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131B1 -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131B1
KR102320131B1 KR1020210092049A KR20210092049A KR102320131B1 KR 102320131 B1 KR102320131 B1 KR 102320131B1 KR 1020210092049 A KR1020210092049 A KR 1020210092049A KR 20210092049 A KR20210092049 A KR 20210092049A KR 102320131 B1 KR102320131 B1 KR 10232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pot
lighting device
olfactory
visual
emotional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민
김한철
김창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엘스타
주식회사 팜앤숲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엘스타, 주식회사 팜앤숲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엘스타
Priority to KR102021009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반려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받치는 화분 받침대로 기능하고, 반려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감성 조명을 제공하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시각 자극과 공기 정화 기능 뿐만 아니라, 향기 발산을 통한 후각 자극, 그리고 접촉을 통한 촉각 자극을 함께 제공하여 반려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정서적인 안정과 유대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윤택하게 하고, 거주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COMBINED EMOTIONAL LIGHTING DEVICE AND A FLOWERPOT STAND WITH A FUNCTION OF VISUAL, OLFACTORY, TACTILE STIMULATION AND AIR PURIFICATION}
본 발명은 각종 반려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받치는 화분 받침대로 기능하고, 반려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감성 조명을 제공하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시각 자극과 공기 정화 기능 뿐만 아니라, 향기 발산을 통한 후각 자극, 그리고 접촉을 통한 촉각 자극을 함께 제공하여 반려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정서적인 안정과 유대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윤택하게 하고, 거주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 보급률의 확대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전자 매체나 미디어, 콘텐츠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이로 인해 사람 간의 유대적인 관계보다 미디어를 통한 딱딱한 관계로 인해 정서적인 고립 등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정서적 고립 등을 해소하기 위해 반려동·식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반려식물은 반려동물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드는 이점으로 인해 최근에 각광받은 새로운 트렌드이다. 물론, 화단에 식물을 키우거나, 화초나 난 등을 가꾸는 모습은 어느 가정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광경이다. 하지만 달라진 것은 식물을 키우는 행위보다 애정을 쏟아내는 대중의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식물에게 마음을 주고 의지하는 현대인들의 '고독과 외로움'이 잘 반영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반려식물을 실내에서 생육시키는데 필요한 물품이 바로 화분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별도의 조명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실내에 설치된 경우, 어두운 밤이나, 햇빛의 유입량이 적은 실내나 지하실, 또는 실내 조명의 광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반려식물이 제대로 광합성을 못하여 고사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창호 기술의 발달로 창유리를 통한 햇빛의 투과율이 낮아져 가고, 햇빛 차단장치까지 설치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 만으로는 반려식물의 생육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햇빛의 조도가 부족한 공간에서 꽃이나 식물을 키울 수 있도록 조명램프가 구비된 화분 받침대(또는 화분 받침대 겸용 조명장치)가 국내 공개특허 제10-2018-0058334호에서 제안되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8-0058334호에서 제안된 화분 받침대에서는 화분을 받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된 조명(LED 램프)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인해 원목으로 화분 받침대를 제작하고 있으며, 그 일례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69361호 등에서 제안되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69361호에서는 화분을 올려놓는 화분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된 엘이디(LED) 램프를 통해 조명을 제공하여 야간에 식물이 산소(O2)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편백나무로 제작하여 피톤치드(Phytoncide) 발산의 효과를 얻어 인체에 유익 하면서 자연 원목의 장식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편백나무를 이용한 화분 받침대 겸용 조명장치를 제안하였다.
또한, 발향 화분의 일례로서, 국내 공개특허 제10-2002-0059269호에서는 발향물질을 함유한 발향용기를 화분에 안치된 스치로폼의 삽입홈에 삽입하여 발향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생화분의 경우에는 상기 발향물질이 든 발향용기를 화분 흙의 일정 장소에 꽂아 놓음으로써 생화의 향기를 보강하고, 모기나 말라리아와 같은 해충을 살충할 수 있는 조화 및 생화의 화분용 발향물질 및 발향용기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이 국내 공개특허 제10-2018-0058334호,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69361호, 국내 공개특허 제10-2002-0059269호 등과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조명을 통해 반려식물의 생육을 돕고, 또한 조명과 발향을 통한 시각과 후각을 통해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는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종래기술에서는 시각과 후각 자극을 통해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는 있으나, 자극이 시각과 후각에 국한되어 감성 자극을 극대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둘째, 종래기술에서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욕구와 무관하게 획일적으로 동일한 양으로 향을 발산함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발산되는 향을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편의성이 저하되었다.
셋째, 종래기술에서는 조명 이외에 제공되는 부가 기능이 없어 활용도가 저조하였다.
KR 20-0469361 Y1, 2013. 09. 30., "편백나무를 이용한 화분 받침대 겸용 조명장치" KR 10-2018-0058334 A, 2018. 06. 01., "화분용 조명장치" KR 20-0302062 Y1, 2003. 01. 10., "향기발산 조명장치" KR 10-2002-0059269 A, 2002. 07. 12., "조화 및 생화의 화분용 발향물질 및 발향용기"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첫째, 본 발명은 시각, 후각 자극 뿐만 촉각 자극을 제공하여, 특히 촉각 자극에 민감한 어린아이들의 감성 자극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발산되는 향기의 양을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조명 이외에 휴대 단말기(스마트폰)를 충전할 수 있는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려식물이 식재된 화분이 안치되고, 바닥은 밀폐되며 상부는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ㄷ'자 또는 'ㅁ'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분의 하측으로는 디퓨저 또는 방향제와 같은 향기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화분 받침대; 상기 화분 받침대의 상부 후단부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된 지지대; 상기 화분 받침대와 상하로 대면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서 전방측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화분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LED 조명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충전패드가 설치되어 있는 상판대; 및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화분 받침대의 측부에 관통 설치되고, 압력이 가해지면 내부에 충진된 에어(air)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시켜 상기 향기부재로부터 발산된 후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채워진 향기를 외부로 확산시키는 펌핑볼을 포함하는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펌핑볼은 손으로 만지거나, 혹은 손가락으로 잡거나 눌렀을 때 촉감이 말랑말랑하여 촉각 자극을 줄 수 있도록 연질의 천연 고무재나 실리콘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핑볼은 상기 화분 받침대에 복수 개가 일열 또는 다행다열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펌핑볼은 서로 다른 크기 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 받침대는 서로 대면하는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화분을 받치는 받침턱이 형성된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전방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측을 개폐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진 향기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내장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바람을 공급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채워진 향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에 의하면, 화분을 비치는 감성조명을 통한 시각 자극과, 향기부재에서 발산되는 향기를 통한 후각 자극과, 펌핑볼을 통한 촉각 자극을 함께 제공하고, 캄포나무 또는 편백나무 등으로 이루어져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 자극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에 의하면, 펌핑볼을 통해 촉각 자극을 제공하는 동시에 펌핑볼의 펌핑 동작을 통해 향기부재에서 발산된 향기 입자를 확산시킴으로써 외부로 배출되는 향기 입자의 양을 자유롭게 조정하여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에 의하면, 무선충전패드를 통한 휴대용 단말기 무선 충전 기능과, 블루투스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음악 재생 기능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분이 분리된 상태의 감성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성 조명장치를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핑볼이 설치된 화분 받침대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판대의 각도가 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의 부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분이 분리된 상태의 감성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감성 조명장치를 일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10)는 화분(1)을 받치는 화분 받침대(11)와, 화분 받침대(11)의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대(12)와, 화분 받침대(11)와 상하로 대면하도록 지지대(12)의 상단부에서 전방측으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무선충전패드(15)와 조명(16)이 설치된 상판대(13)를 포함한다.
화분 받침대(11), 지지대(12) 및 상판대(13)는 각각 캄포나무 또는 편백나무 등과 같은 원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표면은 항균 및 항염 처리될 수 있다.
캄포나무 또는 편백나무는 피톤치드(phytoncide)를 발산하는 식물로서, 이러한 식물이 내는 살균력의 경우 향균효과와 소취효과,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효과, 면역기능 증대효과, 집먼지 진드기 퇴치효과 등의 효과와 더불어 자연 치유력을 갖는다.
도 2와 같이, 화분 받침대(11)는 바닥은 밀폐되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가령 위에서 바라볼 때, 'ㄷ'자 또는 'ㅁ'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화분 받침대(11)의 내부에는 화분(1)의 하측으로 다양한 종류의 디퓨저 또는 방향제와 같은 향기부재(2)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a)이 마련되어 있다.
향기부재(2)는 내부에 액상형으로 아로마, 허브 또는 플로럴 워터가 충진된 디퓨저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내부에 편백, 캄포, 민트, 라벤더, 로즈마리, 쑥 등이 주머니나 팩의 내부에 내장된 방향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디퓨저와 방향제의 구조 및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구조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분 받침대(11)는 서로 대면하는 내측면에 형성되어 화분(1)을 받치는 받침턱(111a)이 형성된 받침부(111)와, 받침부(111)의 전방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받침부(111)에 결합되어 수용공간(11a)의 전방측을 개폐하는 개폐부(112)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a)는 개폐부에 의해 수용공간의 전방측이 밀폐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개폐부가 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용공간의 전방측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와 같이, 개폐부(112)가 받침부(111)의 전방측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에서는 화분 받침대(11)의 수용공간(11a)의 전방측이 밀폐되고, 도 4의 (b)와 같이, 개폐부(112)가 받침부(111)의 전방측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전방측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딩 이동하면, 화분 받침대(11)에 마련된 수용공간(11a)의 전방측이 개방된다.
도 1과 같이, 화분 받침대(11)의 상부에 화분(1)이 안치되고, 화분(1)의 하측으로 수용공간(11a)에는 향기부재(2)가 수용된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11a)의 개방된 상부는 화분(1)의 크기에 대응하여 밀폐되고, 그 밀폐 정도에 따라 수용공간(11a)에 수용된 향기부재(2)에서 배출되는 향기 입자의 배출량 또한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개폐부(112)를 받침부(111)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개폐부(112)를 받침부(111)로부터 수용공간(11a)의 전방측으로 슬라이딩시켜 개폐부(112)에 덮혀져 있는 수용공간(11a)의 전방측을 개방시킨다. 이때, 개폐부(112)의 슬라이딩 이동거리를 조정하여 향기 입자의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수용공간(11a)의 상부가 화분(1)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개폐부(112)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수용공간(11a)의 전방측을 개방시킴으로써 수용공간(11a)에 수용된 향기부재(2)에서 발산된 향기 입자의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개폐동작을 위해, 개폐부(112)는 도 4와 같이, 일례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부에는 가이드(1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받침부(111)에는 전방측으로 개방되고 가이드(112a)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가이드홈(111b)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화분 받침대(11)의 외면, 즉 받침부(111)의 외면에는 수용공간(11a)의 내부로 에어(air)를 공급하여 향기부재(2)에서 발산된 향기 및/또는 수용공간(11a) 내부에 채워진 향기를 확산시키는 펌핑볼(14)이 설치된다.
펌핑볼(14)은 손으로 만지거나, 혹은 손가락으로 잡거나 눌렀을 때 촉감이 말랑말랑하여 어린아이에게 촉각 자극을 줄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펌핑볼(14)은 천연 고무재나 실리콘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핑볼이 설치된 화분 받침대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와 같이, 펌핑볼(14)은 풍선과 같이 입구측이 화분 받침대(11)의 받침부(111)를 관통하여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형상은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 펌핑볼(14)의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펌핑볼(14)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누르면(화살표 참조), 즉 펌핑볼(14)의 외면에 압력이 가해지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펌핑볼(14)의 내부는 축소되고, 이로 인해 내부에 충진된 에어가 수용공간(11a)으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향기부재(2)에서 발산된 향기 입자(2a)가 펌핑볼(14)에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확산된다. 결국, 자연적으로 발산되는 향기 입자에 비해 향기 입자의 배출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펌핑볼(14)은 한 개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복수 개가 설치되고, 이 경우 서로 크기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이 펌핑볼(16)은 화분 받침대(11)의 외면에 일열 또는 다행다열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 경우, 바람의 세기와 양을 균일하게 감소시키기 위해 균일한 크기로 감소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가령, 첫 번째 펌핑볼의 지름이 10mm 이라 가정하면, 두 번째 펌핑볼은 8mm, 세 번째 펌핑볼은 6mm, 네 번째 펌핑볼은 4mm 으로 형성한다. 즉 2mm 씩 균일한 크기로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화분 받침대(11)에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펌핑볼(14)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수용공간(11a)으로 배출되는 바람의 세기와 양을 조정함으로써 수용공간(11a)에서 외부로 확산되는 향기 입자(2a)의 배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펌핑볼(14)은 동일한 색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어린아이에게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디자인성을 고려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색, 청색, 녹색, 노란색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12)는 화분 받침대(1)와 상판대(13)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대로서, 길이가 고정되는 고정형으로 이루어지거나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변형의 경우 낚시대와 같이 관 형태로 다단으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결합 상태에서 잠금을 유지하기 위해 홀과 고정핀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판대(13)는 상부에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충전패드(15)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화분 받침대(11)에 안치된 화분(1)에 식재된 반려식물(1a)에 빛을 제공하는 조명(16)이 설치된다. 이때, 조명(16)은 감성조명으로서, LED 램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판대의 각도가 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상판대(13)는 지지대(12)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판대(13)는 지지대(12)를 축으로 다양한 각도로 조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조명(16)의 조사각은 상판대(13)의 각도 조절을 통해 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의 부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10)는 상판대(13)에 설치된 무선충전패드(15)와 조명(16)을 구동시키기 위해 제어 모듈부(17)가 내장 설치된다.
제어 모듈부(17)는 상판대(13) 또는 화분 받침대(11)의 내부에 내장 설치될 수 있으며, 스위치(20)의 동작을 통해 전원포트(18)로부터 외부전원, 또는 배터리(19)로부터 내부전원을 공급받아 무선충전패드(15)와 조명(16)을 각각 구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10)는 화분 받침대(11)의 수용공간(11a)에 대향하는 지지대(12)의 하부에 내장 설치된 송풍팬(21)을 더 포함한다.
송풍팬(21)은 화분 받침대(11)의 수용공간(11a)에 채워진 향기 입자(2a)를 외부로 확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어 모듈부(17)에 의해 구동하여 전방측, 즉 화분 받침대(11)의 수용공간(11a)으로 바람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11a)에 채워진 향기 입자(2a)는 송풍팬(21)에서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외부로 확산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10)는 휴대용 단말기(3), 예를 들면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스마트폰과 데이터 통신하여 휴대용 단말기(3)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예를 들면 음악을 출력하는 블루투스 스피커(22)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10)는 터치 방식으로 제어 모듈부(17)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터치식 디스플레이(23)를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23)는 타이머(미도시)와 연동하여 현재 날짜, 시간, 알람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화분(1)에는 다양한 종류의 반려식물(1a)이 식재되고, 테라코타 볼과 모빌이 더 채워질 수 있다. 이때, 반려식물(1a)은 다양한 식물을 포함하고,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공중식물, 난과식물, 제주이끼, 스투끼, 모스 등 일 수 있다.
상기 테라코타 볼과 모빌은 수작업 후 그늘에서 1차 건조 후 1200℃에서 구워내어 강도가 강하고,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어 수분 공극을 통해 식물 생육과 유지에 도움을 준다. 또한, 음이온 발생으로 음이온이 미세먼지 입자와 결합하여 바닥으로 떨어져 미세먼지(초미세먼지 포함)를 제거하고, 수분 흡수 및 배출 능력이 탁월하여 가습 및 제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10)에서는 화분(1)을 비치는 감성조명(16)을 통한 시각 자극, 향기부재(2)에서 발산되는 향기를 통한 후각 자극, 펌핑볼(14)을 통한 촉각 자극을 제공하는 한편, 캄포나무 또는 편백나무 등으로 이루어져 공기 정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 자극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10)에서는 펌핑볼(14)을 통해 촉각 자극을 제공하는 동시에 향기부재(2)에서 발산된 향기 입자(2a)를 확산시켜 외부로 배출되는 향기 입자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조명장치(10)에서는 감성조명(16) 이외에 무선충전패드(15), 블루투스 스피커(22) 등의 부가기능을 제공하여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화분 1a : 반려식물
2 : 향기부재 2a : 향기 입자
3 :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10 : 감성 조명장치
11 : 화분 받침대 11a : 수용공간
12 : 지지대 13 : 상판대
14 : 펌핑볼 15 : 무선충전패드
16 : 조명 17 : 제어 모듈부
18 : 전원포트 19 : 배터리
20 : 스위치 21 : 송풍팬
22 : 블루투스 스피커 23 : 디스플레이
111 : 받침부 111a : 받침턱
112 : 개폐부 112a : 가이드
112b : 가이드홈

Claims (6)

  1. 반려식물이 식재된 화분이 안치되고, 바닥은 밀폐되며 상부는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 'ㄷ'자 또는 'ㅁ'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분의 하측으로는 디퓨저 또는 방향제와 같은 향기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화분 받침대;
    상기 화분 받침대의 상부 후단부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된 지지대;
    상기 화분 받침대와 상하로 대면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서 전방측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화분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LED 조명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충전패드가 설치되어 있는 상판대; 및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상기 화분 받침대의 측부에 관통 설치되고, 압력이 가해지면 내부에 충진된 에어(air)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시켜 상기 향기부재로부터 발산된 후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채워진 향기를 외부로 확산시키는 펌핑볼;
    을 포함하는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볼은 손으로 만지거나, 혹은 손가락으로 잡거나 눌렀을 때 촉감이 말랑말랑하여 촉각 자극을 줄 수 있도록 연질의 천연 고무재나 실리콘재로 이루어진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볼은 상기 화분 받침대에 복수 개가 일열 또는 다행다열로 설치된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펌핑볼은 서로 다른 크기 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받침대는,
    서로 대면하는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화분을 받치는 받침턱이 형성된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전방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측을 개폐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진 향기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개폐부;
    를 포함하는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내장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바람을 공급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채워진 향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KR1020210092049A 2021-07-14 2021-07-14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KR10232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049A KR102320131B1 (ko) 2021-07-14 2021-07-14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049A KR102320131B1 (ko) 2021-07-14 2021-07-14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131B1 true KR102320131B1 (ko) 2021-11-02

Family

ID=7847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049A KR102320131B1 (ko) 2021-07-14 2021-07-14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9747A1 (ko) * 2022-08-02 2024-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269A (ko) 2002-06-04 2002-07-12 신승엽 조화 및 생화의 화분용 발향물질 및 발향용기
KR200302062Y1 (ko) 2002-10-21 2003-01-24 황강순 향기발산 조명장치
KR20130002159U (ko) * 2011-09-28 2013-04-05 정의진 편백나무를 이용한 화분 받침대 겸용 조명장치
KR20180058334A (ko) 2016-11-24 2018-06-01 윤성주 화분용 조명 장치
KR101868743B1 (ko) * 2017-04-04 2018-06-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식생정보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269A (ko) 2002-06-04 2002-07-12 신승엽 조화 및 생화의 화분용 발향물질 및 발향용기
KR200302062Y1 (ko) 2002-10-21 2003-01-24 황강순 향기발산 조명장치
KR20130002159U (ko) * 2011-09-28 2013-04-05 정의진 편백나무를 이용한 화분 받침대 겸용 조명장치
KR200469361Y1 (ko) 2011-09-28 2013-10-18 정의진 편백나무를 이용한 화분 받침대 겸용 조명장치
KR20180058334A (ko) 2016-11-24 2018-06-01 윤성주 화분용 조명 장치
KR101868743B1 (ko) * 2017-04-04 2018-06-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식생정보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9747A1 (ko) * 2022-08-02 2024-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425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CN108419564A (zh) 一种智能种植箱
KR102320131B1 (ko) 시각, 후각, 촉각 자극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받침대 겸용 감성 조명장치
KR200469361Y1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화분 받침대 겸용 조명장치
CN201781836U (zh) 兼具照明及芳香功能的植物栽培装置
KR100943824B1 (ko) 다목적 화분
KR101628656B1 (ko) 식물재배장치
CN208143917U (zh) 一种智能种植箱
KR200419523Y1 (ko) 원적외선 방출유도 및 발향 유도용 실내 장식용기
KR20100004465U (ko) 조명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
KR101730814B1 (ko) 허브식물 재배용 화분장치
CN201042904Y (zh) 一种可诱杀昆虫的人造盆景
JP3134691U (ja) 室内芳香器
CN110118406A (zh) 一种桌面小型生态加湿器
CN208739806U (zh) 一种植物夜间生长的气培装置
CN102100158A (zh) 长期不浇水组合式观赏花盆
CN207075795U (zh) 一种模块化立体盆栽器具
CN205963456U (zh) 一种带有鱼缸的立柜结构
CN201911095U (zh) 植栽花盆
JPH05316889A (ja) 気生根蘭の室内栽培法及び該栽培法に用いる植木鉢
CN214758200U (zh) 一种带绿植的光波房
CN108432510A (zh) 一种智能花卉种植设备
CN2347791Y (zh) 长青保健植物盆景
CN216476637U (zh) 多功能节地生态坟墓
KR101996948B1 (ko) 이중구조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