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686B1 -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공기포집기 - Google Patents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공기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686B1
KR101887686B1 KR1020160036636A KR20160036636A KR101887686B1 KR 101887686 B1 KR101887686 B1 KR 101887686B1 KR 1020160036636 A KR1020160036636 A KR 1020160036636A KR 20160036636 A KR20160036636 A KR 20160036636A KR 101887686 B1 KR101887686 B1 KR 10188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rotruding
leaf
air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348A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riority to KR1020160036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68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A01G13/043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을 위한 공기포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내 정화를 위하여 삼림 등의 나뭇잎의 광합성 공정에서 발생하는 산소와 향기를 포집을 함과 동시에 실내에 공급을 함으로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그러나, 건축물과 같이 설치되는 실내 공기는 공기의 오염이나 장기간 지나면서 발생을 하는 오염된 공기는 사람이 거주하기에는 문제가 많은 것이다. 고로 삼림이나 나무 등에서 광합성으로 발생을 하는 신선한 공기를 제공함으로서, 쾌적한 실내를 제공하여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지중에 깊숙이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성장되는 과수목(55)이나 삼림지역(52)에서 자라나는 나무(59) 가지(60)의 잎사귀에 있어서,
상기 가지(60)에서 자라나는 잎사귀(65)의 외측공간을 둘러싸여서, 내측공간(45)을 유지하여 주도록 가지(60)의 구간에 상,하측으로 고정시켜 주도록 다수개의 고정링(53)(53')과, 상기 고정링(53)(53')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로드(54)와, 상기 지지로드(54)의 단부를 서로 고정하는 원주형의 받침링구(57)와, 상기 받침링구(57)의 단부를 원주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58)과, 상기 받침링구(57)와 프레임(58)을 감싸주는 카바용 자켓(38)과,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일측구간을 분리 및 조립하도록 조립식으로 구비시켜 주는 고정용 자크(42)와,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전체구간에 천공되는 공기 유입구(39)와,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하측 구간에 돌출되는 흡입관(33)의 구비로, 잎사귀(65)의 외측 구간을 감싸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나무(59)의 가지(60)에 설치로 고정시켜 주는 덕트형의 포집블럭(75)와,
상기 덕트형의 포집블럭(75)에는 다수개로 천공된 흡입구(72)와 일측으로 구비된 흡입관(33)으로, 상기 잎사귀(65)에서 분출되는 수분과 산소를 포집시켜 주고,
상기 카바용 자켓(38)을 보호망체(80)로 형성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지중에서 고정으로 돌출되는 지지기둥(110)에다, 나무(59)용 가지(60)에서 돋아나는 잎사귀(65)의 외측구간에 돌출되면서 원주형으로 고정되면서 상,하측 구간으로 각각 구비된 고정링(105)(105')과,
상기 지지기둥(110)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는 로푸(111)가 걸어주는 롤러(115)와, 상기 롤러(115)에다 지지기둥(110)의 외측으로 결합되도록 로푸(111)로 연결되는 고정링(120)과, 상기 고정링(120)의 외측 구간에 조립되는 카버대(130)와, 상기 카버대(130)의 상하측구간으로 돌출된 결속대(135)와, 상기 결속대(135)에 결속시켜 주도록 결합된 끈(116)으로 결속시켜 주도록 구비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고정링(120)에 조립되는 고정파이프(122)와,
상기 카버대(130)를 자크(42)로 조립되도록 구비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공기포집기{omitted}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용 공기 포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내 정화를 위하여 나무, 삼림 등에서 생성되는 나뭇잎의 광합성 공정에서 발생하는 산소, 수분 및 향기를 포집으로 실내에 공급을 함으로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여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사이사이의 자투리 땅이나 산림지역에서 식생하는 나무의 잎사귀에서 햇볕에 의한 광합성 공정 중에서 발생을 하는 친환경적인 공기나 수분은 미량이기는 하나 연속적으로 발생을 하면서 자연의 공간으로 흩어져 버리는 것이다.
또한 삼림이 우거지는 지역에서 산책이나 피서를 위하도록 보행을 하는 경우에는, 삼림의 광합성으로 방출되는 수분과 산소 등으로 혹서기에는 방출열을 흡수를 함으로서, 시원한 여름철의 피서를 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도심지의 오염된 공기에 대한 여가 활동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산업화의 발달로 인하여 형성되는 도시 집중화로 공기의 오염정도가 심함과 동시에, 특히 사무실이나 거주지 등의 실내에서는 아토피의 발생과 같은 문제가 더 증가 하고 있는 것이다.
삭제
고로 종래 공개된 특허(공개특허번호10-2010-0069066호) 에의하여 제공된 바와 같이, 작업실이나 실내, 임시 휴양지의 텐트 등에 대한 정원수, 산림, 또는 휴양림지역에서의 실내 환기를 위하여 창문을 열어주는 등의 순환장치를 사용되었다.
고로 본 발명은 상기 제공된 발명에 대하여 다른 구조로서 실용적으로 실내환기를 위하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 실내 정화용으로 심어진 정원수 및 산림은 건축물, 휴양지의 주위의 구간에다 식생을 하여 줌으로서 실내의 공간으로 정화를 하여 주고 있으나, 상기 식생된 여건에 따라 정원이나 산림 등지에 심어진 나무에서 발생되는 신선한 공기에 대한 실내 정화로 제공하여 주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무에서 발생하는 산소나 향기를 포집하려는 구조로서는, 현실적으로 무성하면서 큰 나무에서 구비되는 가지에서 돋아나는 잎사귀에서 실재 발생하는 수분과 산소는 주위로 흩어져 버리므로, 주위에 설치된 건축물의 실내에는 실제로 효과가 없게 되는 것이다.
삭제
이는 공기의 순환구조가 미약한 실내공간으로 계속 공급을 하여 주기 때문에, 특히 야간에 취침시간대에는 정화의 효과를 제공시켜 주는 것이다. 이는 나무의 잎사귀는 대부분 초록색을 띄고 있는데, 상기 초록빛은 염록소로서 태양광과 수분에 의하여 탄수화물을 광합성을 하면서, 부산물로서 산소와 수분을 발생을 함으로서 폭염의 여름철인 경우에는 실내공기의 적절한 온도로 제공을 하여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발생하는 산소에는 음이온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이는 특히 아토피와 같은 피부병의 치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도심지에 거주하는 아토피환자나 호흡기 환자 등은 실내에서 정화를 위하여 식재하는 화분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실내 공간에서는 특히 실내공간에 대한 공기의 오염에 대한 정화를 위하도록, 실내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배란다 또는 화분 등에 관상수나 활엽수를 식생함으로서, 실내공기 정화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정화를 위하는 친환경적인 공기를 공급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건축물이 구비되는 자투리 지역이나 산림지역에서 자라나는 거대한 나무의 기둥에서 돋아나는 가지목에 식생되는 잎사귀에서 광합성으로 분출되는 산소와 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되는 포집구을 자켓으로 포집함으로서, 실내에 친환경적인 공기를 제공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원통형의 자켓의 상측 구간에 구비되는 배출구와 삼림지역에 식생된 나무의 가지목 구간에다 고정링과 원호형 지지대를 서로 결합으로,
상기 가지에서 돋아나는 잎사귀를 감싸주는 카바체로 고정시켜 주도록 구비된 원통형의 자켓의 외측면 구간을 조립으로 감싸주도록 지지되는 지지대에 롤러와 끈으로 간단히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연질의 투명한 비닐체를 조립시켜 주도록 제공함으로서, 잎사귀에서 분출된 신선한 공기가 바람에 의하여 분산되는 현상을 감소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지중에서 다수개로 각각 돌출되는 지지기둥 사이의 내측공간에 자켓을 설치하여 줌과 동시에, 상기 자켓의 가장자리인 단부구간에는 탈착 가능한 조립구와 고정끈으로 조립되는 나무나 과수목인 나무의 가지목의 구간에서 돋아나는 잎사귀와 같이 연질의 투명한 비닐체로 덮어줌으로서 정화된 공기의 흡입이나, 강풍에 의한 낙과나 파손을 방지시켜 주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지중에 깊숙이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성장되는 과수목(55)이나 산림지역(52)에서 자라나는 나무(59) 가지(60)의 잎사귀에 있어서,
상기 가지(60)에서 자라나는 잎사귀(65)의 외측공간을 둘러싸여서, 내측공간(45)을 유지하여 주도록 가지(60)의 구간에 상,하측으로 고정시켜 주도록 다수개의 고정링(53)(53')과, 상기 고정링(53)(53')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로드(54)와, 상기 지지로드(54)의 단부를 서로 고정하는 원주형의 받침링구(57)와, 상기 받침링구(57)의 단부를 원주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58)과, 상기 받침링구(57)와 프레임(58)을 감싸주는 카바용 자켓(38)과,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일측구간을 분리 및 조립하도록 조립식으로 구비시켜 주는 고정용 자크(42)와,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전체구간에 천공되는 공기 유입구(39)와,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하측 구간에 돌출되는 흡입관(33)의 구비로, 잎사귀(65)의 외측 구간을 감싸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나무(59)의 가지(60)에서 결합시켜 주는 덕트형의 포집블럭(75)와, 상기 덕트형의 포집블럭(75)에는 다수개로 천공된 흡입구(72)와 일측으로 구비된 흡입관(33)으로, 상기 잎사귀(65)에서 분출되는 수분과 산소를 포집시켜 주고, 상기 카바용 자켓(38)을 보호망체(80)로 형성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지중에서 고정으로 돌출되는 지지기둥(110)에다, 나무(59)용 가지(60)에서 돋아나는 잎사귀(65)의 외측구간에 돌출되면서 원주형으로 고정되면서 상,하측 구간으로 각각 구비된 고정링(105)(105')과,
상기 지지기둥(110)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는 로푸(111)가 걸어주는 롤러(115)와, 상기 롤러(115)에다 지지기둥(110)의 외측으로 결합되도록 로푸(111)로 연결되는 고정링(120)과, 상기 고정링(120)의 외측 구간에 조립되는 카버대(130)와, 상기 카버대(130)의 상하측구간으로 돌출된 결속대(135)와, 상기 결속대(135)에 결속시켜 주도록 결합된 끈(116)으로 결속시켜 주도록 구비되는 발명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고정링(120)에 조립되는 고정파이프(122)와,
상기 카버대(130)를 자크(42)로 조립되도록 구비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태양광발전판(65)과, 상기 태양광발전판(65)의 배면에서 돌출된 지지빔(43)을 지지로드(54) 사이의 내측구간(46)에 설치를 하여 주고, 상기 지지빔(43)에는 탈착 가능한 방풍커텐(71)을 설치하여서 불어주는 강풍을 차단시켜 주도록 구비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 정화를 위하여 큰나무 또는 산림지역의 식생을 하는 나무의 나뭇잎에서 광합성 작업으로 발생되는 음이온을 포함하는 산소나 수분을 나무의 구조상 잎사귀 부분에서 포집으로 얻어지는 친환경적인 공기를 실내로 공급을 함으로서, 실내공기의 정화를 보강시켜 주기 위함이며,
또한 순수하게 친환경적인 잎사귀에서 광합성 공정에서 발생을 하는 산소와 수분을 공급을 함으로서, 주위의 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비위생적인 불순 부유물을 완전히 재거한 순수한 자연적인 공기를 제공함으로서, 쾌적한 실내공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도1은 종래에 널리 분포된 나무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2는 종래에 제공된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부분 절개된 부분 사시도
도4는 도3에서 요부에 대한 분해된 부분 사시도
도5는 도3에서 요부에 대한 다른 요부의 분해된 부분 사시도
도6는 도3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7은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8은 도7에서 요부 대한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9은 도7에서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10는 도7,9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11은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도12은 도11에 대한 조립 공정의 부분 사시도
도13는 도12에 대한 조립 상태의 공정도
도14,15는 도12에서 요부에 사용 상태의 공정 단면도
도16는 도12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도
도1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또 다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현장시공에서 실용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1은 종래에 널리 분포된 나무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2는 종래에 제공된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부분 절개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4는 도3에서 요부에 분해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5는 도3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6는 도3에서 요부에 대한 다른 요부의 분해된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8은 도7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8은 본 발명에서 요부 대한 다른 부분 사시도이며, 도9는 도7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10은 도7,9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따라서 주위에 자투리에서 식재된 큰 나무 또는 아름다리하게 무성한 큰 나무로 형성되는 삼림지역에서 소정의 공기 흡입관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 건축물에다, 실내 환기를 친환경적인 공기의 공급을 위하는 발명이다.
이는 도8은 본 발명에서 요부 대한 다른 부분 사시도이며, 도9는 도7에서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10은 도7,9의 요부에 대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구비되는 가지와, 상기 가지에서 돋아나는 잎사귀의 성장하는 공간이 매우 큼으로서, 종래 제공되는 발명에서 설명되는 조경수나 크기가 적은 나무의 외측구간 전체를 덮어주는 자켓(40)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사용 현장의 여건에 따라 실용성이 낮은 것이 사실이다.
고로 본 발명은 상기 나무의 기둥에서 분기로 자라나는 각각의 가지와 잎사귀에서 사용하려는 여건에 따라 실용적으로 일부를 자켓으로 감싸줌으로서 포집되는 공기를 실내에 공급을 위하는 발명이다.
따라서 상기 큰 나무(이하 나무라 칭함)의 가지에서 자라나는 잎사귀에서 햇볕에 의거 광합성으로 발생하는 산소와 수분을 포집으로 제공시켜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시공 현장에 적합하도록 첨부된 도면에 의거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대부분의 나무는 뿌리의 밀착으로 토지(50)에 깊숙이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돌출되는 나무(59)의 상측 구간에는 다수개의 가지로 분사되고, 상기 분사된 가지에는 광합성하도록 가지의 주위에는 무수히 많은 숫자의 잎사귀의 성장함과 아울러, 상기 잎사귀 주위에는 광합성하면서 산소와 수분을 분출하게 되는 함과 동시에, 주위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소정의 외측 공간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중에 깊숙이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돌출되는 과수목이나 삼림지역(52)에 식생하는 나무(59)의 기둥에서 분기로 돋아나는 가지(60)에 연결되는 잔가지에서 광합성이나 성장을 위한 잎사귀(65)는 나무의 전체적인 구조상 서로 일정 구간으로 뭉쳐주면서 자라나게 되는 것이다.
고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일정한 공간으로 서로 뭉쳐서 성장하여 주는 잎사귀(65) 구간을 중심으로, 건축물(47) 또는 피서용 텐트(48)의 실내로 공급하는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여 주기 위하여,
첨부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지(60)에서 자라나는 잎사귀(65)의 외측공간을 둘러싸여 줌으로서, 상기 잎사귀(65)에서 분출되는 신선한 공기를 흡수할 수 있는 내측공간을 유지하여 주도록, 상기 가지(60)의 잎사귀(65)가 성장하여 주는 구간의 외측구간에 맞추어 주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면서 가지(60)의 외측구간을 서로 조립으로 고정하도록 다수개의 고정링(53)(53')과, 상기 고정링(53)(53')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잎사귀(65)의 외측구간으로 후술로 설명되는 카바용 자켓(38)으로 감싸주는 지지로드(54)와, 상기 다수개의 지지로드(54)의 외측 단부에서, 서로 구비되는 간격을 연결로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잎사귀(65)의 외측구간을 카바용 자켓(38)으로 감싸주는 원주형의 받침링구(57)와, 상기 받침링구(57)의 단부를 원주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58)과, 상기 받침링구(57)와 프레임(58)이 설치되는 구간을 감싸주는 카바용 자켓(38)으로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일측 구간을 절개로 분리시켜 주되, 상기 절개부위의 구간에는 고정용 자크(42)로 조립시켜서 나무(59)의 기둥에서 가지와 잔가지의 분기로 성장되는 잎사귀(65)를 용이하게 조립형으로 외측구간을 감싸주도록 구비시켜 줌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잎사귀(65)을 감싸주도록 설치되는 카바용 자켓(38)의 내측구간에서 잎사귀에 대한 광합성과 아울러 수분 및 산소의 분출이 용이하고, 또한 공기공급으로 광합성 작용이 이루도록 합성수지재 연질의 필름으로 구성되는 투명체의 재질의 카바용 자켓(38)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고로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전체구간에는 소정의 크기와 연속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주도록 공기 유입구(39)의 천공과, 아울러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하측 구간에는 잎사귀에서 광합성으로 분출된 수분 및 산소의 흡입을 위하여 흡입관(33)을 돌출시켜서 도면에 미도시된 흡입펌프 등으로 건축물(47)에 구비된 실내로 공급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따라서 토양(50)에서 고정되면서 나무로 자라나는 잎사귀(65)에서 분출하는 수분과 산소 등은 대부분, 잎사귀(65)가 돋아나는 가지(60) 또는 잔가지 등이 성장하는 구간에도, 충분히 흡수하여 주는 구조를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가지(60)와 아울러 성장을 하는 잎사귀(65)의 외측의 전체구간을 감싸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여 주기 위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6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무(59)의 가지(60)에서 돋아나는 잎사귀(65)가 서로 뭉쳐서 성장하는 구간에 결합시켜 주도록 소정의 길이와 크기로 구비된 덕트형의 포집블럭(75)을 설치하도록 적절한 방법으로, 나무의 가지 구간에다 미도시된 고정링구 등으로 엮어서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덕트형의 포집블럭(75)의 내측공간에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여 주기 위하여,
상기 덕트형의 포집블럭(75)의 몸체인 가요성 호오스(77)의 몸체구간에는 다수개로 천공된 흡입구(72)와, 상기 가요성 호오스(77)의 몸체구간의 일측으로 구비된 흡입관(33)으로, 미도시된 흡입펌프의 흡인력에 의하여 건축물에 구비된 실내 또는 휴게실 등으로, 상기 잎사귀(65)에서 분출되는 수분과 산소를 포집으로 공급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가요성 호오스(77)로 형성되는 포집블럭(75)에서, 바람이나 잎사귀(65)에서 발산되는 신선한 공기를 외부로 방출되는 량을 조정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포집블럭(75)이 설치되는 잎사귀(65)의 외측구간에다 보호망체(80)로 감싸주도록 제공시켜 줌이 바람직하는 발명이다.
상기 보호망체(80)의 구성은 소정의 크기로 메쉬(구멍크기)가 형성되는 망체의 합성수지재 또는 스텐망이며, 상기 망체의 일측 구간을 절개로 분리하도록 구비되는 자크(42)로, 상기 보호망체(80)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비시켜 줌으로서, 외부로부터 불어주는 바람 등의 흐름을 메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항으로 지연시켜 줌으로서, 바람의 이동으로 잎사귀에서 방출되는 수분과 산소의 이동력으로 흩어지는 현상의 감소함이며, 이는 공기 중에 부유로 비산하는 먼지나 공기의 온도(기온)에 대한 변화의 유입을 감소하도록 제공시켜 주는 발명이다.
고로 상기 카바용 자켓(38)을 보호망체(80)로 형성시켜 줌으로서, 포집블럭(75)에 대한 실용성과 내구성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발명이다.
[실시예의 1]
혹서기에는 유원지나 삼림지역의 휴양림으로 휴가를 가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혹서기에서도 실내에서 공기정화로 실내 휴식을 위하는 구조를 제공시켜 주기 위하여,
또한 상기 나무(60)의 잎사귀(65)에서 광합성작용으로 특히 야간에 방출이 되는 산소와 수분은, 방출하는 과정에서 방출열을 흡수함으로서, 삼림지역에서는 혹서기에서도 시원한 느낌을 받게 되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의 요부인 공기 포집블럭(75)에서 특히 혹서기에 공기포집을 하는 과정에서 시원한 기온의 공기를 포집하여 주도록 제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시켜 주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도11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다른실시예의 부분 상태도이며, 도12는 도11에서 요부에 대한 조립상태도이며,
도13는 도12에 대한 조립 상태의 공정도이며, 도14,15는 도12에서 요부에 사용 상태의 공정 단면도이며, 도16는 도12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1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또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즉 본 발명의 요부인 공기포집기(75)에 대한 공기의 포집을 위하여, 가능한 잎사귀(65)가 무성하는 구간서 방출되는 순수한 공기(산소 및 수분)을 포집시켜 주는 발명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잎사귀(65)가 집중적으로 성장 하는 구간에 대하여, 외부로 부터 불어주는 바람(외풍)을 차단함으로서, 집중적으로 잎사귀(65)가 성장구간에서 방출된 신선한 공기가 가능한 집중적으로 공기포집기로 포집되도록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요부로 설명되는 나무 또는 과수목에서 과수의 착상을 위하여 개화되는 꽃은 대부분 이른 봄철에 집중적으로 만개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른 봄철에서는 날씨의 변덕으로 인하여 냉해 또는 강풍 등으로 만개된 꽃을 분산으로 날려줌으로서 충분한 교배가 불량함으로서, 소기의 과실에 대한 착상율이 낮아서 과수 농가에 대한 시름이 깊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이른 봄철 등에서 발생을 하는 기온의 변화에 대한 피해를 감소시켜 주기 위하는 구조로서 첨부된 도11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적용을 위한 일실시예를 설명을 하면,
소정의 크기로 성장되는 과수목(55)이나 나무(59)의 잎사귀(65)가 만개된 외측구간에 맞추어서 조립이 되도록, 지중에 깊숙이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지지기둥(110)을 과수목이나 나무(59)용 가지(60)에서 돋아나는 잎사귀(65)의 외측구간에 맞추어서 돌출시켜 주되, 상기 돌출기둥(110)의 내측면으로 서로 고정되도록 상,하측 구간으로 다수개의 고정링(105)(105')으로 구비시켜서, 후술로 설명되는 카버대(130)을 조립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지지기둥(110)의 상측 단부에 로푸(111)가 걸어주는 롤러(115)를 구비시켜 줌으로서, 후술로 설명되는 카버대(130)를 상하측 구간으로 개폐시켜 주도록 형성시켜 준다.
또한 상기 과수목의 외측구간에 맞추어 주도록 다수개의 지지기둥(110)의 외측으로 이격을 형성으로 결합되는 고정링(120)과, 상기 고정링(120)에다 연결된 로푸(111)와, 상기 고정링(120)의 외측 구간에 맞추어 조립되는 카버대(130)와, 상기 카버대(130)에다 별도로 고정시켜 주는 고정링(120)이, 상기 롤러(115)의 로푸(111)에 의하여 상하측 구간으로 구동이 되도록 구비시켜 준다.
또한 상기 카버대(130)의 상,하측구간으로 돌출시켜 주되는 각각 결속대(135)에다, 상기 롤러(115)에 걸어준 로푸(111)로 상측구간으로 이동을 시켜 줌으로서, 과수목과 같은 나무(59)의 외측구간에 맞추어서 걸어주 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버대(130)의 상하측구간에 형성되도는 다수개의 결속대(135)와, 상기 결속대(135)의 단부에 형성된 조립구(137)에다 결속시켜 주는 끈(116)을 구비함으로서, 상기 설명되는 과수목의 잎사귀(65)의 외측구간과 아울러 상하측 구간을 서로 덮어서 감싸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카버대(130)에 대한 분리 및 조립에 대한 공정을 실용적으로 제공시켜 줌으로서, 사용 현장인 과수원이나 식물원과 같은 야외자역의 공간에서 간단히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게 제공하여 주기 위하는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상기 카버대(130)의 상측구간에 조립된 고정링(120)을 경질이면서 굽힘성이 보유되는 합성수지제 고정파이프(122)로 조립시켜 줌으로서, 상기 설명되는 과수목의 외측구간에서 간단히 분리가 되도록 제공시켜 줌이며, 또한
상기 카버대(130)의 일측 구간에서 상하측으로 분리되도록 절단부간과, 상기 절단부간에다 조립된 자크(42)를 제공함으로서, 과수목에 대한 보온이나 강풍에 의한 피해 방지하면서, 사용 현장인 과수목의 외측구간을 쉽게 감싸주도록 조립으로 고정시켜 주는 발명이다.
또한 기온의 정상화로 개화된 꽃을 서로 교배하도록, 곤충 종류인 벌의 자유로운 활동으로 인한 교배 활동을 자유롭게 제공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자크(42)로 분리시켜서 개화된 꽃이 노출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공기 포집기(75)에 대한 실용적인 경제성을 제공시켜 주기 위하는 다른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개된 특허(공개특허번호;10-2010-0019283호)에서는 소정의 넓이로 구비되면서 경사지게 설치된 태양광발전판(65)의 효과적인 역할은 발전 및 가열을 위하면서 태풍이나 강풍에 대한 방향 유도를 제공함으로서, 겨울철에 태풍으로 발생하는 파손을 방지하여 주도록 제공하였습니다.
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원통형으로 감싸주는 카바용 자켓(38)에 대한 태풍 피해의 감소와 아울러, 보온을 위하도록,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일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태양광발전판(65)은, 강풍과 같은 피해를 방지함이며, 또한 상기 태양광발전판(65)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빔(43)과 지지로드(54) 사이의 내측구간(46)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는 발명이며, 여기서 상기 지지빔(43)에는 탈착 가능한 방풍커텐(71)을 설치로 불어주는 강풍을 차단시켜 주거나, 혹한기의 냉해에 대한 보온을 제공하여 주고,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카바용 자켓(38)에서 더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 변형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35 : 배출구 38 ; 카바용 자켓 39 : 유입구 42 : 자크
53 ; 고정링 57 ; 받침링구 60 ; 가지 65 ; 잎사귀
71 : 흡입관 72 : 흡입구 75 ; 포집블럭 80 : 보호망체

Claims (5)

  1. 지중에 깊숙이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성장되는 과수목(55)이나 삼림지역(52)에서 자라나는 나무(59) 가지(60)의 잎사귀에 있어서,
    상기 가지(60)에서 자라나는 잎사귀(65)의 외측공간을 둘러싸여서, 내측공간(45)을 유지하여 주도록 가지(60)의 구간에 상,하측으로 고정시켜 주도록 다수개의 고정링(53)(53')과, 상기 고정링(53)(53')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로드(54)와, 상기 지지로드(54)의 단부를 서로 고정하는 원주형의 받침링구(57)와, 상기 받침링구(57)의 단부를 원주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58)과, 상기 받침링구(57)와 프레임(58)을 감싸주는 카바용 자켓(38)과,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일측구간을 분리 및 조립하도록 조립식으로 구비시켜 주는 고정용 자크(42)와,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전체구간에 천공되는 공기 유입구(39)와,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하측 구간에 돌출되는 흡입관(33)의 구비로, 잎사귀(65)의 외측 구간을 감싸주도록 제공되는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공기포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59)의 가지(60)에 설치로 고정시켜 주는 덕트형의 포집블럭(75)와,
    상기 덕트형의 포집블럭(75)에는 다수개로 천공된 흡입구(72)와 일측으로 구비된 흡입관(33)으로, 상기 잎사귀(65)에서 분출되는 수분과 산소를 포집시켜 주고,
    상기 카바용 자켓(38)을 보호망체(80)로 형성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공기포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에서 고정으로 돌출되는 지지기둥(110)에다, 나무(59)용 가지(60)에서 돋아나는 잎사귀(65)의 외측구간에 돌출되면서 원주형으로 고정되면서 상,하측 구간으로 각각 구비된 고정링(105)(105')과,
    상기 지지기둥(110)의 상측 단부에 구비되는 로푸(111)가 걸어주는 롤러(115)와, 상기 롤러(115)에다 지지기둥(110)의 외측으로 결합되도록 로푸(111)로 연결되는 고정링(120)과, 상기 고정링(120)의 외측 구간에 조립되는 카버대(130)와, 상기 카버대(130)의 상하측구간으로 돌출된 결속대(135)와, 상기 결속대(135)에 결속시켜 주도록 결합된 끈(116)으로 결속시켜 주도록 구비되는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공기포집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120)에 조립되는 고정파이프(122)와,
    상기 카버대(130)를 자크(42)로 조립되도록 구비되는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공기포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바용 자켓(38)의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태양광발전판(65)과, 상기 태양광발전판(65)의 배면에서 돌출된 지지빔(43)을 지지로드(54) 사이의 내측구간(46)에 설치를 하여 주고, 상기 지지빔(43)에는 탈착 가능한 방풍커텐(71)을 설치하여서 불어주는 강풍을 차단시켜 주도록 구비되는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공기포집기.

KR1020160036636A 2016-03-28 2016-03-28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공기포집기 KR10188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636A KR101887686B1 (ko) 2016-03-28 2016-03-28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공기포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636A KR101887686B1 (ko) 2016-03-28 2016-03-28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공기포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348A KR20170111348A (ko) 2017-10-12
KR101887686B1 true KR101887686B1 (ko) 2018-08-10

Family

ID=6013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636A KR101887686B1 (ko) 2016-03-28 2016-03-28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공기포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528B1 (ko) * 2017-11-01 2020-05-22 민승기 조림수에서 공기정화용 에너지 포집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5676A1 (en) 1993-12-08 1995-06-15 Thomasson Joseph R Self-supporting thermally-protective plant enclosure
JP3094803B2 (ja) 1994-09-16 2000-10-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製造方法
WO2007127238A2 (en) 2006-04-25 2007-11-08 Jaiswal Sudhir K Plant preservation systems
KR101326269B1 (ko) 2012-08-14 2013-11-11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식물의 줄기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KR101348077B1 (ko) 2012-08-14 2014-01-03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식물의 잎 호흡 및 광합성량 측정용 자동 공기수집 챔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803U (ja) * 2002-12-20 2003-07-04 毅 大角 空気清浄機
KR101045826B1 (ko) * 2009-05-11 2011-07-05 대한민국 밭작물 재배지의 이산화탄소 자동 포집 장치
KR101767426B1 (ko) * 2014-11-17 2017-08-11 주식회사 가든포유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5676A1 (en) 1993-12-08 1995-06-15 Thomasson Joseph R Self-supporting thermally-protective plant enclosure
JP3094803B2 (ja) 1994-09-16 2000-10-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製造方法
WO2007127238A2 (en) 2006-04-25 2007-11-08 Jaiswal Sudhir K Plant preservation systems
KR101326269B1 (ko) 2012-08-14 2013-11-11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식물의 줄기 호흡속도 측정용 자동 공기 수집 챔버장치
KR101348077B1 (ko) 2012-08-14 2014-01-03 사단법인대기환경모델링센터 식물의 잎 호흡 및 광합성량 측정용 자동 공기수집 챔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348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42551B2 (en) Weather protection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special cultures sensitive to moisture
CN104938239B (zh) 一种移动植物墙体系统
CN107333594A (zh) 一种可实时监测棚内温湿度的园林植物白芨种植棚
JP2003319719A (ja) 層建築壁面のメッシュ金網ブロックによる緑化工法。
JP2007060981A (ja) 大気浄化、害虫捕獲、気温緩和となる緑化装置
KR101887686B1 (ko)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를 위한 공기포집기
CN213485917U (zh) 一种用于环保建筑的绿化装置
CN204762436U (zh) 一种建筑外墙专用的移动植物墙体系统
JP2009261337A (ja) 栽培用ハウス
KR102114528B1 (ko) 조림수에서 공기정화용 에너지 포집장치
CN214902403U (zh) 城市道路绿化养护装置
JP3831713B2 (ja) 住宅の壁に設けるつる植物の登攀ガイド
KR20210093208A (ko) 등반매트와 격자가 조합된 덩굴식물류를 이용한 벽면 녹화 프레임
KR101948313B1 (ko) 친환경적인 실내 정화용 공기 포집기
CN112956361A (zh) 一种植物幼苗培育装置
KR20190049311A (ko) 조림수에서 공기정화를 위한 포집기용 조립장치
CN216135068U (zh) 园林绿化用除虫装置
CN213755982U (zh) 一种蜜桔选育用的种植棚高效通风装置
CN216853545U (zh) 一种农业植林用的防虫装置
CN220777142U (zh) 一种园林绿化专用灭虫装置
CN216135066U (zh) 一种园林用驱蚊装置
CN116034960B (zh) 一种根据蚊子孳生习性进行诱捕灭蚊设备及方法
CN215501016U (zh) 一种便于园林用杀虫装置
CN213603361U (zh) 一种阳台种植装置
CN210868984U (zh) 一种农业种植用高效种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