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966Y1 - 향기 발산용 장식물 - Google Patents

향기 발산용 장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966Y1
KR200359966Y1 KR20-2004-0013754U KR20040013754U KR200359966Y1 KR 200359966 Y1 KR200359966 Y1 KR 200359966Y1 KR 20040013754 U KR20040013754 U KR 20040013754U KR 200359966 Y1 KR200359966 Y1 KR 200359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decoration
wick
liquid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수
Original Assignee
서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수 filed Critical 서정수
Priority to KR20-2004-0013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향기 발산용 장식물에 관한 것으로서, 꽃 또는 과일 등의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 인조 장식물에서 고유의 독특한 향기가 지속적이면서 은은하게 발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실내 장식기능의 시각효과는 물론 후각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내 인테리어 장식을 위해 실제 물품과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되어진 모조 장식물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의 내부에는 향 발산을 위한 소정량의 방향액이 저장되어지는 공간을 이룸과 함께, 상기 방향액에 하단이 침지되어져 방향액을 흡수토록 하는 심지가 삽입되어져 있으며; 상기 심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소정 높이로 안내하는 가이드관이 구비되며; 상기 심지의 상단에는 흡수되어져 상승된 방향액의 향기를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한 발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산용 장식물을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향기 발산용 장식물{DECORATION OBJECT FOR PERFUME DIFFUSION}
본 고안은 향기 발산용 장식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장식용으로 놓여지는 꽃이나 과일 장식물에서 실제 생화와 유사한 고유의 향기가 지속적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하여 시각적 효과는 물론 후각적 효과를 함께 부여하기 위한 장식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대표적인 장식물인 조화는 주로 실내장식용이나 축하연장등에서 실제 꽃과 흡사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인조 장식물로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일반적인 조화는 외양과 색채가 거의 자연 꽃과 흡사하여 육안으로는 조화와 자연 꽃을 쉽게 구분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상기 조화는 실제 자연 꽃과 거의 유사하여 실내장식용등 여러가지 용도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조화의 종류에 따라 그 꽃만이 가지는 특유의 향기를 갖지 못하여 시각적 효과에외는 별다른 잇점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예를들어 조화의 종류가 국화나 장미일 경우에, 외양과 색채는 국화나 장미만이 갖는 특유한 모양새와 색상을 띠고 있으나 그 꽃만이 갖는 고유한 향기는 갖추고 있지 못하여 보다 생동감있는 즉, 살아있는 듯한 조화로서의 충분한 기능은 득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한편, 차량의 실내 또는 거실 등 주로 일정공간에 놓여져 특정향을 발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방향제는 대부분 일정한 형상 및 모양을 갖는 정형화된 방향제 용기와, 이의 내부에 액상상태로 된 방향물질을 저장하여 자연적으로 발산되도록 제작되거나 또는 방향물질을 외부압력에 의해 스프레이(spray)방식으로 분사시키는 방향제, 그리고 고체화된 방향물질을 전기적인 열에 의해 녹여 발산시키는 방향제가 제공되었으나, 이러한 종래 방향제는 실내 장식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는 장소에 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조화의 실내 장식기능에 방향성능을 추가시킨 방향용 조화화분이 제시된 바 있는데, 이러한 방향용 조화화분은 종이, 천 또는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여 생화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된 인조꽃에 방향원액을 분사 또는 도포시켜 발향층을 외면에 형성시킴으로서 실내분위기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원하는 향기가 발산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방향용 조화화분의 경우는 도포되는 발향층의 두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주 발향층을 새롭게 도포해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일정 기간동안 균일한 농도로 방향되지 않고 발향층 도포 직후에 일시적으로 많은 량의 방향성분이 기화되기 때문에 은은한 향기가 일정하게 지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실내 장식용 조화에서의 방향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종류에 따라 특유의 모양과 색채를 갖도록 제작된 조화에서 실제 생화와 유사한 독특한 향기가 은은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실내 장식기능은 물론 보다 생명감 있는 장식물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 조화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향 발산 조화의 단면 구조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응용예에 따른 레버장착상태를 나타낸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 향 발산 조화의 완성된 외관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 과일의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화 장식물 11,26 : 가이드관
12 : 꽃봉오리부 13 : 암.수술부
13a,23a: 발산공 14 : 화병
15 : 밀봉막 16 : 삽입공
17,27 : 심지 18,28 : 방향액
19 : 조절레버 20 : 과일 장식물
21 : 상부구조체 22 : 하부구조체
23 : 꼭지부 24 : 나합부
상기 목적은, 실내 장식을 위해 실제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되어진 모조 장식물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량의 액상 방향제가 저장되어지는 공간을 이루고 있는 방향액 저장부; 상기 방향액에 하단이 침지되어지져 방향액을 흡수토록 하는 심지; 상기 심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소정 높이로 안내하는 가이드관; 상기 심지의 상단에서 연통되어져 있어 향기를 외부로 발산되어지도록 하는 발산공;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산용 장식물을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 장식물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향 발산 장식물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제1실시예>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향기발산 구조를 갖는 조화 장식물(1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한다.
상기 조화 장식물(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같이 실제 꽃과 유사한 형상으로 꽃봉오리부(12)와 그 중앙에 암술부 및 수술부를 이루고 있는 암.수술부(13)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 구조물을 이루고 있는 화병(14)에는 내부에 원액향을 발산하게 될 방향액(18)이 저장되어지게 됨과 함께, 상기 방향액(18) 저장공간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막(15)이 상부에 구비되어져 있다. 방향액(18)은 형상을 이루는 꽃의 향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향기를 갖는 원액을 선택함으로서 실제 꽃냄새가 발산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방향액(18)에는 하단이 침지되어져 방향액을 삼투압 원리로 흡수하기 위한 부직포와 같은 흡수재질로 이루어진 심지(17)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심지(17)는 가이드관(11)에 의해 감싸짐으로서 조화의 줄기대를 이루어 밀봉막(15)의 삽입공(16)에 삽입되어지며, 그 상부는 꽃봉오리부(12)로 연장 구비되어져 있다.
그리고, 암술과 수술 형태로 돌출 구비되어져 있는 암.수술부(13)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에서와 같이 내부에 발산공(13a)이 관통 형성되어져 심지(17)를 통해 상승되어진 방향액의 향기를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 본 실시예의 향발산 조화 장식물(10)은 도 5에서와 같이 향발산 구조를 이루는 다수의 조화를 화병(14)에 장식함으로서, 조화에 의한 실내 인테리어 효과는 물론 각각의 조화에서 향긋한 꽃향기가 발산되어질 수 있게된다.
즉, 화병(14) 내부의 방향액(18)에 하단이 침지되어져 있는 심지(17)에서 삼투압현상에 의해 흡수되어진 방향액이 심지(17)를 따라 상승하여 꽃봉오리부(12)에 이르게 되면, 방향제에서 발산되는 꽃향기는 암.수술부(13)에 형성되어져 있는 발산공(13a)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실제 꽃과 동일하게 암.수술부(13)로 부터 발산되는 꽃향기로 인해실내에는 은은한 꽃향기가 퍼지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일정기간 사용에 의해 방향액(18)의 보충이 필요한 경우에는 밀봉막(15)을 화병(14)으로 부터 분리하여 내부에 방향액을 부어준 후 다시 밀봉막(15)으로 내부 밀봉을 실시함으로 반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응용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심지(17)를 감싸고 있는 가이드관(11)의 소정 위치에 별도의 조절레버(19)를 선택적으로 구성시킴으로서, 심지(17)를 통해 흡수 및 상승되어지는 방향액의 량을 조절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조절레버(19)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실내로 발산되는 향의 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향기가 발산되는 사과형상을 이루는 과일 장식물(20)에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 구성에 있어서는 사과 형상을 이루는 가운데 상호 나합부(24)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는 상부 구조체(21)와 하부 구조체(22)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사과향을 발산하는 방향액(28)이 소정량으로 저장되어지되, 방향액(28)에 하단이 침지되어 이를 흡수 및 상승시키기 위한 심지(27)가 상부의 꼭지부(23)로 연장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심지(27)는 가이드관(26)에 의해 감싸져 안내되어지도록 구성되었다.
특히, 상기 꼭지부(23)에는 심지(27)를 통해 상승된 방향액이 외부로 발산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발산공(23a)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 장식물(20) 역시 하나 혹은 다수개를 실내에 놓아둘 경우, 과일 형태로 인한 실내 인테리어 효과와 함께 꼭지부(23)의 발산공(23a)을 통해 발산되는 은은한 사과향으로 인해 실제 과일로 인식되어질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나합부(24)에 의한 상.하부 체결구조를 이룸으로서 방향액(28)의 교체 또는 보충이 한층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향기 발산용 장식물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1 및 2의 설명 및 도면에서는 해당 장식물로서 꽃 및 과일을 형상화한 인조 장식물에 대해 나타내었으나, 본 고안의 향기발산 구조는 상기 장식물 외에도 채소나 기타 음식물 등의 형상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인조 장식물에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장식물은, 꽃 또는 과일 등의 형상을 갖는 인조 장식물에서 고유의 독특한 향기가 발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실내 장식기능의 시각효과는 물론 후각효과를 통해 장식물의 생명력을 불어넣어줄 수 있게된다.
특히, 장식물에 대한 별도의 유지관리가 필요없이도 해당 장식물의 고유의 향기가 은은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발산되어지게 됨으로 소비자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Claims (3)

  1. 실내 인테리어 장식을 위해 실제 물품과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되어진 모조 장식물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의 내부에는 향 발산을 위한 소정량의 방향액이 저장되어지는 공간을 이룸과 함께, 상기 방향액에 하단이 침지되어져 방향액을 흡수토록 하는 심지가 삽입되어져 있고;
    상기 심지의 형상유지를 위해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소정 높이로 안내하는 가이드관이 구비되며;
    상기 심지의 상단에는 흡수되어져 상승된 방향액의 향기를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한 발산공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산용 장식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방향액의 흡수가 용이한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산용 장식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에는 방향액의 상승 이동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 발산용 장식물.
KR20-2004-0013754U 2004-05-18 2004-05-18 향기 발산용 장식물 KR200359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754U KR200359966Y1 (ko) 2004-05-18 2004-05-18 향기 발산용 장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754U KR200359966Y1 (ko) 2004-05-18 2004-05-18 향기 발산용 장식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215A Division KR20050110264A (ko) 2004-05-18 2004-05-18 향기 발산용 장식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966Y1 true KR200359966Y1 (ko) 2004-08-26

Family

ID=4943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754U KR200359966Y1 (ko) 2004-05-18 2004-05-18 향기 발산용 장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9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1398B1 (en) Fragrant artificial flower apparatus
US6830733B2 (en) Artificial flower
US20210030913A1 (en) Device for dispensing a volatile liquid
KR200359966Y1 (ko) 향기 발산용 장식물
KR200238695Y1 (ko) 향기가 나는 조화셋트
KR20050110264A (ko) 향기 발산용 장식물
KR101013805B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장대.
JPH05132807A (ja) 香りを出す造花
KR200338014Y1 (ko) 방향 기능을 가지는 조화
KR101911150B1 (ko) 고휘도 led 발열에 의한 향기 발산 꽃
KR200282869Y1 (ko) 꽃꽂이용 방향제 용기
KR20140068525A (ko) 실내 장식품
KR200339582Y1 (ko) 해충퇴치기능을 가지는 장식용품
KR20200116791A (ko) 디퓨저가 구비된 화분
KR200402454Y1 (ko) 발향 조화 화분
JPS63283647A (ja) 芳香徐放性造花鉢
JP2568235Y2 (ja) 芳香消臭剤の容器
KR200283253Y1 (ko) 발향 조화 화분
CN209409687U (zh) 一种香薰装饰物
KR200165097Y1 (ko) 꽃 향기 나는 조화
JPH10327673A (ja) 鑑賞用鉢植
KR200212040Y1 (ko) 색상과 모양이 변화하는 조화
KR200364359Y1 (ko) 발향 조화 화분
TWM570150U (zh) 傢飾型多功能擴香
KR200224384Y1 (ko) 향기가 나는 분재용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