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378B1 -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378B1
KR102053378B1 KR1020170120321A KR20170120321A KR102053378B1 KR 102053378 B1 KR102053378 B1 KR 102053378B1 KR 1020170120321 A KR1020170120321 A KR 1020170120321A KR 20170120321 A KR20170120321 A KR 20170120321A KR 102053378 B1 KR102053378 B1 KR 102053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ts
water
plant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700A (ko
Inventor
김광진
서정남
정명일
방성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가든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주식회사 가든포유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70120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378B1/ko
Priority to CN201810827321.7A priority patent/CN109041896B/zh
Publication of KR2019003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F24F3/1603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2003/165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공기통로를 형성하고 둘레에 복수의 제1통기부를 구비하는 공기안내관; 일면이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1통기부와 통하는 제2통기부를 구비하고, 개방면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복수개가 상기 공기안내관 둘레에 방사형으로 복층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의 화분; 및 주변의 공기가 복수의 화분 내부와 상기 공기통로를 경유하여 강제 순환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air purifying device using plant}
개시된 발명은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물은 광합성, 증산작용, 토양 내 미생물과의 상호작용 등을 통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통과하도록 실내공기를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강제로 순환시킴으로써, 식물을 이용하여 실내공기가 정화되도록 하는 공기정화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통상의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도록 통상의 벽체 형태로 마련된 거치대와, 거치대 전면에 설치된 복수의 화분과, 주변의 공기가 복수의 화분 내부와 공기통로를 경유하여 강제 순환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장치를 구비한다. 화분 내부를 통과한 공기가 공기통로로 안내될 수 있도록 거치대와 화분 사이는 통기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은 공기정화장치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면, 화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은 먼저 식물의 지상부를 형성하는 잎과 줄기를 통해 흡수된다. 잎과 줄기로 흡수된 오염물질은 식물의 대사산물로 이용되어 일부가 제거되고, 다른 일부의 오염물질은 식물의 지하부를 형성하는 뿌리 쪽으로 이동되어 근권부 쪽 토양미생물의 영양원으로 활용되는 과정에서 제거된다.
그러나 종래의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공기정화작용에 관여하는 식물의 식재면적이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거치대의 전면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면적을 늘려 공기정화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전방에서만 식물의 감상이 가능하여 식물관상 용도로써의 활용가치가 높지 못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0617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기정화작용에 관여하는 식물의 식재면적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공기정화작용에 관여하는 식물의 관상용도로써의 활용가치를 높일 수 있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공기통로를 형성하고 둘레에 복수의 제1통기부를 구비하는 공기안내관; 일면이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1통기부와 통하는 제2통기부를 구비하고, 개방면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복수개가 상기 공기안내관 둘레에 방사형으로 복층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의 화분; 주변의 공기가 복수의 화분 내부와 상기 공기통로를 경유하여 강제 순환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장치; 식물의 식재를 위해 상기 화분 내부로 충진되는 토양 속으로 주변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공급장치는,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를 통해 펌핑되는 공기를 복수의 상기 화분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공기통로를 통해 설치되고, 그 출구가 상기 화분 내부로 연장되는 에어공급라인; 상기 에어공급라인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확산되도록 상기 에어공급라인의 출구에 설치된 확산기;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공급라인은 출구가 식물의 뿌리 쪽을 향하도록 상기 화분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화분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방향은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상기 화분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반대가 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송풍장치의 설치를 위해 상기 공기안내관 상부에 마련된 송풍케이싱과, 상기 공기안내관의 하부에 마련된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안내관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화분들은 상하 및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것들끼리 상호 지지되고, 최상층의 상기 화분들은 상기 송풍케이싱을 통해 지지되며, 최하층의 상기 화분들은 상기 받침대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공기안내관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홈은 공기안내관의 원주반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화분은 상기 공기안내관에 지지되는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송풍케이싱은 최상층의 상기 화분들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면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최하층의 상기 화분들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화분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상면지지면과 하면지지면은 상기 화분의 경사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복수의 상기 화분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분은 최상층의 화분으로 공급된 물이 그 하부에 적층된 화분들로 분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물공급장치는, 상기 받침대에 서랍형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송풍케이싱 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공기통로를 통해 설치되는 물공급라인; 및 상기 송풍케이싱으로 안내된 물을 최상층의 상기 화분들로 안내하도록 상기 송풍케이싱에 마련된 물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공기정화작용을 수행하는 복수의 화분이 공기통로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층을 이루도록 배치되므로, 공기정화작용에 관여하는 식물의 식재면적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공기정화작용을 수행하는 식물을 둘레의 모든 방향에서 감상할 수 있게 되므로, 공기정화작용에 관여하는 식물의 관상용도로써의 활용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화분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분의 조립도이다.
도 7은 도 1의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에 있어서, 공기안내관에 대한 화분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1의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평면도로, 송풍케이싱의 상부케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로, 식물이 화분에 식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는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100)와, 받침대(100) 중앙에 기둥형태로 세워지는 공기안내관(200)과, 공기안내관(200) 상부에 마련되는 송풍케이싱(300)과, 송풍케이싱(300)과 받침대(100) 사이의 공기안내관(200) 둘레에 방사형으로 복층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의 화분(400)을 구비한다.
공기안내관(200)은 상하방향으로 공기통로(210)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공기안내관(200)의 둘레에는 복수의 제1통기부(220)가 마련된다. 제1통기부(220)는 공기통로(210)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공기안내관(200)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받침대(100)는 중공의 원통모양으로 마련되고, 받침대(100)의 바닥에는 장치의 이동을 위한 바퀴(110)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케이싱(300)은 원반형태로 마련되어 공기안내관(200)의 상부와 그 주변을 덮도록 마련된다.
화분(400)은 일면이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되어 개방면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복수개가 송풍케이싱(300)과 받침대(100) 사이의 공기안내관(200) 둘레에 방사형으로 복층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개별 화분(400)에는 공기안내관(200)의 제1통기부(210)와 통하도록 제2통기부(410)가 마련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400)은 공기안내관(200)에 지지되는 외부케이스(400A)와, 외부케이스(400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내부에 토양이 채워진 상태에서 식물이 식재되는 내부케이스(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400A)는 전면이 개방되고, 배면과 둘레면이 막혀 있는 중공의 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400A)는 공기안내관(200)의 표면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진 배면을 통해 공기안내관(200) 외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 외부케이스(400A)는 후방 저부 공간을 통해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400A)의 상면에는 물유입구(420)가 형성되고, 외부케이스(400A)의 하면 후방에는 물배출부(430)가 마련될 수 있다.
물배출부(430)는 외부케이스(400A)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외부케이스(400A) 하면의 상부와 하부로 각각 돌출된 상부돌출부(431)와 하부돌출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돌출부(431)는 외부케이스(400A) 내부의 후방 바닥에 공급된 물의 수위가 일정량 만큼 유지되도록 하고, 하부돌출부(432)는 아래쪽 화분(400)의 외부케이스(400A) 상부의 물유입구(420)에 끼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유입구(420)와 물배출부(430)의 구조를 통해 상부 쪽 화분(400)의 외부케이스(400A) 내부로 공급된 수분은 상부돌출부(431)의 높이만큼 해당 외부케이스(400A)의 후방 저부 공간을 채운 상태에서 물배출부(430)를 통해 하부 쪽 화분(400)의 외부케이스(400A)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내부케이스(400B)는 전면이 개방되고, 배면과 둘레가 폐쇄된 통 형태로 마련되어 외부케이스(400A)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화분(400)의 식재공간(440)은 내부케이스(400B)의 내부 공간을 통해 마련되고, 내부케이스(400B)가 외부케이스(400A)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화분(400)은 식재공간(440)의 전면이 개방된 통 형태를 취하게 된다.
내부케이스(400B)는 전면 양측으로 한 쌍의 개폐부재(450)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개폐부재(450)는 내부케이스(400B)의 개방된 전면 가장자리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케이스(400B)의 전면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폐부재(450)는 식재공간(440)에 토양을 채우는 과정에서는 개방되고, 식재공간(440)에 토양이 충진된 상태에서는 전면의 가장자리를 덮어 식재공간(440)의 토양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식재공간(440)에 식재된 식물은 전면의 가장자리를 폐쇄한 한 쌍의 개폐부재(450) 사이를 통해 화분(400)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또 내부케이스(400B)의 후면에는 수분흡수재(5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60)가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0을 함께 참고하면, 수분흡수재(500)는 수분을 흡수하여 전달하는 심지 등으로 마련되어 일단이 외부케이스(400A)와 내부케이스(400B) 사이로 연장되고, 타단이 내부케이스(400B) 내부로 연장되도록 지지부(46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케이스(400A)의 후방 저부로 공급된 물은 수분흡수재(500)를 통해 식재공간(440)의 토양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화분(400)의 제2통기부(410)는 외부케이스(400A) 배면과 내부케이스(400B) 배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411,412)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케이싱(300)에는 장치 주변의 공기가 복수의 화분(400) 내부와 공기통로(210)를 경유하여 강제 순환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장치(330)가 마련된다. 송풍장치(330)는 송풍팬(331)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케이싱(300)은 하부케이스(310)와 상부케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320)와 하부케이스(310) 사이에는 송풍팬(331)이 설치되고, 하부케이스(310) 중앙에는 공기유로(210)와 송풍케이싱(300) 내부를 연통시키는 통공(311)이 형성되며, 상부케이스(320)에는 공기배출공(321)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331)이 동작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주변의 공기는 복수의 화분(400) 내부를 경유한 상태에서 제1통기부(220) 및 제2통기부(410)를 통과하여 공기통로(210)로 안내되고, 공기통로(210)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통로(210) 상부로 이동하여 공기배출공(321)을 통해 송풍케이싱(300) 상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송풍팬(331)의 작동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따라서 복수의 화분(400)에 토양을 채우고 식물을 식재한 상태에서 공기정화장치가 구동되면, 장치 주변의 공기는 화분(400)에 식재된 식물의 지상부 주변을 거쳐 식물의 지하부가 위치한 화분(400)의 토양을 통과하면서 공기통로(210)를 통과하는 순환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화분(4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실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은 먼저 식물의 지상부를 형성하는 잎과 줄기를 통해 흡수된다. 잎과 줄기로 흡수된 오염물질은 식물의 대사산물로 이용되어 일부가 제거되고, 다른 일부의 오염물질은 식물의 지하부를 형성하는 뿌리 쪽으로 이동되어 근권부 쪽 토양미생물의 영양원으로 활용되는 과정에서 제거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화분(400)이 공기안내관(200)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층을 이루어 배치되므로, 공기통로(210)를 통과하는 공기의 량에 대비하여 공기를 정화시키는 식물의 식재면적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 공기안내관(200) 둘레에 방사상으로 복층을 이루는 화분(400)의 배치구조에서는 화분(400)에 식재된 식물이 장치 둘레의 모든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정화장치는 장치 둘레의 모든 방향에서 식물을 감상할 수 있게 되어 공기정화작용에 관여하는 식물의 관상용도로써의 활용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공기가 화분(400)들 사이로 누설됨이 없이 식재면적을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공기안내관(200)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화분(400)들은 상하 및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것들끼리 상호 지지되고, 최상층에 위치한 화분(400)들은 송풍케이싱(300)을 통해 지지되며, 최하층에 위치한 화분(400)들은 받침대(10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복수의 화분(400)을 공기안내관(200)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공기안내관(200)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끼움홈(230)이 원주반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고, 공기안내관(200)에 지지되는 화분(400)의 지지면에는 끼움홈(23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돌기(47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화분(400)들은 끼움돌기(470)를 차례로 끼움홈(230)에 끼우거나 빼내는 동작을 통해 공기안내관(200)에 간단히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 공기안내관(200)에 설치되는 화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된 전면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한 상태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됨에 따라, 내부의 토양이 외부로 쏟아질 우려가 없도록 함은 물론 식물의 굴광성을 고려하여 식물의 관상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경사지게 마련된 화분(400)들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공기안내관(200) 둘레에 대응하는 송풍케이싱(300)의 하부케이스(310) 하면은 최상층의 화분(400)들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면지지면(312)을 형성하고, 공기안내관(200) 둘레에 대응하는 받침대(100)의 상면은 최하층의 화분(400)들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지지면(120)을 형성하며, 상면지지면(312)과 하면지지면(120)은 화분(400)의 경사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장치는 화분(400)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600)를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화분(400)은 물유입구(420) 및 물배출부(430)를 통해 상부 쪽 화분(400)으로 공급된 물이 저부 쪽 화분(400)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마련되는데, 물공급장치(600)는 받침대(100)에 서랍형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조(610)와, 수조(610)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620)와, 펌프(620)를 통해 펌핑되는 수조(610)의 물을 송풍케이싱(300)으로 안내하는 물공급라인(630)을 구비한다.
물공급라인(630)은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도록 공기통로(210)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물공급장치(600)는 송풍케이싱(300)으로 안내된 물을 최상층의 화분(400)들로 안내하도록 송풍케이싱(300)에 마련된 물안내부(6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안내부(640)는 최상층의 화분(400)들의 물유입구(420)와 통하도록 송풍케이싱(300)의 하부케이스(310)에 형성되는 복수의 물공급구멍(641)과, 공기통로(210) 상부로 인출된 물공급라인(630)을 물공급구멍(641)들 주변에 고정시키는 고정구(642)를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라인(630)에는 각 물공급구멍(641) 쪽으로 분배되는 복수의 분배라인(631)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620)로부터 펌핑되어 물공급라인(630)을 따라 송풍케이싱(300)으로 안내된 물은 복수의 분배라인(631)을 통해 복수의 물공급구멍(641)으로 안내되고, 복수의 물공급구멍(641)으로 안내된 물은 최상층에 위치된 화분(400)들의 물유입구(420)를 통해 최상층 화분(400)들 내부로 공급된다. 최상층의 화분(400)들로 공급된 물은 물배출부(430)를 통해 그 저부에 위치된 화분(400)들로 분배되고, 이에 따라 공기정화장치에 구비된 모든 화분(400)에는 물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정화장치는 식물의 식재를 위해 화분(400) 내부로 충진되는 토양 속으로 주변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7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공급장치(700)는 받침대(100)의 수조(610) 일측에 내장되는 에어펌프(710)와, 에어펌프(710)를 통해 펌핑되는 공기를 복수의 화분(400)으로 공급하도록 공기통로(210)를 통해 설치되는 복수의 에어공급라인(7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도 공기통로(210)를 통해 설치되는 에어공급라인(720)은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게 된다.
화분(400)의 외부케이스(400A)와 내부케이스(400B)의 배면 쪽에는 에어공급라인(720)의 출구를 내부케이스(400B) 내부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471,472)이 마련될 수 있다(도 5 참조).
인출공(471,472)은 내부케이스(400B)의 저부 내측과 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어공급라인(720)은 출구가 식물의 뿌리 쪽을 향하도록 화분(400)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공급라인(720)를 통해 화분(400)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확산되도록 에어공급라인(720)의 출구에는 확산기(73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는 식물에 의한 공기의 정화과정에서 송풍장치(330)의 송풍작용과 별도로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장치 주변의 공기가 에어공급라인(720)을 통해 식물의 근권부 주변으로 지속적으로 안내된다.
이때 확산기(730)를 통과한 공기는 미세한 흐름으로 분산된 상태에서 근권부 주변으로 고르게 침투되어 근권부 주변에 오염물질의 잔류시간이 길어지도록 함으로써, 송풍장치(330)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가 화분의 토양을 빠르게 통과하게 되더라도 근권부의 미생물이 오염물질과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근권부의 미생물에 의한 오염물질의 분해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에어공급장치(700)를 통해 식물의 뿌리방향으로 안내되는 공기의 흐름은 송풍장치(330)에 의해 화분(400)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과 반대방향이 되므로, 식물 근권부에서의 공기 잔류시간은 더욱 길어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근권부 미생물에 의한 공기 중 오염물질의 분해효율을 더욱 증대될 수 있게 된다.
100: 받침대 200: 공기안내관
210: 공기유로 300: 송풍케이싱
330: 송풍장치 400: 화분
400A: 외부케이스 400B: 내부케이스
600: 물공급장치 700: 에어공급장치

Claims (8)

  1. 상하방향으로 공기통로를 형성하고 둘레에 복수의 제1통기부를 구비하는 공기안내관;
    일면이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1통기부와 통하는 제2통기부를 구비하고, 개방면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복수개가 상기 공기안내관 둘레에 방사형으로 복층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공기안내관에 지지되도록 상기 개방면 반대쪽에 마련되는 지지면에 상기 공기안내관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구비하는 복수의 화분;
    주변의 공기가 복수의 화분 내부와 상기 공기통로를 경유하여 강제 순환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장치;
    식물의 식재를 위해 상기 화분 내부로 충진되는 토양 속으로 주변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
    상기 송풍장치의 설치를 위해 상기 공기안내관 상부에 마련된 송풍케이싱;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안내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공급장치는,
    상기 받침대에 내장되는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를 통해 펌핑되는 공기를 복수의 상기 화분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공기통로를 통해 설치되고, 그 출구가 상기 화분 내부로 연장되는 에어공급라인;
    상기 에어공급라인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확산되도록 상기 에어공급라인의 출구에 설치된 확산기;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공급라인은 출구가 식물의 뿌리 쪽을 향하도록 상기 화분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화분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방향은 상기 송풍장치에 의해 상기 화분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반대가 되며,
    복수의 상기 화분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분은 최상층의 화분으로 공급된 물이 그 하부에 적층된 화분들로 분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물공급장치는,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송풍케이싱 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공기통로를 통해 설치되는 물공급라인;
    상기 송풍케이싱으로 안내된 물을 최상층의 상기 화분들로 안내하도록 상기 송풍케이싱에 마련되는 물안내부;를 포함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화분들 사이가 상기 공기안내관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호 적층되도록 상기 공기안내관의 외주 둘레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끼움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받침대와 상기 화분 사이의 상기 에어공급라인과, 상기 받침대와 상기 송풍케이싱 사이의 상기 물공급라인은 상기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상기 공기안내관의 내주 안쪽 공간에 배치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관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화분들은 상하 및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것들끼리 상호 지지되고, 최상층의 상기 화분들은 상기 송풍케이싱을 통해 지지되며, 최하층의 상기 화분들은 상기 받침대를 통해 지지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케이싱은 최상층의 상기 화분들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면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최하층의 상기 화분들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면지지면을 포함하며,
    상기 화분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마련되고,
    상기 상면지지면과 하면지지면은 상기 화분의 경사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마련된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받침대에 서랍형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20321A 2017-09-19 2017-09-19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053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21A KR102053378B1 (ko) 2017-09-19 2017-09-19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201810827321.7A CN109041896B (zh) 2017-09-19 2018-07-25 利用植物的空气净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321A KR102053378B1 (ko) 2017-09-19 2017-09-19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700A KR20190032700A (ko) 2019-03-28
KR102053378B1 true KR102053378B1 (ko) 2019-12-10

Family

ID=6483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321A KR102053378B1 (ko) 2017-09-19 2017-09-19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53378B1 (ko)
CN (1) CN10904189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219B1 (ko) 2020-12-08 2021-06-09 여형구 실내용 식물 재배장치
KR102271415B1 (ko) 2021-01-04 2021-07-01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식물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장치
KR20230061638A (ko) 2021-10-28 2023-05-09 이명섭 수직 걸이형 식물 재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267B1 (ko) * 2019-03-07 2021-01-12 조병길 공기정화식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2199159B1 (ko) * 2019-05-14 2021-01-07 테라아미 주식회사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221772B1 (ko) * 2019-07-26 2021-03-03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수직형 농장 구조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136364B1 (ko) * 2019-12-19 2020-07-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전기집진 및 식생기반의 공기정화 시스템 및 공기정화 방법
KR102467912B1 (ko) * 2020-03-31 2022-11-16 문응식 공기정화장치
KR102171946B1 (ko) 2020-06-23 2020-11-02 이주영 이동형 실내 공기정화장치
CN112556076A (zh) * 2020-12-23 2021-03-26 吉林省自然力生态科技应用有限公司 一种用于去除室内装修气体污染的生态空气净化系统
CN112655419A (zh) * 2021-01-28 2021-04-16 义乌市正乔科技有限公司 一种盆栽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1805B2 (ja) * 1993-04-30 2004-09-02 株式会社フジタ 空気浄化装置
KR100757424B1 (ko) 2005-01-05 200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미디어 재생기의 초기화 장치 및 방법
US20100146854A1 (en) * 2008-12-15 2010-06-17 Cannon Roy D Apparatus for vertical horticulture
KR20130058129A (ko) * 2011-11-25 2013-06-04 주식회사 가든포유 벽면 녹화용 걸이식 화분
KR101237425B1 (ko) * 2012-07-10 2013-02-28 유성정밀 주식회사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화분
KR101460596B1 (ko) * 2014-03-18 2014-11-12 (주)새텍 공기정화용 식물포트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시스템
KR101724042B1 (ko) * 2014-12-30 2017-04-18 주식회사 가든포유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ITUB20153572A1 (it) * 2015-09-11 2017-03-11 Torino Politecnico Modulo di ventilazione e depurazione biologica di aria interna ed esterna ad un ambiente, e relativo metodo
CN206389868U (zh) * 2016-06-13 2017-08-11 刘超 垂直循环农作物种植装置
CN207011332U (zh) * 2017-07-28 2018-02-16 梅州市众韵健康产业投资发展有限公司 一种组合式室内绿植景观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219B1 (ko) 2020-12-08 2021-06-09 여형구 실내용 식물 재배장치
KR102271415B1 (ko) 2021-01-04 2021-07-01 주식회사 바이오크래프트 식물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장치
KR20230061638A (ko) 2021-10-28 2023-05-09 이명섭 수직 걸이형 식물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41896A (zh) 2018-12-21
CN109041896B (zh) 2021-11-02
KR20190032700A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378B1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US6230437B1 (en) Plant stand
CA1138204A (en) Hydroponic growing apparatus
US8291639B2 (en) Growing system for hydroponics and/or aeroponics
CN108870551B (zh) 一种移动空调器
WO2004026023A1 (ja) 育苗装置
KR102262219B1 (ko) 실내용 식물 재배장치
KR101460596B1 (ko) 공기정화용 식물포트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시스템
US20210144930A1 (en) Container for plant cultivation with sloping fertigation troughs
KR20130061562A (ko) 식물 재배 장치
JP6745626B2 (ja) 空気浄化緑化装置
JP2015029426A (ja) 大気浄化壁面緑化装置
KR101371128B1 (ko) 교체식 식재모듈을 가지는 식물 재배기
KR20160118529A (ko) 벽면 정원
KR940018010A (ko)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배 및 정화장치
KR101461126B1 (ko) 식생 패널 및 시스템
KR100772473B1 (ko) 육묘 장치
KR102497905B1 (ko)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KR101817508B1 (ko)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KR101767426B1 (ko)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KR20190014200A (ko) 벽면 정원 겸용 수족관
KR101833309B1 (ko) 하우스형 시설물의 생육운용매체 운용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20210148814A (ko) 모듈식 그린월 시스템
KR20170001235U (ko) 공기 통로가 있는 액비 공급용 화분 받침과 이중화분
KR20190124365A (ko) 녹조 배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