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7425B1 -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 Google Patents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7425B1
KR101237425B1 KR1020120074941A KR20120074941A KR101237425B1 KR 101237425 B1 KR101237425 B1 KR 101237425B1 KR 1020120074941 A KR1020120074941 A KR 1020120074941A KR 20120074941 A KR20120074941 A KR 20120074941A KR 101237425 B1 KR101237425 B1 KR 101237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air
tank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기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유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4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425B1/ko
Priority to CN201310080344.3A priority patent/CN103535204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가습효과를 높여주고, 식물을 먼지로부터 보호하여 공기정화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조부재와;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재에 장착되는 차단부재와; 상부 외주면에는 제1공기통로가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 안착되는 화분과; 상기 화분의 식물을 감싸도록 상기 수조부재의 상부에 탈착되게 장착되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공기통로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차단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과; 상기 수조부재에 공기를 투입하는 송풍팬과; 상기 수조부재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의 내부에 투입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기통로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를 지나 상기 제2공기통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 FLOWERPOT OF AIR FILTRATION FUNCTION HAVING }
본 발명은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가습효과를 높여주고, 식물을 먼지로부터 보호하여 공기정화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광합성을 하면서 산소를 발생시킨다.
이때, 공기정화 식물은 공기에서 나쁜 물질을 빨아 들이는 기능을 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공기정화 식물이 보다 공기정화를 잘할 수 있도록 특수한 화분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공기정화 식물이 공기정화를 잘할 수 있게 한 화분으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861821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928호 등이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은 공기가 흙을 통과하기 때문에 가습효과가 낮으며, 식물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실내의 먼지가 화분 식물의 잎에 쌓이게 되면서 식물이 광합성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공기정화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화분의 수분을 공급하는 물에 공기를 불어 넣어 공기가 수분을 흡수한 후 배출되면서 가습효과를 높여주고, 화분의 식물을 투명재질로 덮어 식물의 잎에 먼지가 쌓이지 않게 하여 공기정화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조부재와;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재에 장착되는 차단부재와; 상부 외주면에는 제1공기통로가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 안착되는 화분과; 상기 화분의 식물을 감싸도록 상기 수조부재의 상부에 탈착되게 장착되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공기통로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차단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과; 상기 수조부재에 공기를 투입하는 송풍팬과; 상기 수조부재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의 내부에 투입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기통로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를 지나 상기 제2공기통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부재의 일부를 관통하며 그 주위를 막아주는 격벽을 형성한 수로장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물공급부재는, 상기 수로장착부에 삽입되게 장착되어 물을 받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상기 격벽에 힌지결합하는 힌지축과;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물을 상기 수조부재 내부로 안내하는 수로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조부재 내부에 물을 공급할 경우, 상기 수용부는 상기 힌지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수로장착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차단부재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는, 중앙에는 제1관통공을 형성한 제1차단판과;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차단판과 겹쳐지는 제2차단판;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은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 사이에는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 주연으로 상호 이격된 원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은 상기 이격공간에 다수개가 장착되어 상기 수조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부재는 상향 개방된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하향 개방된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구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의 내부에 투입된 공기가, 상기 제1공기통로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를 지나 상기 제2공기통로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수조부재에 수용된 물에 의해 가습효과를 높여주고, 상기 커버부재에 의해 상기 화분 식물의 잎에 먼지가 쌓이지 않게 하여 공기정화능력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수조부재 내부에 물을 공급할 때, 상기 수용부가 상기 힌지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수로장착부에서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돌출된 상기 수용부에 물을 부으면 물이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수로부를 지나 상기 수조부재 내부로 흐르기 때문에, 물을 상기 수조부재의 내부에 손쉽게 넣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을 공급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수용부가 상기 힌지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물공급부재가 상기 수로장착부에 삽입됨으로써, 외관을 해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다수개의 상기 조명등이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1차단판 사이에 형성된 원형의 상기 이격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조명등의 빛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수조부재를 다양한 색상의 빛으로 빛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수조부재가 상향 개방된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하향 개방된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구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방에서 볼 수 있고, 배치 구도에 있어서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의 구조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의 구조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B-B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의 물공급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의 수조부재에 관상어를 기르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의 구조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의 구조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B-B를 취해서 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의 물공급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의 수조부재에 관상어를 기르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은, 수조부재(100), 차단부재(200), 화분(300), 커버부재(400), 조명등(500), 송풍팬(600) 및 물공급부재(7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부재(1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을 수용한다.
이러한 상기 수조부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개방된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부재(100) 하부에는 반구형상의 상기 수조부재(100)가 굴러가지 않도록 받침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조부재(1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01)에 의해 상기 송풍팬(600)이 장착되는 팬장착부(110)와 상기 물공급부재(700)가 결합되는 수로장착부(12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부재(100)를 반 구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사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201)이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재(100)를 차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단부재(20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상기 수조부재(100)의 상부를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200)의 중앙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201)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300)을 삽입안착할 때, 상기 화분(300)을 받쳐주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상기 차단부재(20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판(210) 및 제2차단판(2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공(201)은 제1관통공(211)과 제2관통공(2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차단판(2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100)의 상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차단판(2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판(210)과 겹쳐지게 장착된다.
상기 제1관통공(2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판(210)의 중앙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관통공(221)은 상기 제2차단판(220)의 중앙에 상기 제1관통공(211)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렇게 연통형성된 상기 제1관통공(211)과 상기 제2관통공(221)에는 상기 화분(300)이 삽입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단판(210)과 상기 제2차단판(220) 사이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통공(211)과 상기 제2관통공(221) 주연으로 상호 이격된 원형의 이격공간(230)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상기 이격공간(230)에는 상기 조명등(50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단판(210)과 상기 제2차단판(220)은 상기 이격공간(230)에 장착된 상기 조명등(500)의 빛이 투과되는 불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차단판(210)과 상기 제2차단판(220)을 투명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조명등(500)에서 발광하는 빛이 직접적으로 투과되게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이 상기 조명등(500)의 빛이 직접투과되면, 빛이 너무 밝거나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눈에 비치게 되면서 불편함을 주기 때문에, 본 실시예와 같이 불투명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조명등(500)에서 발광하는 빛이 은은하게 비치면서 무드등과 같은 역할을 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좋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분(300)은 내부에 흙을 구비하고, 식물을 심어서 식물이 광합성을 하면서 공기를 정화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화분(30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201) 즉, 상기 제1관통공(211)과 상기 제2관통공(221)에 삽입장착된다.
이때,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300)이 상기 관통공(201)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201)을 완전히 막아주도록 하고, 상기 화분(300)의 하부가 상기 수조부재(100)에 수용된 물에 닿아 식물에 물이 공급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300)의 상부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테두리부가 상기 관통공(201)의 테두리의 상부에 안착되게 하여 상기 관통공(201)을 막아주도록 하였다.
이러한 상기 화분(300)의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기통로(3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공기통로(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200)와 상기 화분(300)에 의해 상부가 차단된 상기 수조부재(100)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차단부재(200)의 상부로 유입되게 상기 화분(300)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공기통로(310)는 상기 관통공(201)에 삽입된 상기 화분(300) 내부에 담겨있는 흙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공(201)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조부재(100)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차단부재(200)의 상부로 유입되게 상기 화분(300)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공기통로(310)는 상기 수조부재(100)의 공기가 상기 차단부재(200)의 상부로 고르게 유입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300)의 식물을 감싸도록 상기 수조부재(100)의 상부에 탈부착 되게 장착된다.
상기 커버부재(400)를 탈부착되게 상기 수조부재(100)에 장착하는 것은, 상기 커버부재(400)를 탈착시켜 상기 화분(300)의 식물을 손쉽게 교체하고나 손질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400)는 햇빛이 잘 투과되어 상기 화분(300)의 식물에 잘 비치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400)는 상기 수조부재(100)와 함께 상호 구형상을 이루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개방된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400)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반구형상의 상기 수조부재(100)에 탈부착됨으로써, 상호 구형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커버부재(400) 내부의 식물을 사방에서 볼 수 있고, 구도에 있어서 안정감을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400)가 상기 식물을 감싸도록 장착됨으로써, 먼지가 식물의 잎에 쌓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식물이 보다 광합성 작용을 활발히 하여 공기정화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400)에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공기통로(410)가 형성된다.
상기 제2공기통로(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400)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이다.
즉, 상기 제2공기통로(410)는 상기 화분(300)의 식물에 의해 공기정화 된 상기 커버부재(400)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이다.
이때, 상기 제2공기통로(410)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기통로(310)를 통해 상기 수조부재(1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커버부재(40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커버부재(4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2공기통로(410)는 상기 커버부재(400)의 사방 어디에나 형성하여 상기 커버부재(400)의 내부의 공기 즉, 식물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공기통로(410)를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400)의 상부에 형성하여 배출된 공기가 다시 상기 커버부재(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조명등(500)은 상기 차단부재(200)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부재(100)와 상기 커버부재(400)로 빛을 조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명등(50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판(210)과 상기 제2차단판(220) 사이에 형성된 상기 이격공간(230)에 장착되어 빛이 투과되는 재질의 상기 제1차단판(210)과 상기 제2차단판(220)을 통해 상기 수조부재(100)와 상기 커버부재(400)로 빛을 조사한다.
이러한 상기 조명등(500)은 한가지 색상의 빛을 발광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등(500)은 LED등으로 대체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명등(500)이 상기 수조부재(100)와 상기 커버부재(400)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밤에 분위기를 변화시키는 무드등으로 사용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명등(500)을 상기 제1차단판(210)의 상면에 장착하였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2차단판(220)의 하면에 장착하여 상기 수조부재(100)와 상기 커버부재(400)로 빛이 조사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송풍팬(6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100)의 내부에 공기를 투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송풍팬(6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장착부(110)에 장착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수조부재(100)의 내부에 투입한다.
이러한 상기 송풍팬(600)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100) 내부에 투입된 공기는, 상기 수조부재(100)에 수용된 물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제1공기통로(310)를 통해 상기 제1커버부재(4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화분(300)의 식물에 의해 정화된 후, 상기 제2공기통로(4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송풍팬(600)이 공기를 상기 수조부재(100)에 투입하여 수분을 흡수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2공기통로(41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가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300)의 식물에 정화되지 않은 공기를 공급하여 정화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팬(600)을 상기 수조부재(100)의 내부에 형성된 팬장착부(110)에 장착하여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방법으로 장착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수조부재(100)의 내부에 투입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600)으로 공기가 들어가는 상기 팬장착부(110)에는 필터(601)를 구비하여 실내의 먼지가 송풍팬(600)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100) 및 커버부재(400)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공급부재(700)는 상기 수조부재(100) 내부에 물을 공급한다.
즉, 상기 물공급부재(700)는 상기 수조내부에 물을 넣을 때, 보다 쉽게 물을 넣을 수 있도록 갈대기 역할을 하여 물을 공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조부재(100)의 내부의 물이 상기 화분(300)의 식물과 상기 송풍팬(600)의 바람에 의해 흡수되거나 증발되어 줄어들면, 물을 보충하게 되는데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재(700)가 물을 상기 수조부재(100)의 내부에 보다 쉽게 넣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물공급부재(7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100)의 일부를 관통하며 그 주위를 막아주는 상기 격벽(101)을 형성한 상기 수로장착부(12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재(700)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710), 힌지축(720) 및 수로부(7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7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로장착부(120)에 삽입되게 장착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받는다.
즉, 상기 수용부(710)는 상기 수로부(730)재에 삽입 장착되어 있다가 물을 공급할때, 상기 수로부(730)재의 외부로 돌출되어 물을 받는 갈대기 역할을 한다.
상기 힌지축(7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710)를 상기 격벽(101)에 힌지결합한다.
즉, 상기 힌지축(720)은 상기 수용부(710)를 상기 격벽(101)에 힌지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힌지축(720)에 의해 상기 수용부(710)가 상기 수로장착부(120)에 힌지결합됨으로써, 물을 공급할 때, 상기 수용부(71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72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수로장착부(120)에서 돌출되게 된다.
상기 수용부(710)를 상기 수로장창부(120)에서 돌출시킬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710)의 하부를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서 상기 힌지축(720)에 의해 회전시켜 상기 수용부(710)의 상부가 돌출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부(710)가 상기 수로장착부(120)에서 외부로 돌출되기 되기 때문에 돌출된 상기 수용부(710)에 물을 쉽게 부을 수 있어 상기 수조부재(100)의 내부에 물을 쉽게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부재(100) 내부에 물을 공급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수용부(710)를 상기 힌지축(720)에 의해 회전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로장착부(120)에 삽입되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상기 수용부(710)가 상기 수조부재(100)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아 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상기 수로부(730)는 상기 수용부(71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710)의 물을 상기 수조부재(100)의 내부로 유입되게 안내한다.
즉, 상기 수로부(7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상의 상기 수용부(7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710)에 공급된 물이 다른 곳으로 튀거나 흐리지 않게 상기 수조부재(100) 내부로 유입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수조부재(100)는 불투명재질 또는 투명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조부재(100)를 불투명재질로 형성할 때에는, 도 1,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100)의 외주면에 유량계(102)를 형성하여 상기 수조부재(10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조부재(100)가 불투명재질일 때, 빛은 투과 되게 하여 상기 조명등(500)의 빛이 외부로 조사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수조부재(100)를 투명재질로 형성할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100) 내부에 수용된 물에 관상어 등을 넣어 수족관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조부재(100) 외부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03)를 형성하여 상기 조명등(500) 또는 상기 송풍팬(600)을 온/오프 시키거나 상기 조명등(500)에서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의 사용상태를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커버부재(400)를 분리 시킨후, 상기 화분(300)에 공기정화식물을 심는다.
이때, 상기 화분(300)의 흙이 상기 제1공기통로(310)를 맞지 않도록 주위한다.
이후, 상기 화분(300)을 상기 관통공(201)에 삽입하여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201)을 완전히 막도록 안착시킨 다음, 상기 커버부재(400)로 상기 식물을 감싸도록 부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400)가 상기 화분(300)의 식물을 감싸기 때문에, 상기 화분(300)의 식물의 잎에 먼지가 쌓이지 않게 되면서 식물이 광합성을 활발히 할 수 있게 된다.
즉, 공기정화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물공급부재(700)의 하부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러, 상기 수용부(710)가 상기 힌지축(72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수용부(710)의 상부가 상기 수조부재(100)에서 돌출되게 한다.
이후, 상기 수용부(710)에 물을 부어 상기 수조부재(100)에 물을 채운다.
이때, 상기 수조부재(100)가 불투명재질일 때에는, 유량계(102)를 보고 물을 넣는다.
그리고 상기 수조부재(100)가 투명재질이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관상어를 기를 경우에는, 상기 화분(300)을 넣기 전에 물을 넣고, 관상어를 넣도록 한다.
이후, 상기 수조부재(100)에 물을 다 채우고 나면 상기 수용부(710)의 상부를 눌러서 상기 수용부(710)가 상기 힌지축(720)에 의해 회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710)가 상기 수조부재(100)의 수로장착부(120)에 삽입되게 한다.
상기 수조부재(100)에 수용된 물이 상기 식물이나 상기 송풍팬(600)에 의해 증발되거나 흡수되었을 경우에도 위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재(700)를 회전시켜 상기 수조부재(100) 내부에 물을 보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재(700)가 상기 수조부재(100)의 내부에 물을 넣을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100)에서 돌출되어 쉽게 상기 수조부재(10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100)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 구형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이후, 햇빛이 잘 드는 곳에 위치시킨 후, 상기 스위치(103)를 눌러서 상기 송풍팬(600)을 작동시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수조부재(100) 내부로 투입되게 한다.
상기 송풍팬(600)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100)의 내부로 투입된 공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100)에 수용된 물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제1공기통로(310)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400)의 내부로 들어가 상기 화분(300)의 식물에 의해 정화된 후, 상기 제2공기통로(4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송풍팬(600)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100)의 내부에 투입된 공기가 상기 수조부재(100)에서 수분을 흡수한 후, 상기 커버부재(400)를 지나 상기 제2공기통로(4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가습효과를 높여주고, 실외의 공기를 정화시킨다.
낮에는 위와 같이 가습기 역할과 공기정화를 동시에 하게 되고, 밤에는 가습기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밤에는 상기 조명등(500)을 켜서, 상기 조명등(500)의 빛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재(100)와 상기 커버부재(400)로 조사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조명등(500)의 빛이 상기 수조부재(100)와 상기 커버부재(400)로 조사됨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빛을 내는 상기 조명등(500)에 의해 실내의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수조부재 101: 격벽 102: 유량계
103: 스위치 110: 팬장착부 120: 수로장착부
200: 차단부재 201: 관통공 210: 제1차단판
211: 제1관통공 220: 제2차단판 221: 제2관통공
230: 이격공간 300: 화분 310: 제1공기통로
400: 커버부재 410: 제2공기통로 500: 조명등
600: 송풍팬 601: 필터 700: 물공급부재
710: 수용부 720: 힌지축 730: 수로부

Claims (4)

  1.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조부재와;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수조부재에 장착되는 차단부재와;
    상부 외주면에는 제1공기통로가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 안착되는 화분과;
    상기 화분의 식물을 감싸도록 상기 수조부재의 상부에 탈착되게 장착되고,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공기통로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상기 차단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과;
    상기 수조부재에 공기를 투입하는 송풍팬과;
    상기 수조부재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수조부재의 내부에 투입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기통로를 통해 상기 커버부재의 내부를 지나 상기 제2공기통로로 배출되며,
    상기 수조부재의 일부를 관통하며 그 주위를 막아주는 격벽을 형성한 수로장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물공급부재는,
    상기 수로장착부에 삽입되게 장착되어 물을 받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상기 격벽에 힌지결합하는 힌지축과;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물을 상기 수조부재 내부로 안내하는 수로부; 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조부재 내부에 물을 공급할 경우, 상기 수용부는 상기 힌지축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수로장착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차단부재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재는,
    중앙에는 제1관통공을 형성한 제1차단판과;
    상기 제1관통공과 연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차단판과 겹쳐지는 제2차단판;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은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차단판과 상기 제2차단판 사이에는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 주연으로 상호 이격된 원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은 상기 이격공간에 다수개가 장착되어 상기 수조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재는 상향 개방된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하향 개방된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구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KR1020120074941A 2012-07-10 2012-07-10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KR101237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941A KR101237425B1 (ko) 2012-07-10 2012-07-10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CN201310080344.3A CN103535204A (zh) 2012-07-10 2013-03-13 具有空气净化功能的花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941A KR101237425B1 (ko) 2012-07-10 2012-07-10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425B1 true KR101237425B1 (ko) 2013-02-28

Family

ID=4790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941A KR101237425B1 (ko) 2012-07-10 2012-07-10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37425B1 (ko)
CN (1) CN10353520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882B1 (ko) 2017-09-05 2018-06-25 주식회사 플레이블 스마트 화분
KR101948313B1 (ko) * 2016-07-10 2019-02-14 민승기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용 공기 포집기
KR20190051739A (ko) * 2017-11-07 2019-05-15 김보경 관상식물 재배가 가능한 공기청정기
KR102073575B1 (ko) * 2019-06-24 2020-02-07 신정옥 스마트 화분
KR20210002545U (ko) 2020-05-12 2021-11-19 김진호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CN113854002A (zh) * 2021-10-22 2021-12-31 中国农业科学院都市农业研究所 一种植物全方位立体供光种植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5403B (zh) * 2014-11-04 2016-08-17 太仓市大友空调设备有限公司 一种组合式空气净化器
CN104676793B (zh) * 2015-02-11 2017-04-12 金陵科技学院 一种保温隔热太阳能植物空气净化器
KR101939086B1 (ko) * 2015-10-30 2019-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
CN114353223B (zh) * 2015-10-30 2024-02-09 Lg电子株式会社 加湿净化装置
KR101922951B1 (ko) * 2015-10-30 2019-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CN105465901A (zh) * 2015-12-22 2016-04-06 邝继伍 一种室内绿化空气净化装置
CN106416828A (zh) * 2016-07-05 2017-02-22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光照育芽培养系统
CN106258562A (zh) * 2016-08-09 2017-01-04 无锡市永亿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苗木栽培盆
CN106386266B (zh) * 2016-08-29 2019-10-15 中山市众成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带空气净化功能的室内种植系统
KR102053378B1 (ko) * 2017-09-19 2019-12-1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109983950B (zh) * 2019-05-13 2021-04-30 厦门闽坤集团有限公司 一种可作为景观装饰的新型盆景培养装置
CN111011038A (zh) * 2019-11-25 2020-04-17 大冶康之堂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石斛培养皿
CN111066526B (zh) * 2020-01-15 2021-06-15 苏州帝瀚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净化空气花盆的补给座
KR102123794B1 (ko) * 2020-03-26 2020-06-17 김소율 이끼 식물을 이용한 공기 청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872Y1 (ko) * 2002-07-08 2002-10-11 배중석 투명커버를 가진 화분
KR100371527B1 (ko) 2000-09-08 2003-02-07 손기철 화분을 이용한 실내환경 조절방법 및 그 장치
KR100559084B1 (ko) * 2003-11-14 2006-03-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토양을 이용한 실내 공기 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1947B1 (ko) * 1996-02-09 1998-09-15 양운기 수경재배기
GB2369981B (en) * 2000-12-13 2004-05-26 Alexander James Sandall Horticultural chamber
KR100861821B1 (ko) * 2008-03-19 2008-10-07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정화용 파이토 플랜터
CN201342117Y (zh) * 2008-12-16 2009-11-11 刘运科 一种植物型空气净化器
KR101128824B1 (ko) * 2011-07-01 2012-03-23 그린인프라 주식회사 식물공기청정기용 포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멀티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527B1 (ko) 2000-09-08 2003-02-07 손기철 화분을 이용한 실내환경 조절방법 및 그 장치
KR200291872Y1 (ko) * 2002-07-08 2002-10-11 배중석 투명커버를 가진 화분
KR100559084B1 (ko) * 2003-11-14 2006-03-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토양을 이용한 실내 공기 정화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313B1 (ko) * 2016-07-10 2019-02-14 민승기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용 공기 포집기
KR101870882B1 (ko) 2017-09-05 2018-06-25 주식회사 플레이블 스마트 화분
KR20190051739A (ko) * 2017-11-07 2019-05-15 김보경 관상식물 재배가 가능한 공기청정기
KR101996082B1 (ko) * 2017-11-07 2019-07-03 김보경 관상식물 재배가 가능한 공기청정기
KR102073575B1 (ko) * 2019-06-24 2020-02-07 신정옥 스마트 화분
KR20210002545U (ko) 2020-05-12 2021-11-19 김진호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KR200495536Y1 (ko) * 2020-05-12 2022-06-16 김진호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CN113854002A (zh) * 2021-10-22 2021-12-31 中国农业科学院都市农业研究所 一种植物全方位立体供光种植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35204A (zh)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425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KR101737934B1 (ko)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CN102934588B (zh) 多功能室内除污植物墙
CN204494346U (zh) 植物氧吧装置
JP2010017153A (ja) 植物栽培装置
KR20150082887A (ko) 수족관과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20130133934A (ko) 다기능 복합테이블
KR101845603B1 (ko) 송풍 기능과 조사 기능이 구비된 저면관수식 화분
CN2860054Y (zh) 室内空气生态净化循环花盆
CN109780648A (zh) 一种空气净化增氧装置
KR100943824B1 (ko) 다목적 화분
JP2004113160A (ja) Led光源による植物育成装置
EP2836063A1 (en) Vivarium
JP3212659U (ja) 動植物共生観賞容器
CN105638424B (zh) 一种家庭多功能生态屋装置
CN206078239U (zh) 一种鱼缸花盆装置
KR20180095310A (ko) 식물 생장에 필요한 조명 장치가 구비된 화분
CN203327614U (zh) 一种新型花盆
KR101167447B1 (ko) 조명장치를 구비한 화분
KR100825823B1 (ko) 가습기 기능이 구비된 철망화분
KR101263833B1 (ko) 다용도 수족관
CN213548523U (zh) 一种景观植物用栽种容器
KR102528939B1 (ko) 공기 정화 기능이 있는 화분 어셈블리
CN207519234U (zh) 一种可防止盆栽枯死的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