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942B1 -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942B1
KR100288942B1 KR1019970080658A KR19970080658A KR100288942B1 KR 100288942 B1 KR100288942 B1 KR 100288942B1 KR 1019970080658 A KR1019970080658 A KR 1019970080658A KR 19970080658 A KR19970080658 A KR 19970080658A KR 100288942 B1 KR100288942 B1 KR 100288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hinge
hinge
refrigerator
preventing memb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0432A (ko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80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942B1/ko
Publication of KR19990060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0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상부힌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공구없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도어의 착탈이 용이한 냉장고의 상부힌지 구조에 판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는, 적어도 일부가 직선형상을 가지고 냉장고 상면과 일정공간을 가지도록 상면에 고정되는 유동방지부재와, 수평방향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유동방지부재에 외측에서 밀착 삽입되고 도어를 회전가능하게 힌지축을 구비하는 상부힌지 상부힌지 그리고 상기 유동방지부재와 냉장고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상부힌지의 상하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유동방지부재의 측면에 밀착 삽입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에 힌지와 고정부재가 간단히 결합분리되어 별도의 공구없이 냉장고본체에서 도어의 착탈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
본 발명은 냉장고의 상부힌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공구없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도어의 착탈이 용이한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그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도어(2)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어(2)는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도어(2a)와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냉장실도어(2b)로 구성되며, 각각 힌지(3)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도어(2)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3)는, 냉장고 본체(1)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힌지(3a)와, 중간부분에 부착되는 중간힌지(3b), 그리고 하면에 부착되는 하부힌지(3c)로 구성된다. 냉동실 및 냉장실 도어(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3)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힌지(3)는, 냉장고본체(1)의 각 부분에 복수개의 체결볼트(미도시)에 의하여 체결된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이렇게 상기 힌지(3)가 체결볼트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2)가 조립되어, 완성된 제품이 출하된다.
그러나, 최근의 문화생활에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고, 또한 대형 냉장고를 선호함에 따라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냉장고는 점차 대형화 추세로 되고 있으며, 이렇게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운반상의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일반적인 아파트와 같은 주택의 문은 규격화된 상태로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비하여 냉장고는 대형화 되고 있기 때문에, 도어(2)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냉장고의 부피가 너무 커서 냉장고는 그대로 문을 통과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경우, 통상 냉장고의 도어(2)를 분리하여 몸체(1)와 도어(2)를 분리하여 몸체(1)와 도어(2)를 따로 따로 집의 내부로 운반 한 후에, 다시 이들을 겉합하여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2)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어(2)가 지지되고 있는 힌지(3)를, 특히 상부힌지(3a)를 분해하지 않으면 안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힌지(3)가 복수개의 체결볼트에 의하여 본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해 및 재결합에 어려움이 있다.
즉,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도어(2)의 분해 및 결합시 체결볼트 등을 분해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있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몸체(1)와 도어(2)를 운반한 뒤 상기 체결볼트 등을 이용하여 다시 조립할 때, 정확하게 조립하기 힘든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공구없이 쉽게 장착 및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힌지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부재의 상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유동방지부재의 상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힌지 12 : 힌지축
14 : 힌지홈 20 : 유동방지부재
22 : 수직부 24 : 수평부
26 : 공간부 30 : 고정부재
32 : 결합홈 34 : 결합면
36 : 지지편 36a : 지지편 내면
50 : 냉장고본체 60 : 도어
62 : 도어힌지공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는, 냉장고 상면에 결합되어 상부힌지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부힌지의 상하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홈을 형성한 유동방지부재와, 상기 유동방지부재에 결합하기 위한 힌지홈과 도어회전용 힌지축기 형성된 상부힌지와, 상기 상부힌지의 상부에서 조립되어 상부힌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유동방지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면을 형성한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유동방지부재의 측면에 밀착 삽입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에 힌지와 고정부재가 간단히 결합분리되어 별도의 공구없이 냉장고본체에서 도어의 착탈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힌지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제3도는 고정부재의 상세사시도이고, 제4도는 유동방지부재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는 크게 냉장고본체(50) 상면에 고정되는 유동방지부재(20)와, 도어(60)를 회동가능하게 하는 힌지축(12)이 구비된 상부힌지(10)와, 상기 상부힌지(10)의 상하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된다.
먼저, 유동방지부재(2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20)는 후술하는 상부힌지(10)와 고정부재(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냉장고본체(50)의 상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방지부재(20)는 항상 냉장고본체(50)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힌지(10)와 고정부재(20)가 분리되는 경우에도, 상기 유동방지부재(20)는 냉장고본체(50)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테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20)의 구조를 살펴보면,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ㄱ”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냉장고본체(50)의 상면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 성형된 수직부(22)와 상기 수직부(22)의 상단에서 도어(60)측 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2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서 상기 수평부(24)의 저면(24a)과 냉장고본체(50)의 상면사이에는 일정한 공간부(26)가 형성된다.
상기의 경우 상부힌지(10)는 힌지홈(14)이 유동방지부재(20)를 통하여 관통되어 좌우 유동이 방지되고, 후술하는 고정부재(30)는, 상부힌지(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부(26) 사이로 삽입되어 수평부(24)의 저면(24a)과 밀착되고, 이에 의해 상부힌지(10)의 상하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 상부힌지(10)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동방지부재(20)에 결합되어 좌우유동이 방지되는 상부힌지(10)는, 그 전방 하면에서 직하방으로 연장성형되는 힌지축(12)이 형성되고, 상술한 유동방지부재(20)가 관통되는 힌지홈(14)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힌지축(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0) 상면에 성형된 도어힌지공(62)에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도어(6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힌지홈(14)내로 상기 유동방지부재(20)가 관통되어 상부힌지(10)가 냉장고본체(50) 상면에 안착되었을 때, 유동방지부재(20)의 수평부(24)의 저면(24a)과 상부힌지(10)의 상면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으로 이루어진 공간부(2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힌지(10)의 힌지홈(14)내로 유동방지부재(20)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서 상부힌지(10)는 유동방지부재(20)에 의해 좌우유동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상부힌지(10)와 유동방지부재(20)의 수평부(24)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부(26)가 형성되므로 상부힌지(10)는 상하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상하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재(30)가 상기 수평부(24) 하부의 공간부(26)내로 결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방지부재(20)와 결합되어 상부힌지(10)의 상하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30)의 구조를 살펴보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위의 전방에는 유동방지부재(20)의 수직부(22)와 결합되는 결합홈(3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2)의 후방에는 수평부(24)의 저면(24a)과 밀착되는 결합면(34)이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32)과 결합면(34)의 좌우측에는 측부를 이루는 지지편(36)이 형성되어 유동방지부재(20)의 좌우측면과 밀착하게 된다.
즉, 상기 결합홈(32)의 수평길이(d)는 유동방지부재(20)의 가로길이(d′)가 되고, 내부로 향하는 세로길이(t)는 상기 수직부(22)의 가로길이(d')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면(34)은, 그 높이(h)가 상부힌지(10) 상면에서 수평부(24)의 저면까지의 높이(h′)가 되도록 하고, 결합면(34)의 가로길이(e)와 세로길이(g)는 각각 수평부(24)의 가로길이(e′)와 세로길이(g′)가 되도록 한다. 한편, 지지편(36)은, 그 높이(H)가 상부힌지(10)의 상면에서부터 수직부(22)의 높이(H′)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부재(30)가 유동방지부재(20)의 힌지홈(14)을 통하여 관통되어진 상부힌지(10)의 상면으로부터 수평부(24) 하부의 공간부(26)내로 삽입되어 결합될 때, 고정부재(30)의 결합홈(32)내로 유동방지부재(20)의 수직부(22)가 삽입되어 수직부(22)의 양측면은 지지편(36)의 내면(36a)과 밀착되어 수직부(22)는 상기 결합홈(32)내에 완전히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결합면(34)은 유동방지부재(20)의 수평부(24) 저면(24a)과 밀착되고, 상기 지지편(36)은 유동방지부재(20)의 좌우면과 밀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30)가 수평부(24)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26)내로 삽입되어 곁합면(34)이 수평부(24)의 저면(24a)과 밀착되고, 결합홈(32)내로 수직부(22)가 삽입됨으로서 상부힌지(10)는 상하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좌우의 유동도 방지되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민저, 본 발명에 의한 유동방지부재(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본체(5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힌지(10)의 힌지축(12)이 도어(60)의 힌지공(62)에 삽입되도록 하고, 또한 상부힌지(10)의 힌지홈(14)이 유동방지부재(20)를 관통하도록 하여 상부힌지(10)를 유동방지부재(20)와 결합함과 동시에 상부힌지(10)를 냉장고본체(50)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부힌지(10)의 저면은 냉장고본체(50) 상면에 밀착하게 된다.
다음, 냉장고본체(50)의 상면에 안착된 상부힌지(10)의 상면과 유동방지부재(20)의 수평부(22) 하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6)내로 고정부재(30)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30)를 결합함에 있어서, 먼저 고정부재(30)의 결합홈(32)이 수평부(24) 저면(24a)의 공간부(26)내로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홈(32)내로 수직부(22)가 안착되고, 결합면(34)이 수평부(22) 저면(22a)과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함으로서 고정부재(30)의 결합이 완성되었을 때에는 상기 결합면(34)이 수평부(24)의 저면(24a)과 밀착되어 고정부재(30)가 상하 움직임이 저지되고, 결합홈(32)이 수직부(22)와 밀착되어 좌우 움직임이 저지되어 상부힌지(10)를 단단히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30)를 상부힌지(10) 상면에 고정시킨 후, 힌지커버(도시되지 않음)를 조립하여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를 완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냉장고의 운반을 위하여 도어(60)를 냉장고본체(50)에서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부힌지어셈블리를 분해하게 되는데, 분해상기 조립의 역순으로 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도어의 분리 및 결합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지 않게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고정부재와 상부힌지를 냉장고본체 상면에 형성된 유동방지부재에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손쉽게 도어의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종레와 같이 체결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고, 간단하게 도어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냉장고 상면에 결합되어 상부힌지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부힌지의 상하유동을 방지하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홈을 형성한 유동방지부재와, 상기 유동방지부재에 결합하기 위한 힌지홈과 도어회전용 힌지축기 형성된 상부힌지와, 상기 상부힌지의 상부에서 조립되어 상부힌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유동방지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면을 형성한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상부힌지 어셈블리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유동방지부재의 측면에 밀착 삽입되는 지지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
KR1019970080658A 1997-12-31 1997-12-31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 KR100288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658A KR100288942B1 (ko) 1997-12-31 1997-12-31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0658A KR100288942B1 (ko) 1997-12-31 1997-12-31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432A KR19990060432A (ko) 1999-07-26
KR100288942B1 true KR100288942B1 (ko) 2001-05-02

Family

ID=3751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0658A KR100288942B1 (ko) 1997-12-31 1997-12-31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9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0432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5938B2 (ja) 着脱可能なドアヒンジ部材を備える冷蔵庫
KR200205397Y1 (ko) 냉장고의 도어힌지 구조
JP3045979B2 (ja) 冷蔵庫
US7516531B2 (en) Method of assembling universal trim piece system for a refrigerator
US6056383A (en) Refrigerator cabinet breaker assembly
JPH11159948A (ja) 冷蔵庫用扉の支持構造
KR20040082515A (ko) 냉장고의 캡 데코 구조
KR19990031167A (ko) 냉장고의 힌지 구조
JP2005283090A (ja) 冷蔵庫
KR100288942B1 (ko)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구조
KR100288943B1 (ko) 냉장고의 상부힌지어셈블리
KR100324511B1 (ko) 냉장고의상부힌지어셈블리구조
US4928197A (en) Lock for video tape cassette
KR100307349B1 (ko) 냉장고의상부힌지어셈블리구조
KR100275878B1 (ko) 냉장고의 상부힌지
KR20080027650A (ko) 냉장고 도어용 상부 힌지 조립체
KR100244036B1 (ko) 냉장고의 상부힌지
KR100210104B1 (ko) 대형 냉장고용 도어의 힌지 구조
KR100678675B1 (ko) 냉장고용 핸들 어셈블리
KR200147351Y1 (ko) 냉장고용 도어
KR200194914Y1 (ko) 냉장고 도어의 핸들구조
JP2020528993A (ja) 冷蔵庫
KR200255070Y1 (ko) 납골탑의 안치실 개폐구조
US20230349628A1 (en) Refrigerator
EP1030139A1 (en) Refrigerator door hinge with a reduced number of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