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426B1 -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 Google Patents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426B1
KR101767426B1 KR1020140160081A KR20140160081A KR101767426B1 KR 101767426 B1 KR101767426 B1 KR 101767426B1 KR 1020140160081 A KR1020140160081 A KR 1020140160081A KR 20140160081 A KR20140160081 A KR 20140160081A KR 101767426 B1 KR101767426 B1 KR 101767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suction pipe
air suc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505A (ko
Inventor
방성원
김정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든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든포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든포유
Priority to KR1020140160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4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이 터져 있고 3면이 막힌 형태의 본체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되고 통공이 형성된 공기흡입관부와; 본체의 측면 내측에 설치된 지지가이드에 지지되는 흙받이와; 공기흡입관부의 옆쪽에서 본체의 배면에 설치되고 물배출부가 형성된 물저장부와; 본체의 내측에서 흙받이와 물저장부 사이에 설치된 식생판과; 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바닥면 상하로 돌출된 물배출관과; 공기흡입관부와 연통된 상태로 본체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된 공기 흡입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Wall afforestation flower pot assembly for improved indoor environment using rhizosphere of plants}
본 발명은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하여 실내 환경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실내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지는데,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실외 공기의 오염도보다 높고 특히 실내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암, 혈관 장애, 폐부종 등의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공기청정기 등과 같은 실내 공기정화 및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있는데, 이러한 장치는 2차적인 실내 공기 오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최근에는 식물의 잎 이외에 토양속에 있는 뿌리부분(근권부)의 미생물에 의하여도 실내 오염물질이 제거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토양속 근권부 미생물에 의한 실내 정화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식물을 이용한 실내 공기 정화 방식으로서 등록특허 제10-0371527호에는 토양을 통해 공기가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 공기를 필터링하고 일부 공기는 수분과 접촉하여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흐르도록 본체부의 상단에 분이 거치대에 밀착하여 안착되도록 하고 그 측부에는 강제송풍수단부를 설치하여 화분의 밖으로 배출하여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도록 하는 화분을 이용한 실내환경 조절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식물을 이용한 다른 실내 공기 정화 방식으로서 등록특허 제10-0377570호에는 저면관수 방식으로 식물을 재배하고 송풍팬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읍입되느 공기를 용토를 통과시켜 정화시킨 후 다시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식물을 이용한 또 다른 실내 공기 정화 방식으로서 등록특허 제10-1281110호에는 실내 공기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식물체의 근권부에 의하여 공기정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공기 강제투입형 벽면식 식물이용 공기정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실내 공기정화를 위하여 실내 공간활용에 문제가 있거나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실내 공간 점유율을 최소화하면서 식물의 줄기와 잎 뿐만 아니라 근권부에 의하여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 제10-0371527호 (2003. 02. 07. 공고) [특허문헌 2] 국내등록특허 제10-0377570호 (2003. 03. 26. 공고) [특허문헌 3] 국내등록특허 제10-1281110호 (2013. 07.02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 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실내 공간 점유율을 최소화하면서 식물의 줄기와 잎 뿐만 아니라 근권부에 의하여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100)는, 전면이 터져 있고 3면이 막힌 형태의 본체(10)와;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되고 통공(52)이 형성된 공기흡입관부(50)와; 본체(10)의 측면 내측에 설치된 지지가이드(44)에 지지되는 흙받이(40)와; 공기흡입관부(50)의 옆쪽에서 본체(10)의 배면에 설치되고 물배출부(32)가 형성된 물저장부(30)와; 본체(10)의 내측에서 흙받이(40)와 물저장부(30) 사이에 설치된 식생판(20)과; 본체(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바닥면 상하로 돌출된 물배출관(60)과; 공기흡입관부(50)와 연통된 상태로 본체(10)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된 공기 흡입 파이프(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흙받이(40)가 본체(10)에 끼워 설치된 상태에서 식생판(20)과 흙받이(40) 및 본체(10)에 의하여 구획되는 내부 공간 안쪽에 토양이 배치되고 이 토양에 식물의 뿌리부분이 묻혀지고 본체(10)의 전면부에 식물의 줄기와 잎이 배치되도록 식물이 심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의 상면에는 물저장부(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물주입부(14)가 형성되어 있고, 그 물주입부(14)의 안쪽에는 물주입구(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의 내부 바닥부분은 마지막단의 물저장부로 이용되도록 전면에 일정높이의 턱(12)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내부 바닥부분에 물이 과잉 공급되면 물배출관(60)을 통하여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생판(20)의 배면에는 흡수재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고 흡수재의 타단은 물저장부에 담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 파이프(54)에는 미도시한 송풍팬이 연결되어 공기흡입 파이트(54)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흡입 파이프에 연결된 송풍팬이 회전함에 따라 본체의 전면부에 배치된 식물의 줄기와 잎 쪽으로부터 공기가 토양과 식생판을 경유하여 공기흡입관부의 통공을 통하여 공기흡입관부로 유입되어 공기흡입 파이프과 송풍팬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실내 공기가 식물의 잎과 줄기, 그리고 토양속의 뿌리부분을 경유하여 배출되므로, 실내공기는 일차적으로 식물의 잎과 줄기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정화되고 토양속의 뿌리부분에 의하여 이차적으로 정화된다. 식물의 토양속 뿌리부분(근권부)의 미생물에 의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악취 등 실내 오염물질의 제거 효과가 보고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화분 조립체를 실내에 설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실내 공간 점유율을 최소화하면서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식생판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물받이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조립체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에서 식생판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동 도면들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100)는 전면이 터져 있고 3면이 막힌 4면체 형태의 본체(10)와, 본체(10)의 내측 모서리부분에 배치되어 전면을 향하여 개구된 통공(52)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뻗어 있는 공기흡입관부(50), 본체(10)의 측면 내측에 설치된 지지가이드(44)에 끼워 고정된 판형상의 흙받이(40), 공기흡입관부(50)의 옆쪽에서 본체(10)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고 물배출부(32)가 형성된 물저장부(30), 본체(10)의 내측에서 흙받이(40)와 물저장부(3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통공(52)보다 앞쪽에 배치된 식생판(20), 본체(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바닥면 상하로 돌출된 물배출관(60), 상기 공기흡입관부(50)의 상단과 연통된 상태로 본체(10)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된 공기 흡입 파이프(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흙받이(40)가 3개 설치되는 3단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본 발명은 일단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복수단으로 형성되어도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흙받이(40)는 양 측부에 가이드 홈(미도시함)이 형성되어 이 가이드홈에 본체(10)의 측면이 끼워진다. 상기 흙받이(40)가 본체(10)에 끼워 설치된 상태에서 식생판(20)과 흙받이(40) 및 본체(10)에 의하여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서 안쪽에서 대략 2/3정도 토양이 배치되고 이 토양에 식물의 뿌리부분이 묻혀지고 본체(10)의 전면부에 식물의 줄기와 잎이 배치된다.
또한, 본체(10)의 상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저장부(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물주입부(14)가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물주입부(14)의 안쪽에는 물주입구(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저장부(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흡입관(50)의 측면에 고정설치된 지지가이드(34)(34)와 본체(10)의 내측면에 고정설치된 지지가이드(34)(34)에 끼워 고정설치된다. 상기 물주입부(14)를 통하여 물이 주입되면 물저장부(30)에 물이 채워지고 과잉주입된 물은 물배출부(32)를 통하여 흘러내려 하단의 물저장부(30)로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체(10)의 내부 바닥부분은 마지막단의 물저장부로 이용되도록 전면에 일정높이의 턱(12)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내부 바닥부분에 물이 과잉 공급되면 물배출관(60)을 통하여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식생판(20)의 배면에는 미도시한 흡수재의 일단이 고정결합되어 있고 흡수재의 타단은 물저장부(30)에 담겨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의 삼투압현상에 의하여 물저장부(30)의 물이 흡수재를 통하여 식생판(20)에 원활하게 공급되고, 식생판(20)에 밀착되어 있는 토양에도 물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 파이프(54)에는 미도시한 송풍팬이 연결되어 공기흡입 파이트(54)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100)의 작용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 식생판(20)과 흙받이(40) 및 본체(10)에 의하여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서 안쪽에서 대략 2/3정도 토양(70)이 배치되고 이 토양에 식물의 뿌리부분이 묻혀지고 본체(10)의 전면부에 식물의 줄기와 잎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자.
공기흡입 파이프(54)에 연결된 미도시한 송풍팬이 회전하면 도면에서 적색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부에 배치된 식물의 줄기와 잎 쪽으로부터 공기가 토양(70)과 식생판(20)을 경유하여 공기흡입관부(50)의 통공(52)을 통하여 공기흡입관부(50)로 유입되어 공기흡입 파이프(54)에 개재된 도시되지 않은 송풍팬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가 식물의 잎과 줄기, 그리고 토양속의 뿌리부분을 경유하여 배출되므로, 실내공기는 일차적으로 식물의 잎과 줄기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정화되고 토양속의 뿌리부분에 의하여 이차적으로 정화된다. 식물의 토양속 뿌리부분(근권부)의 미생물에 의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악취 등 실내 오염물질의 제거 효과가 보고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화분 조립체를 실내에 설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실내 공간 점유율을 최소화하면서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식물이 3단으로 심어지는 하나의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식물이 한 단으로 심어지도록 구성되어도 되며 또한 2단 이상으로 심어지도록 구성되어도 되는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를 복수 개 직렬로 연결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단 화분 조립체의 공기 흡입파이프가 상단 화분 조립체의 공기흡입관부에 연통되도록 하고 상단 화분 조립체의 물배출관(60)이 하단의 화분 조립체의 물주입부 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를 복수 개 병렬로 배치하여도 되며, 이 경우에는 최상단 하단 화분 조립체들의 공기 흡입파이프를 서로 연통 연결하고 송풍팬에 연결하여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이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할 것이다.
10 : 본체 12 : 턱
14 : 물주입부 16 : 물주입구
20 : 식생판 30 : 물저장부
32 : 물배출부 34 : 지지가이드
40 : 흙받이 44 : 지지가이드
50 : 공기흡입관부 52 : 통공
54 : 공기흡입 파이프 60 : 물배출관
70 : 토양
100 :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Claims (6)

  1. 전면이 터져 있고 3면이 막힌 4면체 형태의 본체(10)와,
    본체(10)의 내측 모서리부분에 배치되어 전면을 향하여 개구된 통공(52)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뻗어 있는 공기흡입관부(50),
    본체(10)의 측면 내측에 설치된 지지가이드(44)에 끼워 고정된 판형상의 흙받이(40),
    공기흡입관부(50)의 옆쪽에서 본체(10)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고 물배출부(32)가 형성된 물저장부(30),
    본체(10)의 내측에서 흙받이(40)와 물저장부(3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통공(52)과 상기 물저장부(30)보다 앞쪽에 배치된 식생판(20),
    본체(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바닥면 상하로 돌출된 물배출관(60),
    상기 공기흡입관부(50)의 상단과 연통된 상태로 본체(10)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된 공기 흡입 파이프(54)를 포함하며,
    상기 흙받이(40)가 본체(10)에 끼워 설치된 상태에서 식생판(20)과 흙받이(40) 및 본체(10)에 의하여 구획되는 내부 공간에서 안쪽에서 2/3 토양이 배치되고 이 토양에 식물의 뿌리부분이 묻히고 본체(10)의 전면부에 식물의 줄기와 잎이 배치되며,
    본체(10)의 상면에는 물저장부(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물주입부(14)가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물주입부(14)의 안쪽에는 물주입구(16)가 형성되고,
    상기 물저장부(30)는 공기흡입관(50)의 측면에 고정설치된 지지가이드(34)(34)와 본체(10)의 내측면에 고정설치된 지지가이드(34)(34)에 끼워 고정설치되고,
    상기 물주입부(14)를 통하여 물이 주입되면 물저장부(30)에 물이 채워지고 과잉주입된 물은 물배출부(32)를 통하여 흘러내려 하단의 물저장부(30)로 떨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식생판(20)의 배면에는 흡수재의 일단이 고정결합되어 있고 흡수재의 타단은 물저장부(30)에 담겨져 있으며,
    상기 공기흡입 파이프(54)에는 송풍팬이 개재되어 있고,
    송풍팬이 회전하면 본체(10)의 전면부에 배치된 식물의 줄기와 잎 쪽으로부터 공기가 토양(70)과 식생판(20)을 경유하여 공기흡입관부(50)의 통공(52)을 통하여 공기흡입관부(50)로 유입되어 공기흡입 파이프(54)에 개재된 하나의 송풍팬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60081A 2014-11-17 2014-11-17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KR101767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081A KR101767426B1 (ko) 2014-11-17 2014-11-17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081A KR101767426B1 (ko) 2014-11-17 2014-11-17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505A KR20160058505A (ko) 2016-05-25
KR101767426B1 true KR101767426B1 (ko) 2017-08-11

Family

ID=5611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081A KR101767426B1 (ko) 2014-11-17 2014-11-17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4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686B1 (ko) * 2016-03-28 2018-08-10 민승기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공기포집기
CN110637633B (zh) * 2019-08-15 2022-04-05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基于多孔吸滤材料的自动灌溉垂直绿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486B1 (ko) 2006-05-09 2007-10-30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조경용 화분 집합구조물
KR101389567B1 (ko) 2012-09-20 2014-04-28 주식회사 가든포유 식물 생육이 원활하고 이취가 없는 화분 조립체
KR200473002Y1 (ko) * 2013-12-24 2014-06-03 정진수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433598B1 (ko) 2014-02-06 2014-09-15 이진우 가구 매립형 식물 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486B1 (ko) 2006-05-09 2007-10-30 주식회사 아이레보엔에스 조경용 화분 집합구조물
KR101389567B1 (ko) 2012-09-20 2014-04-28 주식회사 가든포유 식물 생육이 원활하고 이취가 없는 화분 조립체
KR200473002Y1 (ko) * 2013-12-24 2014-06-03 정진수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433598B1 (ko) 2014-02-06 2014-09-15 이진우 가구 매립형 식물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505A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040B1 (ko)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벽면녹화장치
KR101724042B1 (ko)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US9578819B2 (en) Pressurized growing air system for vertical and horizontal planting systems
KR100785930B1 (ko)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자동 온실시스템
CN102215939A (zh) 基于植物对室内空气清洁和滤垫生物再生的微灌溉设备、系统和方法
KR20180007503A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실내정원용 식생모듈
KR20140145494A (ko)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KR101557197B1 (ko) 수생식물을 이용한 냉방시스템
CN203884290U (zh) 具有空气净化功能的植物栽培装置
KR101767426B1 (ko)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KR20150141308A (ko) 식물재배가 가능한 가습형 공기청정기
KR20160118529A (ko) 벽면 정원
CN103615769A (zh) 一种新型空气净化器
KR101817508B1 (ko)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KR102384078B1 (ko) 미세먼지 저감 기능을 갖는 모듈형 수직 녹화장치
KR101389567B1 (ko) 식물 생육이 원활하고 이취가 없는 화분 조립체
CN105145460B (zh) 兼具空气净化功能的鱼缸装置
KR102067030B1 (ko) 식생블록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128824B1 (ko) 식물공기청정기용 포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멀티필터
KR100974003B1 (ko) 공기정화용 실내정원 시스템
KR20120109909A (ko) 식물벽을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CN205124726U (zh) 兼具空气净化功能的鱼缸装置
CN207641192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104813976B (zh) 全生态养殖缸和全生态养殖系统
KR102038523B1 (ko)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