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036B1 - 냉장고의 상부힌지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상부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036B1
KR100244036B1 KR1019970058410A KR19970058410A KR100244036B1 KR 100244036 B1 KR100244036 B1 KR 100244036B1 KR 1019970058410 A KR1019970058410 A KR 1019970058410A KR 19970058410 A KR19970058410 A KR 19970058410A KR 100244036 B1 KR100244036 B1 KR 100244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upper hinge
support piece
refrigerator
ne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593A (ko
Inventor
정관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5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4036B1/ko
Publication of KR19990038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05D7/12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없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냉장고의 상부힌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는, 목부분과 상기 목부분보다 크게 성형되는 멈춤부분을 각각 구비하는 전방지지편 및 후방지지편을 구비하고, 냉장고의 상면에 고정되는 힌지지지구와; 전방지지편에 삽입되어 좌우 유동이 방지되는 걸림홈과, 후방지지편의 목부분에 삽입되어 상하 좌우 방향의 유동을 방지하는 노치를 구비하고, 냉장고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힌지; 그리고 상기 전방지지편의 목부분에 삽입되는 고정공과, 상기 고정공의 양측에 하향 성형되어, 상부힌지의 상면을 가압하는 탄성편을 구비하고, 회전하여 상기 후방지지편의 멈춤부분에 체결되는 힌지레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상부힌지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수공구 없이 도어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의 상부힌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4)는, 상부힌지어셈블리와 하부힌지어셈블리(도시생략)에 의하여 냉장고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부힌지어셈블리는,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상면에 고정되는 힌지지지구(12)와, 상기 힌지지지구(12)를 통하여 냉장고에 고정되는 상부힌지(10), 그리고 상기 상부힌지(10)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스크류(S)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먼저 힌지지지구(12)를 냉장고본체(2)의 상면에 고정하고, 그 상단에 상부힌지(10)를 올려서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체결스크류(S)를, 힌지지지구(12)와 상부힌지(10)에 각각 성형된 체결공(10b, 12b)을 통하여 체결함으로써, 상부 힌지어셈블리가 완성된다.
이렇게 고정된 상부힌지(10)의 힌지핀(12a)에, 냉장고 도어(4)의 상단면에 성형된 힌지공(도시 생략)이 삽입되어 도어(4)는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상부힌지어셈블리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먼저, 도어의 조립 및 분해시, 상기 체결스크류(S)를 체결, 해체하기 위한 별도의 수공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최근 냉장고의 대형화추세에 의하여, 운반시에는 냉장고 도어(4)를 분리한 다음, 집의 내부에서 다시 상기 도어(4)를 체결하는 경우가 빈번한 바,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또한 복수개의 체결스크류(S)를 사용하는 점에 의하여, 도어(4)의 조립 및 분해가 번거로운 작업이었다.
그리고 복수개의 체결스크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스크류가 마모 등의 이유로 손상되면, 상부힌지 자체가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없이 간단하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상부힌지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힌지의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힌지의 결합 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힌지 지지구 32 : 전방지지편
32a, 34a : 목부분 32b, 34b : 멈춤부분
34 : 후방지지편 34c : 체결후크
40 : 상부힌지 42 : 힌지핀
44 : 걸림홈 46 : 사각노치(notch)
50 : 힌지레버 52 : 걸림홈
54 : 고정공 56 : 탄성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상부힌진어셈블리는, 목부분과 상기 목부분보다 크게 성형되는 멈춤부분을 각각 구비하는 전방지지편 및 후방지지편을 구비하고, 냉장고의 상면에 고정되는 힌지지지구와; 전방지지편에 삽입되어 좌우 유동이 방지되는 걸림홈과, 후방지지편의 목부분에 삽입되어 상하 좌우 방향의 유동을 방지하는 노치를 구비하고, 냉장고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힌지; 그리고 상기 전방지지편의 목부분에 삽입되는 고정공과, 상기 고정공의 양측에 하향 성형되어, 상부힌지의 상면을 가압하는 탄성편을 구비하고, 회전하여 상기 후방지지편의 멈춤부분에 체결되는 힌지레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부힌지는 별도의 공구없이 용이하게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체결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스크류의 손상에 의한 상부힌지의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본체의 상면(20)에 고정되는 힌지지지구(30)는, 각각 상부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전방지지편(32)와 후방지지편(34)를 구비하고 있다. 힌지지거구(30)에서 직립 성형된 전방지지편(32)는, 상부힌지(40)가 걸리게 되는 목부분(32a)와, 상기 목부분(32a) 보다 크게 성형되어 상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멈춤부분(32b)로 구성된다.
그리고 힌지지지구(30)에서 직립 성형된 후방지지편(34)는, 상부힌지(40)의 후단부 사각노치(46)가 걸리게 되는 목부분(34a)와, 상기 목부분(34a) 보다 크게 성형되어, 상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멈춤부분(34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지지편(34)의 멈춤부분(34b)에는, 후술하는 힌지레버(50)이 체결되는 체결후크(34c)가 성형된다. 상기 체결후크(34c)는, 측면부분이 개구된 형상으로, 힌지레버(50)의 걸림홈(52)이 체결되며, 상기 힌지레버(50)를 안내하는 안내경사면(34s)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힌지지지구(3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힌지(40)가 조립된다. 상부힌지(40)는, 냉장고도어의 힌지공(도시 생략)에 삽입되는 힌지핀(42)과, 상기 힌지지지구(30)의 전방지지편(32)에 삽입되는 걸림홈(44), 그리고 후단부의 사각노치(46)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홈(44)은, 상기 전방지지편(32)이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부분으로, 가로방향으로 넓게 성형된 삽입부분(44a)과, 전방지지편(32)의 목부분(32a)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분(44b)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분(44b)은, 전방지지편(32)의 목부분(32a)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성형함으로써, 목부분(32a)이 상기 걸림부분(44b)에 삽입되게 되면, 가로방향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힌지(40)의 후단에는 사각노치(notch)(46)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사각노치(46)는, 후방지지편(34)의 목부분(34a)에 걸리게 되는 부분으로, 사각노치(46)의 폭(a)은 목부분(34a)의 폭(a)과 동일하게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상부 힌지(40)의 사각노치(46)가, 후방지지편(34)의 목부분(34a)에 걸리게 되면, 좌우 유동이 방지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후방지지편(34)의 목부분(34a)의 높이는(h)는, 실질적으로 상부힌지(40)의 두께(t)와 동일하게 성형하고 있다. 따라서 상부힌지(40)의 사각노치(46)가, 후방지지편(34)의 목부분(34a)에 걸리게 되면, 상하 및 좌우 방향의 유동이 방지되고 완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된다.
다음에는 힌지레버(50)에 대하여 살펴본다. 힌지레버(50)는 상부힌지(40)가 힌지지지구(30)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상부힌지(40)를 완전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조립되는 부분이다. 상기 힌지레버(50)는, 전방부분이 좁은 폭을 가지고 개구되어 있는 고정공(54)과, 후단부의 측면에 성형된 걸림홈(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공(54)은, 힌지지지구(30)의 목부분(32a)에 끼워지는 부분이고, 걸림홈(52)는 힌지지지구(30)의 체결후크(34c)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공(54)의 양측으로는, 하방을 향하여 약간 경사지도록 성형되어 있는 탄성편(56)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56)은, 그 단부가 상부힌지(40)의 상면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상부힌지(40)가 하방으로 더욱 가압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힌지어셈블리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도 3을 같이 참조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냉장고 상면(20)에 고정된 힌지지지구(30)에 상부힌지(40)를 조립한다.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상부힌지(40)의 걸림홈(44)이 전방지지편(32)으로 삽입된다. 이 때 상기 전방지지편(32)은, 걸림홈(44)의 삽입부분(44a)를 통하여 삽입되고, 일단 삽입된 다음에는 전방지지편(32)의 목부분(32a)이, 걸림홈(44)의 걸림부분(44b)에 걸리도록, 상부힌지(40)를 후방으로 밀어서 고정시킨다. 이 때 상부힌지(40) 후방의 사각노치(46)는, 후방지지편(34)의 목부분(34a)에 걸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부힌지(40)의 후단부는 사각노치(46)가 목부분(34a)에 걸려 있기 때문에 좌우 상하로의 유동이 방지되고 있다. 즉 목부분(34a)의 폭(a)은 사각노치(46)의 폭(a)과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목부분(34a)의 높이(h)는 상부힌지(40)의 두께(t)와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부힌지(40)의 후단부는,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고 있다.
그리고 이 때 상부힌지(40)의 전방부는, 걸림홈(44)의 걸림부분(44b)에, 전방지지편(32)의 목부분(32a)가 걸려 있기 때문에,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고 있다. 즉 상기 걸림부분(44b)의 폭(d)은, 목부분(32d)의 폭(c)와 동일한 치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은 방지되고 있다. 다만, 상부힌지(40)의 전방부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소정의 유격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힌지레버(50)의 고정공(54)를, 전방의 개구부를 통하여 전방지지편(32)의 목부분(32a)에 삽입한다. 이렇게 상기 힌지레버(50)의 고정공(54)이 상기 목부분(32a)에 삽입되면, 힌지레버(50)의 좌우측에 하향 성형된 탄성편(56)의 단부는 상부힌지(40)의 상면을 가압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상부힌지(40)의 전방부의 상하 방향의 유동을 완전하게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레버(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레버(50)의 후단부를 화살표로 도시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힌지레버(50)의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홈(52)이, 힌지지지구(30)의 후방지지편(34)의 체결후크(34c)에 걸리게 되어, 반대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체결후크(34c)에의 체결은, 힌지레버(50)의 후단부가 경사안내면(34s)를 따라 안내되어 들어가서, 걸림홈(52)이 체결후크(34c)에 걸리는 것에 의하여 완전하게 체결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힌지의 고정구조에 대하여 다시 한번 살펴보기로 한다.
상부힌지(40)의 후단부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후단부에 성형되어 있는 사각노치(46)가 힌지지지구(40)의 후방지지편(34)의 목부분(34a)에 걸리는 것에 의하여 상하 좌우의 유동이 방지되고 있다. 즉, 사각노치(46)가 상기 목부분(34a)에 걸림으로써, 상부로는 그 멈춤부분(34b)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고 있으며, 좌우로는 목부분(34a)에 걸려서 이동이 방지되고 있다.
다음에 상부힌지(40)의 전방부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걸림홈(44)의 걸림부분(44b)이, 전방지지편(32)의 목부분(32a)에 걸리는 것에 의하여 좌우 방향의 유동은 방지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힌지레버(50)의 탄성편(56)의 양단부가 상부힌지(40)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물론 상기 힌지레버(50)는 상기 전방지편(32)의 멈춤부분(32b)의 하측에 걸림으로써,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결합관계에 의하여, 상기 상부힌지(40)는, 전방 및 후방부분에서 상하 좌우 방향의 유격없이 완전하게 지지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상태에서, 상부힌지어셈블리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상기힌지레버(5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힌지레버(50)를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상부힌지(40)도 자연스럽게 분리될 것이다. 즉, 상술한 조리의 역순에 의하여, 상부힌지어셈블리는 별도의 공구없이 분리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상부힌지어셈블리는, 별도의 공구 없이 상기 상부힌지를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부힌지의 조립 및 분리에 있어서도, 복수개의 체결스크류를 이용하는 종래의 것과는 달리, 힌지레버를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것은 종래의 것에 비하여 상당히 간단한 작업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공구없이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를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체결스크류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스크류의 손상에 의한 상부힌지의 불량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기대된다.

Claims (2)

  1. 목부분과 상기 목부분보다 크게 성형되는 멈춤부분을 각각 구비하는 전방지지편 및 후방지지편을 구비하고, 냉장고의 상면에 고정되는 힌지지지구와; 전방지지편에 삽입되어 좌우 유동이 방지되는 걸림홈과, 후방지지편의 목부분에 삽입되어 상하 좌우 방향의 유동을 방지하는 노치를 구비하고, 냉장고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힌지; 그리고 상기 전방지지편의 목부분에 삽입되는 고정공과, 상기 고정공의 양측에 하향성형되어, 상부힌지의 상면을 가압하는 탄성편을 구비하고, 회전하여 상기 후방지지편의 멈춤부분에 체결되는 힌지레버로 구성되는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레버는, 그 후단측면에 성형된 걸림홈이, 후방지지편의 멈춤부에 성형된 체결후크에 걸림으로써 체결되는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KR1019970058410A 1997-11-06 1997-11-06 냉장고의 상부힌지 KR100244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410A KR100244036B1 (ko) 1997-11-06 1997-11-06 냉장고의 상부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410A KR100244036B1 (ko) 1997-11-06 1997-11-06 냉장고의 상부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593A KR19990038593A (ko) 1999-06-05
KR100244036B1 true KR100244036B1 (ko) 2000-03-02

Family

ID=1952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410A KR100244036B1 (ko) 1997-11-06 1997-11-06 냉장고의 상부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4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04749A (zh) * 2017-09-01 2017-12-22 佛山市小鲜互联电器科技有限公司 冰箱门体用铰链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593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9364B1 (ko) 냉장고의 힌지 구조
US20060131149A1 (en) Switch
KR100244036B1 (ko) 냉장고의 상부힌지
US6632039B2 (en) Keycap assembly
KR100275878B1 (ko) 냉장고의 상부힌지
KR100324511B1 (ko) 냉장고의상부힌지어셈블리구조
KR100299228B1 (ko) 냉장고의상부힌지어셈블리구조
KR20030067256A (ko) 공기조화기의 탑 커버 고정구조
KR200259862Y1 (ko) 조립식 액자
US20050146254A1 (en) Appliance console assembly
KR200248766Y1 (ko)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
KR100443059B1 (ko) 산업용 컴퓨터본체 케이싱
KR200434939Y1 (ko) 액자
JP4332248B2 (ja) パチンコ遊技機の盤面部品
KR19990019703U (ko) 전자동 세탁기의 전면패널 조립구조
KR0138940Y1 (ko) 팩시밀리의 핸드셋트 크래들 결합구조
KR19990006776U (ko) 콤팩트 한 텔레비젼의 실내 안테나장치
KR100288942B1 (ko)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
KR200170177Y1 (ko) 도어의 푸시버튼 조립구조
KR0137214Y1 (ko) A/v 단자부 고정장치
KR0116654Y1 (ko) 텔레비젼 케이스 체결장치
KR19990033907A (ko) 직결식 세탁기용 도어힌지의 결합구조
KR0137215Y1 (ko) A/v 단자부의 터미널 고정장치
KR19990019419U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스피커 그릴 체결구조
KR20050083377A (ko) 체결 래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