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719Y1 - 에어백 구속수단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 Google Patents

에어백 구속수단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719Y1
KR200360719Y1 KR20-2004-0016923U KR20040016923U KR200360719Y1 KR 200360719 Y1 KR200360719 Y1 KR 200360719Y1 KR 20040016923 U KR20040016923 U KR 20040016923U KR 200360719 Y1 KR200360719 Y1 KR 200360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ter
airbag
freeze
air ba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
Original Assignee
금호미터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두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미터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두레테크 filed Critical 금호미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6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7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7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절기에 수도 계량기 내부의 물이 얼어서 부피가 팽창하여도 수축에 의하여 팽창된 부피를 흡수할 수 있도록 외갑과 하부내갑 사이에 에어백을 구비한 수도 계량기에 있어서 에어백의 위치변동을 제한하여 위치이탈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는, 외갑과 하부내갑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충진된 도우넛 형상의 에어백이 내장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을 고정시키는 구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에어백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를 조립함에 있어서, 외갑 바닥면과 하부내갑 바닥면 사이에 배치된 에어백을 구속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수도 계량기 내부의 물이 동결할 경우 에어백이 일측으로 치우치거나 일부분만이 집중적으로 압박되어 쉽게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구속수단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WATER METER FOR PREVENTING DESTRUCTION BY FREEZING HAVING MEANS FOR RESTRICTING MOVEMENT OF AIR BAG}
본 고안은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절기에 수도 계량기 내부의 물이 얼어서 부피가 팽창하여도 수축에 의하여 팽창된 부피를 흡수할 수 있도록 외갑과 하부내갑 사이에 에어백을 구비한 수도 계량기에 있어서 에어백의 위치이동을 제한하여 위치이탈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도 계량기는 동절기의 저온 상황에서 계량기 내부에 잔존하는 물이 얼 경우 부피팽창에 따라 파손되는 일이 잦았다.
이러한 수도 계량기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그러한 시도 중의 하나는 계량기를 따뜻하게 유지하여 동절기 중에 계량기 내부의 물이 얼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계량기 내부의 물이 얼더라도 계량기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특히 후자의 방법에 있어서, 계량기 내부의 물이 얼 때 팽창한 부피를 흡수할 수 있는 부재를 계량기 내부에 설치하여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물이 얼 때 팽창하는 부피를 흡수할 수 있는 계량기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986-0001677호에 개시된 것으로, 계량기 내부에 에어백을 구비하여 물의 동결시 수반되는 부피팽창을 에어백의 수축을 통해 흡수하는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가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한 수도 계량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입수공(11)과 출수공(12)을 구비한 외갑(10)과, 외갑(10)의 내부에 차례로 삽입된 하부내갑(20),임펠러(30), 상부내갑(40), 감속기어(50), 표시침(60), 표시창(70)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부내갑(40)의 하부와 하부내갑(20)의 바닥면과 외갑(10)의 바닥면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에어백(80, 81)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80, 81)은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있으며 충진된 공기의 압력은 통상적인 수도관 내부의 압력 이상으로 유지되며, 계량기 내부의 물이 동결할 때 수축하면서 부피 팽창분을 흡수하여 계량기의 동파를 방지한다. 특히 상부내갑(40)의 하부에 장착되는 에어백(81)은 임펠러(30)의 회전축(31)이 상하로 관통하여 감속기어(50)과 접할 수 있도록 도우넛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외갑(10)과 하부내갑(20) 사이에 장착되는 에어백(80) 또한 상기 에어백(81)과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에서는 특히 하부내갑과 외갑 사이에 배치된 에어백이 조립 과정은 물론 운반 과정에서 정위치에 고정되지 못하고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수도 계량기 내부의 물이 동결될 경우 에어백이 일방향으로 밀려나거나 일부분에만 집중적으로 압력이 가해져 쉽게 파열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이 동결하더라도 에어백이 외갑과 하부내갑 사이의 공간에서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는 구속수단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외갑 20 하부내갑
30 임펠러 40 상부내갑
41 걸림돌기 50 감속기어
60 표시침 70 표시창
80, 81 에어백 101 오목부
102 격벽 103, 104 고정돌기
본 고안에 따른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는, 외갑의 바닥면과 하부내갑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충진된 도우넛 형상의 에어백이 내장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외갑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된 오목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하부내갑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의 외주면을 구속하는 격벽을 포함하거나, 상기 외갑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의 내주면을 구속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거나, 상기 하부내갑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의 내주면을 구속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입수공(11)과 출수공(12)을 통해 물이 드나드는 외갑(10)은 통상 금속제이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갑(10)의 내부공간에는 하부내갑(20)과 임펠러(30)와 상부내갑(40)과 감속기어(50)와 표시침(60)과 표시창(70)이 차례로 조립된다. 특히 상기 하부내갑(20)과 외갑(10) 사이, 또는 상부내갑(40)의 하부에는 공기가 충진된 에어백(80, 81)이 내장된다. 상기 에어백(80, 81) 중 특히 상부내갑(40) 하부에 배치된 에어백(81)은 임펠러(30)의 회전축이 관통할 수 있도록 도우넛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내갑과 외갑 사이에 배치된 에어백(80) 또한 생산성과 호환성을 고려하여 같은 도우넛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은 앞서 설명한 종래의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외갑(10)의 바닥면에는 에어백(8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함몰된 오목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101)의 측면 둘레가 에어백(80)의 외주면에 접하여 에어백(8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내갑(20)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격벽(102)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102)은 내측면이 에어백(80)의 외주면에 접하여 에어백(8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외갑(10)의 바닥면과 하부내갑(20)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장착된 에어백(80)이 도우넛 형상을 이루고 있다. 외갑(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고정돌기(103)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03)는 도우넛 형상의 에어백(80)의 중앙 구멍을 관통하여 에어백(80)의 내주면과 접하며, 에어백(8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의 제4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앞선 제3 실시예와 같이 특히 외갑(10)의 바닥면과 하부내갑(20)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장착된 에어백(80)이 도우넛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예는 하부내갑(20)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고정돌기(10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04)는 도우넛 형상의 에어백(80)의 중앙 구멍을 관통하여 에어백(80)의 내주면과 접하며, 에어백(8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에어백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를 조립함에 있어서, 외갑 바닥면과 하부내갑 바닥면 사이에 배치된 에어백을 구속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수도 계량기 내부의 물이 동결할 경우 에어백이 일측으로 치우치거나 일부분만이 집중적으로 압박되어 쉽게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5)

  1. 외갑의 바닥면과 하부내갑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충진된 도우넛 형상의 에어백이 내장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에어백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외갑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하부내갑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의 외주면을 구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외갑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의 내주면을 구속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하부내갑의 바닥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의 내주면을 구속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수도 계랑기.
KR20-2004-0016923U 2004-06-16 2004-06-16 에어백 구속수단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KR200360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923U KR200360719Y1 (ko) 2004-06-16 2004-06-16 에어백 구속수단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923U KR200360719Y1 (ko) 2004-06-16 2004-06-16 에어백 구속수단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719Y1 true KR200360719Y1 (ko) 2004-09-01

Family

ID=4943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923U KR200360719Y1 (ko) 2004-06-16 2004-06-16 에어백 구속수단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7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14425B (zh) 一种轴流风扇
JP2010070251A (ja) パンク補修液収容容器
US10995867B2 (en) Automatic reset flood valve
KR200360719Y1 (ko) 에어백 구속수단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US20080087035A1 (en) Condensed water drain structure
US20050254974A1 (en) Submersible motor-driven pump with an anti-frost device
JP2003232472A (ja) 管状部材の取付構造
KR200360717Y1 (ko) 에어백 고정판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KR200360720Y1 (ko) 복수의 볼 형상의 에어백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KR200361186Y1 (ko) 에어백 보호용 케이스를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JP2007326384A (ja) 車両のホイールアッセンブリ
KR200360718Y1 (ko) 두 겹의 에어백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KR20060004495A (ko)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KR200375927Y1 (ko) 수도계량기용 보호통
KR200177676Y1 (ko) 단열기능이 보강된 수도 계량기 보호통의 뚜껑
KR100582755B1 (ko)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JP2008131791A (ja) ファンモータの水抜構造
KR200346145Y1 (ko) 동파방지용 수도 계량기
KR102620628B1 (ko) 동파 방지 구조를 갖는 수도미터
KR20110001574U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보강 장치
KR200232616Y1 (ko) 동파방지장치
JP3216791B2 (ja) 電子ユニットボックスの排水構造
KR200237785Y1 (ko) 동파방지용 수도계량기
CN212899643U (zh) 变速器外壳通气结构
JP2009127571A (ja) ウォータ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