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494A -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494A
KR20140145494A KR1020130068013A KR20130068013A KR20140145494A KR 20140145494 A KR20140145494 A KR 20140145494A KR 1020130068013 A KR1020130068013 A KR 1020130068013A KR 20130068013 A KR20130068013 A KR 20130068013A KR 20140145494 A KR20140145494 A KR 20140145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air
block
filter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현
Original Assignee
그린인프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인프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인프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8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5494A/ko
Priority to PCT/KR2014/004305 priority patent/WO2014200192A2/ko
Publication of KR2014014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정화작용을 하는 식물(P)이 심어지는 식물블럭(40)이 벽체(12)에 장착된 설치프레임(20)에 고정된 고정판(30)에 장착된다. 상기 식물블럭(40)은 다수개가 상기 고정판(30)에 설치되는데, 상기 식물에서 정화된 공기가 모이는 후드(50)가 상기 식물블럭(40)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판(30)에 설치된다. 상기 식물블럭(40)의 정면은 곡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후드(50)의 선단에는 부가필터(58)와 식물필터(60)가 설치되어 상기 후드(50)로 팬(54)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후드(50)로 전달된 정화된 공기는 공기덕트(52)를 통해 원하는 공간으로 보내진다. 본 발명에서는 후드(50)가 식물블럭(40)들 사이에 위치하므로 공기청정기의 전후방향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공기청정기가 차지하는 바닥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고, 식물블럭(40)과 식물필터(60)의 전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어 식물이 보다 무성하게 보이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Air cleaner using plants}
본 발명은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를 따라 수직벽을 형성하도록 심어진 식물을 사용하여 공기청정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식물이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따라서, 식물의 정화작용을 활용하여 실내공기 또는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술들이 많이 제공되고 있다.
아래의 선행기술문헌들에서는 식물 사이와 식물이 심어진 토양을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여 정화된 공기를 모아 원하는 장소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8824호에서는 벽체를 따라 식물을 심고 식물 사이와 식물이 심어진 토양을 관통하여 공기가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를 모아 원하는 공간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식물을 사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기술들은 많이 제공되고 있는데, 식물이 심겨진 토양을 공기가 통과하여야 하므로,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이 공기와 함께 배출된다. 따라서 식물의 생육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식물이 심겨진 토양을 공기가 통과하기 위해서는 매우 용량이 큰 팬이 필요하게 되고, 토양 내에 공극이 일정 이상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토양을 공기가 통과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공기청정기에서 사용하는 식물을 위한 토양은 상대적으로 공극이 큰 것이어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토양 내에 공극이 많아지게 되면 토양이 수분을 오랜 동안 함유할 수 없게 되어 물공급량이 늘어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식물을 벽체를 따라 식재함에 있어서 벽체가 평면이 아니고 양측의 벽체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만나도록 되는 경우에는 식물이 식재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게 되어 공기청정기 전체의 외관이 나빠지고,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전방에서 볼 때 사용자의 정면방향은 상관이 없으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보았을 때 식물의 측면이 보이게 되어 공기청정기의 외관이 나빠지는, 즉 녹시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실내의 벽체를 따라 식물을 바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심어서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 후드 및 유로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벽체와 식물이 설치되는 부분의 사이에 상대적으로 넓은 틈새가 필요하게 되어 실내공간을 공기청정기가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후드가 식물에 의해 만들어진 수직벽의 후방에 존재하는 경우 식물에 의해 만들어진 수직벽과 벽체의 사이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전체 공기청정기가 차지하는 면적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16300호 미국등록특허 US 6,727,09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88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물을 사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유로를 식물이 식재된 토양과 별도로 두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을 사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에서 식물이 식재되는 식물블럭의 전면을 곡면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을 사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에서 인접하는 벽체 사이의 각도에 상관없이 최대한 식물이 심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을 사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에서 수평방향으로 심어지는 식물이 최대한 중력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을 사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에서 공기유로의 입구에 식물이 식재된 필터를 설치하여 먼지 등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벽체에 장착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장착되고 전면과 측면의 식생공을 통해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식물블럭과, 상기 식물블럭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고정판에 장착되어 상기 식물에서 정화된 공기를 모으는 후드와, 상기 후드의 입구에 설치되고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식물필터와, 상기 후드로 식물에서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여 전달하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전달된 공기를 원하는 곳으로 전달하는 공기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식물블럭과 후드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식물블럭이 장착되는 제2장착부가 돌출정도를 달리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장착부의 상단에 해당되는 고정판의 상단에는 돌출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고정판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식물블럭의 골격을 형성하는 블럭몸체의 전면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블럭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식생토공간은 상기 블럭몸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블럭몸체의 상부로 개방되어 커버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블럭몸체의 배면에는 토출유로공이 블럭몸체 전면에 형성된 하나의 식생공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식생공에는 식물지지대가 설치되는 식물을 지지하는데, 상기 식물지지대는 식생공의 내부에 걸어지는 걸이편과 상기 걸이편에 일체로 형성되고 반원통형상으로 전방 상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된다.
상기 식물지지대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식물블럭과 식물필터에는 급수를 위한 급수관이 별도로 구비되고 급수가 별도로 제어된다.
상기 식물필터는 상기 후드에 시일을 개재한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식물필터의 골격을 형성하는 필터본체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식생토가 채워져 식물이 식재된다.
상기 식물필터의 식생토에는 난석, 마사토 또는 플로럴 폼의 알갱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다.
상기 식물필터를 통과한 후드의 선단에는 별도의 부가필터가 더 구비되어 공기중의 오염성분을 제거한다.
상기 식물블럭의 블록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식생토공간은 상부로 개방되는데, 상기 개방된 식생토공간의 입구는 커버에 의해 덮어진다.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고정리브 쌍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 쌍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압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의 최하부에는 식물블럭에서 나온 수분을 모아 배수하는 배수판이 더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공기청정기에서 정화된 공기를 모으는 후드가 식물이 식재된 식물블럭과는 별도로 만들어져 식물블럭의 사이에 있으므로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의 전후방향의 길이가 최소화되어 공기청정기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식물블럭과 식물필터의 전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어 전방에서 공기청정기를 볼 때, 전방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식재된 식물의 선단을 볼 수 있게 되고 내측의 블럭본체나 필터본체가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게 되어 식물에 의한 녹화상태가 보다 풍성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식물블럭의 일측면에도 식생공이 있어 벽체가 꺾여진 부분에서도 식물블럭의 블럭본체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식물블럭에 식재된 식물이 중력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식물지지대를 사용한다. 상기 식물지지대는 식물의 줄기를 지지하여 주므로 식물이 상방향으로 잘 자랄 수 있도록 해주어 전체적으로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식물블럭의 사이에 후드가 설치되도록 하여 식물블럭을 공기가 통과하지 않도록 하고 단지 상기 후드를 통해 식물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모아지도록 하므로 식물블럭의 식물이 보다 잘 자랄 수 있게 되고,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팬을 사용하더라도 공기청정기가 잘 동작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전방에서 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정판의 개략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식물블럭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식물블럭의 식생공에 설치되는 식물지지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후드와 그 주변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식물필터의 필터본체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식물블럭이 하나의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의 식물블럭이 서로 직교하는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식물블럭이 둔각으로 만나는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의 실시례는 실내의 바닥(10)에서 수직으로 세워진 벽체(12)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벽체(12)의 표면에는 설치프레임(20)이 고정된다. 상기 설치프레임(20)은 본 실시례에서는 다수개의 바아(22)로 구성된다. 상기 바아(22)는 벽체(12)에 대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바아(22)에 의해 격자모양이 형성되도록 하면 좋다. 상기 설치프레임(20)에는 간격바아(24)가 있어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판(30)과 벽체(12)와의 사이에 원하는 만큼의 공간을 형성한다. 즉, 상기 간격바아(24)는 상기 벽체(12)에 설치된 바아(22)들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또 다른 바아(22)들이 격자모양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설치프레임(20)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벽체(12)에 블럭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고정되고 이 블럭에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판(30)이 고정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블럭이 상기 바아(22)와 간격바아(24)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이다.
상기 바아(22)에는 고정판(30)이 장착된다. 상기 고정판(30)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물론, 금속재질로 상기 고정판(30)을 만들 수도 있으나, 생산성을 고려할 때 합성수지 재질이 좋다. 상기 고정판(3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식물블럭(40)과 식물필터(60) 등이 장착된다. 상기 고정판(30)은 전면에서 볼 때,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고정판(30)의 정면 구성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30)의 골격을 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본체(32)는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의 판이다. 상기 본체(32)의 상단에는 돌출리브(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리브(33)는 상기 본체(32)의 상단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된 판형상이다. 상기 돌출리브(33)는 고정판(30)을 다수개 사용할 때, 상대적으로 상단에 있는 고정판(30)의 본체(32)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판(30)의 본체(32)에는 제1장착부(34)와 제2장착부(35)가 있다. 상기 제1장착부(34)는 상기 제2장착부(35)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다. 상기 제1장착부(34)는 상기 제2장착부(35)의 상단에 위치된다. 즉, 상기 돌출리브(33)와 제2장착부(35)의 사이에 상기 제1장착부(34)가 있다.
상기 제1장착부(34)와 제2장착부(3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식물블럭(40)과 식물필터(60)가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판(30)의 본체(32)에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들이 있다. 상기 제1장착부(34)와 제2장착부(35)에는 장착안내리브(36)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장착안내리브(36)는 하나의 식물블럭(40)이나 식물필터(60)의 양단 하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착안내리브(36)가 하나의 고정판(30)에 좌우방향으로 다수 쌍 있고, 상하방향으로 5줄이 있다. 하지만 상기 장착안내리브(36)의 갯수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후드(50)가 장착되는 부분에서는 장착안내리브(36)가 없어도 된다.
상기 장착안내리브(36)에 인접하여서는 스페이서리브(37)가 상기 고정판(30)에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37)는 상기 고정판(30)과 아래에서 설명될 식물블럭(40)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스페이서리브(37)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하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스페이서리브(37)의 형상은 십자 등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리브(37)는 아래에서 설명될 식물블럭(40)의 배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장착부(34)에는 후드통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드통공(38)은 아래에서 설명될 후드(50) 또는 공기덕트(52)가 고정판(40)을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후드통공(38)은 상기 고정판(30)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2개의 식물필터(60)와 대응되는 2개의 후드(60)가 동시에 통과하거나 2개의 후드(60)에 연결되는 덕트(52)가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제2장착부(35)에는 유로통공(39)이 형성된다. 상기 유로통공(39)은 정화된 공기를 모아 다시 실내공간으로 보내는 유로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유로통공(39)이 형성된 제2장착부(35)에는 식물블럭(40)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유로통공(39)이 반드시 상기 제2장착부(35)에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판(30)에 장착되는 식물블럭(4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식물블럭(40)의 구성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식물블럭(40)의 골격을 블럭몸체(42)와 커버(48)가 형성한다. 상기 블럭몸체(42)는 내부에 식생토공간(44)이 형성된 것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식생토공간(44)은 상기 블럭몸체(42)의 상부로 개방되고, 상기 커버(48)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커버(48)와 블럭몸체(42)에는 다수개의 통공(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은 마치 상기 블럭몸체(42)의 해당부분이 그물형상과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식물블럭(40)을 통해서는 수분이 어느 정도 자유롭게 식생토공간(44) 내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식물블럭(40)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이동도 어느 정도 가능하다.
상기 블럭몸체(42)의 전면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블럭몸체(42)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가면서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진 곡면으로 되어 있다. 즉, 블럭몸체(42)의 전후 방향 길이가 블럭몸체(4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가면서 점차 커지도록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블럭몸체(42) 전면 중앙부분이 가장 돌출되고 양단으로 갈수록 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의 경우 2개의 블럭몸체(42)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놓으면 가운데 부분이 가장 돌출되도록 된다.
참고로, 상기 블럭몸체(42)의 전면은 반드시 곡면으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블럭몸체(42)의 전면이 몇 개의 평면으로 되어, 블럭몸체(42)의 전후 방향 길이가 블럭몸체(4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가면서 커지도록 될 수도 있다.
상기 블럭몸체(42)의 전면과 양측면에는 식생공(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생공(46)은 상기 블록몸체(42)를 관통하여 상기 식생토공간(44)과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식생공(46)은 식물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1줄로 식생공(46)이 형성되어 있으나, 2줄 또는 3줄 등 다수개의 줄로 식생공(46)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블럭몸체(42)의 배면을 관통하여서는 토출유로공(47)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유로공(47)은 아래에서 설명될 공기덕트(52)가 연결되는 토출유로(56)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커버(48)는 상기 블럭몸체(42)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식생토공간(44)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48)가 상기 식생토공간(44)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함에 의해 식물블럭(40)이 고정판(30)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식생토공간(44)의 식생토를 보충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48)의 상면에는 고정리브(4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리브(48')는 2개가 나란히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급수관(8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리브(48')의 사이에 상기 급수관(80)의 외면이 밀착되어 급수관(80)이 고정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식물블럭(40)을 상기 고정판(30)에 나사와 같은 체결구를 통해 체결한다. 도면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체결구를 도시하지 않고, 또한 상기 고정판(30)과 상기 식물블럭(40)에 체결구가 체결될 수 있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는 않다. 상기 식물블럭(40)을 상기 고정판(30)에 고정하는 구조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판(30)에서 식물블럭(40)의 양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레일에 상기 식물블럭(40) 양단의 걸이리브가 걸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식물블럭(40)들의 사이에는 식물블럭(40)에 식재된 식물에서 제공하는 정화된 공기를 모으는 후드(50)가 구비된다. 도 2에서 볼 때, 아래에서 설명될 식물필터(60)가 설치된 위치에 상기 후드(50)가 위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를 전방에서 본 정면도인데, 상기 고정판(30)의 제1장착부(34)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2번째 줄에 후드(5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장착부(34)의 상부 첫번째 줄과 제2장착부(35)의 상부 첫번째 줄 사이에 있는 줄에 후드(50)가 위치된다. 상기 후드(50)의 선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가필터(58)와 식물필터(60)가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후드(50)와 식물필터(60)의 위치는 반드시 도시된 실시례와 같이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고정판(30)에 있는 5개의 줄중에서 어느 일측 줄에 있으면 된다.
상기 후드(50)는 도 1 및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30)에서 상기 돌출리브(33)와 제2장착부(35) 사이의 상대적으로 후퇴된 공간 내에 위치된다. 상기 후드(50)는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고정판(30)에 2개가 서로 대칭이 되게 설치된다. 상기 후드(50)에는 공기덕트(52)가 연결된다. 상기 공기덕트(52)의 내부에는 팬(54)이 설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팬(54)이 상기 공기덕트(52)의 내부에, 특히 상기 후드(50)에 인접해서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상기 팬(54)이 상기 공기덕트(52)의 끝부분에 있어도 된다.
상기 팬(54)은 각각의 후드(50)마다 있거나, 몇 개의 후드(50)를 합쳐서 하나가 있을 수도 있다. 이는 공기청정기의 전체 용량에 따라 상기 팬(54)의 용량이나 개수를 달리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후드(50)는 그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로의 유동단면적이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되어 공기를 모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팬(54)은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공기덕트(52)를 통해 공기가 잘 유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덕트(52)는 상기 후드(50)에 의해 모아진 공기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기 공기덕트(52)는 상기 식물블럭(40)을 관통하여 있는 토출유로(56)로 공기를 전달한다. 상기 토출유로(56)는 상기 식물블럭(40)의 내부를 관통하여 있는 것으로, 실내공간으로 직접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토출유로(56)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식생공(46)중에 하나를 토출유로(56)가 관통하도록 하여야 하고, 동시에 상기 블럭본체(42)의 배면에 형성된 상기 토출유로공(47)을 관통한다.
상기 후드(50)의 입구에는 부가필터(58)가 설치된다. 상기 부가필터(58)는 상기 후드(50)의 입구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부가필터(58)는 공기속의 미세 먼지와 같은 것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가필터(58)는 내부에 예를 들면 숯과 같은 알갱이가 들어 있다. 즉, 무기질 먼지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것으로 내부공간의 환경에 따라 부가필터(58) 내에 있는 필터링물질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부가필터(58)의 내부에 들어가는 필터링물질은 상기 후드(50)로의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공극이 많이 형성될 수 있는 물질이 좋다. 상기 부가필터(58)는 상기 후드(50)의 입구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후드(50)의 유동단면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진다. 상기 부가필터(58)와 후드(50)사이의 공기 누설이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 상기 부가필터(58)는 실내 환경에 따라서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후드(50)의 선단에는 식물필터(60)가 설치된다. 상기 식물필터(60)는 상기 후드(50)의 선단에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일(도면부호 부여 않음)을 개재한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식물필터(60)는 식물이 식재된 필터이다. 상기 식물필터(60)의 골격을 필터본체(62)가 형성한다. 상기 필터본체(6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63)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63)은 상기 필터본체(62)의 상부로 개방된다. 상기 필터본체(62)는 위에서 설명된 식물블럭(40)의 블록본체(42)와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즉, 내부공간(63)이 외부와 잘 연통되도록 필터본체(62)에도 다수개의 통공이 그물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내부공간(62)에는 식생토가 채워진다. 상기 식생토는 상대적으로 공극이 크게 만들어지는 것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입자가 커서 공극이 많이 생길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난석이나 마사토이다. 그리고, 꽃꽂이에 사용되는 플로럴 폼(Floral form)(일명 '오아시스')을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알갱이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생토를 만드는 것은 상기 후드(50)로 공기가 식물필터(60)의 식생토를 잘 통과하여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식생토는 예를 들면, 난석, 마사토 또는 플로럴 폼만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 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일정 비율 이상으로 섞여 있어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 된다.
한편, 상기 식물블럭(40)의 식생공(46)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식물(P)을 지지하여 잘 자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식물(P)을 받쳐주는 식물지지대(70)가 상기 식생공(46)에 설치된다. 상기 식물지지대(70)는 전체적으로 그 형상이 유지되면서도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식물지지대(70)는 상기 블럭본체(42)의 내부에서 식생공(46)을 관통하여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식물지지대(70)의 형상이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식물지지대(70)에는 상기 식생공(46)의 내측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걸이편(72)이 있고, 상기 걸이편(72)의 소정 구간을 둘러서 전방 상부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편(74)이 있다. 상기 걸이편(72)은 상기 식생공(46)의 내측에 걸어져 식물지지대(70)가 상기 식생공(46)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걸이편(72)의 양단은 상기 지지편(74)보다 더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지지편(74)은 대략 반원통형상으로 만들어져 상기 식물(P)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식물지지대(70)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상기 식물블럭(40)의 식생토공간(44)의 내부에 상기 식생공(46)을 통해 삽입되어, 걸이편(72) 만이 상기 식생토공간(44) 내에 있으면서 식물블럭(40)에 장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식물블럭(40)이나 식물필터(6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상기 식물블럭(40)의 커버(48) 상면을 따라 연장되게 급수관(80)이 설치된다. 상기 급수관(80)은 상기 커버(48)의 고정리브(48')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80)에는 중간중간에 상기 커버(48)를 통해 식물블럭(4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점적공(도시되지 않음)이 있다. 상기 점적공은 그 크기에 따라 식물에 공급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점적공은 상기 커버(48)쪽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80)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2에서는 급수관(80)이 고정판(30)의 모든 줄마다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즉, 고정판(30)에 설치된 식물블럭(40)의 모든 줄마다 급수관(80)이 설치될 수도 있고, 몇개의 줄에만 급수관(8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식물필터(60)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급수관(80)을 둘 수 있다. 상기 식물필터(6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80)에는 다수개의 세관을 두어 상기 식물필터(60)의 식생토로 직접 물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점적공을 급수관(80)에 두어 물을 식물필터(6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식물필터(60)로 물을 공급하는 것과 상기 식물블럭(40)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은 별개로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식물필터(60)에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 양과 주기는 상기 식물블럭(40)에 공급되어야 하는 물의 양과 주기와는 다르기 때문이다.
상기 급수관(80)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급수원(82)과 급수관(80)이 연결된다. 상기 급수원(82)으로는 물탱크 등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는데, 상기 급수원(82)에는 수도가 있어 상기 급수관(80)과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80)을 통한 물공급은 별도의 밸브를 제어함에 의해 원하는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공기청정기에 별도의 수조(8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84)는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공간 내에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공간에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수조(84)는 물을 임시 저장하는 곳이다. 상기 수조(84)에 펌프(86)가 설치되어 상기 급수원(82)에서 공급되는 물과 함께 상기 수조(84)의 물을 상기 급수관(8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80)과 연결되어서는 배수관(88)이 있다. 상기 배수관(88)은 상기 급수관(80)으로 전달되어 유동되고 남은 물을 상기 수조(84)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관(88)의 끝부분이나 상기 수조(84)에는 퇴수로(88')가 구비되어 공기청정기에서 사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버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각각의 고정판(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식물블럭(40)의 하부에 위치되게 배수판(90)이 있다. 상기 배수판(90)은 그 상부의 식물블럭(40)에서 떨어진 수분을 모아서 예를 들면 그 하부에 있는 식물블럭(40)이나 상기 수조(84)로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배수판(90)은 인접하는 고정판(30)의 것끼리도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물(P)은 상기 식물지지대(70)에 의해 전방 상방으로 자라도록 되어 있으나, 식물(P)이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식물(P)의 특성이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물이 중력방향으로 늘어지도록 자라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식물(P)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를 설치하는 것과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식물블럭(40)에 식물(P)을 식재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식물블럭(40)의 식생토공간(44)에 식생토를 투입한다. 상기 식생토가 상기 식물블럭(40)의 블럭본체(42)에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식생토공간(44)의 내면에는 별도의 부직포(도시되지 않음)를 둘 수도 있다. 상기 식생토로는 식물(P)의 종류에 맞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단 식생토를 상기 식생공(46)의 하부까지 채운 후에는 상기 식생공(46)을 통해 식물(P)의 뿌리부분을 삽입하고 다시 식생토를 채운다. 상기 블럭본체(42)의 식생토공간(44)에 식생토를 끝까지 채워서 잘 다진다.
참고로 상기 식생공(46)의 부분은 제작시에는 관통되어 있지 않고, 사용시에 필요한 것만을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식생공(46)을 막도록 원판 형상의 판이 있는데, 이는 상기 블럭본체(42)와 연결되어 있고, 사용시에는 연결된 부분을 절단하여 판을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식물블럭(40)이나 식물필터(60)의 내부에는 부직포와 같은 것을 내면에 설치하여 식생토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식생토공간(44)에 식생토를 완전히 채우고 나면 상기 커버(48)를 닫아 식물블럭(40)을 완성한다. 상기 식물블럭(40)에 상기 식생공(46)을 통해 식재되어 식생공(46)의 외부로 돌출된 식물(P)은 중력방향으로 처지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식생공(46)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식물지지대(70)를 장착한다. 상기 식물지지대(70)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어, 상기 식생공(46)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편(72) 만이 상기 식생토공간(44)의 내부에 삽입되어 걸어지면 된다. 물론, 상기 식생토공간(44)에 식생토를 채우기 전에 비리 식물지지대(7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식물지지대(70)에 의해 상기 식물(P)이 지지되어 전방 상방을 향해 세워져 자랄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식물지지대(70)는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시에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벽체(12)에는 상기 설치프레임(20)이 장착된다. 상기 설치프레임(20)을 상기 벽체(12)에 장착한 후에는 상기 고정판(30)과 벽체(12) 사이에 설치되어야 할 구성요소들을 설치한다. 예를 들면, 공기덕트(52)와 팬(54)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판(30)을 상기 설치프레임(20)에 장착한다. 상기 설치프레임(20)에 고정판(30)을 장착한 후에는 상기 고정판(30)에 식물블럭(40)과 후드(50) 그리고 식물필터(60) 등을 설치한다.
상기 고정판(30)에 상기 식물블럭(4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체결구를 사용한다. 상기 식물블럭(40)의 배면 가장자리를 둘러 다수개의 체결구가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30)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식물블럭(40)들은 상기 고정판(30)의 제1장착부(34)와 제2장착부(35)의 해당되는 위치들에 각각 설치된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고정판(30)에서 하나의 줄에 4개의 식물블럭(40)이 장착된다. 물론, 하나의 줄에 2개의 식물블럭(40)이 사용되도록 식물블럭(40)의 크기를 설정할 수도 있으나, 식물블럭(40)의 취급 등을 고려할 때는 4개의 식물블럭(40)이 한줄에 설치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식물필터(60)는 한 줄에 2개가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식물블럭(40)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벽체(12)의 형태에 따라 식물블럭(40)이 배치되는 것을 도 8에서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에서는 하나의 평면으로 된 벽체(12)에 식물블럭(40)들이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식물블럭(40)의 전면이 아치형의 곡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서 보든지 대체로 각각의 식물(P)을 정면에서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식물블럭(40)에 의한 녹화가 보다 확실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식물블럭(40)의 측면에도 식생공(46)이 있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벽체(12)가 직교하는 경우에도 식물(P)이 심어지지 않은 부분이 없게 된다. 즉, 2개의 벽체(12)가 만나는 부분에서 상기 식물블럭(40)의 측면이 위치하게 하고, 그 측면의 식생공(46)에도 식물(P)을 식재하여 녹화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0에는 2개의 벽체(12)가 둔각으로 만나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식물블럭(40)에서 측면이 없는 부분이 2개의 벽체(12)가 만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판(30)의 제1장착부(34) 일부에는 상기 후드(50)가 장착된다. 상기 후드(50)는 하나의 고정판(30)의 한 줄에 2개가 사용된다. 상기 후드(50)는 그 유동단면적이 후드(50)의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으로 되는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드(50)에는 상기 공기덕트(52)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공기덕트(52)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후드(50)에 하나의 공기덕트(52)가 연결된다. 상기 공기덕트(52)의 일측에는 팬(54)이 설치되어 상기 후드(5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덕트(52)를 통해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후드(50)를 설치한 후에는 상기 후드(50)의 입구에 부가필터(58)와 식물필터(60)를 설치한다. 상기 부가필터(58)는 식물필터(60)에 의해서 필터링할 수 없는 오염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그러한 성분이 없는 환경에서는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후드(50)의 전면에는 식물필터(60)를 설치한다. 상기 식물필터(60)는 상기 후드(50)로 들어가는 공기중에 섞인 유기질과 무기질 먼지를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식물필터(60)에 식재된 식물(P)의 뿌리의 작용과 식생토의 미생물에 의해서 필터링이 이루어진다.
상기 후드(50)와 식물필터(60)의 사이에서는 공기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아야 확실한 필터링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식물필터(60)와 상기 후드(50)의 입구 가장자리 사이에는 시일을 두어 공기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드(50)와 식물필터(60) 사이의 결합은 상기 고정판(30)과 식물블럭(40) 사이의 결합과 같은 방식으로 할 수 있는데, 단지 시일을 두어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후드(50)에서 모아진 공기를 전달하는 공기덕트(52)는 토출유로(56)와 연결되어 있다. 물론, 상기 공기덕트(52)가 별도의 경로를 통해 실내로 공기를 전달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토출유로(56)가 상기 식물블럭(40)을 관통하여 실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덕트(52)를 상기 토출유로(56)에 연결하면 정화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관(80)은 상기 식물블럭(40)의 각각의 고정리브(48')에 압입시켜 고정할 수 있고, 상기 급수원(82)이나 펌프(86)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고, 배수관(88)을 통해 남은 물을 모아 전달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에서는 상기 팬(54)을 구동시키면, 상기 식물(P)들에서 정화되어 나온 공기가 상기 후드(50)로 모이게 된다. 상기 식물(P)들에서 정화되어 나온 공기와 실내의 공기는 상기 팬(54)의 동작에 의해 상기 후드(50)로 유입되는데, 상기 식물필터(60)의 식생토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걸러지고 식물필터(60)의 식생토와 식물(P)의 뿌리에서 만들어진 성분들이 함께 섞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가필터(58)가 설치된 경우에는 부가필터(58) 내에 있는 성분에 의해 공기중에 섞인 오염물질이 함께 제거된다. 이와 같이 식물필터(60)와 부가필터(58)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후드(50)에 모이고, 상기 팬(54)의 동작에 의해 상기 후드(50)에서 상기 공기덕트(54)로 유동되어 상기 토출유로(56)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식물블럭(40)들 사이사이에 설치된 후드(50)에 의해 팬(54)의 흡입력이 작용하여 후드(50)로 상기 식물(P)들에서 정화된 공기가 모이고, 유기질과 무기질 먼지가 식물필터(60)와 부가필터(58)를 통과하면서 걸러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후드(50)로는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팬(54)의 동작에 의해 상기 공기덕트(52)를 통해 토출유로(56)를 거쳐 실내로 전달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필터(60)와 식물블럭(40)은 그 돌출된 정도가 같도록 하는 것이 좋다. 물론, 식물필터(60) 바로 상부에 있는 식물블럭(40)의 경우 식물필터(60)에 있는 식물(P)의 생장과 식재를 위해 약간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식물블럭(40)과 식물필터(60)의 전면이 곡면으로 되고, 후드(50)가 식물블럭(4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함께 적용되어 있으나, 상기 식물블럭(40)과 식물필터(60)의 전면이 곡면으로 되는 것은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10: 바닥 12: 벽체
20: 설치프레임 22: 바아
24: 간격바아 30: 고정판
32: 본체 34: 제1장착부
35: 제2장착부 36: 장착안내리브
37: 스페이서리브 38: 덕트통공
39: 유로통공 40: 식물블럭
42: 블럭본체 44: 식생토공간
46: 식생공 48: 커버
48': 고정리브 50: 후드
52: 팬 54: 공기덕트
56: 토출유로 58: 부가필터
60: 식물필터 62: 필터본체
63: 내부공간 70: 식물지지대
72: 걸이편 74: 지지편
80: 급수관 82: 급수원
84: 수조 86: 펌프
88: 배수관 88': 퇴수로
90: 배수판 P: 식물

Claims (16)

  1. 벽체에 장착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장착되고 전면과 측면의 식생공을 통해 식물이 식재될 수 있는 식물블럭과,
    상기 식물블럭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고정판에 장착되어 상기 식물에서 정화된 공기를 모으는 후드와,
    상기 후드의 입구에 설치되고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식물필터와,
    상기 후드로 식물에서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여 전달하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전달된 공기를 원하는 곳으로 전달하는 공기덕트를 포함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식물블럭과 후드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식물블럭이 장착되는 제2장착부가 돌출정도를 달리하여 구비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부의 상단에 해당되는 고정판의 상단에는 돌출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고정판의 하단을 지지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블럭의 골격을 형성하는 블럭몸체의 전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식생토공간은 상기 블럭몸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블럭몸체의 상부로 개방되어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의 배면에는 토출유로공이 블럭몸체 전면에 형성된 하나의 식생공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공에는 식물지지대가 설치되는 식물을 지지하는데, 상기 식물지지대는 식생공의 내부에 걸어지는 걸이편과 상기 걸이편에 일체로 형성되고 반원통형상으로 전방 상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편으로 구성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지지대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블럭과 식물필터에는 급수를 위한 급수관이 별도로 구비되고 급수가 별도로 제어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필터는 상기 후드에 시일을 개재한 상태로 장착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필터의 골격을 형성하는 필터본체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식생토가 채워져 식물이 식재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필터의 식생토에는 난석, 마사토 또는 플로럴 폼의 알갱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필터를 통과한 후드의 선단에는 별도의 부가필터가 더 구비되어 공기중의 오염성분을 제거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블럭의 블록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식생토공간은 상부로 개방되는데, 상기 개방된 식생토공간의 입구는 커버에 의해 덮어지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고정리브 쌍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 쌍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압입되어 고정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최하부에는 식물블럭에서 나온 수분을 모아 배수하는 배수판이 더 설치되는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KR1020130068013A 2013-06-13 2013-06-13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KR20140145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013A KR20140145494A (ko) 2013-06-13 2013-06-13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PCT/KR2014/004305 WO2014200192A2 (ko) 2013-06-13 2014-05-14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013A KR20140145494A (ko) 2013-06-13 2013-06-13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494A true KR20140145494A (ko) 2014-12-23

Family

ID=52022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013A KR20140145494A (ko) 2013-06-13 2013-06-13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45494A (ko)
WO (1) WO2014200192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953B1 (ko) 2017-01-20 2018-07-27 주식회사 하츠 식물용 블럭장치
KR102002868B1 (ko) * 2018-12-04 2019-07-24 주식회사 소노테크 식물포트 및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200020379A (ko) * 2018-08-17 2020-02-26 전태평 공기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종이화분 조립체
KR20200052740A (ko) * 2018-11-07 2020-05-15 한국토지주택공사 식생패널 및 식생장치
KR20200065996A (ko) 2018-11-30 2020-06-09 최승호 공기청정이 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
KR20210112489A (ko) 2020-03-05 2021-09-15 강예슬 생육식물을 활용한 조립식 공기정화장치
KR20210153978A (ko) * 2020-06-11 2021-12-20 김종석 벽면 녹화장치
KR20220087896A (ko) * 2020-12-18 2022-06-2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7779B2 (en) * 2016-03-22 2019-11-19 Purdue Research Foundation Botanical air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CN106051950B (zh) * 2016-07-25 2021-11-30 深圳市铁汉人居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空气净化器
BE1027401B1 (nl) * 2019-06-25 2021-02-04 N V Besix S A Luchtfiltratie-inrichting op basis van planten en het gebruik ervan
CN115364657B (zh) * 2022-08-26 2023-04-18 河南山水华境景观设计有限公司 一种带有废气处理功能的自动感光调角式植物墙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610A (ja) * 1993-04-30 1994-11-15 Fujita Corp 空気浄化方法及び装置
US6727091B2 (en) * 2002-05-31 2004-04-27 University Of Guelph Room air cleansing using hydroponic plants
KR101074994B1 (ko) * 2011-03-11 2011-10-27 주식회사 캬라반이에스 벽면 녹화 및 공기정화기능을 가진 건물외벽 버티칼 가든 박스
KR101074931B1 (ko) * 2011-03-11 2011-10-27 농업회사법인 캬라반지에스(주) 벽면 녹화 및 공기정화를 위한 버티칼 가든
KR101214564B1 (ko) * 2012-03-15 2012-12-24 (주)유엔씨코리아 벽면녹화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953B1 (ko) 2017-01-20 2018-07-27 주식회사 하츠 식물용 블럭장치
KR20200020379A (ko) * 2018-08-17 2020-02-26 전태평 공기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종이화분 조립체
KR20200052740A (ko) * 2018-11-07 2020-05-15 한국토지주택공사 식생패널 및 식생장치
KR20200065996A (ko) 2018-11-30 2020-06-09 최승호 공기청정이 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
KR102002868B1 (ko) * 2018-12-04 2019-07-24 주식회사 소노테크 식물포트 및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210112489A (ko) 2020-03-05 2021-09-15 강예슬 생육식물을 활용한 조립식 공기정화장치
KR20210153978A (ko) * 2020-06-11 2021-12-20 김종석 벽면 녹화장치
KR20220087896A (ko) * 2020-12-18 2022-06-2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실외녹화와 습식집진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0192A2 (ko) 2014-12-18
WO2014200192A3 (ko)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5494A (ko) 식물을 사용한 공기청정기
US10694684B2 (en) Apparatus for the growing of plants and a growing device
KR101074931B1 (ko) 벽면 녹화 및 공기정화를 위한 버티칼 가든
CN103209581B (zh) 竖直壁用花盆及其花盆支承框架
KR101441040B1 (ko)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벽면녹화장치
KR101724042B1 (ko)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101214564B1 (ko) 벽면녹화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US20130340337A1 (en) Plant develop rack
US9578819B2 (en) Pressurized growing air system for vertical and horizontal planting systems
KR102076358B1 (ko) 벽면녹화 및 공기정화 시스템
JP6724203B2 (ja) 壁面緑化パネル
JP2015029426A (ja) 大気浄化壁面緑化装置
KR101317471B1 (ko) 버티칼 가든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578121B1 (ko) 식물블럭
US20220264807A1 (en) Plant container for greening walls and a greening wall
KR101128824B1 (ko) 식물공기청정기용 포트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멀티필터
KR20120109909A (ko) 식물벽을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KR101817508B1 (ko)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JP6242621B2 (ja) 大気浄化壁面緑化装置
KR20160001316U (ko) 실내외 조경용 식생 장식틀
KR101196121B1 (ko) 식생 상자 조립체
KR101767426B1 (ko)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KR101872013B1 (ko) 식물을 이용한 바이오 필터
KR20130058144A (ko) 식생 패널 및 시스템
KR102284174B1 (ko) 벽면 조경용 종이화분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