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051B1 -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051B1
KR101204051B1 KR1020100036144A KR20100036144A KR101204051B1 KR 101204051 B1 KR101204051 B1 KR 101204051B1 KR 1020100036144 A KR1020100036144 A KR 1020100036144A KR 20100036144 A KR20100036144 A KR 20100036144A KR 101204051 B1 KR101204051 B1 KR 101204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lusal
pipe
casing
head
ground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620A (ko
Inventor
정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Priority to KR102010003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051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5Keeping wells in good condition, e.g. by cleaning, repairing, regenerating; Maintaining or enlarging the capacity of wells or water-bearing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3/00Apparatus for displacing, setting, locking, releasing or removing tools, packers or the like in boreholes or wells
    • E21B23/06Apparatus for displacing, setting, locking, releasing or removing tools, packers or the like in boreholes or wells for setting pa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1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in the borehole
    • E21B33/12Packers; Plugs
    • E21B33/1208Packers; Plu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sealing or pa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오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수 관정의 관정 케이싱 상부에 연결된 교합 케이싱의 교합턱과 그 교합턱에 안착되는 교합헤드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교합헤드를 용이하게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교합헤드가 확실하게 교합 케이싱에 밀착되는 구조의 지하수 오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오염 방지 장치는,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정 케이싱의 상부에서 하단에 펌프가 연결된 양수관을 관정 케이싱의 내부로 삽입시키고, 그 양수관을 취수 목적지로 연결된 출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관의 하단이 상기 관정 케이싱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출수관이 상기 케이싱관의 측부에 연결된 위치에서 상기 케이싱관의 내부에는 교합부가 형성되며, 커버가 상기 케이싱관의 상부 개구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며,상기 케이싱관의 개구가 지표면 위로 노출되게 지표면에 상기 케이싱관이 매설된 하우징과, 상기 교합부에 결합되는 교합헤드에 상기 양수관이 연결되며, 상기 양수관으로부터 양수된 지하수가 소통되는 배관에 배관시설물이 설치되며, 상기 교합헤드를 상기 교합부에 결합시키면 상기 출수관이 상기 양수관 및 배관과 소통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케이싱관 내부에 장착되는 양수-출수관 연결장치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UBTERRNAEANWATER TUBE WELL}
본 발명은 지하수 오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수 관정의 관정 케이싱 상부에 연결된 교합 케이싱의 교합턱과 그 교합턱에 안착되는 교합헤드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교합헤드를 용이하게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교합헤드가 확실하게 교합 케이싱에 밀착되는 구조의 지하수 오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해 수질이 양호하며, 단기간의 시설공사로 안정된 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물부족 국가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1960년대부터 정부 주도 하에 지하수 개발 5개년 계획이 수립되면서 조사기술이 체계화되고, 각종 조사장비와 개발장비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최근에 들어 지하수 관정을 통한 오수의 유입으로 오염이 심각해지자 수질관리를 위한 다양한 시책들이 법으로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하수 관련법 중에는 오염방지시설에 대한 세부 설치기준 및 지하 하부의 보호벽(케이싱)이 상부로부터 오염물질이나 지표수 등이 유입될 수 없게 하는 밀폐 구조물을 설치하도록 강화되어 있다.
종래에도 이와 같이 지하수 관정을 통한 수질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자 지하수 관정의 케이싱의 상단부를 밀폐하는 여러 가지 밀폐장치 들이 제안되었으나, 대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이 어려우며, 지하수 관정의 청소 및 이상 발생시 분해 및 조립이 어려워 실용적이지 못한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371520호에서와 같이 지하수 관정의 상부에 용이하게 설치되는 구조의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상기한 종래의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장치를 것으로, 지하수 관정을 형성하도록 매설된 관정 케이싱(10)의 연결되어 상부 입구가 커버(12)로 밀폐되고 일측에 구비된 헤드 연결구(11a)가 배수관(15)에 연결된 커버 케이싱(11)과, 하부에 구비된 양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지하수를 양수하도록 상기 관정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된 양수관(14)이 연결되어 그 양수관(14)과 출수관(15)이 소통되게 연결하도록 상기 헤드 연결구(11a)에 안착되는 헤드(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기존의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는 헤드 연결구(11a)와 헤드(13)의 구조가 복잡하여 그 제조가 어렵고 헤드(13)를 헤드 연결구(11a)에 연결하는 작업이 어렵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존의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는 헤드(13)가 그 자체 및 양수관(14)의 중량에 의해 상기 헤드 연결구(11a)와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데, 그헤드(13) 자체의 중량이 적은 경우나 지하수의 수위가 높아져 부력이 커지는 경우 헤드(13)가 헤드 연결구(11a)에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수 관정의 관정 케이싱 상부에 연결된 교합 케이싱의 교합턱과 그 교합턱에 안착되는 교합헤드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교합헤드를 용이하게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교합헤드가 확실하게 교합 케이싱에 밀착되는 구조의 지하수 오염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오염 방지 장치는,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정 케이싱의 상부에서 하단에 펌프가 연결된 양수관을 관정 케이싱의 내부로 삽입시키고, 그 양수관을 취수 목적지로 연결된 출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관의 하단이 상기 관정 케이싱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출수관이 상기 케이싱관의 측부에 연결된 위치에서 상기 케이싱관의 내부에는 교합부가 형성되며, 커버가 상기 케이싱관의 상부 개구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며,상기 케이싱관의 개구가 지표면 위로 노출되게 지표면에 상기 케이싱관이 매설된 하우징과, 상기 교합부에 결합되는 교합헤드에 상기 양수관이 연결되며, 상기 양수관으로부터 양수된 지하수가 소통되는 배관에 배관시설물이 설치되며, 상기 교합헤드를 상기 교합부에 결합시키면 상기 출수관이 상기 양수관 및 배관과 소통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케이싱관 내부에 장착되는 양수-출수관 연결장치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교합부에는, 상기 케이싱관의 측부에 연결된 출수관과 연결되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그 유출구가 있는 위치에서 내측에 교합면이 형성되고, 교합면과 대향되는 내측에 가압면이 형성되며, 상기 양수-출수관 연결장치의 교합헤드에는, 상기 교합부의 교합면과 밀착되는 교합면이 측부에 형성되며, 그 교합헤드의 교합면에 상기 교합부의 교합면에 위치된 유출구와 소통되는 교합부측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교합부의 가압면에 접촉되는 가압면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양수관의 상단이 연결되는 양수관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양수관 연결구와 유로로 연결되는 연결관측 출구가 상부에 형성되어 그 연결관측 출구에는 연결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교합부측 출구와 유로로 연결되는 연결관측 입구가 상부에 형성되어 그 연결관측 입구에는 상기 연결관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양수-출수관 연결장치는, 상기 교합헤드의 가압면과 상기 교합부의 가압면이 서로 접촉되어 가압되면서 상기 교합헤드의 교합면이 상기 교합부의 교합면에 밀착되게 교합헤드가 교합부에 교합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는 지하수 관정의 관정 케이싱 상부에 연결된 교합 케이싱의 교합턱과 그 교합턱에 안착되는 교합헤드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교합헤드를 용이하게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교합헤드가 확실하게 교합 케이싱에 밀착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의 교합부 및 교합헤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의 교합부 및 교합헤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를 이용한 마을 상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마을 상수 시스템의 저수탱크와 약품투입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저수탱크의 수위센서의 구조 및 작동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의 교합부 및 교합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의 교합부 및 교합헤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취수 시설은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정 케이싱(C)의 상부에서 하단에 펌프(P)가 연결된 양수관(L)을 관정 케이싱(C)의 내부로 삽입시키고, 그 양수관(L)을 취수 목적지로 연결된 출수관(L1)과 연결하기 위한 시설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취수 시설은 하우징(110), 양수-출수관 연결장치(120) 및 제어장치(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지하수 관정의 내부로 오염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지하수 관정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관정 케이싱(C)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양수-출수관 연결장치(120)가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커버(111), 케이싱관(112), 교합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관(112)은 상단 개구가 지표면 위로 노출되어 하단이 상기 관정 케이싱(C)와 연결되며, 내부에 하술하는 양수-출수관 연결장치(120)의 교합헤드가 결합되기 위한 교합부(113)가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관(112)은 파이프 형상으로 상단 개구가 지표면 위로 노출되고, 하단이 상기 관정 케이싱(C)의 상단과 연결된다. 상기 케이싱관(112)의 하단부 측부에는 상기 취수 목적지로 연결된 출수관(L1)이 연결되며, 상단부 측부에는 관정 케이싱(C)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하에 위치된 펌프(P)로 연결되는 와이어(W)가 인출입되기 위한 인출입구(112a)가 형성된다.
상기 교합부(113)는 상기 양수관(L)과 출수관(L1)을 소통되도록 하술하는 양수-출수관 연결장치(120)의 교합헤드가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다. 도 6 및 도 7은 교합부(113)와 양수-출수관 연결장치(120)의 교합헤드(121)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교합부(113)는 상기 출수관(L1)이 상기 케이싱관(112)의 측부에 연결된 위치에서 상기 케이싱관(112)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교합부(113)는 대략 길이가 짧고 상하로 관통된 구조의 파이프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은 상기 케이싱관(112)의 내주면에 맞닿아 그 케이싱관(112)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면은 상기 교합부(113)이 별도의 파이프 형체로 제작되어 상기 케이싱관(112)의 내부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교합부(113)의 측부에는 측부를 관통하는 유출구(113c)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관(112)의 측부에 연결된 출수관(L1)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교합부(113)에는 상기 교합헤드(121)의 교합면(121a)가 밀착되기 위한 교합면(113a)가 형성되는데, 그 교합부(113)의 교합면(113a)은 상기 유출구(113c)가 있는 위치에서 교합부(113)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교합헤드(121)의 교합면(121a)이 상기 교합부(113)의 교합면(113a)에 밀착되도록 상기 교합헤드(121)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면(113b)이 상기 교합면(113a)과 대향되는 내측에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교합부(113)는 교합면(113a)을 중심으로 양쪽 각각에서 각각 교합면(113a)을 마주보게 가압면(113b)이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교합부(113)에는 상기 교합헤드(121)가 상부에서 내려와 안착되기 때문에 상기 교합부(113)의 교합면(113a)과 가압면(113b) 사이의 간격은 아래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좁아지는 경사를 갖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111)은 상기 케이싱관(112)의 상부 개구를 커버하기 위한 판재로서, 그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싱관(112)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플랜지에 밀착되어 볼트(111a)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우징(110)의 케이싱관(112)의 하단이 상기 관정 케이싱(C)의 상단에 연결되어 관정 케이싱(C)의 상부에서 상기 케이싱관(112)이 지표면에 매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케이싱관(112)의 상부 개구는 지표면 위로 노출되어 커버(111)로 밀폐된다. 상기와 같이 지하수 관정에 설치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기 양수-출수관 연결장치(120)가 장착된다.
상기 양수-출수관 연결장치(120)는 상기 출수관(L1)과 상기 양수관(L)을 연결하는 배관이 구비되어 양수관(L)을 관정 케이싱(C)의 내부로 진입시키면서 상기 하우징(110)의 교합부(113)에 교합헤드(121)를 교합시켜 상기 출수관(L1)과 상기 양수관(L)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양수-출수관 연결장치(120)는 교합헤드(121), 연결관(122), 가압봉(123) 및 가압장치(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합헤드(121)는 상기 양수관(L)과 출수관(L1)을 소통되도록 상기 교합부(113)에 교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교합헤드(121)와 교합부(113)의 구조 및 연결관계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교합헤드(121)에는 상기 교합부(113)의 교합면(113a)과 밀착되는 교합면(121a)이 측부에 형성되며, 그 교합헤드(121)의 교합면(121a)에 상기 교합부(113)의 교합면(113a)에 위치된 유출구(113c)와 소통되는 교합부측 출구(121f)가 형성된다. 상기 교합헤드(121)의 교합면(121a)의 반대측에는 상기 교합부(113)의 가압면(113b)에 접촉되는 가압면(121b)이 형성된다. 상기 교합헤드(121)의 하부에는 양수관 연결구(121c)가 형성되어 상기 양수관(L)의 상단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양수관 연결구(121c)와 유로로 연결되는 연결관측 출구(121d)가 상부에 형성되어 그 연결관측 출구(121d)에는 연결관(122)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교합부측 출구(121f)와 'L'자 형상의 유로로 연결되는 연결관측 입구(121e)가 상부에 형성되어 그 연결관측 입구(121e)에는 연결관(122)의 타단이 연결된다. 상기 교합헤드(121)의 교합면(121a)에는 교합부(113)의 교합면(113a)과의 교합에 의한 수밀이 확보되도록 환형의 O링(121')이 교합부측 출구(121f)를 둘러싸게 형성된 O링홈(121g)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122)은 교합헤드(121)의 연결관측 출구(121f)와 연결관측 입구(121e)를 연결하기 위하여 역'U'자 형상으로 만곡된 파이프 형상의 관체이다.
상기 가압봉(123)과 가압장치(124)는 상기 교합헤드(121)이 부상되지 않도록 그 교합헤드(121)를 하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양수-출수관 연결장치(120)는 상기 교합헤드(121)의 가압면(121b)과 상기 교합부(113)의 가압면(113b)이 서로 접촉되어 가압되면서 상기 교합헤드(121)의 교합면(121a)이 상기 교합부(113)의 교합면(113a)에 밀착되게 교합헤드(121)가 교합부(113)에 교합되어 상기 케이싱관(112) 내에 위치되게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양수-출수관 연결장치(120)에 의해 양수관(L)과 출수관(L1)이 연결됨으로써, 펌프(P)의 펌핑에 의해 펌핑된 물은 양수관(L)을 통해 교합헤드(121)의 양수관측 입구(121c)로 유입(wi)되어 연결관측 출구(121d)로 유출(wo)되어 연결관(122)을 거쳐 연결관측 입구(121e)를 통해 교합헤드(121)의 내부로 유입(wi')된다. 상기 연결관측 입구(121e)를 통해 교합헤드(121)의 내부로 유입(wi')된 물은 출수관측 출구(121f)를 통해 출수관(L1)으로 유출(wo')되어 취수 목적지(140)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 제어장치(130)은 상기 양수관(L)의 하단에 구비된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이 판넬박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펌프(P)로 연결되는 와이어(W)가 인출되기 위한 인출관이 판넬박스(131)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어장치(130)은 상기 인출관의 하단이 지표면에 매립되어 판넬박스가 지표면 위에 노출되어 세워지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취수 시설은 취수 목적지(140)으로 지하수를 취수하는 마을 상수 시스템을 구성하게 되는데, 도 9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취수 시설을 이용한 마을 상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취수 시설을 이용한 마을 상수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마을 상수 시스템의 저수탱크와 약품투입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저수탱크의 수위센서의 구조 및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마을 상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수 관정의 취수 시설을 포함하여 취수 목적지(140) 및 약품투입장치(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취수 목적지(140)는 상기 지하수 관정의 취수 시설로부터 취수되어 송수된 물을 저장하였다가 마을의 수용가로 급수하기 위한 시설로서, 출수관(L1)으로 연결된 송수관(L2)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저장하였다가 급수관(L3)을 통해 수용가로 급수하기 위한 저수탱크(141)와, 저수된 수위를 계측하기 위한 수위센서(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위센서(142)에 의해 계측된 수위에 대한 정보는 상기 지하수 관정의 취수 시설의 펌프(P)의 작동을 제어하는 정보가 된다. 따라서, 상기 수위센서(142)에 의해 계측된 수위에 대한 정보는 유무선을 통해 상기 제어장치(130)으로 송신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수위센서(142)가 기울어진 경사도를 계측하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성되어 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수위센서(142)는 상기 저수탱크(141)의 측벽 내부에 구비된 힌지축(142d)에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힌지 연결된 회동바(142a)와, 상기 회동바(142a)의 타단에 연결된 부구(142b) 및 상기 회동바(142a)에 장착되어 상기 회동바(142a)의 회전기울기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14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위센서(142)는 수위의 변동에 따라 부구(142b)가 물위에 뜨기 때문에 그에 따라 상기 회동바(142a)가 회전되면서 기울기가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변하는 기울기 센서(142c)의 기울기 값을 이용하여 수위를 환산함으로써 저수탱크(141) 내부의 수위를 계측할 수 있게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수위센서(142)는 수위가 내려가 부구(142b)가 최저점(h1)에 위치된 상태로부터 수위가 상승되어 부구(142b)가 최고점(h2)에 위치된 상태 사이의 범위(h)에서 수위를 계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약품투입장치(150)는 저수탱크(141)의 내부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살균을 위한 약품을 투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약품이 저장되는 약품탱크(151), 약품탱크(151)의 내부에 저장된 약품의 양을 계측하기 위한 액위센서(152) 및 상기 송수관(L2)를 통해 저수탱크(141)로 유입되는 유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53) 및 상기 저수탱크(141)로 유입되는 유량에 따라 제어되어 약품을 상기 약품탱크(151)로부터 저수탱크(141)로 투입하는 투입펌프(1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지하수 관정의 취수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하우징
111 커버
112 케이싱관
113 교합부
120 양수-출수관 연결장치
121 교합헤드
122 연결관
130 제어장치
140 취수 목적지
141 저수탱크
142 수위센서
150 약품투입장치
151 약품탱크
152 액위센서
153 통신부
154 투입펌프

Claims (2)

  1. 삭제
  2.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정 케이싱의 상부에서 하단에 펌프가 연결된 양수관을 관정 케이싱의 내부로 삽입시키고, 그 양수관을 취수 목적지로 연결된 출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관의 하단이 상기 관정 케이싱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출수관이 상기 케이싱관의 측부에 연결된 위치에서 상기 케이싱관의 내부에는 교합부가 형성되며, 커버가 상기 케이싱관의 상부 개구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며,상기 케이싱관의 개구가 지표면 위로 노출되게 지표면에 상기 케이싱관이 매설된 하우징과; 상기 교합부에 결합되는 교합헤드에 상기 양수관이 연결되며, 상기 양수관으로부터 양수된 지하수가 소통되는 배관에 배관시설물이 설치되며, 상기 교합헤드를 상기 교합부에 결합시키면 상기 출수관이 상기 양수관 및 배관과 소통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케이싱관 내부에 장착되는 양수-출수관 연결장치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하우징의 교합부에는, 상기 케이싱관의 측부에 연결된 출수관과 연결되는 유출구가 형성되어 그 유출구가 있는 위치에서 내측에 교합면이 형성되고, 교합면과 대향되는 내측에 가압면이 형성되며,
    상기 양수-출수관 연결장치의 교합헤드에는, 상기 교합부의 교합면과 밀착되는 교합면이 측부에 형성되며, 그 교합헤드의 교합면에 상기 교합부의 교합면에 위치된 유출구와 소통되는 교합부측 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교합부의 가압면에 접촉되는 가압면이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양수관의 상단이 연결되는 양수관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양수관 연결구와 유로로 연결되는 연결관측 출구가 상부에 형성되어 그 연결관측 출구에는 연결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교합부측 출구와 유로로 연결되는 연결관측 입구가 상부에 형성되어 그 연결관측 입구에는 상기 연결관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양수-출수관 연결장치는, 상기 교합헤드의 가압면과 상기 교합부의 가압면이 서로 접촉되어 가압되면서 상기 교합헤드의 교합면이 상기 교합부의 교합면에 밀착되게 교합헤드가 교합부에 교합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
KR1020100036144A 2010-04-20 2010-04-20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 KR101204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144A KR101204051B1 (ko) 2010-04-20 2010-04-20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144A KR101204051B1 (ko) 2010-04-20 2010-04-20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620A KR20110116620A (ko) 2011-10-26
KR101204051B1 true KR101204051B1 (ko) 2012-11-22

Family

ID=4503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144A KR101204051B1 (ko) 2010-04-20 2010-04-20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0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427B1 (ko) * 2016-06-08 2017-02-01 강명지 도심지 매립형 다목적 관측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821B1 (ko) * 2003-11-24 2004-09-08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821B1 (ko) * 2003-11-24 2004-09-08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밀폐형 지하수 심정 덮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427B1 (ko) * 2016-06-08 2017-02-01 강명지 도심지 매립형 다목적 관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620A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097B1 (ko) 관정의 방오,방수장치
KR100902278B1 (ko) 체크밸브를 갖는 물저장부가 구비된 관정 오염방지장치
KR102374983B1 (ko) 부유형 공기 공급장치
KR100976774B1 (ko) 지하수 보호 관정
KR101204051B1 (ko) 지하수 관정의 오염 방지 장치
KR101204055B1 (ko) 지하수 관정의 오염방지 및 취수 시설
US20070245824A1 (en) Liquid Level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840639B1 (ko) 수밀 유지수단이 구비된 지하수 상부보호공
KR100789695B1 (ko) 수밀성이 향상된 수도미터기 일체형 관정용 방오, 방수장치
US7434615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pollution of subterranean water
KR101830622B1 (ko) 지중매설형 상수도 가압장치
KR101254083B1 (ko) 공동수로가 구비된 연결배관 일체형 지하수 상부 밀폐 장치
KR101004130B1 (ko) 수위 조절 시스템
KR200351888Y1 (ko) 지하수공의 상부오염방지장치
KR100937578B1 (ko) 수위측정관용 유도 포켓관을 케이싱 외주부에 구성한 지하수 심정 밀폐식 상부보호공 장치
CA2362710C (fr) Pompe a lixiviat et de depollution, pneumatique, a vanne a manchon
CN112412735B (zh) 一种光电控水负压式龙卷风虹吸管泵系统
KR100817903B1 (ko) 지하수의 관정 보호장치
FR2849640A1 (fr) Installation pour la recuperation d'un fluide polluant contenu dans au moins une tranche de cuves transversale d'un navire coule
CN218411839U (zh) 一种环境水样取样装置
CN218885533U (zh) 一种采水管及取水设备
KR200329459Y1 (ko) 연장한 공기호흡관을 설치한 지하수 심정 밀폐덮개
JP2014018758A (ja) 薬液注入装置
CN219603321U (zh) 取水座结构及取水装置、净水系统
KR101106526B1 (ko) 체크밸브를 갖는 지하수공의 오염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