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766Y1 -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766Y1
KR200248766Y1 KR2020010021438U KR20010021438U KR200248766Y1 KR 200248766 Y1 KR200248766 Y1 KR 200248766Y1 KR 2020010021438 U KR2020010021438 U KR 2020010021438U KR 20010021438 U KR20010021438 U KR 20010021438U KR 200248766 Y1 KR200248766 Y1 KR 200248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assembled
support
fixed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원
Original Assignee
훼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훼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훼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1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7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766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프로파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대(4)와, 이 받침대(4)의 상측에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대(5)와, 지지대(5)의 내측에서 상ㆍ하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연결대(6)와, 상기 연결대(6)에 힌지 조립되어 회동이 가능하고, 표면에 레일홈(9)이 형성되어 각종 부품을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부착판(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부착판(7)에 자동화 공정에 필요한 각종 부품(40)들을 부착하고, 상기 연결대(6)에 컨트롤박스를 부착하여 매우 간편하게 자동화 공정에 따른 실질적이고 능률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table for education of factory automation}
본 고안은 자동화 공정에 관련된 교육을 할 수 있도록 된 교육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자동화 부품의 착탈이 간편하고, 그 위치의이동이 용이하며 테이블의 이동 및 각도의 조절 등이 편리하도록 된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작업들이 점차 자동화 공정을 통해 이루어지게 되었고, 이러한 자동화 공정에 필요한 다양한 장치와 기술이 제공되고 있으며, 자동화에 따라 많은 공정들이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아도 자체적이고 반복적인 그리고, 정확한 작업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자동화 공정은 나름대로 정확한 기술지식을 토대로 조작되어야 하며, 이러한 기술지식을 전달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을 함에 있어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종래에는 실제 부품을 가지고 구체적으로 설치상태를 나타내면서 교육할 수 있도록 된 설비가 없었던 관계로 명확한 내용을 전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화 공정을 교육함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내용의 전달이 가능하고, 실제 부품들을 간단하게 착탈하거나 이동시키면서 다양한 형태의 내용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로파일(profile)로 되는 한 쌍의 세로대가 양측으로 배치되고 그 하단에 바퀴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ㆍ후 한 쌍의 프로파일로 된 가로대의 각 양 단부가 상기 세로대의 측면에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받침대와; 한 개 또는 두 개이상의 프로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로대의 윗면에서 전ㆍ후 이동 가능하게 수직으로 조립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중간 내측으로 조립 고정되는 판형의 테이블과; 프로파일로 되고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개 이상의 연결대와; 표면 전체에 다수의 연속된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 일단이 힌지에 의해 상기 선택된 하나의 연결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부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의 특징으로서, 상기 세로대와 가로대, 세로대와 지지대 및 지지대와 각 연결대가 별도의 접속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접속수단은, 측면 일단에 연결구멍이 뚫어져 있고 윗면으로부터 상기 연결구멍에 연결되는 나사홈이 관통되어 이 나사홈에 선단이 원뿔형으로 된 나사가 결합되어 있는 접속구와; 길게 형성된 축으로 되어 상기 접속구의 연결구멍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외주연 일단에 원뿔홈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 선단에는 확경된 축머리가 형성되어 이 축머리의 일측 또는 마주하는 양측이 일부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고정축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접속구가 가로대, 지지대 및 연결대에 내장 설치되고, 고정축의 축머리가 세로대와 지지대 등의 외면에 형성된 조립홈에 인입 고정됨으로써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착판의 표면에 형성된 레일홈에 교육하고자 하는 부품들을 부착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테이블의 전체 사시도
도 2 - 상기 도 1의 측면 작용 상태도
도 3 - 본 고안에 사용되는 각 파일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 사시도
도 4 - 본 고안에 사용되는 파일 접속수단의 사시도
도 5 - 본 고안에 사용되는 파일 접속수단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 - 본 고안에 사용되는 파일 접속상태의 측단면도
도 7 - 본 고안에 따른 부착판에 부품을 부착하는 조립상태를 일례로서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8 - 본 고안에 사용되는 부품의 부착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 및 도 10 - 부품이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 - 본 고안에 적용되는 컨트롤 박스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2 - 컨트롤 박스가 연결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테이블 4 ; 받침대
5 ; 지지대 6 ; 연결대
7 ; 부착판 8 ; 힌지
9 ; 레일홈 11 ; 접속구
12 ; 고정축 16 ; 원뿔홈
17 ; 축머리 21 ; 파일
22 ; 통로 23,33 ; 조립홈
40 ; 부품 41 ; 고정블럭
42 ; 슬라이더 43 ; 홀더
44 ; 가동편 48 ; 경사홈
49 ; 조립돌부 52 ; 수납부
53 ; 안내홈 54 ; 고정돌기
55 ; 걸림턱 56 ; 스프링
57 ; 안내돌기 61 ; 컨트롤 박스
62 ; 프레임 63 ; 커버
64 ; 패널홈 66 ; 기판홈
67 ; 조립요홈 69 ; 기판
70 ; 스위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의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측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원 테이블은 다수의 막대, 즉, 세로대(2)와 가로대(3)로 조합하여 이루어진 받침대(4)와, 지지대(5) 및 연결대(6)로서 틀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대(5)의 내측으로 판형의 테이블(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상측으로 상기 연결대(6)에 부착판(7)이 힌지(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부착판(8)은 전면에 연속된 레일홈(9)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4)를 이루는 각 막대와 지지대(5) 및 연결대(6)를 이루는 각 막대는 그 단면이 외면에 조립홈을 가지는 형상관으로서 소위 프로파일(profile;이하, '파일'이라함)로 이루어져 있으며, 별도의 접속수단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접속수단은 기본적으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각 볼트머리와 너트가 상기 파일의 조립홈에 삽입되어 조여지는 형태를 비롯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적용시킬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 적용하는 바람직한 형태의 수단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각 파일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파일 접속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5는 그 접속수단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접속된 상태의 측단면도로서,각 파일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받침대(4), 지지대(5) 및 연결대(6)와는 별도의 부호를 사용하였다.
상기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파일의 접속수단은 접속구(11)와 고정축(12)으로 대별되며, 상기 접속구(11)는 측면에 연결구멍(13)이 형성되어 있고, 윗면으로부터 상기 연결구멍(13)에 통하는 나사홈(14)이 형성되어 선단이 원뿔형으로 된 나사(1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축(12)은 축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후단부에 근접한 외주면 일단에 원뿔홈(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에는 확경된 축머리(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축머리(17)는 마주하는 양 측 또는 일측이 절단되어 그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수단을 사용하기 위한 파일(21)은 동일 단면의 연속된 긴 막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단면의 중앙에 통로(22)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22)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조립홈(23)이 형성되어 있는데, 각 조립홈(23)은 외측이 일부가 개구되어 그 입구의 양측으로 턱(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립홈(23)은 파일(21)의 측면에 이음매나 다른 파일이 연결될 때 볼트머리나 너트 등이 삽입되는 홈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조립식파일을 접속할 때에는 접속하는 두 개의 파일 중 어느 하나의 파일(21)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조립구멍(25)을 뚫어서 상기 접속구(11)를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조립구멍(25)의 위치는 상기 고정축(12)의 길이를 고려하여 고정축(12)의 축머리(17)로부터 원뿔홈(16)의 거리를 계산하여 형성하게 된다.
상기 파일(21)의 선단부 중앙의 통로(22)에 상기 고정축을 후단부로부터 삽입하여 상기 접속구(11)의 연결구멍(13)에 끼워지도록 하고, 접속구(11)의 나사(15)를 조이면 나사(15)의 원뿔형 선단이 고정축(12)의 원뿔홈(16)에 인입되면서 고정축(12)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15)의 중심은 고정축(12)의 원뿔홈(16)의 중심보다 약간 후방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나사(15)의 선단이 원뿔홈(16)의 후방측 경사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축(12)의 축머리(17)를 상대 파일(31)의 조립홈(33)에 끼우게 되는데, 축머리(17)를 파일(31)의 최 단부로부터 조립홈(33)에 삽입하여도 무방하나 축머리(17)의 폭이 좁은 부분을 조립홈(33)의 길이방향에 맞추어 인입시킨 다음 직각으로 비틀게 되면, 축머리(17)의 폭이 넓은 부분이 조립홈(33)의 턱(34)에 걸려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나사(15)를 완전히 조이면 나사(15)의 원뿔면이 원뿔홈(16)의 후방 경사면을 밀면서 진입되어 결국, 고정축(12)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축머리(17)가 상대 파일(31)의 조립홈(33)에 형성된 턱(34)을 당기게 되어 각 파일(21,31)이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접속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나사(15)를 약간만 풀면, 당겨지는 압력이 해제되면서 느슨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조립홈(33)의 길이방향으로 고정축(12)을 이동시켜서 다시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시키거나 또는, 직각으로 비틀어서 축머리(17)의 폭이 좁은 부분을 이용하여 조립홈(33)으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속수단에 의해 조립식 파일을 매우 간편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연결된 상태에서 위치이동이 매우 용이하고, 접속 수단이 파일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접속이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4)는 세로대(2)에 대하여 가로대(3)를 전ㆍ후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지지대(5)를 세로대(2)에 대하여 역시 전ㆍ후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각 연결대(6)를 지지대(5)에 대하여 상ㆍ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로대(2)의 하측으로는 바퀴(35)가 부착되어 테이블을 전체적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받침대(4), 지지대(5) 및 연결대(6)를 형성하는 파일은 사각형의 단면을 이루고 있으나, 원형이나 다른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로(22) 또한 사각형이나 타원 등 그 단면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부착판(7)은 힌지(8)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대(6)에 조립되어 있으면서 그 하단이 테이블(1)에 얹혀져 있는 상태로 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대(6)를 지지대(5)에 대하여 상ㆍ하로 이동시키게 되면 부착판(7)의 하단이 테이블(1)의 윗면에서 미끄러지면서 자동적으로 부착판(7)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러한 부착판(7)의 레일홈(9)에 부품(40)을 부착하게 되는데, 부품(40)의 일단에 볼트를 체결하고 이에 조립되는 너트를 상기 레일홈(9)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레일홈(9)은 그 입구에 상기 파일의 조립홈(23)과 마찬가지로 턱(10)이 형성되어 있다.
다르게는, 상기 부품을 레일홈(9)에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적용될 수있으며, 그에 따른 바람직한 수단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은 부착판에 부품을 부착하는 조립상태를 일례로서 나타낸 조립사시도이고, 도 8은 부품의 부착수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부품이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부착판(7)에 부품을 착탈하기 위한 수단은 대별하여 고정블럭(41)과 슬라이더(42)와 홀더(43) 및 가동편(44)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고정블럭(41)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블럭(41)은 부품을 윗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윗면 전체에 걸쳐 다수의 곡면홈(45)과 직선홈(46)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볼트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42)는 상기 고정블럭(41)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내측벽에는 상측으로 개구된 경사홈(48)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43)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슬라이더(42)의 내측으로 위치되며, 홀더(43)의 윗면 중앙에는 조립돌부(49)가 형성되어 그 중앙에 나사홈(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조립돌부(49)를 상기 고정블럭(41)의 볼트구멍(47)에 끼우고 고정블럭(41)의 상측으로부터 볼트(51)에 의해 홀더를 고정토록 되어 있다.
홀더(43)의 밑면 중앙에는 대략 삼각 단면의 수납부(5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수납부(52)는 하측으로 개구되어 있고, 인접한 두 외측벽으로 안내홈(53)이 뚫어져 있다. 그리고, 수납부(52)의 입구에서 수납부(52)와 마주하는 외주연에 대략 삼각 단면의 고정돌기(54)가 하측으로 연장되어 다시 그 선단이 외측으로 돌출되어걸림턱(5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가동편(44)은 상기 수납부(52)에 헐겁게 수납되는 것으로서 수납부(52)의 단면형상과 일치되는 단면을 가지고, 스프링(56)에 의해 수납부(52)의 하측으로 탄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편(44)의 인접한 두 외측벽에는 안내돌기(57)가 돌출되어서 상기 수납부(52)의 안내홈(53)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안내돌기(57)는 상기 안내홈(53)을 통해 슬라이더(42)의 경사홈(48)에 인입하여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경사홈(48)은 개구방향이 상측이고, 수납부(52)의 개구방향은 반대인 하측으로 되어 있어서 안내돌기(57)가 경사홈(48)에 걸려 있으므로 가동편(44)이 수납부(52)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조립관계에 따라, 상기 홀더(43)는 고정블럭(41)에 고정된 상태로 되고, 슬라이더(42)는 홀더(43)에 안내된 상태에서 전ㆍ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슬라이더(42)의 이동에 따라 가동편(44)의 안내돌기(57)가 경사홈(48)에 밀려서 스프링(56)에 저항하여 상ㆍ하로 유동되도록 된다.
이러한 부착수단을 이용하여 부품을 부착하고자 할 경우, 우선 부품(40)을 고정블럭(41)에 볼트에 의해 고정시키는데, 고정블럭(41)의 윗면에는 다수의 곡면홈(45)과 직선홈(46)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곡면홈(45)이나 직선홈(46)의 일단에서 적절한 위치에 볼트를 조립하게 되며, 이미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볼트를 조이게 되므로 볼트가 용이하게 고정블럭(41)에 파고들어 쉽게 조립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블럭(41)의 윗면 전체에 걸쳐 곡면 또는 직선의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대부분의 볼트조립 위치가 편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고정블럭(41)이 없이 바로 홀더(43)의 나사홈(50)에 직접 부품을 나사에 의해 고정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고정블럭(41)을 사용하는 것 보다 정확한 나사의 조립위치가 요구된다.
이렇게 부품(40)을 고정블럭(41)에 고정시킨 다음, 부착판(7)의 레일홈(9)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부품(40)이 부착된 상태에서 하측의 슬라이더(42)을 이용하여 슬라이더(42)를 내측으로 누르면 경사홈(48)이 가동편(44)의 안내돌기(57)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어 가동편(44)이 스프링(56)에 저항하여 수납부(52)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더(42)의 하측으로 돌출된 부위가 고정돌기(54)에 한정되고, 이 고정돌기(54)를 부착판(7)의 레일홈(9)에 인입시켜서 고정돌기(54)의 걸림턱(55)을 레일홈(9)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턱(10)에 걸은 상태에서 슬라이더(42)를 놓으면 스프링(56)에 의해 가동편(44)은 하측, 즉 수납부(52)의 외측으로 탄발되면서 슬라이더(42)를 다시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리고, 가동편(44)은 수납부(52)의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그 선단이 고정돌기(54)와 반대쪽의 레일홈(9) 입구에 압박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돌기(54)의 걸림턱(55)이 레일홈(9)에 걸려 있으면서 반대쪽에서 가동편(44)이 레일홈(9)의 입구를 압박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고정블럭(41)을 비롯한 슬라이더(42)와 홀더(43)가 전체적으로 부착판(7)에 고정되며, 결국 부품(40)이 부착판(7)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렇게 여러 위치에 부품들을 고정시켜 놓고 배선이나 배관 등으로 서로 연결하여 각종 작업관계를 첵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착판(7)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시 슬라이더(42)를 밀면, 가동편(44)은 다시 수납부(52)로 인입되면서 레일홈(9)과의 압박상태를 해제하고 이 상태에서 레일홈(9)을 따라 쉽게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또는 부착판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은 결국, 가동편(44)의 안내돌기(57)가 슬라이더(42)의 이동에 따라 경사홈(48)에 유도되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즉 슬라이더(42)의 수평이동이 경사홈(48)과 안내돌기(57)에 의해 가동편(44)의 수직이동으로 변환되고, 이는 고정돌기(54)와 가동편(44)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돌출부분의 폭을 변형시킴으로써 부착판(7)의 레일홈(9)에 쉽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대(5)의 내측으로 설치된 연결대(6) 중에서 상측의 연결대에는 부착판(7)에 부착되는 부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61)가 설치되는데, 이 컨트롤 박스는 일반적인 박스 형태의 구성으로 되어도 무방하며, 바람직한 구성의 실시예가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1은 컨트롤 박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그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컨트롤 박스(61)는 요(凹)형의 단면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 프레임(62)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프레임(62)은 그 단면에 있어서, 마주하는 상단내측으로 마주하는 한 쌍의 패널홈(64)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으로는 각각 내측으로 개구된 나사홈(65)이 형성되어 있으며, 밑면 양 측으로도 내측이 개구된 나사홈(6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 내측벽에는 마주하는 기판홈(66)이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돌출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외측으로 홈을 형성하는 조립요홈(67)이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62)의 양 측은 커버(63)에 의해 마감되어지는데, 이 커버(63)는 프레임(62)의 외곽형상과 일치되도록 되어 있고, 프레임(62)의 각 나사홈(65)에 나사로서 조립되어 있다.
프레임(62)의 상기 패널홈(64)에는 컨트롤 박스의 표면부에 해당하는 패널(68)이 측방으로부터 끼워지는데, 이 패널(68)의 크기에 따라 상기 프레임(62)의 길이가 결정되어지고 그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홈(66)에는 기판(69)이 끼워져서 설치되는데, 이 기판(69)은 경우에 따라 상기 패널(68)에 직접 연결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62)의 내측으로 다수의 기판홈(6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판(69)은 다수 구비되어 적층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하게 컨트롤 박스가 이루어지게 되고, 패널(68)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조작스위치(70)들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프레임(62)을 상기 연결대(6)에 조립하여 설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연결대(6)도 프로파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부품고정용 홀더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를 쉽게 조립할 수 있는 바, 상기 홀더(43)의 조립돌부(49)를 상기 프레임(62)의 조립요홈(67)에 끼워서 프레임(62)의 내측으로부터 나사에 의해 고정시키고, 슬라이더(42)의 이동에 의해 홀더(43)의 고정돌기(54)와 가동편(44)의 이동 조절로써 연결대(6)의 조립홈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해, 자유스럽게 이동시킬 수 있고, 받침대(4)와 지지대(5) 및 연결대(6)를 상호 이동시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고, 부착판(7)의 각도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으며, 각종 부품(40)이나 컨트롤 박스(61)의 착탈이 매우 용이하여 자동화 공정의 교육용으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1)의 하측으로는 서랍(71)을 설치하여 필요한 기자재를 수용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내용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의 설명일 뿐 이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프로파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대(4)와, 이 받침대(4)의 상측에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대(5)와, 지지대(5)의 내측에서 상ㆍ하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다수의 연결대(6)와, 상기 연결대(6)에 힌지 조립되어 회동이 가능하고, 표면에 레일홈(9)이 형성되어 각종 부품을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부착판(7)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부착판(7)에 자동화 공정에 필요한 각종 부품(40)들을 부착하고, 상기 연결대(6)에 컨트롤박스를부착하여 매우 간편하게 자동화 공정에 따른 실질적이고 능률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프로파일(profile)로 되는 한 쌍의 세로대(2)가 양측으로 배치되고 그 하단에 바퀴(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ㆍ후 한 쌍의 프로파일로 되는 가로대(3)의 각 양 단부가 상기 세로대(2)의 측면에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받침대(4)와;
    한 개 또는 두 개이상의 프로파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세로대(2)의 윗면에서 전ㆍ후 이동 가능하게 수직으로 조립되는 지지대(5)와;
    상기 지지대(5)의 중간 내측으로 조립 고정되는 판형의 테이블(1)과;
    프로파일로 되고 상기 지지대(5)의 내측에서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개 이상의 연결대(6)와;
    표면 전체에 다수의 연속된 레일홈(9)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 일단이 힌지(8)에 의해 상기 선택된 하나의 연결대(6)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부착판(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6)에는 콘트롤 박스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
KR2020010021438U 2001-07-14 2001-07-14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 KR200248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438U KR200248766Y1 (ko) 2001-07-14 2001-07-14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438U KR200248766Y1 (ko) 2001-07-14 2001-07-14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766Y1 true KR200248766Y1 (ko) 2001-11-17

Family

ID=7310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438U KR200248766Y1 (ko) 2001-07-14 2001-07-14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7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104B1 (ko) 2009-03-20 2012-07-09 김영애 조립구조의 수치제어선반
KR101891741B1 (ko) * 2016-11-04 2018-08-24 (주)맨엔텔 Plc 교육용 실습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104B1 (ko) 2009-03-20 2012-07-09 김영애 조립구조의 수치제어선반
KR101891741B1 (ko) * 2016-11-04 2018-08-24 (주)맨엔텔 Plc 교육용 실습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2306A (en) Computer disk drive mounting apparatus
US4879955A (en) Office workstation
GB2327977A (en) Upper hinge fixing structure for a refrigerator.
US5148928A (en) Shelf system
US20060255221A1 (en) Bracket device
KR850002900A (ko) 권 총
EP0588894A1 (de) Aus einzelnen baugruppen bestehende elektrische anlage.
KR200248766Y1 (ko) 자동화 공정 교육용 테이블
US4834555A (en) Fixture for the attachment of a guide rail to the body of a piece of furniture
DE20214270U1 (de) Leuchte mit einsteckbarem, elektrischem Anschlußstecker
KR101022241B1 (ko) 조립식 진열장
EP0668430A1 (en) Improved roller shutter handling member support
DE29921495U1 (de) Tragstangenanordnung zum Aufhängen von Artikeln oder zur Halterung einer Ablage
EP1614821B1 (en) Partition wall system for offices and the like with a closure device for wall panels
GB2249944A (en) A shelf support system
JP3657861B2 (ja) キャビネット構造
CN219020730U (zh) 一种具有方便拆卸功能的五金件销售展架
CN220539331U (zh) 一种淋浴房的框架结构及淋浴房
CN217681161U (zh) 卡扣安装结构及其收纳柜
JP2003142859A (ja) 機器収納用ラック
GB2116833A (en) Modular section for furniture assembly
KR930002928Y1 (ko) 책 장
KR200329188Y1 (ko)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선반
CN219794201U (zh) 一种温室轻钢立柱连接件
CN220791675U (zh) 一种智能仓储货架高强度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