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791A - 디퓨저가 구비된 화분 - Google Patents

디퓨저가 구비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791A
KR20200116791A KR1020190038671A KR20190038671A KR20200116791A KR 20200116791 A KR20200116791 A KR 20200116791A KR 1020190038671 A KR1020190038671 A KR 1020190038671A KR 20190038671 A KR20190038671 A KR 20190038671A KR 20200116791 A KR20200116791 A KR 20200116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flower pot
scent
wall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예은
Original Assignee
박예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예은 filed Critical 박예은
Priority to KR102019003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6791A/ko
Publication of KR2020011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을 식생하는 화분에 디퓨져가 결합되어 향기를 발향함은 물론 화분에 식생된 식물에 관련된 향기를 발향하여 후각적으로 호기심을 유발하고 디자인적으로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퓨저가 구비된 화분{Pollen with diffuser Flowerpot}
본 발명은 식물을 식생하는 화분에 디퓨져가 결합되어 향기를 발향함은 물론 화분에 식생된 식물에 관련된 향기를 발향하여 후각적으로 호기심을 유발하고 디자인적으로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디퓨저가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와 산업이 발달해 가면서 산림이나 녹지는 줄어들고 대신에 인구증가에 따른 주거공간이 늘어나, 제한된 공간내에서 자연을 접할 수 있는 화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화분은 식물의 재배 및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바닥면에 배수 및 공기순환을 위해 소정 크기의 통공을 형성한 화분 내부로 식물을 지탱함과 동시에 물과 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토양을 채워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디퓨저는 체취를 향기롭게 하귀 위해 쓰이던 향수에서 발전했다. 중세시대 유럽에서 디퓨저가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귀족계층은 허브나 꽃에서 추판출한 아로마오일을 나무스틱으로 만든 리드를 이용해 실내에 은은하게 발향시켰다.
현대에 오면서 실내 인테리어와 쾌적한 환경조성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디퓨저의 대중적인 사용이 시작되었다.
디퓨저(diffuser)는 사무실, 집 등 자신의 생활공간을 은은한 향으로 채워줌으로써 만족감을 느끼게 해준다.
오랫동안 향이 유지되고 다양한 스틱 모양을 사용해 인테리어 효과도 줄 수 있다.
또한, 천연재료와 아로마오일을 이용한 디퓨저의 경우 향기와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재료에 따라 목과 코를 시원하게 뚫어주어 편안한 호흡을 유도해 호흡기 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디퓨저도 있고, 불면증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는 향을 사용해 숙면 효과를 높이는 디퓨저도 있다.
인테리어로 조명과 디퓨저를 하나로 합친 상품들이 여럿 있는데 열과 냉각을 이용하여 디퓨저의 향을 발향시키며 조명으로써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화분과 디퓨저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제2016 - 0159150호 "디퓨저조명" 대한민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7 - 0003394호"화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소품으로 사용하는 화분과 디퓨저를 각각 사용하지 않고 일체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화분에 있어서, 식물을 식생하는 화분의 화부에는 향기를 발향하는 디퓨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분의 하부에 디퓨저를 일체로 형성하여 실내에 화분을 설치한 다음 디퓨저에서 향기를 발향함으로 인해 실내공기를 향기롭게하는 것은 물론 화분에 식생된 식물에 관련된 향기를 발향하여 후각적으로 호기심을 유발하여 한번더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분과 디퓨저가 하나로 결합되어 디자인적으로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화분을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화분을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화분을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화분을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디퓨져 용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화분을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화분을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화분을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화분을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화분을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디퓨져 용기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화분은 식생공간부(13)에 식물이 식재되는 화분(1)과, 상기 화분(1)의 하부에는 향기를 발향하는 디퓨저(2)가 결합된 구성이다.
상기 화분과 디퓨저의 형상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화분(1)의 바닥면 저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기(3)가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2)는 개방된 상면과 바닥면의 중앙에는 내벽(6)과 외벽(7)이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벽(6)과 외벽(7)사이에 형성된 결합홈(4)이 형성된다.
또한, 외벽과 내벽의 길이를 달리하여 결함홈으로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외벽(7) 둘레에는 링형상으로 형성된 디퓨저 용기(5)가 안착되고, 디퓨저 용기의 상면에는 발향스틱(11)을 삽입하는 스틱 삽입공(9)과 액상의 방향제를 주입하는 주입공(10)이 형성되고 주입공을 통해 내부에는 액상의 방향제가 주입된다.
화분(1)의 결합돌기(3)를 결합홈(4)에 끼움 결합하면 화분(1)의 바닥면과 디퓨져(2)의 상부 사이에 발향공(14)이 형성되어 디퓨저 용기(2)에 주입된 향기를 발향공을 통해 발향한다.
또한, 디퓨저 용기에 액상의 방향제를 주입하기 위해 화분과 디퓨저는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한 구조이다.
상기 디퓨저 용기에 주입되는 액상의 방향제는 화분에 식재된 식물의 향기와 대응하는 방향제를 주입하거나 또는 연관성이 있는 방향제를 주입하여 실제 식물에서 발향되는 향기로 착각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후각적으로 호기심을 자극한다.
상기 화분과 디퓨저 용기는 원형뿐만아니라 사각형 또는 다각형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미 실시하였으나 결합돌기(3)의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결합홈(8)에도 나사선이 형성되어 결합돌기(3)를 결합홈(4)에 삽입한 다음 나사선을 따라 조임 및 풀림 작업에 의해 화분(1)과 디퓨저(2) 사이에 형성된 발향공(14)의 간격을 조절하여 발향되는 향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화분을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화분에 식물을 식재하고, 디퓨저 내부에는 액상의 방향제가 주입되고, 스틱 삽입공에는 발향하는 발향 스틱을 꽂은 디퓨저 용기를 안착한 다음 화분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디퓨저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움 결합하면 화분과 디퓨저를 결합된 상태에서 원하는 실내 공간에 위치하면 시각적으로 식물을 감상하면서 후각적으로는 디퓨저에서 발향하는 향기를 맡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 화분 2: 디퓨저
3: 결합돌기 4: 결합홈
5: 디퓨저 용기 6: 내벽
7: 외벽 8: 결합홈
9: 스틱 삽입공 10: 주입공
11: 발향스틱 12: 발향
13: 식생공간부 14: 발향공

Claims (3)

  1. 화분에 있어서,
    식물이 식재되는 화분(1)과, 상기 화분(1)의 하부에는 향기를 발향하는 디퓨저(2)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가 구비된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1)은 바닥면의 저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기(3)와,
    상기 디퓨저(2)는 개방된 상면과 바닥면의 중앙에는 내벽(6)과 외벽(7)이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벽(6)과 외벽(7)사이에 형성된 결합홈(4)과,
    상기 외벽(7) 둘레로 안착되고, 상면에는 발향스틱(11)을 삽입하는 스틱 삽입공(9)과 액상의 방향제를 주입하는 주입공(1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액상의 방향제가 주입된 디퓨저 용기(5)로 구성되어,
    화분(1)의 결합돌기(3)를 결합홈(4)에 끼움 결합하면 화분(1)의 바닥면과 디퓨져(2)의 상부 사이에 발향공(14)이 형성되어 디퓨저 용기(2)에 주입된 향기를 발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가 구비된 화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3)의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결합홈(8)에도 나사선이 형성되어 결합돌기(3)를 결합홈(4)에 삽입한 다음 나사선을 따라 조임 및 풀림 작업에 의해 화분(1)과 디퓨저(2) 사이에 형성된 발향공(14)의 간격을 조절하여 발향되는 향기의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가 구비된 화분.
KR1020190038671A 2019-04-02 2019-04-02 디퓨저가 구비된 화분 KR20200116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671A KR20200116791A (ko) 2019-04-02 2019-04-02 디퓨저가 구비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671A KR20200116791A (ko) 2019-04-02 2019-04-02 디퓨저가 구비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791A true KR20200116791A (ko) 2020-10-13

Family

ID=7288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671A KR20200116791A (ko) 2019-04-02 2019-04-02 디퓨저가 구비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67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820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메이크정글 디퓨져 겸용 화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394A (ko) 2015-06-30 2017-01-09 오토모티브 에너지 서플라이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이온 2차 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394A (ko) 2015-06-30 2017-01-09 오토모티브 에너지 서플라이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이온 2차 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820A (ko) 2021-03-31 2022-10-07 주식회사 메이크정글 디퓨져 겸용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1908A (en) Plant culture receptacle
AU2003226055A1 (en) Artificial flower
KR101400411B1 (ko) 양초
KR20200116791A (ko) 디퓨저가 구비된 화분
CN107568013A (zh) 一种构建芳香环境的芳香植物处理方法及应用
JP2011239723A (ja) 植物用の芳香片、ならびに、芳香片を備えた鉢植え
KR200238695Y1 (ko) 향기가 나는 조화셋트
KR102320131B1 (ko)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KR200419523Y1 (ko) 원적외선 방출유도 및 발향 유도용 실내 장식용기
KR200364359Y1 (ko) 발향 조화 화분
Keville The Aromatherapy Garden: Growing Fragrant Plants for Happiness and Well-Being
CN112502491A (zh) 一种园艺疗法配套景观花园
KR200402454Y1 (ko) 발향 조화 화분
JPH05316889A (ja) 気生根蘭の室内栽培法及び該栽培法に用いる植木鉢
KR20210050980A (ko) 디퓨져가 구비된 화분
KR101095212B1 (ko) 친환경 이중구조 화분
CN109453407A (zh) 一种含爆珠的塔香加工方法
JP3230356U (ja) エッグシェルプランツ
Shepperd Houseplants 101: How to choose, style, grow and nurture your indoor plants.
KR200224384Y1 (ko) 향기가 나는 분재용 화분
KR20020059269A (ko) 조화 및 생화의 화분용 발향물질 및 발향용기
CN209409687U (zh) 一种香薰装饰物
KR200283253Y1 (ko) 발향 조화 화분
KR101996948B1 (ko) 이중구조 화분
CN206658744U (zh) 一种铁皮石斛种植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