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663B1 -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663B1
KR101577663B1 KR1020150048113A KR20150048113A KR101577663B1 KR 101577663 B1 KR101577663 B1 KR 101577663B1 KR 1020150048113 A KR1020150048113 A KR 1020150048113A KR 20150048113 A KR20150048113 A KR 20150048113A KR 101577663 B1 KR101577663 B1 KR 101577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level measuring
pipe
measuring pipe
ou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봉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웅지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웅지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웅지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15004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7/00Survey of boreholes or wells
    • E21B47/04Measuring depth or liquid leve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resistance of resistors due to contact with conductor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수 수위 측정시 수위 측정 관 안으로 삽입되는 수위 선이 수위 측정 관 내주 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위 측정 관 내주 면에 부착 방지부가 형성됨으로써, 수위 측정시 수위 측정 관 내부로 수위 선을 삽입하여 하강시킬 때 또는 수위 측정 이후 수위 선을 위로 올려 회수할 때에, 수위 선이 달라붙지 않아서 정확한 수위 측정이 가능하고, 수위 선의 회수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위 측정 관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LEVEL OF GROUND WATER MEASURING}
본 발명은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하수 측정시 수위 측정관 내부에 삽입되는 수위선이 수위 측정관 내부에 들어붙지 않도록 수위 측정관의 내주면 형상을 개선함은 물론 그 수위 측정관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정확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수(Ground Water)는 강수의 일부가 지표에서 지층의 틈새로 침투하여 고이는 물로서, 지층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에 위치하는 불특정한 지반과 지반 사이에 많이 수용되어 있다. 지하수의 수질은 통상적으로 맑고 깨끗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이 심화되고 청결한 음용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최근에는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오염되지 않은 지하수를 찾기 위해서는 지하수 관정을 시추하고 지하수의 수질 및 수위를 측정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특히 수위 측정을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들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10)는, 관정에 수직으로 6-7 m 정도의 케이싱(11)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11)의 상부 주변에는 그라우팅(12)이 7㎝ 이상의 두께로 시공된다.
상기 케이싱(11) 안에는 체결플랜지(13)에 의해서 토출 파이프(14)가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토출 파이프(14)의 하부에는 수중모터(15)가 설치되고, 상기 토출 파이프(14)의 상부에는 체크밸브(V), 유량계(16), 및 출수장치(17)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 파이프(14)의 외 측에는 수위 측정 관(18)이 설치되며, 수위 측정 관(18)은 고정 플랜지(B)에 의해서 상기 토출 파이프(14)에 고정된다.
상기 수위 측정 관(18)은 하나의 관으로 내려가면서 토출 파이프(14)와 묶이게 된다.
관정의 수위 측정시, 상기 수위 측정 관(18)의 내부에는 수위 선(19)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수위 선은 플렉시블한 2개의 와이어로 구성되며, 와이어의 하부 끝단이 지하수 수면에 닿을 때 전류의 변화를 통해서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1)의 내부 중간에는 대수층에서 물이 들어올릴 수 있게 하는 스크린(S)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에서, 관정의 수위 측정시 수위 선(19)을 상기 수위 측정 관(18)의 내부로 삽입하고, 수위 선(19)의 하부 끝단이 수위면에 닿을 때 흐르는 전류변화 감지를 통해서 지하수의 수위를 측정한다.
그러나, 종래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는 하나의 파이프로 내려가면서 토출 파이프(14)와 연결이 이루게 되는데, 수위 측정 관(18)의 내주 면이 밋밋하여 지하수의 수위 측정시 수위 측정 관(18) 내부로 수위 선(19)을 삽입하여 하강시킬 때 또는 수위 측정 이후 수위 선(19)을 위로 올려 회수할 때에, 수위 측정 관(18)의 내주 면에 수위 선(19)이 달라붙어 작업하기가 어렵고, 수위 선(19)의 회수도 쉽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며, 기존 수위측정관은 견고하지 않아서 토출 파이프(14)와 연결이 되면서 작업시, 수위 선이 같이 회전이 되어 일직선상 수위측정관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정확한 수직 수위 검침이 안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0-0124224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수 수위 측정시 수위 측정 관 안으로 삽입되는 수위 선이 수위 측정 관 내주 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위 측정 관 내주 면에 부착 방지부가 형성됨으로써, 수위 측정시 수위 측정 관 내부로 수위 선을 삽입하여 하강시킬 때 또는 수위 측정 이후 수위 선을 위로 올려 회수할 때에, 수위 선이 달라붙지 않아서 정확한 수위 측정이 가능하고, 수위 선의 회수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위 측정 관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제조하고 일직선상으로 정확한 수직 수위 검출할 수 있는,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는 관정에 수직으로 케이싱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의 상부 주변에는 그라우팅이 시공되고, 상기 케이싱 안에는 체결플랜지에 의해서 토출 파이프가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토출 파이프의 하부에는 수중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토출 파이프의 상부에는 체크밸브, 유량계, 및 출수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토출 파이프의 외 측에는 수위 측정 관이 설치되는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로서, 지하수 수위 측정시 상기 수위 측정 관 안으로 삽입되는 수위 선이 상기 수위 측정 관 내주 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위 측정 관 내주 면에 부착 방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부착 방지부는 내주 돌기 또는 내주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위 측정 관은 내부에 관통 공을 갖는 원통형의 외측 관; 상기 관통 공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주 면에 부착 방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 관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양단부에 결합 공간 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내측 관; 및 상기 결합 공간 부안에 양단부가 끼워져서 인접하는 상기 외측 관을 연통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양단부에 상기 결합 공간 부안에 삽입하는 한 쌍의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중간에 구비되며, 상기 외측 관의 양단부와 접하는 접촉부; 및 상기 외측 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위 측정 관의 제조방법으로서, 내부에 관통 공을 갖는 원통형의 외측 관을 제조하는 단계; 원통형을 가지며, 내주면에 부착 방지부를 갖는 내측 관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내측 관을 상기 관통 공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외측 관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 관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 공간 부안에 연결부재의 양단부를 끼워져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외측 관을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재를 융착하면서 상기 외측 관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수위 측정관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관을 제조하는 단계는, 반호형상을 가지는 2개의 반호 내측 관을 서로 맞대고 융착하여 제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수 수위 측정시 수위 측정 관 안으로 삽입되는 수위 선이 수위 측정 관 내주 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위 측정 관 내주 면에 부착 방지부가 형성됨으로써, 수위 측정시 수위 측정 관 내부로 수위 선을 삽입하여 하강시킬 때 또는 수위 측정 이후 수위 선을 위로 올려 회수할 때에, 수위 선이 달라붙지 않아서 정확한 수위 측정이 가능하고, 수위 선의 회수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위 측정 관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제조하여 일직선상으로 정확한 수직 수위 검침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를 보인 도면
도 3은 외측 관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내측 관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외측 관의 내부에 내측 관을 조립한 단면도
도 6은 연결 부재를 이용한 단위 수위 측정 관의 연결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연결 부재를 이용한 단위 수위 측정 관의 연결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고정 브래킷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에서의 수위 측정 관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그의 수위 측정관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를 보인 도면, 도 3은 외측 관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내측 관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외측 관의 내부에 내측 관을 조립한 단면도, 도 6은 연결 부재를 이용한 단위 수위 측정 관의 연결을 보인 단면도, 및 도 7은 연결 부재를 이용한 단위 수위 측정 관의 연결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관정(管井)에 수직으로 케이싱(11)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11)의 상부 주변에는 그라우팅(12)이 시공되고, 상기 케이싱(11) 안에는 체결플랜지(13)에 의해서 토출 파이프(14)가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토출 파이프(14)의 하부에는 수중모터(15)가 설치되고, 상기 토출 파이프(14)의 상부에는 체크밸브(v), 유량계(16), 및 출수장치(17)가 설치되며, 상기 토출 파이프(14)의 외 측에는 수위 측정 관(110)이 설치되는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100)로서, 하수 수위 측정시 상기 수위 측정 관(110) 안으로 삽입되는 수위 선(19)이 상기 수위 측정 관(110) 내주 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위 측정 관(110) 내주 면에 부착 방지부(112a)가 형성된다. 상기 부착 방지부(112a)는 내주 돌기 또는 내주 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위 측정 관(110)은 다수의 단위 수위 측정 관으로 구성되며, 단위 수위 측정 관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수위 측정 관은 내부에 관통 공을 갖는 원통형의 외측 관(111); 상기 관통 공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주 면에 부착 방지부(112a)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 관(111)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양단부에 결합 공간 부(112b)를 형성하는 내측 관(112); 및 상기 결합 공간 부(112b)안에 양단부가 끼워져서 인접하는 상기 외측 관(111)을 연통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11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부재(113)는 양단부에 상기 결합 공간 부(112b)안에 삽입하는 한 쌍의 결합부(113a); 상기 결합부(113a)의 중간에 구비되며, 상기 외측 관(111)의 양단부와 접하는 접촉 부(113b); 및 상기 외측 관(111)의 외주 면을 감싸는 커버부(113c)를 포함한다. 즉, 환형의 접촉 부(113b)의 외측으로는 커버부(113c)가 일체로 위치하고, 접촉 부(113b)의 양측에는 결합부(113a)가 위치되는데, 결합부(113a)는 접촉 부(113b)와 일체로 혹은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촉 부(113b)는 결합 공간 부(112b)안에 양단부가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융착 공정에 의해서 상기 연결 부재(113)는 단위의 수위 측정 관(110)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에서는, 수위 측정 관(110) 내주 면에 부착 방지부(112a)가 형성됨으로써, 수위 측정시 수위 측정 관(110) 내부로 수위 선(19)을 삽입하여 하강시킬 때 또는 수위 측정 이후 수위 선(19)을 위로 올려 회수할 때에, 수위 선(19)이 내측 관(112)의 내주 면에 달라붙지 않아서 정확한 수위 측정이 가능하고, 수위 선(19)의 회수도 용이하다.
또한, 도 8은 도 6의 변형 예로서, 내부에 관통 공(111a)을 갖는 원통형의 외측 관(111)의 양단부에는 확대부(111b)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 공(111a)의 내부에는 내측 관(112)이 결합하며, 상기 내측 관(112)의 내주 면에 부착 방지부(112a)가 구비된다. 상기 내측 관(112)의 양단부는 연결 부재(113')에 의해서 연결되며, 그 연결 부재(113')는 융착 공정을 거쳐서 융착된다. 상기 확대부(111b)는 융착 공정을 거쳐서 연결 부재(113')와 함께 융착됨으로써, 인접하는 외측 관(111)이 서로 연결된다.
또한, 도 9는 고정 브래킷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토출 파이프(14)의 외측으로 수위 측정 관(110)을 고정하는 구조로서, 고정 브래킷(200)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킷(200)은 2개의 파이프가 서로 결합하는 구조로서,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걸림부(201)의 걸림링(202)이 걸림돌기(203)에 걸려서 로킹된다. 걸림부(201)의 젖힘으로 걸림링(202)이 걸림돌기(203)에서 해제되는 경우 언로킹된다. 상기 고정 브래킷(200) 안으로 수위 측정 관(110)이 삽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위 측정 관(110)의 설치가 용이하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에서의 수위 측정 관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수위 측정 관의 제조방법은, 내부에 관통 공(111a)을 갖는 원통형의 외측 관(111)을 제조하는 단계(S 10); 원통형을 가지며, 내주면에 부착 방지부(112a)를 갖는 내측 관(112)을 제조하는 단계(S 20); 상기 한 쌍의 내측 관(112)을 상기 관통 공(111)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S 30); 상기 외측 관(111)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상기 내측 관(112)의 양단부에 형성된 결합 공간 부(112b)안에 연결부재(113)의 양단부를 끼워져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외측 관(111)을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S 40); 상기 연결부재(113)를 융착하면서 상기 외측 관(111)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수위 측정관(110)을 제조하는 단계(S 50);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관(112)을 제조하는 단계(S 10)는, 반호 형상을 가지는 2개의 반호 내측 관(112)을 서로 맞대고 융착하여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하수 수위 측정관 설치공법은 위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서 수위 측정 관을 제조하고, 상기 수위 측정 관을 일직선상으로 설치하여 정확한 수직 수위 검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하수 수위 측정시 수위 측정 관 안으로 삽입되는 수위 선이 수위 측정 관 내주 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위 측정 관 내주 면에 부착 방지부가 형성됨으로써, 수위 측정시 수위 측정 관 내부로 수위 선을 삽입하여 하강시킬 때 또는 수위 측정 이후 수위 선을 위로 올려 회수할 때에, 수위 선이 달라붙지 않아서 정확한 수위 측정이 가능하고, 수위 선의 회수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위 측정 관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110: 수위 측정 관
111: 외측 관
112: 내측 관
112a: 부착 방지부
112b: 결합 공간 부
113,113': 연결 부재
113a: 결합부
113b: 접촉 부
113c: 커버부

Claims (6)

  1. 관정에 수직으로 케이싱(11)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11)의 상부 주변에는 그라우팅(12)이 시공되고, 상기 케이싱(11) 안에는 체결플랜지(13)에 의해서 토출 파이프(14)가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토출 파이프(14)의 하부에는 수중모터(15)가 설치되고, 상기 토출 파이프(14)의 상부에는 체크밸브(V), 유량계(16), 및 출수장치(17)가 설치되며, 상기 토출 파이프(14)의 외 측에는 수위 측정 관(110)이 설치되는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에 있어서,
    지하수 수위 측정시 상기 수위 측정 관(110) 안으로 삽입되는 수위 선(19)이 상기 수위 측정 관(110) 내주 면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위 측정 관(110) 내주 면에 부착 방지부(112a)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 파이프(14)의 외측으로 수위 측정 관(110)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 브래킷(200)을 사용하되, 상기 고정 브래킷(200)은 2개의 파이프가 서로 결합하는 구조로서,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걸림부(201)의 걸림링(202)이 걸림돌기(203)에 걸려서 로킹되며, 상기 걸림부(201)의 젖힘으로 걸림링(202)이 상기 걸림돌기(203)에서 해제되는 경우 언로킹되고, 상기 고정 브래킷(200) 안으로 상기 수위 측정 관(110)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위 측정 관(110)은, 내부에 관통 공(111a)을 갖는 원통형의 외측 관(111)의 양단부에 확대부(111b)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 공(111a)의 내부에 내측 관(112)이 결합하며, 상기 내측 관(112)의 내주 면에 부착 방지부(112a)가 구비되고, 상기 내측 관(112)의 양단부는 연결 부재(113')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연결 부재(113')는 융착 공정을 거쳐서 융착되고, 상기 확대부(111b)는 융착 공정을 거쳐서 상기 연결 부재(113')와 함께 융착됨으로써 인접하는 상기 외측 관(111)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위 측정 관(110)은
    내부에 관통 공(111a)을 갖는 원통형의 외측 관(111);
    상기 관통 공(111a)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주 면에 부착 방지부(112a)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 관(111)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어 양단부에 결합 공간 부(112b)를 형성하는 내측 관(112); 및
    상기 결합 공간 부(112b)안에 양단부가 끼워져서 인접하는 상기 외측 관(111)을 연통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113);를 포함하는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13)는
    양단부에 상기 결합 공간 부(112b)안에 삽입하는 한 쌍의 결합부(113a);
    상기 결합부(113a)의 중간에 구비되며, 상기 외측 관(111)와 접하는 접촉부(113b); 및
    상기 외측 관(111)을 감싸는 커버부(113c);를 포함하는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50048113A 2015-04-06 2015-04-06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KR101577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113A KR101577663B1 (ko) 2015-04-06 2015-04-06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113A KR101577663B1 (ko) 2015-04-06 2015-04-06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663B1 true KR101577663B1 (ko) 2015-12-15

Family

ID=5502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113A KR101577663B1 (ko) 2015-04-06 2015-04-06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6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066B1 (ko) 2016-12-26 2017-03-10 주식회사 성지엔지니어링 지하수의 수위와 수질을 자동관측하는 지하수 조사장치
CN114183126A (zh) * 2021-12-16 2022-03-15 上海长凯岩土工程有限公司 一种降水井异位观测水位的实施方法
KR102402232B1 (ko) * 2022-04-13 2022-05-26 박상주 자동수위 측정과 사후관리를 위한 지하수관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126Y1 (ko) * 2004-02-27 2004-06-04 (주) 두안수자원 개발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KR101219468B1 (ko) * 2012-06-27 2013-01-11 (주) 한승테크놀러지 지중경사계 및 지하수위계 겸용 계측장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126Y1 (ko) * 2004-02-27 2004-06-04 (주) 두안수자원 개발 지하수공 압착식 상부밀폐덮개장치
KR101219468B1 (ko) * 2012-06-27 2013-01-11 (주) 한승테크놀러지 지중경사계 및 지하수위계 겸용 계측장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066B1 (ko) 2016-12-26 2017-03-10 주식회사 성지엔지니어링 지하수의 수위와 수질을 자동관측하는 지하수 조사장치
CN114183126A (zh) * 2021-12-16 2022-03-15 上海长凯岩土工程有限公司 一种降水井异位观测水位的实施方法
CN114183126B (zh) * 2021-12-16 2023-09-19 上海长凯岩土工程有限公司 一种降水井异位观测水位的实施方法
KR102402232B1 (ko) * 2022-04-13 2022-05-26 박상주 자동수위 측정과 사후관리를 위한 지하수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663B1 (ko) 지하수 수위 측정장치
KR101991503B1 (ko) 지반 침하 예측을 위한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성 평가방법
CA2762236C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nd restoring service lines in pipeline rehabilitation
NO20161890A1 (en) WELLBORE SYSTEMS WITH HYDROCARBON LEAK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S
KR101833026B1 (ko) 지중경사계 및 지하수위계 겸용 측정장치
US9371729B2 (en) Permeameter probe
MX2013013540A (es) Verificacion de hinchamiento en un pozo.
KR101961766B1 (ko) 지중경사 및 지하수위 측정장치
DK3019692T3 (en) DEVICE AND PROCEDURES FOR CEMENTED MULTI ZONE COMPLEMENTATIONS
CN108956211A (zh) 地下水定深取样探头、使用该探头的采样系统及采样方法
KR200422104Y1 (ko) 지층별 침하량 측정을 위한 층별침하계
CN112880637A (zh) 一种地下暗涵工程沉降变形及地下水位监测两用测点
CN209764193U (zh) 一种压阻式水位计防堵接头
CN208950571U (zh) 一种水平井筛管过油管检测设备
KR101507142B1 (ko) 시추공 보호용 스프링형 탄성 스트레이너 키트 장치
KR101812071B1 (ko) 일체형 친환경 지중경사수위계의 측정관 및, 이의 설치 방법 및 폐공 방법
CN106802177A (zh) 一种辅助安装水深监测压力传感器的装置
CN110411391B (zh) 管道轴向位移检测装置和方法
CN206556719U (zh) 一种辅助安装水深监测压力传感器的装置
KR200492673Y1 (ko) 수위 및 경사측정이 가능한 다목적 케이싱
KR101531566B1 (ko) 한계류를 확인할 수 있는 플륨 유량계
CN114838703B (zh) 一种分层沉降监测装置及其施工工艺
KR101284054B1 (ko) 미니 피에조미터
CN218097940U (zh) 一种自动监测水位的观测井
CN217132263U (zh) 智能井盖倾斜位移及定位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