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525A - 실내 장식품 - Google Patents

실내 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8525A
KR20140068525A KR1020120136119A KR20120136119A KR20140068525A KR 20140068525 A KR20140068525 A KR 20140068525A KR 1020120136119 A KR1020120136119 A KR 1020120136119A KR 20120136119 A KR20120136119 A KR 20120136119A KR 20140068525 A KR20140068525 A KR 20140068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al
fragrance
adornment
draw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유선
Original Assignee
명유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유선 filed Critical 명유선
Priority to KR1020120136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8525A/ko
Publication of KR20140068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05Removing selectively parts of at least the upper layer of a multi-layer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44Holders or dispensers for liquid insecticide, e.g. using wi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odoriferous substances, e.g. aromas, pheromones or chemic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장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장식품과 공기정화 및 불쾌한 냄새를 없애기 위한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담긴 용기를 각각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가 용이하지 못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장식품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자기 재질로 형성되며, 상단에 개구부(110)가 구비되는 함체를 이루도록 사방은 벽체(120)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내부의 하단부위에는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수납부(130)가 형성되며, 벽체(120)의 오일 수납부(130) 위로는 미세한 구멍의 향발산공(121)이 무수히 형성된 장식품 본체(100)와; 장식품 본체(100)의 개구부(110)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덮개(200)로 이루어져 은은한 향 발산과 함께 도자기 재질 특유의 미감이 표출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실내 장식품을 미적 효과를 얻기 위한 장식품으로 사용하면서도 향을 발산시키는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장식품 하나만 설치하면 되는 것이므로 협소한 실내공간에서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가 용이한 것은 물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실내 장식품{Interior adornment}
본 발명은 실내 장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미적 효과를 내기 위한 실내 장식품에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을 내장하여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의 향이 실내 장식품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게 함으로서 협소한 실내에서 실내 장식품만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만을 확보하면 되므로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실내 장식품과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담긴 용기를 각각 설치함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실내 장식품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실내장식품을 비치하게 되는데 실내 장식품은 장식을 위해 놓는 물품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생활용품이지만 디자인이나 색상 등이 아름다워 장식품 역할을 겸하는 소품들을 모두 일컫는다.
이러한 실내 장식품은 실내공간에서 가장 먼저 눈이 머물 수 있는 곳이며 시선을 편안히 쉴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실내 장식품은 기능적이면서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실내 장식품은 놓이는 위치에 따라 바닥에 놓는 장식품, 벽에 거는 장식품, 선반이나 테이블 등에 올려놓는 장식품 등이 있다.
즉, 미적 효과를 얻기 위한 징식품으로는 그림, 조각, 공예품, 사진, 화초, 트로피, 상패, 장식장 등이 있다.
한편, 실내에는 실내공기를 정화시키고 불쾌한 냄새를 없애주기 위해 다양한 원료로 만들어지고 다양한 용기에 담긴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을 실내에 설치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에는 미적 효과를 얻기 위한 장식품과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담긴 용기를 각각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협소한 실내에서 각각의 설치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실내 장식품과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담긴 용기를 각각 설치함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장식품에서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의 향이 발산되게 하여 실내 장식품만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만을 확보하면 되므로 그만큼 공간확보가 용이하고, 실내 장식품과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담긴 용기를 각각 설치함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시킨 실내 장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장식품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자기 재질로 형성되며, 상단에 개구부가 구비되는 함체를 이루도록 사방은 벽체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내부의 하단부위에는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수납부가 형성되며, 벽체의 오일 수납부 위로는 미세한 구멍의 향발산공이 무수히 형성된 장식품 본체와; 장식품 본체의 개구부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덮개로 이루어져 은은한 향 발산과 함께 도자기 재질 특유의 미감이 표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미적 효과를 내기 위한 실내 장식품에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을 내장하여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의 향이 실내 장식품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게 함으로서 실내 장식품만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만을 확보하면 되므로 협소한 실내에서 설치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또한, 실내 장식품과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담긴 용기를 각각 설치함으로 인한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서 덮개가 열린 실내장식품을 예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서 덮개가 닫힌 실내장식품을 예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장식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장식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서 덮개가 열린 실내장식품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서 덮개가 닫힌 실내장식품을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장식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장식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장식품을 구성함에 있어서,도자기 재질로 형성되며, 상단에 개구부(110)가 구비되는 함체를 이루도록 사방은 벽체(120)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내부의 하단부에는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수납부(130)가 형성되며, 오일 수납부(130) 위로는 미세한 구멍의 향발산공(121)이 무수히 형성된 장식품 본체(100)와; 장식품 본체(100)의 개구부(110)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덮개(200)로 이루어져 은은한 향 발산과 함께 도자기 재질 특유의 미감이 표출되게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80)은 장식품 본체의 상부 사방 모서리에 형성된 단턱이고, (230)은 덮개의 사방 모서리부 하단에 형성된 단턱부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내 장식품에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을 집어 넣어 향이 실내 장식품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도록 하여 종래 실내 장식품과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담긴 용기를 별도로 설치함에 따라 공간확보가 용이하지 못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도자기 재질로 함체를 이루도록 사방이 벽체(120)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상단에는 개구부(110)가 형성된 장식품 본체(100)를 구비하고 그 장식품 본체(100)의 개구부(110)에는 착탈식 덮개(200)가 설치되게 한다.
또한, 벽체(120)의 내부 하단부에는 오일 수납부(130)를 형성하고 그 오일 수납부(130)위로는 미세한 구멍의 향발산공(121)을 무수히 형성하였다.
따라서 장식품 본체(100)에서 향이 발산되게 하려면 우선 개구부(110)를 덮고 있는 덮개(200)를 분리한 후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을 장식품 본체(100)의 개구부(110)를 통해 오일 수납부(130)에 부어주는데 오일 수납부(130)위의 벽체(120)에는 미세한 향 발산공(1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을 부어줄 때 오일 수납부(130)위로 넘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장식품 본체(100)에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을 부어준 후 덮개(200)를 덮어 주게 되면 오일 수납부(130)에 담겨져 있던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의 향이 위로 상승하면서 향발산공(121)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이므로 즉, 도자기 재질로 제작된 장식품 본체(100)는 친환경 소재로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미감이 뛰어나 실내 장식품 본연의 역할인 미적 효과를 연출하면서도 미세한 향발산공(121)을 통해 향이 실내로 은은하게 퍼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실내 장식품은 장식품 본체(100)의 벽체(120)외주면 상면에 장신구걸이공(141)이 다수 구비된 걸이대(140)를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즉, 귀걸이 같은 신변치장용 장신구(400)를 걸이대(140)의 장신구걸이공(141)을 이용하여 걸어주면 향발산공(121)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산되는 향이 장신구(400)에 배어지게 되어 장신구(400)를 착용하게 되면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의 향으로 인해 착용감이 더욱 좋아지는 것은 물론 착용자와 착용자의 주위에 있는 사람들까지 그 향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실내 장식품은 덮개(200)를 장식품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도자기 재질로 제작하여 미감을 향상시킨 것은 물론 덮개(200)에도 미세한 향발산공(121)을 형성하여 향이 장식품 본체(100)는 물론 덮개(200)를 통해서도 발산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덮개(200)는 사방 모서리 하단에 단턱부(230)를 형성하고, 장식품 본체(100)의 상부 모서리부에는 단턱부(230)와 대응된 단턱(180)이 형성되어 있어 덮개(200)를 장식품 본체(100)의 개구부(110)에 결합하면 단턱부(230)가 단턱(180)에 맞물리면서 덮개(200)는 장식품 본체(100)에 보다 더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장식품 본체(10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이대(140)는 장식품 본체(100)의 내부와 통하면서도 표면에 다수의 보조 향발산공(142)을 형성하여 걸이대(140)에 걸린 장신구(400)가 향발산공(121)뿐만 아니라 보조 향발산공(142)을 통해 발산되는 향에 의해 보다 많은 향이 배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덮개(200)의 저면에 장신구 보조걸이공(211)이 구비된 걸이부(210)를 형성한 것으로 이는 보조걸이공(211)에 장신구(400)을 걸은 상태에서 덮개(200)를 장식품 본체(100)에 결합하면 장신구(400)가 장식품 본체(100)내부로 들어가 오일 수납부(130)에 넣어진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의 향이 걸이부(210)에 걸린 장신구(400)에 배어 들기 때문에 이 역시 장신구(400)를 착용하면 장신구(400)에서 은은한 향이 발산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3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장식품 본체(100)의 오일 수납부(130)에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을 넣지 않고 장식품 본체(100)의 하단에 서랍출입부(150)를 형성하고, 내부에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수납될 수 있는 서랍(160)을 서랍출입부(150)로 출입되게 설치하여 서랍(160)을 통해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을 손쉽게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서랍(160)은 서랍출입부(150)에 완전히 끼웠을 때 전면부(161)가 장식품 본체(100)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외부로 돌출된 전면부(161)의 상면에는 다수의 장신구걸이공(141)을 구비하여 장신구걸이공(141)에 끼워진 다수의 장신구(400)에 향이 배면서도 서랍(160)에 걸린 장신구(400)로 인해 장식품 본체(100)가 더 돋보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서랍(160)의 전면부 하단에는 서랍(160)을 열었을 때 지면에서 받쳐주는 서랍받침부(162)를 형성하여 즉, 장식품 본체(100)를 접착제나 실리콘을 이용하여 지면에서 일정 높이 이격시켜 벽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서랍받침부(162)가 필요치 않으나 장식품 본체(100)를 지면에 접면된 상태로 놓았을 경우에는 서랍(160)을 열게 되면 서랍(160)이 기울어져 서랍(160)내부에 들어 있는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쏟아질 수 있는 것이나 서랍받침부(162)로 인해 서랍(160)을 열면 서랍받침부(162)가 지면에 접촉되어 받침대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서랍(160)의 기울어짐이 방지되어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쏟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장식품 본체(100)의 외주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요입부(170)를 형성하고 그 요입부(170)바닥에는 장신구걸이공(141)을 다수 구비하여 장신구(400)들을 장신구걸이공(140)을 이용하여 보관할 수 있어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손쉽게 찾아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덮개(200)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끼움공(220)을 형성하고, 끼움공(220)에는 방향심지(300)를 상단부가 덮개(200) 외부로 노출되게 끼우며, 방향심지(300)의 하단은 덮개(200) 조립시 장식품 본체(100) 내부의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에 잠기도록 하여 방향심지(300)를 통해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타고 올라오면서 덮개(200)외측으로 돌출된 방향심지(300)를 통해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이므로 이는 향이 향발산공(121)은 물론 방향심지(300)를 통해서도 발산되어 보다 많은 양의 향을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방향심지(300)는 상단에 원형 볼 형상의 방향봉(310)을 형성하고, 방향봉(310)을 포함한 방향심지(300) 전체를 목재로 형성 하였기 때문에 즉, 본 발명에서는 방향심지(300)의 하단이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에 잠겨진 상태에서 방향심지(300)가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을 흡수하여 향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역할도 수행하기 때문에 방향심지(300)를 목재로 제작하면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의 흡수율이 향상되어 많은 양의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의 향을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방향심재(300)를 타고 올라오는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은 목재로 된 방향봉(310)에 의해 보다 더 많은 양의 향을 사방으로 발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심지(300)는 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즉, 방향심지(300)를 덮개(200)외측으로 많이 돌출시키면 향이 그만큼 많이 발산되는 것이고 방향심지(200)를 적게 돌출시키면 향이 적게 발산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심지(300)는 상기에서 언급한 역할 이외에 목걸이와 같이 길이가 긴 장신구(400)를 방향심지(300)에 걸어주면 장신구(400)의 보관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착용하고자 할 경우 손쉽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며 목걸이에도 향이 배어지기 때문에 목걸이를 착용하게 되면 이 역시 향으로 인해 착용감이 더욱 좋아지는 것이다.
100 : 장식품 본체 110 : 개구부
120 : 벽체 121 : 향발산공
130 : 오일수납부 140 : 걸이대
141 : 장신구걸이공 142 : 보조 향발산공
150 : 서랍출입부 160 : 서랍
161 : 전면부 162 : 서랍받침부
170 : 요입부 180 : 단턱
200 : 덮개 210 : 걸이부
211 : 보조걸이공 220 : 끼움공
230 : 단턱부 300 : 방향심지
310 : 방향봉 400 : 장신구

Claims (10)

  1.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장식품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자기 재질로 형성되며, 상단에 개구부(110)가 구비되는 함체를 이루도록 사방은 벽체(120)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내부의 하단부위에는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수납부(130)가 형성되며, 벽체(120)의 오일 수납부(130) 위로는 미세한 구멍의 향발산공(121)이 무수히 형성된 장식품 본체(100)와;
    장식품 본체(100)의 개구부(110)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덮개(200);
    로 이루어져 은은한 향 발산과 함께 도자기 재질 특유의 미감이 표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장식품 본체(100)의 벽체(120) 외주면 일측에는 상면에 다수의 장신구걸이공(141)이 형성된 걸이대(140)를 돌출 형성하여,
    장신품 본체(100)의 향발산공(121)을 통해 발산된 향이 장신구걸이공(141)에 걸린 신변 치장용 장신구(400)에 배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장식품 본체(100) 외에 덮개(200)에도 미세한 향발산공(121)이 구비되는 도자기 재질로 형성하여
    은은한 향 발산과 함께 도자기 재질 특유의 미감이 증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품.
  4. 제 2 항에 있어서,
    장식품 본체(10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걸이대(140)는,
    내부가 장식품 본체(100)의 내부와 통하면서 표면에 다수의 보조 향발산공(142)이 형성되어
    장식품 본체(100) 내부에서 발산되는 향이 걸이대(140)의 보조 향발산공(142)을 통해서도 발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품.
  5.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200)의 저면에는
    다수의 장신구 보조걸이공(211)이 구비된 걸이부(210)를 형성하여
    덮개(200)를 장신구 본체(100)에 결합하면 장신구 본체(100)의 내부에서 보조걸이공(211)에 걸린 신변 치장용 장신구(400)들에 향이 배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장식품 본체(100)의 하단에는 서랍출입부(150)를 형성하고,
    서랍출입부(150)에는 내부에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수납되는 서랍(160)을 출입되게 설치하여
    서랍(160)을 통해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을 보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서랍(160)은 서랍출입부(150)에 완전히 끼웠을 때 전면부(161)가 장식품 본체(100)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외부로 돌출된 전면부(161)의 상면에는 다수의 장신구걸이공(141)을 구비하여 장신구걸이공(141)에 끼워진 다수의 신변 장식용 장신구(400)들이 장식품 본체(100)의 장식으로 사용되게 하며,
    서랍(160)의 전면부 하단에는 서랍(160)을 열었을 때 지면에서 받쳐주는 서랍받침부(16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품.
  8. 제 6 항에 있어서,
    장식품 본체(100)의 외주면 일 부위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요입부(170)를 형성하고, 요입부(170) 바닥에는 다수의 장신구걸이공(141)을 구비하여
    신변 장식용 장신구(400)들을 장신구걸이공(141)에 걸어 보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품.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덮개(200)의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끼움공(220)을 형성하고,
    끼움공(220)에는 방향심지(300)를 상단부가 덮개(200) 외부로 노출되게 끼우며,
    방향심지(300)의 하단은 덮개(200) 조립시 장식품 본체(100) 내부의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에 잠기도록 하여
    방향심지(300)를 통해 향이 발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방향심지(300)는 상단에 원형 볼 형상의 방향봉(310)을 형성하고,
    방향봉(310)을 포함한 방향심지(300) 전체를 목재로 형성하여
    방향제나 아로마오일이 목재의 방향심지(300)와 방향봉(310)을 통해 발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장식품.
KR1020120136119A 2012-11-28 2012-11-28 실내 장식품 KR20140068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119A KR20140068525A (ko) 2012-11-28 2012-11-28 실내 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119A KR20140068525A (ko) 2012-11-28 2012-11-28 실내 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525A true KR20140068525A (ko) 2014-06-09

Family

ID=5112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119A KR20140068525A (ko) 2012-11-28 2012-11-28 실내 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85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8895A (zh) * 2019-04-11 2019-07-05 顾忠明 一种可拆卸式金字塔摆件
CN112026427A (zh) * 2020-08-26 2020-12-04 章想国 一种能够净化空气的饰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8895A (zh) * 2019-04-11 2019-07-05 顾忠明 一种可拆卸式金字塔摆件
CN112026427A (zh) * 2020-08-26 2020-12-04 章想国 一种能够净化空气的饰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68930U (ja) 組み合わせ仏具
KR20140068525A (ko) 실내 장식품
KR101546650B1 (ko) 통풍수단을 구비한 미용제품 거치대
KR200479111Y1 (ko) 다용도 수용 홀더
KR200484187Y1 (ko) 식물생육용기
KR200406741Y1 (ko) 방향장식물의 방향체 결합구조
CN202172952U (zh) 一种可散发香味的首饰
KR200301857Y1 (ko) 방향효과를 갖는 촛대
JP3222671U (ja) 照明装置付き容器
KR101559865B1 (ko) 헤어웨어 거치 및 항균 탈취기능을 갖는 화장품 거치대
US20230063520A1 (en) Scented decorative plunger holder, a,k,a, tidi pro
JP5385882B2 (ja) 葬祭用祭壇
CN102326924B (zh) 一种可散发香味的首饰
JP3073270U (ja) 芳香アクセサリー具
CN209983616U (zh) 自带散香功能的吊饰及项链
JP3131522U (ja) 一輪花用化粧箱
JP3165602U (ja) 仏壇
KR200256875Y1 (ko) 방향액이 함침된 도자기 장식물
JP2009269265A (ja) プリザーブドフラワー装飾体及びプリザーブドフラワー集合装飾体
KR200395122Y1 (ko) 유골함 꽃 장식용 좌판
JP2016019709A (ja) 収納機能付装飾品及び収納機能付装飾品の基台
CN2500284Y (zh) 壁挂工艺式医疗保健箱
KR20170065105A (ko) 케이크 장식용 꽃꽂이 틀
JP3200180U (ja) 棺台
KR890004899Y1 (ko) 향기 발산 장식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