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502Y1 - 가전기기용 컨트롤팩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가전기기용 컨트롤팩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502Y1
KR890003502Y1 KR2019850017509U KR850017509U KR890003502Y1 KR 890003502 Y1 KR890003502 Y1 KR 890003502Y1 KR 2019850017509 U KR2019850017509 U KR 2019850017509U KR 850017509 U KR850017509 U KR 850017509U KR 890003502 Y1 KR890003502 Y1 KR 890003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d
pack
cabinet
control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7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622U (ko
Inventor
신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17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502Y1/ko
Publication of KR870011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6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5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전기기용 컨트롤팩 인출장치
제1도 (a)(b)는 본 고안에 의한 컨트롤팩이 몸체내에 삽입 또는 전방 돌출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a)(b)(c)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캐비넷
3 : 컨트롤팩 4,9 : 안내봉
5 :탄성걸림구 6 : 스톱퍼
7,11 : 스프링 8 : 누름판
10 : 탄성판 21 : 저어널
12 : 이탈방지부 13 : 작동판
22,23 : 유동방지구
본 고안은 특히 텔레비젼과 같이 다수의 컨트롤 노브를 구비하는 가전기기의 컨트롤팩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컨트롤부의 구조를 하나의 팩화시켜서 록킹해제 버튼에 의해 몸체의 외부로 돌출 자재토록 설치하므로서, 사용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고져 함을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가전기기의 디자인 패턴이 콤팩트 및 심플화함에 따라 각종 컨트롤장치가 외부 노출부에 고정설치되던 최기의 단계에서 벗어나, 별도의 컨트롤 박스나 팩등을 써서 각종 조절노브를 한 곳에 집중시킴과 동시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위치시키고 있다.
그래서, 컨트롤 부위등을 몸체 안쪽에 넣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대부분 개폐용 도어를 만들어 컨트롤부위를 막아 버린다든지, 동적인 운동없이 설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하여, 가전기기의 외관을 상당히 콤팩트 심플화 시켰지만, 각종 조절노브가 도어 후방의 후미진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를 작동시키기 위하여는 우선 도어를 일일이 여닫아 줘야 하는 도어 개폐동작이 선행돼야 하므로 사용상의 상당한 불편이 뒤따르고, 별도의 도어를 제작 설치해야 하므로 그에 따르는 각종 제작 및 설치상의 문제가 필연적으로 대두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위와같은 제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어를 배제하면서 록킹해제 버튼에 의해 몸체에 위치하고 있던 컨트롤팩(박스)가 직접 외부를 돌출토록 하므로서, 도어의 역할을 대신하고 사용이 편리함과 동시, 작동의 능률화와 제작의 용이성, 구조의 단순화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전자기기의 각종 조절장치를 일정형태의 팩에 집중시켜 조절장치의 일원화를 도모하도록 구성하고, 몸체(1)하부의 캐비넷(2)내부에 위치한 컨트롤팩(3)에 전방 인출장치를 설치 구성함에 있어서,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컨트롤팩(3)을 4각체로 형성하면서 중앙 후방에 후단에 탄성걸림구(5)를 중앙부위에 스톱퍼(6)를 설치한 일정길이의 팩 안내봉(4)을 설치하였으며, 선단에는 컨트롤팩(3)하방의 몸체(1) 전방으로 돌출된 누름판(8)을 연결설치하고 후단에는 상기 탄성걸림구(5)와 접촉되는형 탄성판(10)을 일체로 형성하여 일정길이의 버튼 안내봉(9)을 각각 형성하여 몸체(1)의 통공(1')을 통해 캐비넷(2)내부로 삽입 팩 안내봉(4)의 하방에 위치토록 하였다.
그리고,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캐비넷(2)의 내부 전면에는 상기 팩 및 버튼 안내봉(4)(9)을 각기 상, 하측으로 관통시키면서 지지하여 수평 전ㆍ후진 동작이 가능토록 하는 저어널(21)과 저어널(21)의 후면과 캐비넷(2) 후면에는 각각형 탄성판(10)의 상부 전ㆍ후에 인접설치하여 이탈 및 후진을 방지토록 하는 유동방지레버(23)(22)를 형성 구비한 뒤, 팩 안내봉(4) 외주면의 스톱퍼(6)와 저어널(21)에 그리고 버튼 안내봉(9) 외주면의 누름판(8)과 몸체(1)사이에 각각 압축스프링(7)(11)을 탄동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팩 안내봉(4) 후단의 탄성걸림구(5)가 버튼안내봉(9)후단의 탄성판(10)상부에 걸려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컨트롤팩(3)의 전면이 캐비넷(2)의 개구부측면 즉 몸체(1)전면과 일치되어 도어의 역할을 대신하면서 스프링(7)을 압축시키고 캐비넷(2)내부에 삽입된 상태이다(도면 제1도(a) 및 제3도(a) 참조).
기기의 조절을 위하여 컨트롤팩(3)을 외부로 돌출시키고져 전방 돌출된 하방의 누름판(8)을 누르면, 버튼 안내봉(9)이 후진함에 따라 전ㆍ후면에 인접된 유동방지레버(23)(22)에 의해 상부의 움직임이 제어되며 팩안내봉(4)후단의 탄성걸림구(5)와 면접촉 록킹시키고 있던 탄성판(10)의 하단부가 약간 뒤로 밀리게 되므로서(도면 제5도 (나)참조), 상단부가 전방으로 숙여지면서 걸림구(5)의 록킹이 해제됨과 동시 압축되었던 스프링(7)의 탄력으로서 걸림구(5)전면이 저어널(21)후면에 걸릴때까지 전진하여 컨트롤팩(3)이 같은 거리만큼 전방 돌출되는 것이다(도면 제1도(b) 및 제3도(c) 참조).
이때, 누름판(8)을 놓게 되면 압축스프링(11)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몸체(1)로부터 일정간격 만큼 전방돌출되고, 탄성판(10)도 수직위치로 환원되는 것이다.
그후, 컨트롤팩(3)을 사용하고 난 뒤에는 캐비넷(2)내부로 밀어넣으면 팩안내봉(4) 후단의 탄성걸림구(5)와 하방의 탄성판(10) 상단부위가 탄성 결합 록킹되어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은, 각종 조작노브를 중앙집중화로 집약시켜 놓은 컨트롤팩(3)이 누름판(8)조작에 의해 전방으로 자동인출되고 사용후에는 밀어넣기만 하면 스스로 록킹작용을 하므로서, 종래의 도어 개폐식 보다 조작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해 졌음은 물론이고, 컨트롤팩(3)전면이 도어역할을 겸하게 되므로서, 별도의 도어를 필요치 않아 부품절약에 따르는 제조원가의 절감과 제작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컨트롤팩(3)의 출입동작이 정확하고 신속한 등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몸체(1)하부의 캐비넷(2)내부에 위치하면서 각종 조절노브를 집약 설치한 일정형태의 컨트롤팩(3)에 전방인출장치를 설치 구성함에 있어서, 컨트롤팩(3)의 후방에는 후단에 탄성걸림구(5)와 중앙부위에 스톱퍼(6)를 가지는 일정길이의 팩 안내봉(4)과, 선단에는 몸체(1)전방으로 일정간격 만큼 돌출될 누름판(8)과 후단에는 상기 걸림구(5) 록킹용형 탄성판(10)을 구비하고 팩 안내봉(4) 하방에 설치되는 버튼안내봉(9), 캐비넷(2) 내부 저면에는 안내봉(4)(9)관통 지지용 저어널(21)과 그 후면과 캐비넷(2)후면에 각기 유동방지레버(23)(22)를 각기 구비하면서, 저어널(21)과 스톱퍼(6) 그리고 누름판(8)과 몸체(1)사이에 각기 스프링(7)(11)을 탄동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컨트롤 팩 인출장치.
KR2019850017509U 1985-12-24 1985-12-24 가전기기용 컨트롤팩 인출장치 KR890003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509U KR890003502Y1 (ko) 1985-12-24 1985-12-24 가전기기용 컨트롤팩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509U KR890003502Y1 (ko) 1985-12-24 1985-12-24 가전기기용 컨트롤팩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622U KR870011622U (ko) 1987-07-18
KR890003502Y1 true KR890003502Y1 (ko) 1989-05-25

Family

ID=1924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7509U KR890003502Y1 (ko) 1985-12-24 1985-12-24 가전기기용 컨트롤팩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5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622U (ko) 198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7263A (en) Belt lock for a safety belt
US5358323A (en) Console with snap fit end caps
KR890003502Y1 (ko) 가전기기용 컨트롤팩 인출장치
US6109667A (en) Over-center toggle latch with integral switch
US4099757A (en) Door catches
US5877939A (en) Snap door for a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JPS6144352Y2 (ko)
KR0130438B1 (ko) 록크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푸쉬형 스위치
JPS5811102Y2 (ja) 収納装置
JPS6331845U (ko)
KR910003310Y1 (ko) 원격제어용 송신기의 수납장치
JP2539656Y2 (ja) 芳香装置の切換え構造
KR200148396Y1 (ko) 소형 수제금고의 시건장치
KR900007792Y1 (ko) 가전제품의 도어 로크장치
KR920003520Y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도어 개폐장치
JP2533099Y2 (ja) 障子の引寄せ機構
JPH0648758B2 (ja) 収納ケ−ス
KR0116654Y1 (ko) 텔레비젼 케이스 체결장치
KR890001953Y1 (ko) 다기능 풋쉬 노브
JPH0643956Y2 (ja) 押釦スイッチ
JPS6026417Y2 (ja) 操作ボタン取付装置
KR960001572Y1 (ko) 전자제품의 도어 개방 장치
KR950002899Y1 (ko) 전자레인지의 스위치 작동구조
KR880004485Y1 (ko) 원격조정송신기 케이스의 출입장치
KR900003719Y1 (ko) 전자 제품 조정 패널 삽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2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