(7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200)의 위쪽으로는 관정(400)이 설치된다. 관정(400)은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관정(400)의 일측에는 취수관(100)과 연결되어 펌핑된 지하수를 관정(400)의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관(500)이 구비된다. 토출관(500)은 관정(400)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고, 하단이 관정(400)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된다.
토출관(500)의 하부에는 고압체크밸브(510)가 구비된다. 고압체크밸브(510)는 수중모터펌프(110)의 동작이 멈추었을 때 지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관정(400)의 상단은 지면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단면에는 탈부착 가능한 커버(410)가 설치된다. 커버(410)를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하는 이유는 관정(400)의 내부로 작업자가 출입하며 설비의 점검이나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커버(410)를 밀폐하는 이유는 외부의 오염물이 관정(4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관정(400)의 지면 위로 노출된 측면에는 흡기체크밸브(420)가 구비된다.
흡기체크밸브(420)는 외부의 공기가 관정(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공기를 소통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는 관정(400)의 상단면을 통해 곤충, 토사 또는 기타 이물질들이 유입될 수 없도록 밀폐된 구조를 제공하고 있는데, 완전히 밀폐하게 되면 지하수를 펌핑하여 사용할 때마다 관정(400)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 펌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지하수가 빠져나가는 만큼 공기가 관정(4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흡기체크밸브(420)가 구비되는 것이다.
관정(400)의 내부에서 취수관(100)과 토출관(500)은 탈부착 가능한 연결관(60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연결관(600)은 연질의 호스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관(600)의 탈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관정(400) 내부에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600)의 입측에는 분기관(710)을 설치하고, 분기관(710)에 연결되며 관정(400)의 상부 측면을 관통하는 출수관(720)을 설치한다.
관정(400)의 외부 일측에는 검침박스(700)가 구비된다. 검침박스(700)에는 유량표시부(750)와 개폐밸브(730)가 구비된다.
개폐밸브(730)는 취수관(100)에 연결된 분기관(710)과 연결된 출수관(720)의 출구에 형성된 것으로, 개폐밸브(730)를 개방하면 취수관(100) 내부의 물이 출수관(720)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된다.
출수관(7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은 관정(400) 내부의 분기관(710)에 연결되고, 타측은 관정(400)을 관통하여 검침박스(700) 내부에 연결된다. 개폐밸브(730)는 수질검사시 소량의 물을 추출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출수관(720)의 출구는 상기 연결관(600)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수관(720)으로 배출되는 물은 소량이므로 수중모터펌프(110)의 작동 없이 연결관(60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높이 차에 의하여 출수관(720)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출수관(720)은 연질의 호스재질로 마련되며, 취수관(100)과 토출관(500)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하수의 수질검사를 위해 지하수 일부를 채취하는 작업이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으며, 관정(400) 내부에서의 작업도 용이 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200)의 둘레에는 내부에 액상 용매가 수용되도록 반투막으로 이루어진 오염물질 흡착부(210)가 구비되며, 오염물질 흡착부(210)의 둘레에는 오염물질 흡착부(210)가 지중으로부터 격리되도록 기밀 패킹부(22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기밀 패킹부(220)에 의해 설비 내로 들어온 지하수와 외부의 지하수 상호 간에 확실한 기밀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오염의 전달이 차단됨과 동시에, 오염물질 흡착부(210)에 의해 지하수 수질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오염물질 흡착부(210)를 이루는 반투막은 증류수와 같은 액상 용매의 투과율이 케이싱(200)으로부터 유출되어 유입될 수도 있는 지하수 내의 오염물질의 투과율보다 작은 투과율을 갖는 수지 재질로 마련되며, 예컨대 비스코스를 이용한 셀로판을 포함하는 셀룰로스나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싱(200)의 손상 등으로 케이싱(200)의 외부로 지하수가 유출되더라도 오염물질 흡착부(210)로 오염물질이 흡수되어 격리되도록 하고, 케이싱(200)으로부터 지하수의 오염물질이 침투되더라도 오염물질 흡착부(210)로 오염물질이 포획되도록 함으로써, 취수관(100)을 통해 취수되는 지하수의 수질이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의 가동에 의해 지하 수계가 교란됨이 없이 케이싱(200) 외부의 지하수가 오염되는 것도 함께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착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쳤을 때에는 하나의 매트의 형상을 이루고 말았을 때에 케이싱(200)을 외측에서 둘러 감싸는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착부(210)는 내부에 수용된 액상 용매로 지하수의 오염물질이 침투되어 흡수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 흡착부(210)의 구조에 의하면 설치와 주기적인 교체가 편리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기밀 패킹부(220)는, 내식성을 갖는 금속 재질이나 수지 재질로 마련되며, 내측으로 오염물질 흡착부(210)를 감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오염물질 흡착부(210)가 지중으로부터 격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밀 패킹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질 흡착부(210)가 내측으로 수용되되, 편심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는 일부분이 개폐 가능해지도록 출입문(221)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기밀 패킹부(220)의 내부에서 출입문(221)이 구비된 방향으로 오염물질 흡착부(210)와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기밀 패킹부(220)의 출입문(221)을 통해 작업자가 출입하거나 오염물질 흡착부(210)가 수납 인출되도록 하여 오염물질 흡착부(210)의 설치나 교체 작업이 간편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표면에서 지중으로 형성되어 기밀 패킹부(220)의 출입문(221)까지 작업자의 이동로가 확보되도록 형성된 설치 공간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치 공간부(800)의 수직 통로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기어오르거나 내려갈 수 있도록 사다리부(810)가 설치되고, 설치 공간부(800)의 상단부에는 지표면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평소에는 폐쇄되도록 하는 별도의 덮개 문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오염물질 흡착부(210)를 설치하거나 교체하기 위해 지중의 기밀 패킹부(220)로 접근하여 작업할 필요가 있을 때에 작업자가 설치 공간부(800)를 통해 손쉽게 지중의 기밀 패킹부(220)로 접근하도록 할 수 있고, 기밀 패킹부(220)의 출입문(221)을 통해 오염물질 흡착부(210)가 간편하게 설치 또는 교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질 흡착부(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액상 용매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센서(211)와, 검침박스(700)의 내부에서 유량표시부(750)의 일측에 구비되며 오염도 측정센서(211)에 연결되어 오염도 측정센서(211)를 통해 검출된 오염물질 흡착부(210) 내부의 액상 용매의 오염도를 표시해주는 오염 표시부(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염도 측정센서(211)로는 EC(전기 전도도) 측정센서 또는 PH 산도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염도 측정센서(211)에 의해 오염물질 흡착부(210) 내부의 오염도가 실시간으로 측정되며 지상에서 검침박스(700)의 내부에 구비된 오염 표시부(215)를 통해 간편하게 모니터링 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물질 흡착부(210)를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교체 주기가 아니더라도 오염도의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에는 오염물질 흡착부(210)의 기능 저하에 따른 지하수의 오염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필요한 시기에 지연 없이 오염물질 흡착부(210)가 새것으로 교체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의 동작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는 지상으로 노출된 부분을 밀폐하되 외부의 공기는 주입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관정(400)을 통한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관정(400) 내부의 압력 저하를 방지하여 원활한 펌핑 작동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져 온다.
또한, 취수관(100)의 상단을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고, 거기에 유량감지센서(740)를 구비함으로써 추출되는 지하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오며, 지하수의 수질검사를 위한 별도의 출수관(720)을 구비하여 수중모터펌프(110)의 작동 없이도 수질검사를 위한 시편을 채취할 수 있는 효과도 가져 온다.
아울러, 지하수의 이동 관로 상에 고압체크밸브(510)를 구비하여 수중모터펌프(110)의 작동이 멈추더라도 끌어 올려진 지하수들이 역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항상 관로 상에 지하수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중모터펌프(110)를 동작시키면 시간지연 없이 즉시 지하수가 배출되는 효과도 가져 온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수 관정(400)이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의 오염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확실히 차단함과 동시에, 설비 내로 들어온 지하수의 오염물질들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식수로서 사용하기에도 적합한 지하수의 수질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취수관 110 : 수중모터펌프
200 : 케이싱 210 : 오염물질 흡착부
220 : 기밀 패킹부 300 : 지지부
400 : 관정 410 : 커버
420 : 흡기체크밸브 500 : 토출관
510 : 고압체크밸브 600 : 연결관
710 : 분기관 720 : 출수관
730 : 개폐밸브

Claims (1)

  1. 지중을 향해 연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취수관(100);
    상기 취수관(100)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끌어올리는 수중모터펌프(110);
    상기 취수관(100)의 주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싱(200);
    상기 케이싱(20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취수관(100)을 상기 케이싱(200)의 중앙에 고정하는 지지부(300);
    상기 케이싱(200)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부가 지면 위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관정(400);
    상기 관정(400)의 상부면을 밀폐하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커버(410);
    상기 관정(400)의 노출된 측면에 형성된 흡기체크밸브(420);
    상기 관정(40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토출관(500);
    상기 취수관(100)과 상기 토출관(500)을 연결하는 연결관(600); 및
    상기 토출관(500) 상에 설치된 고압체크밸브(510);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600)의 입측에 분기관(710)을 설치하고, 상기 분기관(710)에 연결되며 상기 관정(400)의 상부 측면을 관통하는 출수관(720)을 설치하며, 상기 출수관(720)의 출구에 개폐밸브(730)를 구비하되,
    상기 케이싱(200)의 둘레에는 내부에 증류수와 같은 액상 용매가 수용되도록 반투막으로 이루어진 오염물질 흡착부(210)가 구비되며,
    상기 반투막은 지하수 내의 오염물질의 투과율보다 작은 투과율을 갖는 수지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오염물질 흡착부(210)의 둘레에는 상기 오염물질 흡착부(210)가 지중으로부터 격리되도록 기밀 패킹부(220)가 구비되며,
    상기 기밀 패킹부(220)는 상기 오염물질 흡착부(210)가 내측으로 수용되되, 편심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는 일부분이 개폐 가능해지도록 출입문(221)이 구비되며,
    상기 오염물질 흡착부(2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액상 용매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센서(211)와, 상기 오염도 측정센서(211)에 연결되어 상기 오염도 측정센서(211)를 통해 검출된 상기 오염물질 흡착부(210) 내부의 액상 용매의 오염도를 표시해주는 오염 표시부(2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
KR1020170170801A 2017-12-12 2017-12-12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 KR101873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801A KR101873958B1 (ko) 2017-12-12 2017-12-12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801A KR101873958B1 (ko) 2017-12-12 2017-12-12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958B1 true KR101873958B1 (ko) 2018-07-03

Family

ID=6291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801A KR101873958B1 (ko) 2017-12-12 2017-12-12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0249A (zh) * 2022-01-10 2022-05-10 山东省鲁南地质工程勘察院(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二地质大队) 一种用于地下水串层污染的监测预警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6879A (ja) * 2007-10-31 2009-05-21 Sun Quest:Kk 土壌の浄化工法
KR100976774B1 (ko) * 2010-01-05 2010-08-18 (주) 형제 지하수 보호 관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6879A (ja) * 2007-10-31 2009-05-21 Sun Quest:Kk 土壌の浄化工法
KR100976774B1 (ko) * 2010-01-05 2010-08-18 (주) 형제 지하수 보호 관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0249A (zh) * 2022-01-10 2022-05-10 山东省鲁南地质工程勘察院(山东省地质矿产勘查开发局第二地质大队) 一种用于地下水串层污染的监测预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4487B1 (ko) 맨홀의 악취저감장치 및 그 시스템
KR100964219B1 (ko)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KR100976774B1 (ko) 지하수 보호 관정
US5372621A (en) Condensate trap for vapor extraction system
KR101656432B1 (ko) 수질 오염도 측정장치
KR101873958B1 (ko)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한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
AU2017347776A1 (en) Oil monitoring system
KR100833027B1 (ko) 양수관 상부에 휠터탱크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의 효율성을높게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2131426B1 (ko) 내부 세척이 용이한 지하수 관정
KR100371520B1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CN207812635U (zh) 一种基于专用生活污水处理的防返气装置
KR100518684B1 (ko) 하수 맨홀에서의 하수 시료 자동 채취 장치
KR101615364B1 (ko) 지중의 토양오염 검출 장치
KR20120021589A (ko) 밀폐식 상부 보호공 장치
KR101865243B1 (ko) 내진 기능을 갖춘 지하수 보호 관정설비
KR200335202Y1 (ko) 하수 맨홀에서의 하수 시료 자동 채취 장치
CN210666074U (zh) 一种安全型雨量计以及雨量检测站
KR101837398B1 (ko) 지하수오염 특성 조사장치
JP5769612B2 (ja) 放水口水モニタ
KR200201247Y1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CN207662873U (zh) 一种干式特气尾气处理设备的吸附媒介寿命指示装置
CN110568522A (zh) 一种安全型雨量计以及雨量检测站
KR100993838B1 (ko) 내부 청소가 가능한 밀폐식 관정 상부 보호 장치
US10571447B2 (en) Fluid flow separation chamber for separating hydrocarbons from a fluid, method, and system of using the same
US7069781B2 (en) Stillwel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