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128Y1 -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 - Google Patents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128Y1
KR200360128Y1 KR20-2004-0014353U KR20040014353U KR200360128Y1 KR 200360128 Y1 KR200360128 Y1 KR 200360128Y1 KR 20040014353 U KR20040014353 U KR 20040014353U KR 200360128 Y1 KR200360128 Y1 KR 200360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uide hole
fragrance
nozzle
in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김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기 filed Critical 김윤기
Priority to KR20-2004-0014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1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1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의 방향제 용기를 내장시켜서 사용하며 사용자가 특정부위를 손으로 누르면 방향제가 분사되는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누름커버(200)가 수직하강하는 힘으로 방향제용기(30)의 노즐(32)을 눌러서 방향제가 분사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hand operated perfume sprayer}
본 고안은 액상의 방향제 용기를 내장시켜서 사용하며 사용자가 특정부위를 손으로 누르면 방향제가 분사되는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실과 같은 협소한 공간의 벽면에 설치하여 놓고 필요할 때만 작동시켜서 방향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자동식 방향제 분사기는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방향제가 자동적으로 분사되도록 한 것이나 구조가 복잡하고 비교적 고가인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종래의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는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는 주로 화장실과 같이 협소한 공간의 벽면에 부착시켜 놓고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만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서 과도한 방향제 분사로 인한 폐단을 해소하였다. 즉, 방향제를 협소한 공간에서 일정주기로 분사할 경우에 머리가 아프고 눈이 따가우며 호흡곤란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도 1 및 도 2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이하, '분사기' 라고 칭함)는 방향제 용기(30)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힌지식으로 결합되는 누름커버(20)로 대별된다.
케이스(10)는 앞쪽이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으로서 내측 상부에 끼움턱(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 상단부에 힌지용 돌기(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의 후면에는 양면접착패드(1)를 부착하여 벽면(3)의 임의위치에 분사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케이스(10)의 상단에는 고정공(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사기를 못이나 나사를 이용하여 벽면(3)의 임의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누름커버(20)는 뒤쪽이 개방된 상자형으로서 상단면 중앙에 분사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부 양쪽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레버(22)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종래의 분사기는 누름커버(20)가 케이스(1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하면서 레버(22)를 힌지용 돌기(12)에 끼움으로서 누름커버(20)가 힌지용 돌기(1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방향제 용기(30)는 그 환형테두리(31)가 케이스(10)의 끼움턱(110)에 끼워지도록 장착하면 누름커버(20)의 분사공(21)이 방향제 용기(30)에 구비된 노즐(32)의 상단에 대치하게 된다.
이와같이, 분사기를 벽면(3)에 설치한 상태에서 방향제 용기(30)를 장착하면 분사기를 작동시키지 않는 동안에는 노즐(32)의 탄발력에 의하여 누름커버(20)의 하단이 전방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있게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커버(20)를 후방으로 누르면 방향제용기(30)의 노즐(32)이 눌려지면서 분사공(21)을 통하여 방향제가 분사되고 방향제용기(30)의 노즐(32)의 탄발력에 의하여 누름커버(20)의 하단이 평상시와 같이 튀어나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종래의 분사기는 누름커버(20)를 후방으로 누르는 방식으로 사용되는데, 통상적으로 길이가 5mm인 방향제 용기(30)의 노즐(32)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누름커버(20)의 하단이 15mm 이상 튀어나와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분사기가 벽면(3)으로부터 많이 돌출되는 구조로 된다. 따라서 종래의 분사기는 큰 용량의 방향제 용기(30)를 사용할 수록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투박하게 보이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분사기는 방향제를 분사시키기 위하여 누름커버(20)를 누르면 분사공(21)이 회전하면서 노즐(32)의 상단을 눌러주기 때문에 누름커버(20)를 누를 때마다 마찰음이 생기고 점차 노즐(32)이 휘어져서 분사공(21)을 통하여 방향제가 제대로 분사되지 않는 폐단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누름커버가 돌출되는 정도를 최소화하고 누름커버가 수직 하강하는 힘으로 방향제용기의 노즐을 눌러서 방향제가 분사되도록 한 분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의 분해 사시도
도 2a,b는 도 1에 도시한 분사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의 분해 사시도
도 4a,b는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양면접착패드 2; 고정공 3; 벽면
30; 방향제 용기 31; 환형테두리 32; 노즐
100; 케이스 110; 끼움턱 120; 수직형 가이드홀
121; 통로 130; 경사형 가이드홀 200; 누름커버
210; 분사공 220; 상부돌기 230; 하부돌기
본 고안은 앞쪽이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으로서 내측 상부에 끼움턱(110)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턱(110)에 방향제 용기(30)의 환형테두리(31)를 끼워서 장착할 수 있는 케이스(100)와, 뒤쪽이 개방된 상자형으로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방향제 용기(30)의 노즐(32)에 대치되도록 상단면 중앙에 분사공(210)이 형성된 누름커버(200)로 구성된 통상의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벽면(3) 상측에는 각각 수직형 가이드홀(120)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벽면(3) 하측에는 경사형 가이드홀(130)을 형성하며, 상기 누름커버(200)의 내측벽면(3)의 상하 양측에 각각 상부돌기(220)와 하부돌기(230)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돌기(220)는 상기 수직형 가이드홀(120)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돌기(230)는 상기 경사형 가이드홀(130)에 삽입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a,b는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케이스(100)는 앞쪽이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이며 내측 상부에는 반원형의 끼움턱(1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상적인 방향제 용기(30)의 환형테두리(31)를 끼워서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누름커버(200)는 뒤쪽이 개방된 상자형으로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이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케이스(100)에 장착된 방향제 용기(30)의 노즐(32)에 대치되도록 상단면 중앙에 분사공(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이며, 그리고 종래와 마찬가지로 케이스(100)의 후면에는 양면접착패드(1)를 부착하여 벽면(3)의 임의위치에 분사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케이스(100)의 상단에는 고정공(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사기를 못이나 나사를 이용하여 벽면(3)의 임의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케이스(100)에 형성된 수직형 가이드홀(120)과 경사형 가이드홀(130) 및 누름커버(200)에 형성된 상부돌기(220)와 하부돌기(230)에 있다.
수직형 가이드홀(120)은 케이스(100)의 양측벽면(3) 상측에 형성된 것으로 그 길이는 노즐(32)의 작동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형 가이드홀(120)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통로(121)를 형성함으로서 누름커버(200)의 상부돌기(220)가 결합 또는 분리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수직형 가이드홀(120)은 대략 "ㄱ"자 형으로 형성하여 누름커버(200)의 상측을 케이스(100)와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수직형 가이드홀(120)의 길이를 노즐(32)의 작동거리 보다 길게 형성한 것은 누름커버(200)의 하부를 열고 방향제 용기(30)를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한 것이다.
경사형 가이드홀(130)은 케이스(100)의 양측벽면(3) 하측에 형성된 것으로 누름커버(200)의 하단이 회전되는 반경과 노즐(32)의 작동되는 깊이를 고려하여 형성하면 된다.
부언하여, 상기 수직형 가이드홀(120)과 경사형 가이드홀(130)은 케이스(100)의 외측벽면(3)을 홈형태로 형성하여도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
누름커버(200)의 내측벽면(3)의 상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상부돌기(220)와 하부돌기(230)는 케이스(100)의 수직형 가이드홀(120)과 경사형 가이드홀(13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누름커버(200)를 케이스(100)에 결합하게 된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은 누름커버(200)를 케이스(100)에 결합하고 종래와 같이 일정 장소의 벽면(3)에 고정한 상태에서 방향제 용기(30)를 장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분사기에 방향제 용기(30)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노즐(32)이 분사공(210)을 상향으로 지지하게 됨으로 상부돌기(220)와 하부돌기(230)는 각각 수직형 가이드홀(120)과 경사형 가이드홀(130)의 상사점에 위치하게 되고 누름커버(200)의 전면은 벽면(3)과 수평이 된다.
사용자가 누름커버(200)의 하부를 후방으로 누르면 하부돌기(230)가 경사형 가이드홀(130)을 따라 깊숙이 진입됨과 동시에 상부돌기(220)는 수직가이드홀을 따라 하향으로 이동된다. 이에따라 누름커버(200)의 상부는 수직하방으로 하강하고 누름커버(200)의 하부는 양간 후퇴하면서 분사공(210)이 노즐(32)을 하측방향으로 눌러주게 되어 방향제가 분사된다.
물론, 사용자가 누름커버(200)를 누르고 난 후에는 노즐(32)의 탄발력으로 누름커버(200)가 초기위치로 자동 복귀되어 누름커버(200)의 전면이 벽면(3)과 수평이 된다.
한편, 방향제 용기(30)를 교체할 때에는 누름커버(200)를 한손으로 잡고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 상부돌기(220)가 상사점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한 상태에서 누름커버(200)의 하부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하부돌기(230)가 경사형 가이드홀(130)로부터 이탈됨으로 방향제 용기(30)를 교체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부돌기(220)를 통로(121)를 통하여 이탈시켜서 누름커버(200)를 케이스(100)와 완전히 분리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누름커버(200)의 하부가 돌출되지 않고 누름커버(200)의 하부 회전각도가 작아서 보다 큰 용량의 방향제 용기(30)를 장착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설치공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누름커버(200)가 수직하강하는 힘으로 방향제용기(30)의 노즐(32)을 눌러서 방향제가 분사되도록 하였으므로 누름커버(200)의 분사공(210)과 노즐(32)의 마찰음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 중 노즐(32)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앞쪽이 개방되어 있는 상자형으로서 내측 상부에 끼움턱(110)을 형성하여 상단에 노즐(32)이 구비된 통상의 방향제 용기(30)를 환형테두리(31)를 끼워서 장착할 수 있는 케이스(100)와, 뒤쪽이 개방된 상자형으로서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방향제 용기(30)의 노즐(32)에 대치되도록 상단면 중앙에 분사공(210)이 형성된 누름커버(200)로 구성된 통상의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벽면(3) 상측에는 각각 수직형 가이드홀(120)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벽면(3) 하측에는 경사형 가이드홀(130)을 형성하며, 상기 누름커버(200)의 내측벽면(3)의 상하 양측에 각각 상부돌기(220)와 하부돌기(230)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돌기(220)는 상기 수직형 가이드홀(120)에 삽입되고 상기 하부돌기(230)는 상기 경사형 가이드홀(130)에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수직형 가이드홀(120)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통로(121)를 형성하여 상기 수직형 가이드홀(120)이 대략 "ㄱ"자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형 가이드홀(120)의 길이는 장착된 방향제용기(30)의 노즐(32) 작동거리 보다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
KR20-2004-0014353U 2004-05-24 2004-05-24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 KR200360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353U KR200360128Y1 (ko) 2004-05-24 2004-05-24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353U KR200360128Y1 (ko) 2004-05-24 2004-05-24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128Y1 true KR200360128Y1 (ko) 2004-08-31

Family

ID=4943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353U KR200360128Y1 (ko) 2004-05-24 2004-05-24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1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428B1 (ko) 2008-05-30 2009-06-05 김병철 벽면 고정형 전동식 소독액 분무장치
KR101880045B1 (ko) * 2017-06-23 2018-07-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버튼식 소화장치
KR20200136107A (ko) * 2019-05-27 2020-12-07 김민성 스프레이 캔 자동분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428B1 (ko) 2008-05-30 2009-06-05 김병철 벽면 고정형 전동식 소독액 분무장치
KR101880045B1 (ko) * 2017-06-23 2018-07-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버튼식 소화장치
KR20200136107A (ko) * 2019-05-27 2020-12-07 김민성 스프레이 캔 자동분사장치
KR102265543B1 (ko) 2019-05-27 2021-06-15 김민성 스프레이 캔 자동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43986A1 (en) Braking structure of measuring tape
US6016588A (en) Combination door catch and stop
KR200360128Y1 (ko) 수동식 방향제 분사기
US6930263B2 (en) Switch assembly for electronic appliances
JP3100367U (ja) 自動洗剤ディスペンサーのケース
KR200433909Y1 (ko) 도어 스토퍼
KR200201979Y1 (ko) 절수 샤워헤드
CN219345488U (zh) 喷雾装置的喷口密封组件及喷雾装置
JP4203937B2 (ja) 液体噴出容器
JP5582950B2 (ja) エアゾール容器を備える固定噴射用ケース
CN117225635A (zh) 一种按压式喷雾装置和浴缸
JP2020032111A (ja) 浴室カウンター構造
KR200158797Y1 (ko) 터치식 및 수동식 겸용 향 분사장치
JP4413690B2 (ja) 手洗器の設置構造
CN215383278U (zh) 一种烹饪器具
CN219327145U (zh) 一种按键式暗装淋浴器
JP3134506U (ja) 引出しスライドレール固定装置
JPH0244870Y2 (ko)
CN208892267U (zh) 电水壶
JP2008056300A (ja) キャップ
KR200365611Y1 (ko) 용기의 호환성을 가지는 방향제 자동발산장치
KR200221640Y1 (ko) 통기타용 이퀄라이져 구조
KR980009133U (ko) 냉장고의 도어 손잡이 구조
JP4388247B2 (ja) カーテンのふさかけ
CN117685372A (zh) 喷雾装置的喷口密封组件及喷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