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278B1 -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278B1
KR100902278B1 KR1020080116595A KR20080116595A KR100902278B1 KR 100902278 B1 KR100902278 B1 KR 100902278B1 KR 1020080116595 A KR1020080116595 A KR 1020080116595A KR 20080116595 A KR20080116595 A KR 20080116595A KR 100902278 B1 KR100902278 B1 KR 100902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water storage
storage unit
groundwa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경
Original Assignee
조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경 filed Critical 조은경
Priority to KR1020080116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2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vertical pipe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를 끌어 올려 사용하는 관정(管井)의 오염을 방지하는 관정 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표하의 일정 깊이까지 매립설치되는 중공형의 관정몸체(11)와, 상기 관정몸체(11) 내부를 통해 지하수층까지 수납 삽설되면서 끝단부에 지하수를 양수시키는 지하수모터펌프(12)가 구비된 양수관(13)과, 상기 관정몸체(11)의 상단부에 취부되어 연결되되 상부면에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막아주는 수밀덮개(14)가 구비된 중공형의 취수관(15)으로 구성되되; 상기 취수관(15)은 내부에 가로막플레이트(16)와 체크밸브수단(19)을 설치하여 물저장부(17)와 공간부(18)로 구획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물저장부(17)에 지하수가 채워지면 상기 체크밸브수단(19)이 작동하여 지하수토출을 막아주면서 외부의 이물질이나 미생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관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관정 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정, 체크밸브, 밸브, 지하관정,

Description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The Pollution prevention Device of Tubular Well with Check Valve}
본 발명은 지하수를 끌어 올려 사용하는 관정(管井)의 오염을 방지하는 관정 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수를 토출시키는 양수관이 수납되는 관정몸체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취수관을 부착 연결하되, 취수관에는 양수되는 지하수가 항상 가득채워지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된 물저장부를 구비하고 물저장부에 저장된 지하수를 지하수저장탱크 등을 통해 사용처로 공급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물저장부에 의해 관정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관정 오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경지나 과수원 등에서는 농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하수를 공급하기 위해 관정을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고, 또 농공단지 등에서도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관정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기타 식수나 생활 용수가 필요한 지역 등에서도 관정을 설치하는 등 지하수를 이용하는 관정은 우리 주변에 상당히 많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정은 깨끗한 지하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오염을 방지하 는 시설 즉, 토출되어 공급되는 지하수 또는 지하수를 토출시키는 관정내부로 오염된 생활하수나 기타 농약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섞이지 않도록 지하수가 토출되는 지표면에 시멘트 등으로 된 밀폐수단을 만들어 지하수 등이 오염되는 것을 막아 왔다.
그러나 종래의 시멘트 등으로 구비된 밀폐수단은 설치공간이나 비용 등이 많이 소요되고 추위에 매우 취약한 구조로 되어 있어 많은 부분에서 개량 발전되었는바, 이러한 개량된 종래의 지하수 오염 방지장치(50)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바와같이, 지표면의 일정 깊이까지 매립설치되는 중공형의 취수관(51)과, 상기 취수관(51) 내부를 통해 지하수층까지 수납 삽설되되 한쪽 끝단부는 지하수모터펌프(52)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 끝단부는 "ㄱ"자형 토출유도관(53)이 구비되어 지하수를 토출시킬 수 있는 된 양수관(54), 상기 취수관(51)의 상단부에 연결되되 한쪽은 수밀덮개(55)가 구비되고 다른 한쪽은 지하수를 공급하는 송수관(56)이 연결 취부된 연장취수관(57)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유도관(53)은 한쪽은 상기 송수관(56)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고정브라켓트(58)로 고정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염 방지장치(50)는 지하수모터펌프(52)에 의해 양수되는 지하수가 양수관(54)을 따라 토출되고 이어 토출되는 지하수의 토출방향을 전환시켜 주기 위한 상기 "ㄱ"자형 토출유도관(53)에 의해 상기 송수관으로 공급되어 별도의 집수탱크 등에 저수된 다음 소요처로 각기 분배 공급되어 사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관정 오염방장치는 취수관 내부를 통해 각종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연장취수관 상부에 덮개 등과 같은 수단을 구비하여 밀봉시켜 주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러한 밀봉수단이 취약해지게 되면 취수관 내부로 각종 이물질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어 지하수가 오염 훼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펌프에 의해 양수되는 지하수는 양수관을 통해 토출되어 그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엘보형상의 토출유도관을 통해 공급관을 따라 집수저장부 등으로 지하수가 공급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는 지하수의 공급 방향이 상기 토출유도관의 형상에 의존하기 때문에 지하수의 공급 방향을 다변화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파이프 등과 같은 부가장치가 요구되는 불합리한 면이 있어 사용이 불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하수를 토출시키는 양수관이 수납되는 관정몸체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취수관을 부착 연결하되, 취수관에는 양수되는 지하수가 항상 가득채워지도록 체크밸부가 구비된 물저장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지하수로 인해 관정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관정 오염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저장부에 저장된 지하수를가 어느방향으로나 공급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부가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송수관만을 연결 설 치하여 지하에서 토출되는 지하수를 전방위적으로 공급 방향을 다변화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외부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관정 오염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정 오염방지장치는 지표하의 일정 깊이까지 매립설치되는 중공형의 관정몸체(11)와, 상기 관정몸체(11) 내부를 통해 지하수층까지 수납 삽설되면서 끝단부에 지하수를 양수시키는 지하수모터펌프(12)가 구비된 양수관(13)과, 상부면에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막아주는 수밀덮개(14)가 구비면서 상기 관정몸체(11)의 상단부에 취부되어 연결되는 중공형의 취수관(15)으로 구성되되;
상기 취수관(15)는 그 내부의 중앙부에 관통구멍(20)이 형성된 계단형상(
Figure 112008080616104-pat00001
)의 가로막플레이트(16)가 구비되되,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6)의 상부측은 지하수를 저장할 수 있는 물저장부(17)가 구성되고, 하부측은 상기 양수관(13)이 연결되는 공간부(18)가 구성되며, 중간에는 지하수의 유·출입을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20)에 삽설되는 체크밸브수단(19)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크밸브수단(19)은 중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6)의 상기 관통구멍(20)에 삽설 고정되되 상기 저장부(18)에 위치하면서 상기 양수관(13)에 연결되는 체결부(191)와,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6)에 안착되어 상기 취수관(15)을 상기 물저장부(17)와 상기 공간부(18)로 구획시키는 안착돌기부(192), 및 상기 안착돌기부(192)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양수관(13)을 통해 토출되는 지하수를 단속시켜주는 밸브(193)가 수납 설치되는 밸브작동부(194)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양수관으로 토출되는 지하수가 상기 체크밸브수단(19)를 통해 상기 물저장부로 양수되고 상기 물저장부에 지하수가 채워지면 상기 체크밸브가 작동되어 닫혀지면서 지하수의 양수(토출)가 정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지하수를 토출시키는 관정몸체 상단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취수관을 부착 연결하여 상기 취수관이 물저장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바, 양수되는 지하수가 채워지는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지하수로 인해 관정몸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획기적으로 막아줄 수 있음은 물론, 물저장부를 이루는 상기 취수관의 어느부분에 공급관을 설치하여도 지하수가 용이하게 사용처로 공급될 수 있어 지하수 공급의 효율성이 한층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정 오염방지장치의 개략적인 상태 단면도이고, 도 2와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정 오염방지장치의 중요부 단면도와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발명에 따른 관정 오염방지장치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첵크밸브의 상태단 면도이고, 도 5는 본발명에 따른 관정 오염방지장치가 지하에 설치되어 지하수가 토출되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6는 본발명에 따른 관정 오염방지장치의 물저장부에 구비된 수밀덮개에 송수관이 설치되어 지하수가 토출되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종래의 관정 오염방지장치의 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표하의 일정 깊이까지 매립설치되는 중공형의 관정몸체(11)와, 상기 관정몸체(11) 내부를 통해 지하수층까지 수납 삽설되면서 끝단부에 지하수를 양수시키는 지하수모터펌프(12)가 구비된 양수관(13)과, 상부면에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막아주는 수밀덮개(14)가 구비면서 상기 관정몸체(11)의 상단부에 취부되어 연결되는 중공형의 취수관(15)으로 구성되되;
상기 취수관(15)는 그 내부의 중앙부에 관통구멍(20)이 형성된 계단형상(
Figure 112008080616104-pat00002
)의 가로막플레이트(16)가 구비되되,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6)의 상부측은 지하수를 저장할 수 있는 물저장부(17)가 구성되고, 하부측은 상기 양수관(13)이 연결되는 공간부(18)가 구성되며, 중간에는 지하수의 유·출입을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20)에 삽설되는 체크밸브수단(19)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크밸브수단(19)은 중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6)의 상기 관통구멍(20)에 삽설 고정되되 상기 저장부(18)에 위치하면서 상기 양수관(13)에 연결되는 체결부(191)와,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6)에 안착되어 상기 취수관(15)을 상기 물저장부(17)와 상기 공간부(18)로 구획시키는 안착돌기부(192), 및 상기 안착돌기부(192)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양수관(13)을 통해 토출되는 지하수를 단속시켜주는 밸브(193)가 수납 설치되는 밸브작동부(194)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양수관으로 토출되는 지하수가 상기 체크밸브수단(19)를 통해 상기 물저장부로 양수되고 상기 물저장부에 지하수가 채워지면 상기 체크밸브가 작동되어 닫혀지면서 지하수의 양수(토출)가 정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작동부(194)는 상단부측에 지하수의 유출입을 단속하는 밸브(193)가 삽설 구비되고, 또 상기 밸브작동부(194)의 끝단부에는 상기 밸브(193)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되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지지구(195)가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양수관(13)이 연결된 상태(매우 무거운상태)에서 상기 체크밸브수단(19)을 견인하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거꾸로 된 'U'자형의 견인고리(19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지지구(195)는 상기 밸브(193)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지 못하도록 하거나 상기 밸브작동부(194)의 끝단부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끝단부가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193)는 상부(193a)와 하부(193b)로 구성되도록 일정두께로 형성되되 상부(193a)에서 하부(193b)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하부(193b)의 중앙에는 상기 밸브(193)의 균형을 잡아 줄 수 있도록 밸브균형지지바아(197)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양수관(13)을 따라 토출되는 지하수는 상기 밸브(193)를 밀어주면서 상기 물저장부(17)로 토출되어 집수되며 이때 상기 밸브(193)의 상부(193a)는 상기 밸브지지구(195)에 의해 지지되면서 열려진 상태로 되고, 반대로 상기 물저장부(17)에 물이 채워지면 상기 밸브(193)는 점점 하강하여 상부(193a)와 하부(193b) 사이가 상기 밸브작동부(194)의 상부 토출부를 막아 지하수의 토출을 중단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작동부(194)의 내부 중간부에는 토출되는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임펠러 등을 이용한 유량측정수단(198)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6)는 제1수평부(161)와 제2수평부(162) 및 상기 제1,2수평부(161,162)를 연결하는 수직부(163)로 이루어져 계단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지지구(19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개의 지지구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2개 이상으로 적절히 변경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상기 수밀덮개(14)의 하부에는 취수관(15)의 보온성을 위해 보온제(14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6)의 관통구멍(20)에 상기 체크밸브수단(19)의 상기 체결부(191)를 삽설하게 되면 상기 안착돌기부(192)가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6)의 제1수평부(161)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191)에는 무거운 상기 양수관(13)이 견고하게 체결 되면서 상기 체크밸브수단(19)이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6)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로써 상기 취수관(15)이 상기 물저장부(17)와 상기 공간부(18)로 나뉘어 구성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수평부(161)과 상기 밸브걸림턱(192) 사이에는 밀봉부재인 오링(164)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물저장부(17)에 저장되어 있는 지하수가 상기 공간부(18)를 통해 상기 관정몸체(11)로 역류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취수관(15) 내부에는 상기 체크밸브수단(19)에 형성된 상기 안착돌기부(192)로부터 상기 물저장부(17)의 내벽까지 전력공급선(26)이 용이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된 주름관(27, 일명 '자바라'라고도 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주름관(27)은 양단 즉, 상기 물저장부(17)의 내벽과 상기 안착돌기부(192)에서 소켓 등으로 견고하게 밀봉될 수 있도록 피팅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공급선(26)이 상기 취수관(15)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체크밸브수단(19)은 상기 밸브(193)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에 힌지(21)를 갖는 밸브플레이트(22)가 구비된 구조로 할 수 있는바, 이는 지하수가 토출될 시에는 상기 밸브플레이트(22)가 화살표 방향으로 열려져 지하수가 상기 물저장부(17)로 양수되고 상기 물저장부(17)가 채워지면 상기 밸브플레이트(22)가 다시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닫혀져 지하수의 양수가 중단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체크밸브수단(19)은 상기와 같은 밸브(193) 또는 밸브플레이트(22)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기 취수관(15)에 구비된 물저장부(17)에는 저장된 지하수를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송수관(23)이 연결 설치되는 연결통로(151)가 구비되고, 상기 송수관(23)을 통해 공급되는 지하수는 별도의 집수저장탱크(24)로 공급된 후 사용처로 보내진다.
여기서 상기 물저장부(17)에 구비되어 상기 송수관(23)이 체결되는 상기 연결통로(151)는 상기 수밀덮개(14)에 구비하여 지하수를 상부쪽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물저장부(17)의 측면에 설치하여 지하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통로(151)는 상기 물저장부(17)의 측면의 전방위적인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송수관(23)을 다수개 설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집수저장탱크(24)도 다수개 설치하여 병렬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하수 공급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취수관(15)의 상기 공간부(18) 측면에는 상기 관정몸체(11)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관(28)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91)의 하단부에는 상기 모터(12)를 지지할 수 있는 안전로프(29)를 연결하는 로프연결구(30)가 구비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5는 컨트롤부이고, 26은 전력공급선이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10)의 작동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집수저장탱크(24)로부터 용처로 지하수를 공급하게 되면 집수저장탱크(24)의 수위가 내려가고 이에 따라 상기 물저장부(17)에 저장된 지하수의 수위도 내려가게 된다. 이때 컨트롤부(25)에서 이를 인식하고 전력공급선(26)을 통해 상기 펌프(12)가 작동되면서 부족된 물을 상기 양수관(13)을 통해 토출하게된다. 그러면 상기 물저장부(17)의 수압으로 막혀있던 상기 밸브(193)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려져 토출되는 지하수가 물저장부(17)와 송수관(23)을 통해 집수저장탱크(24)로 공급된다.
그리고 집수저장탱크(24)를 통해 더 이상의 지하수 공급이 없어 만수위가 되면 상기 물저장부(17)에도 지하수가 채워지고 이로 인한 수압에 의해 상기 밸브(193)가 닫혀 더 이상의 지하수가 토출되지 않고 대기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오염방지장치(10)는 도 5와 같이 일반 도로면에 맨홀뚜껑(31)을 구비하고 상기 맨홀뚜껑(31) 하부에 시멘트타설(32)로 공간을 구비하여 지하에 설치 운용할 수도 있고,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수관(23)을 상기 물저장부(17)의 상부면에 구비된 상기 수밀덮개(14)에 구비하여 사용될 수 있도 있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지하수가 효율적으로 사용처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물저장부(17)에 채워진 지하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193)가 상기 양수관(13)으로부터 토출되는 지하수를 막아줌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나 미생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관정몸체(11) 또는 양수관(13)을 통해 지하수층으로 침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막아 매우 위생적인 지하수를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10)는 상기 취수관(15)의 물저장부(17)의 외벽에 상기 연결통로(151)를 다수개 구비하고 이에 연결되는 집수저장탱크도 다수개 구비하여 보다 광범위하게 지하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집수저장탱크를 다수개 연이 어 직렬형태로 연결하여 지하수 공급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활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면서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정 오염방지장치의 개략적인 상태 단면도이고,
도 2와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정 오염방지장치의 중요부 단면도와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발명에 따른 관정 오염방지장치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첵크밸브의 상태단면도이고,
도 5는 본발명에 따른 관정 오염방지장치가 지하에 설치되어 지하수가 토출되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6는 본발명에 따른 관정 오염방지장치의 물저장부에 구비된 수밀덮개에 송수관이 설치되어 지하수가 토출되는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종래의 관정 오염방지장치의 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관정오염방지장치 11:관정몸체 12:지하수모터펌프 13:양수관
14:수밀덮개 15:취수관 16:가로막플레이트 17:물저장부 18:공간부
19:체크밸브수단 20:관통구멍 21:힌지 22:밸브플레이트 23:송수관
24:집수저장탱크 25:컨트롤부 26:전력공급선 27:주름관 28:에어관
29:안전로프 30:로프연결구
141:보온제 151:연결통로 161:제1수평부 162:제2수평부 163:수직부
164:오링 191:체결부 192:안착돌기부 193:밸브 194:밸브작동부
195:밸브지지구 196:견인고리 197:밸브균형지지바 271:소켓

Claims (8)

  1. 지하수를 토출하여 사용하는 관정의 오염방지장치에 있어서,
    지표하의 일정 깊이까지 매립설치되는 중공형의 관정몸체(11)와,
    상기 관정몸체(11) 내부를 통해 지하수층까지 수납 삽설되면서 끝단부에 지하수를 양수시키는 지하수모터펌프(12)가 구비된 양수관(13)과,
    상부면에 외부의 이물질 유입을 막아주는 수밀덮개(14)가 구비면서 상기 관정몸체(11)의 상단부에 취부되어 연결되는 중공형의 취수관(15)으로 구성되되;
    상기 취수관(15)는 중앙부에 관통구멍(20)이 형성된 계단형상(
    Figure 112009020514713-pat00011
    )의 가로막플레이트(16)가 구비되되,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6)의 상부측은 지하수를 저장할 수 있는 물저장부(17)가 구성되고, 하부측은 상기 양수관(13)이 연결되는 공간부(18)가 구성되며, 중간에는 지하수의 유·출입을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20)에 삽설되는 체크밸브수단(19)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크밸브수단(19)은 상기 물저장부(17)에 위치하면서 지하수의 토출을 단속하는 밸브작동부(194)와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6)에 안착되는 안착돌기부(192) 및 상기 공간부(18)에 위치하면서 상기 관통구멍(20)에 삽설되어 상기 양수관(13)과 연결되는 체결부(191)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양수관으로 토출되는 지하수가 상기 체크밸브수단을 통해 상기 물저장부로 양수되는 것을 단속하면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수단(19)에 구비된 상기 밸브작동부(194)는 상단부측에 지하수의 유출입을 단속하는 밸브(193)가 삽설 구비되고, 또 상기 밸브작동부(194)의 끝단부에는 상기 밸브(193)가 일정 높이 이상 상승되지 못하도록 하는 밸브지지구(195)가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체크밸브수단(19)을 견인할 수 있도록 거꾸로 된 'U'자형의 견인고리(196)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수단(19)에 구비된 상기 밸브작동부(194)는 내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된 힌지(21)와 상기 힌지(21)에 의해 회동되는 밸브플레이트(22)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15)내에는 상기 체크밸브수단(19)에 형성된 상기 안착돌기부(192)로부터 상기 물저장부(17)의 내벽까지 전력공급선(26)이 용이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구비된 주름관(2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93)는 상부(193a)와 하부(193b)로 구성되도록 일정두께로 형성되되 상부(193a)에서 하부(193b)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구조로 되고, 상기 하부(193b)의 중앙에는 상기 밸브(193)의 균형을 잡아 줄 수 있도록 밸브균형지지바아(19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막플레이트(16)와 상기 체크밸브수단(19)의 체결면에는 밀봉부재인 오링이 구비되어, 상기 물저장부(17)의 지하수가 상기 관정몸체(11)로 역류할 수 없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작동부(194)의 내부에는 토출되는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유량측정수단(19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15)의 상기 공간부(18) 측면에는 상기 관정몸체(11)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도록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관(28)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KR1020080116595A 2008-11-24 2008-11-24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KR100902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595A KR100902278B1 (ko) 2008-11-24 2008-11-24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595A KR100902278B1 (ko) 2008-11-24 2008-11-24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278B1 true KR100902278B1 (ko) 2009-06-10

Family

ID=4098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595A KR100902278B1 (ko) 2008-11-24 2008-11-24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27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774B1 (ko) * 2010-01-05 2010-08-18 (주) 형제 지하수 보호 관정
CN105240260A (zh) * 2015-11-06 2016-01-13 孟祖钢 一种扬水站汲水管装置
CN105240262A (zh) * 2015-11-06 2016-01-13 孙旭东 一种用于扬水站的汲水管端口防护装置
CN105240265A (zh) * 2015-11-06 2016-01-13 胡丽春 一种用于水利工程的扬水站汲水管装置
CN105350604A (zh) * 2015-11-06 2016-02-24 姚新连 一种农业灌溉用的扬水站汲水管装置
CN105422439A (zh) * 2015-11-06 2016-03-23 胡丽春 一种用于扬水站的具有端口防护功能的汲水管装置
KR20190098561A (ko) 2018-02-14 2019-08-22 (주)이음이엔지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하 관정의 내부 촬영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097B1 (ko) 2005-07-28 2006-02-08 이동헌 관정의 방오,방수장치
JP2007529651A (ja) 2004-02-27 2007-10-25 ツゥー アン ウォーター リソース デベロップメン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地下水孔の汚染防止装置
KR100789695B1 (ko) 2007-04-03 2008-01-03 이동헌 수밀성이 향상된 수도미터기 일체형 관정용 방오, 방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9651A (ja) 2004-02-27 2007-10-25 ツゥー アン ウォーター リソース デベロップメント 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地下水孔の汚染防止装置
KR100550097B1 (ko) 2005-07-28 2006-02-08 이동헌 관정의 방오,방수장치
KR100789695B1 (ko) 2007-04-03 2008-01-03 이동헌 수밀성이 향상된 수도미터기 일체형 관정용 방오, 방수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774B1 (ko) * 2010-01-05 2010-08-18 (주) 형제 지하수 보호 관정
CN105240260A (zh) * 2015-11-06 2016-01-13 孟祖钢 一种扬水站汲水管装置
CN105240262A (zh) * 2015-11-06 2016-01-13 孙旭东 一种用于扬水站的汲水管端口防护装置
CN105240265A (zh) * 2015-11-06 2016-01-13 胡丽春 一种用于水利工程的扬水站汲水管装置
CN105350604A (zh) * 2015-11-06 2016-02-24 姚新连 一种农业灌溉用的扬水站汲水管装置
CN105422439A (zh) * 2015-11-06 2016-03-23 胡丽春 一种用于扬水站的具有端口防护功能的汲水管装置
KR20190098561A (ko) 2018-02-14 2019-08-22 (주)이음이엔지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하 관정의 내부 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278B1 (ko)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US9605688B2 (en) Site drainer
US5509437A (en) Dry hydrant check valve
US5895569A (en) Small bore sewer system
KR101463232B1 (ko) 차집관로 물돌리기용 물 차오름식 중개장치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시스템
KR100976774B1 (ko) 지하수 보호 관정
US81229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clogging a pipe
KR101254083B1 (ko) 공동수로가 구비된 연결배관 일체형 지하수 상부 밀폐 장치
KR100371520B1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KR101204055B1 (ko)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및 취수 시설
KR100862166B1 (ko) 개착식 하상여과공법을 이용한 집수시스템
JP2958641B1 (ja) 配水本管内貯留緊急給水装置
US10648137B1 (en) Land drainage vacuum lift system and method
JP2005113501A (ja) 基礎杭兼用貯蔵タンク及びその施工方法並びに貯水された水の使用方法
KR200408786Y1 (ko) 채수가 용이한 양수장치용 밀폐식 상부 보호공
JP4611662B2 (ja) 真空弁ユニット
KR100937578B1 (ko) 수위측정관용 유도 포켓관을 케이싱 외주부에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KR101371151B1 (ko) 밸브실
JP7364537B2 (ja) 貯水装置および配管システム
KR200201247Y1 (ko) 지하수 취수관의 오염방지 장치
KR101204051B1 (ko)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
CA2325154A1 (en) A water supply system and pump apparatus therefor
KR100902605B1 (ko) 밀폐캡을 갖는 관정(管井) 오염방지장치
KR20190055637A (ko) 집수정을 이용한 매립지의 수위관리용 배수 시스템
KR200413592Y1 (ko) 역류 유입방지 구조를 갖는 매립형 수도 계량기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