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430Y1 -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 - Google Patents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430Y1
KR200361430Y1 KR20-2004-0014990U KR20040014990U KR200361430Y1 KR 200361430 Y1 KR200361430 Y1 KR 200361430Y1 KR 20040014990 U KR20040014990 U KR 20040014990U KR 200361430 Y1 KR200361430 Y1 KR 200361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eel pipe
stopper
season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9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롯데삼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롯데삼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롯데삼강
Priority to KR20-2004-00149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4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8Containers for delivering jam, mustard, or the like
    • A47G19/186Containers for delivering jam, mustard, or the like combined with a spreading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용기 내에 공기가 유입되지 못함으로 해서 내용물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던 문제점이 있었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개의 배출구를 이중의 철재관으로 구성하되, 큰 지름의 철재관 내부에 작은 지름의 철재관을 삽입 고정하여, 보다 넓은 단면적의 외부 철재관으로는 용기 내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의 내부 철재관을 통해서는 용기 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결국 용기 내의 내용물이 보다 원활히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Cap structure of bottle for seasoning}
본 고안은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마개의 배출구를 이중의 철재관으로 구성하되, 큰 지름의 철재관 내부에 작은 지름의 철재관을 삽입 고정하여, 큰 지름의 외부 철재관으로는 용기 내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서 작은 지름의 내부 철재관으로는 용기 내 내용물이 외부 배출되도록 구성한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의 맛을 좌우하는 조미료는 일상 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아니되는 필수 음식 재료로서, 이는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첨가되는 것은 물론이고 조리 후 음식을 먹게 될 때 각자 기호에 맞추어 추가적으로 첨가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리 중이나 시식 중 음식에 첨가되는 조미료는 최초 구입시의 용기에 그냥 보관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즉, 사용시의 편리함이나 위생상의 문제, 그리고 조미료가 놓여지는 주방이나 테이블 등의 미적인 요소 및 기호 등을 고려하여 식당이나 요리 전문점은 물론 일반 가정에서도 별도 구비한 조미료용 용기에 담아서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미료의 경우 요리 중에 시간에 맞추어 신속한 투입이 요구되고, 음식의 맛을 위해 조리사나 시식자가 원하는 양 만큼의 적당량이 투입되어야 하며, 음식의 재료로서 보관시 위생상 문제가 없도록 보관되어야 하는 바, 이에 조미료 용기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고, 또한 기능적인 측면들이 많이 고려된 조미료용 용기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조미료용 용기에 대해서도 가정 주부들, 그리고 요리 전문점 등에서는 미적인 요소를 보다 중시하는 경향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을 재료로 하여 외관을 화려하게 꾸민 조미료용 용기라든지, 투명 유리를 사용하여 내용물이 들여다 보일 수 있게 심플하게 꾸민 유리병 용기 등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조미료용 용기는 음식에 첨가되는 조미료를 보관하는 용기이므로, 기본적으로는 내용물인 조미료를 배출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하여야 하고, 또한 내용물을 쉽게 넣을 수 있도록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즉, 통상의 조미료용 용기는 그 재질이나 형상에 관계 없이 조미료를 수용하는 용기와, 내용물인 조미료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가지며, 조미료를 용기 내에 쉽게 넣을 수 있도록 용기 입구에는 상기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탈부착 가능한 별도 마개가 설치된다.
이것의 예로서, 첨부한 도 4a 및 도 4b는 병 형태로 된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및 배출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는 마개(20)를 사용하여 용기(10)의 입구를 막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20)에는 중앙에 전술한 바와 같은 조미료 배출용의 배출구(22)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a에서는 용기(10)의 목부분(11)에 끼워지는 마개 하단 삽입부(21)의 외주상에 고무 또는 코르크 부재(23)를 부착함으로써 마개(20)가 용기 목부분(11)에 억지끼움 형식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구성을, 도 3b에서는 마개 하단 삽입부(21)의 외주와 용기 목부분(11)의 내주에 각각 나사선(11a,21a)을 형성하여 마개(20)를 용기(10)의 목부분(11)에 돌려 끼움으로써 고정되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조미료용 용기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먼저, 용기(10) 내부에 액상의 조미료가 담겨 있는 상태로 용기(10)를 기울여 마개(20)의 배출구(22)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키고자 할 때, 이 내용물이 외부로 잘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유리병 용기의 경우 내용물을 짜내어 배출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결국에는 사용이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문제는 마개(20)로 용기(10) 입구를 막은 상태로 배출구(22)가 내용물에 의해 막혀 있으면서 조미료의 액면 위로는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데, 이는 용기 입구를 넓게 하고 마개의 면적을 크게 제작한 후 마개에 배출구 외에 추가로 공기유입용 구멍을 별도 형성하여 해결할 수는 있으나, 이 경우 공기유입용 구멍을 조미료 배출구로 사용할 수 있는 바, 이 구멍이 막히게 되면 설치목적을 달성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마개의 배출구를 이중의 철재관으로 구성하되, 큰 지름의 철재관 내부에 작은 지름의 철재관을 삽입 고정하여, 보다 넓은 단면적의 외부 철재관으로는 용기 내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의 내부 철재관을 통해서는 용기 내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결국 용기 내의 내용물이 보다 원활히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용기와 함께 본 고안의 마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마개 구조가 적용된 조미료용 용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의 종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종래 유리병 용기의 마개 및 배출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1 : 투입구
12 : 깔대기 형상부 30 : 마개
31 : 마개 본체 32 : 외부관(외부 철제관)
33 : 내부관(내부 철제관) 34 : 커버 플레이트
35 : 보조 마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조미료가 수용되는 용기의 투입구를 막아주도록 된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투입구에 끼워지도록 된 마개 본체에 용기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이중관 구조의 배출구를 관통 설치하되, 상대적으로 큰 지름의 관 내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철재관을 삽입 고정하고, 상기 작은 지름의 내부관은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길게 삽입되도록 하단 입구를 마개 본체 하측으로 길게 돌출시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큰 지름의 외부관은 그 하단 입구 끝이 마개 본체 하단에서 안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들어간 형태가 되도록 상대적으로 짧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 본체의 상면을 덮어 부착되는 커버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이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외부관의 외주상에 고정되어서, 상기 마개 본체와 외부관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매개로 일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마개의 배출구를 이중의 철재관으로 구성하되, 큰 지름의 철재관 내부에 작은 지름의 철재관을 삽입 고정하여, 큰 지름의 철재관으로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서 작은 철재관으로는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구성한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에서는 큰 지름의 철재관을 통해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은 지름의 철재관으로는 용기의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다음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용기와 함께 본 고안의 마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마개 구조가 적용된 조미료용 용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의 종단면도이다.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조미료가 수용되는 병 모양의 유리 용기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마개(30)가 적용되는 유리 용기(10)의 상단은 내용물을 중앙의 투입구(10a)를 통해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된 구조의 깔대기 형상부(12)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마개(30)는 이 깔대기 형상부(12)의 중앙에 형성된 투입구(10a)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이 투입구(10a)에 끼워지는 마개(30)의 본체(31)는 코르크 재질로 되어 있으면서 중앙에는 큰 지름의 철재관(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31a)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마개 본체(31)의 중앙 홀(31a) 내에는 상대적으로 큰 지름의 외부관(32)이 삽입 고정되며, 이 큰 지름의 외부관(32) 내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내부관(33)이 삽입 고정된다.
예컨대, 상기 두 관(32,33)을 스테인레스 재질의 철재관으로 제작하되, 큰 지름의 외부 철재관(32)을 내경이 대략 7mm가 되도록 제작하고, 작은 지름의 내부 철재관(33)을 내경이 대략 2mm가 되도록 제작한다.
상기 두 철재관(32,33)은 용접의 방법으로 완전 고정되며, 상단부 일정 구간이 한쪽 방향으로 살짝 굽힘 형성된 구조로 제작된다.
또한, 큰 지름의 외부 철재관(32)에는 코르크 마개 본체(31)의 홀(3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마개 본체(31)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게 커버 플레이트(34)가 고정 설치되는데, 이 커버 플레이트(34)의 하면과 마개 본체(31)의 상면 사이에는 접착제 등이 사용되어 마개 본체(31)와 커버 플레이트(34)가 완전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커버 플레이트(34)는 큰 지름의 외부 철재관(32) 외주상에 용접이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완전 고정된다.
한편, 상기 외부 철재관(32)의 하단 입구 끝은 마개 본체(31)의 홀(31a) 내에서 마개 본체(31) 하단으로부터 안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들어간 형태가 되도록 상대적으로 짧게 삽입되고, 상기 내부 철재관(33)은 하단 입구 끝이 마개 본체(31) 및 외부 철재관(32) 하측으로 길게 돌출될 수 있도록 외부 철재관(32)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 철재관(32)의 상단부에는 외부 철재관의 상단 출구를 막아줄 수 있도록 된 별도의 보조 마개(35)가 설치된다.
이 보조 마개(35)는 외부 철재관(32)의 외주상에 끼워지는 링(36)과, 외부 철재관(32)의 상단 출구 외주상으로 끼워지도록 구비된 마개부(37)와, 상기 링(36)과 마개부(37)를 연결하는 연결띠(38)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10)에 내용물을 투입할 경우 마개(30)를 용기(10)의 상단 투입구(10a)에서 완전히 분리시킨 후 액상의 조미료를 깔대기 형상부(12)의 윗면에 부어 용기(10) 내부로 투입하고, 코르크로 이루어진 마개 본체(31)를 용기 투입구(10a)에 완전히 끼워 닫아준 후, 보조 마개(35)를 이용하여 외부 철재관(32)의 상단 출구를 닫아준다.
이와 같이 내용물이 담겨진 상태에서, 조미료 배출시에는 보조 마개(35)를 열고 용기(10)를 거꾸로 뒤집어 주게 되며, 이때 내용물은 작은 지름의 내부 철재관(33)의 하단 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내부 철재관(33) 안쪽으로 흐른 후 상단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바, 이와 같이 내용물이 내부 철재관(33)을 따라 흘러 배출되면서 큰 지름의 외부 철재관(32) 안쪽으로는 공기가 유입되어진다.
이와 같이 외부 철재관(32) 안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동시에 내용물은 내부 철재관(33)의 내부를 따라 원활히 배출되어지게 된다.
만약, 큰 직지름의 외부 철재관(32) 안쪽으로 액상의 조미료가 일부 먼저 흐르더라도 외부 철재관(32)의 지름이 내부 철재관(33)의 지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곧 공기가 외부 철재관(32)을 통해 유입되어지면서, 내부 철재관(33)으로는 내용물이 용기 밖으로 배출되고, 외부 철재관(32)으로는 공기가 용기(10) 내로 유입되게 된다.
즉, 용기(10)를 순간 뒤집어 외부 철재관(32)으로 내용물이 잠시 배출되다가, 곧 넓은 단면적의 외부 철재관(32)을 통해 공기가 빨려 들어가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의 내부 철재관(33)으로는 내용물이, 외부 철재관(32)으로는 공기가 흐르게 되는 경로 설정이 이루어지는 바, 실제 내용물 배출시에는 작은 단면적의 내부 철재관(33)으로만 내용물이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중 철재관 구조의 배출구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마개가 적용됨으로 해서 액상의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용기를 뒤집은 상태에서 작은 지름의 내부 철재관을 통해 항상 일정한 양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으며, 내용물의 원활한 배출은 물론 내용물 배출의 조절이 보다 용이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에서는 마개의 배출구를 이중의 철재관으로 구성하되, 큰 지름의 철재관 내부에 작은 지름의 철재관을 삽입 고정하여, 큰 지름의 외부 철재관으로는 용기 내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서 작은 지름의 내부 철재관으로는 용기 내 내용물이 외부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넓은 단면적의 외부 철재관으로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의 내부 철재관을 통해서만 내용물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마개 구조가 적용될 경우 용기의 내용물이 보다 원활히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내부 철재관을 통해 항상 일정한 양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내용물 배출의 조절이 보다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는 내용물을 짜내어 배출할 수 없는 유리병 용기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Claims (3)

  1. 조미료가 수용되는 용기의 투입구를 막아주도록 된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투입구에 끼워지도록 된 마개 본체에 용기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결하는 이중관 구조의 배출구를 관통 설치하되, 상대적으로 큰 지름의 관 내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의 철재관을 삽입 고정하고, 상기 작은 지름의 내부관은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길게 삽입되도록 하단 입구를 마개 본체 하측으로 길게 돌출시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큰 지름의 외부관은 그 하단 입구 끝이 마개 본체 하단에서 안쪽으로 일정 길이만큼 들어간 형태가 되도록 상대적으로 짧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개 본체의 상면을 덮어 부착되는 커버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이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외부관의 외주상에 고정되어서, 상기 마개 본체와 외부관이 상기커버 플레이트를 매개로 일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
KR20-2004-0014990U 2004-05-29 2004-05-29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 KR200361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90U KR200361430Y1 (ko) 2004-05-29 2004-05-29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90U KR200361430Y1 (ko) 2004-05-29 2004-05-29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430Y1 true KR200361430Y1 (ko) 2004-09-14

Family

ID=4943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990U KR200361430Y1 (ko) 2004-05-29 2004-05-29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4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38973C (en) Containers and container closures
KR20010062798A (ko) 흘러내림 방지 공급장치용 탄성중합체 밸브
JP2012517386A (ja) 飲料容器用閉鎖体
AU2006221525A1 (en) Spout fitting and container
KR20080016771A (ko) 용기 출구용 뚜껑 구조체
US20110284595A1 (en) Handled bottle
KR200361430Y1 (ko) 조미료용 용기의 마개 구조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WO2022174810A1 (zh) 一种瓶类器皿
KR102349187B1 (ko) 음료용 친환경 푸어러
RU223484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отребл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представляющей собой напиток, состоящий как минимум из двух компонентов
KR200361431Y1 (ko) 조미료용 유리병 용기
JP2008127070A (ja) 調味料液同時注出容器
US2011122A (en) Shaker top
US11420783B1 (en) Bottles for packaging liquids for retail
JP4458337B2 (ja) 飲料容器
KR200488128Y1 (ko) 음료컵용 컵 뚜껑
KR200308371Y1 (ko) 숨겨진 빨대와 캐릭터
JP4780861B2 (ja) ストロー
KR200438625Y1 (ko)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KR200200551Y1 (ko) 병 뚜껑이 달린 용기
JP2577689Y2 (ja) 茶こし器付ポット
KR200485937Y1 (ko) 음료 또는 주류용 캔용기
KR20090011009U (ko) 액체 저장 용기용 마개
KR20060000096U (ko) 뚜껑 겸용 컵과 보조 컵이 구비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