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715Y1 - 가구용 힌지 - Google Patents

가구용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715Y1
KR0135715Y1 KR2019940005083U KR19940005083U KR0135715Y1 KR 0135715 Y1 KR0135715 Y1 KR 0135715Y1 KR 2019940005083 U KR2019940005083 U KR 2019940005083U KR 19940005083 U KR19940005083 U KR 19940005083U KR 0135715 Y1 KR0135715 Y1 KR 0135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ounting plate
furniture
fixed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5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773U (ko
Inventor
천성엽
Original Assignee
이흥식
주은리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식, 주은리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흥식
Priority to KR2019940005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715Y1/ko
Publication of KR950027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7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8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of cylind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의 문의 개폐에 사용되는 가구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의 측벽에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힌지의 프레임 부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힌지는 볼트를 이용하여 직접 고정하는 고정식 마운팅 플레이트와, 외부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착탈이 가능한 구조의 착탈식 마운팅 플레이트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힌지를 개시하고 있다.
가구의 측벽에 고정되는 고정식 또는 착탈식의 마운팅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힌지는, 프레임의 측벽부에, 착탈식의 마운팅 플레이트의 전방의 레버와 체결되는 선단 돌기부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후방의 길이 방향의 홈에 끼워지는 고리형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용 힌지
제1도는 종래의 힌지를 마운팅 플레이트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힌지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힌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힌지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본 고안은 가구용 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짝에 부착되는 힌지를 가구의 측벽에 부착된 마운팅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힌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폐되는 문이 있는 모든 가구에는, 문짝의 개폐를 위하여 힌지를 사용한다. 힌지(1)는 통상 문짝에 부착되고, 가구의 측벽에 부착, 고정되어 있는 마운팅 플레이트(2,3)에 결합함으로써, 가구에 문을 결합하여 개폐가능하게 사용 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문짝 또는 가구의 측벽에 관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며, 이하에서 이러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종래의 힌지(1)를 마운팅 플레이트(2,3)에 결합 고정하는 구조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통상 마운팅 플레이트(2,3)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스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힌지와 고정시키는 고정식 마운팅 플레이트(2)가 있고, 다른 것으로는 별도의 부재없이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한 착탈식 마운팅 플레이트(3)가 있다.
전자의 마운팅 플레이트(2)의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의 벽에 고정된 마운팅 플레이트(2)에 힌지의 프레임부(6)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킨 후, 피스(4)등의 고정 수단으로, 프레임부(6)의 상면의 개구를 통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후자의 경우, 마운팅 플레이트(3)가 가구의 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것은 동일하다. 그리고 힌지(1)의 프레임부(6)의 내측에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또하나의 부재가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의 프레임부(6)의 내면에는 체결용 부재(10)가 내부에서 핀(12,14)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용 부재는 후술하는 착탈식 마운팅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체결용 부재(10)가 없는 힌지는 통상 제1도에 도시된 고정용 마운팅 플레이트(2)에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착탈식의 마운팅 플레이트(3)에 같이 사용할 수 있는 힌지에 관한 요구가 높아지자 착탈식의 마운팅 플레이트(3)에 장착되는 특정 구조를 구비한 체결용 부재를 힌지의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결합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힌지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별도의 부재없이 착탈이 가능한 마운팅 플레이트(3)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는 결합되는 힌지의 체결 부재(10)와 체결되기 위하여,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20)에 의하여 항상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선단부의 레버(16)와, 상기 레버(16)의 대향측, 즉 후단부의 측벽에는 돌기가 일방향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의 홈(18)이 양측에 성형되어 있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3)에 결합되는 힌지의 프레임부(6)의 내부에 고정된 체결용 부재(10)는 상술한 레버(16)와 홈(18)에 결합되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의 체결용 부재(10)는, 마운팅 플레이트(3)의 홈부(18)에 수납되는 고리형 돌기(22)가 양측벽에 성형되고, 마운팅 플레이트(3)의 레버와 맞물리게 되는 선단돌출부(24)가 성형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구성되는 힌지(1)의 프레임부(6)를 마운팅 플레이트(3)에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프레임부(6)의 고리형 돌기(22)를 마운팅 플레이트(3)의 홈부(18)에 끼우고 이러한 상태에서 선단돌출부(24)를 마운팅 플레이트(3)의 레버(16)를 향하여 눌러 내리게 되면, 선단돌기부(24)가 레버(16)의 하면으로 들어가면서 레버에 걸리게 되고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장착되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해체를 하고자 할때에는, 상기 돌기의 좌단을 누르면 레버는 선단돌기부(24)와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힌지(3)는 마운팅 플레이트로 부터 해방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체결용부재(10)를 내부에 별도로 장착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은 2종류의 마운팅 플레이트, 즉 고정용 마운팅 플레이트(2)와 착탈식 마운팅 플레이트(3)의 어느것과도 호환성 있게 사용하기 위한 것이 주된 목적의 하나이다. 그리고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용 부재(10)와 프레임부(6)의 상면에서 나사 결합되어 있는 볼트(26)를 이용하여 내부부재(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하여, 힌지가 마운팅 플레이트에 장착되었을 때 문짝의 두께에 따라 힌지의 높이의 미세한 조정을 위해서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종래의 힌지의 프레임부의 구성에 있어서는 프레임부(6)의 내면에 또하나의 체결용부재(10)를 장착하는 것은 생산의 면에서는 많은 단점이 있다. 즉 상기의 체결용부재(10)를 별도로 제조해야 하고 이를 힌지의 프레임부의 내면에 고정시켜야 하는 등, 생산 단가의 상승에서부터 제조 공정이 복잡해 지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힌지가 착탈식의 마운팅 플레이트(3) 보다 고정식 마운팅 플레이트(2)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바,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면, 생산 단가 또는 제조 공정의 면에서 상당히 불리하다. 또한 힌지는 문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어서, 그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한 구조를 필요로 하는 바, 상술한 종래의 힌지는 프레임부에 의하여 문에 고정되나, 프레임부의 내측의 체결용 부재(10)에 의하여 마운팅 플레이트와 고정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그 설계에 있어서도 체결용 부재로 인하여 더욱 복잡한 과정을 겪게 된다. 또한 하중의 지지라는 측면에 있어서는, 이러한 복잡한 구조는 상당한 단점으로 작용하게 되고, 힌지의 신뢰성이 문제로 제기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간단한 구성으로 고정식 마운팅 플레이트 및 착탈식 마운팅 플레이트에 같이 사용할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더욱 간단한 구조로서 문의 하중을 더욱 신뢰성 있게 지지할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힌지는, 가구의 측벽에 고정되는 고정식 또는 착탈식의 마운팅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가구용 힌지에 있어서, 힌지의 프레임의 측벽부에, 착탈식의 마운팅 플레이트의 전방의 레버와 체결되는 선단 돌기부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후방의 길이 방향의 홈에 끼워지는 고리형 돌기를 형성한 것을 그 요지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힌지(30)는, 가구의 측벽에 장착된 마운팅 플레이트(40)와 연결되는 프레임부(32)에 직접 체결 구조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의 측벽에 고정되는 마운팅 플레이트(40)의 형상과 구조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제3도에서는 착탈식의 마운팅 플레이트(4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 의한 힌지는 이러한 착탈식의 마운팅 플레이트 뿐만 아니라 제1도에 도시된 고정식의 마운팅 플레이트(2)에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먼저 착탈식의 마운팅 플레이트(40)는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취하는 데, 중요한 부분만을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방부분에는 내장된 스프링(42)에 의하여 항상 일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레버(44)(도면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항상 시계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있다)가 회동 가능하게 핀결합된다. 그리고 후방부에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약간 돌출한 돌출부분(48)(실질적으로 마운팅 플레이트에 있어서는, 상기 레버의 후단부에는 전체의 길이에 대하여 약간 돌출한 부분이 있다)의 양측벽에 홈(46)이 길이 방향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홈은 후단부부터 후술하는 고리형 돌기가 끼워지도록 성형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착탈식의 마운팅 플레이트(40)에 결합되어 체결되는 본 고안에 의한 힌지(30)는 그 프레임부분(32)의 측벽에 상기 레버(44) 및 홈(46)에 결합되는 구조를 직접 구비한다. 즉 프레임(32)의 선단부에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레버(44)에 걸리게 되는 선단 돌기부(34)가 하단의 양측벽에 각각 성형된다. 상기 선단 돌기부(34)는 측벽에 성형되어 있고, 그 돌기부(34)의 하면은 마운팅 플레이트(40)의 레버와 결합되기 위하여 일정한 경사를 가진 경사부(38)이 성형된다. 이 경사부(38)는, 힌지를 결합할 때 레버(44)의 선단부를 밀어서 레버가 후퇴되었다가 선단 돌기부(34)에 걸리도록 된다. 그리고, 후단부에는 마운팅 플레이트(40)의 홈(46)에 삽입되는 고리형 돌기(36)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고리형 돌기(36)는, 홈(46)의 형상에 적합하기 위하여 측벽이 일부 절개되면서,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돌출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마운팅 플레이트(40)의 길이 방향의 상기 홈(46)에 후방으로 부터 끼워져서, 일정 위치에서 멈추게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결합 상태가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힌지(30)를 마운팅 플레이트(40)에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고리형 돌기(36)를 마운팅 플레이트(40)의 길이 방향의 홈(46)에 후방으로 부터 끼운다. 다음에는 힌지(30)의 선단 돌기부(34)가 성형된 힌지의 선단부를 마운팅 플레이트의 레버(44)를 향하여 가압한다. 그러면 프레임의 경사부(38)가 레버(44)의 선단에 닿게 되고 가압력에 의하여 레버(44)를 일단 후퇴시켰다가 상기 돌기부(34)가 상기 레버의 하부에 까지 들어가면 다시 스프링(42)의 탄성에 의하여 레버(44)는 전진하게 되어 상기 돌기부(34)와 체결된다. 이러한 상태가 힌지(30)이 마운팅 플레이트(40)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이고,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에 문의 두께에 따라 힌지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던 볼트(26)(제2도 참조)를 본 고안에 있어서는, 프레임의 상측벽에 직접 볼트(50)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볼트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 이동하는 볼트의 단부가, 결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40)의 상면과 직접 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힌지의 높이의 미세한 조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힌지가 제1도에 도시된 고정식의 마운팅 플레이트(2)에 장착되는 경우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게, 본 고안 힌지의 프레임(32)의 상면에 성형된 개구부(38)(일부분 도시)를 통하여 볼트로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힌지는 고정식의 마운팅 플레이트와 착탈식의 마운팅 플레이트에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고, 그 구성에 있어서 특히 간단하여 생산 단가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제조 공정이 훨씬 간단해져서 생산성 향상에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문의 하중을 지지해야 하는 힌지의 구조를 더욱 강하게 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힌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가구의 측벽에 고정되는 고정식 또는 착탈식의 마운팅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가구용 힌지에 있어서, 힌지의 프레임의 측벽부에, 착탈식의 마운팅 플레이트의 전방의 레버와 체결되는 선단 돌기부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후방의 길이 방향의 홈에 끼워지는 고리형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힌지.
KR2019940005083U 1994-03-14 1994-03-14 가구용 힌지 KR0135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083U KR0135715Y1 (ko) 1994-03-14 1994-03-14 가구용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083U KR0135715Y1 (ko) 1994-03-14 1994-03-14 가구용 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773U KR950027773U (ko) 1995-10-18
KR0135715Y1 true KR0135715Y1 (ko) 1999-03-30

Family

ID=1937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5083U KR0135715Y1 (ko) 1994-03-14 1994-03-14 가구용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7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773U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8769B1 (en) Backset adjustment structure of dead bolt assembly for door lock
CA3050499C (en) Switch panel assembly, switch assembly and associated manufacturing method
US4068349A (en) Hinge
US4359803A (en) Hinge for cabinet door mirror
KR0135715Y1 (ko) 가구용 힌지
CN115681274A (zh) 快速装配式桌架连接结构及电动升降桌
JP2573372Y2 (ja) 蛍光灯ユニットにおけるソケットカバーの取付構造
JPH04307082A (ja) パチンコ機
JPH11309031A (ja) 引き出しガイド構造
KR200149276Y1 (ko) 가구용 힌지
KR200187449Y1 (ko) 가구용 힌지 조립체
KR200143490Y1 (ko) 컴퓨터 확장 모듈 고정 구조
CN212805776U (zh) 一种具有拆卸功能的吸油烟机
KR920005102Y1 (ko) Vtr의 데크 플레이트 고정장치
JPH0718106Y2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
KR200260696Y1 (ko) 가구용 힌지
CN207260810U (zh) 洗碗机铰链与门体的连接结构
KR100244036B1 (ko) 냉장고의 상부힌지
JP2541847Y2 (ja) 天板付きスチール家具
CN107536592B (zh) 线扣、底座及洗碗机
KR890003502Y1 (ko) 가전기기용 컨트롤팩 인출장치
KR940005365Y1 (ko) 전자레인지의 이젝트 버튼 설치구조
KR970003497Y1 (ko) 더블데크(double deck)형 카세트 도어 잠금장치
JPH06203619A (ja) 照明器具のカバー係止装置
JPH0466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