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905B1 -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905B1
KR102497905B1 KR1020200119945A KR20200119945A KR102497905B1 KR 102497905 B1 KR102497905 B1 KR 102497905B1 KR 1020200119945 A KR1020200119945 A KR 1020200119945A KR 20200119945 A KR20200119945 A KR 20200119945A KR 102497905 B1 KR102497905 B1 KR 102497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elf
supply
flower pot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242A (ko
Inventor
이상일
신학호
최지용
김종보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9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9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은, 화분(pot)이 탈부착 가능한 식물부; 상기 식물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식물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 가능한 수조부; 및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가 상기 식물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기 조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부는, 상기 공기 조화부와 연통되는 하우징; 및 상기 화분이 삽입 가능한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후방으로 인입가능한 복수 개의 화분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DRWAER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PLANT}
이하의 설명은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한국의 공기청정기 판매량은 약 300만대 이상으로, 공기청정기 보급률은 60%에 다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건강에 대한 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공기 청정기 시장 또한 성장세가 가파르며 앞으로 건강에 대한 가치를 채울 수 있는 제품이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저렴한 가격대비 성능이 뛰어나지만 이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를 제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여기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란,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과 공존하면 햇빛의 작용으로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 및 팬(PAN: 퍼옥시아세틸 나이트레이트) 등 광화학 산화성 물질을 생성시켜 광화학 스모그를 유발하는 물질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이는 대기 오염 물질이며 발암성을 지닌 독성 화학물질로서 광화학산화물의 전구물질이기도 하다. 또한 지구온난화의 원인 물질이며 악취를 일으키기도 한다.
황사, 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 각종 대기 오염 물질에 의한 실내 공기질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공기 정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은, 화분(pot)이 탈부착 가능한 식물부; 상기 식물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식물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 가능한 수조부; 및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가 상기 식물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기 조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부는, 상기 공기 조화부와 연통되는 하우징; 및 상기 화분이 삽입 가능한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후방으로 인입가능한 복수 개의 화분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공급 선반으로 전달되는 물을 수용 가능한 복수 개의 공급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화분 선반은, 상기 복수 개의 공급 선반과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분 선반은, 상기 포트가 형성된 거치 플레이트; 상기 거치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화분의 적어도 일부가 물에 잠길 수 있도록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 및 상기 물받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한 수위를 초과할 정도로 물이 공급되면, 초과하여 공급된 양의 물을 상기 복수 개의 공급 선반 중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공급 선반으로 안내하는 화분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분 유로의 상단은, 상기 물받이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물받이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화분 유로의 하단은, 상기 물받이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거나, 상기 물받이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화분 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포트에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물받이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화분 유로를 지지하는 유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유로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선반은, 물을 수용 가능한 공급 베이스; 및 상기 공급 베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 베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한 수위를 초과할 정도로 물이 공급되면, 초과하여 공급된 양의 물을 상기 복수 개의 화분 선반 중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화분 선반으로 안내하는 공급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유로의 하단은 상기 공급 베이스의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유로의 하단은, 상기 공급 선반의 하측에 위치하는 화분 선반의 물받이의 후방 벽의 상단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유로의 하단은,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급 선반은, 상기 공급 베이스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포트에 오버랩되는 점적관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선반은, 상기 공급 베이스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분 선반에 오버랩되는 차단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화분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레일; 및 상기 레일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화분 선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제 1 레일 홈 및 제 2 레일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은, 상기 레일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화분 선반의 후면을 지지하여 상기 화분 선반이 상기 레일의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부 및 수조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조부는 서로 직렬로 연통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은, 상기 복수 개의 수조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복수 개의 식물부 각각의 상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 개의 메인 유로; 및 상기 복수 개의 메인 유로 각각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 개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은, 상기 수조부로 낙하하는 물이 상기 수조부의 측벽을 따라 흐르도록, 상기 수조부의 측벽을 향하여 경사진 형상을 갖고, 상기 수조부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은, 상기 수조부로 낙하하는 물을 상기 수조부의 바닥을 향해 흐르도록, 상기 수조부의 바닥부를 향하여 경사진 형상을 갖고,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깔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황사, 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 각종 대기 오염 물질에 의한 실내 공기질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분을 수용하기 위한 포트를 구비한 화분 선반을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고, 화분 선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화분 선반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화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화분 선반에 화분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점적관수를 통해 식물의 상측에서도 물을 공급함으로써, 공기와 물의 접촉을 늘려 황사, 미세먼지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 대기 오염 물질의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점적관수를 통해 식물이 바람에 의해 건조되는 현상을 줄여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식물부 및 수조부는 복수 개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어서, 공기 정화 시스템의 사이즈를 요구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흡기된 공기가 먼저 필터부를 통과하고, 다음으로 식물부를 통과하면서, 다단계에 걸쳐 정화 작용을 함으로써, 공기질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식물부가 공기 흡입측이 아닌 토출측에 마련되어,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식물부는 특정 수위를 유지토록 하는 물받이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하이드로볼 등의 토양기반재와, 숯 등의 활성탄이 물에 적셔진 상태를 유지하여, 식물 뿌리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추가적인 필터를 제공하지 않고도, 물받이에 담긴 물의 지속적인 증발을 통하여, 유통되는 공기에 포함된 대기 오염 물질의 제거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을 폭 방향으로 절개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을 높이 방향으로 절개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부의 복수 개의 공급 선반 및 화분 선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절개선 Ⅵ-Ⅵ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절개선 Ⅶ-Ⅶ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절개선 Ⅷ-Ⅷ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화분 선반이 제 1 포지션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서 화분 선반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 2 포지션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분 선반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화분 선반과 수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분 선반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화분 선반과 수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분 선반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화분 선반과 수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을 폭 방향으로 절개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을 높이 방향으로 절개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1)은, 일반적인 공기 청정기에 비하여, 이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보이는 식물들을 통하여, 사용자의 정서적인 안정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 정화 시스템(1)은, 하나 이상의 식물부(11a, 11b, 11c), 복수 개의 화분(12), 공기 조화부(13), 하나 이상의 수조부(15a, 15b, 15c) 및 제어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식물부(11a, 11b, 11c)는, 공기 조화부(13)의 측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식물부(11a), 제 2 식물부(11b) 및 제 3 식물부(11c)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수조부(15a, 15b, 15c)는 식물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수조부(15a, 15b, 15c)는 제 1 식물부(11a)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 1 수조부(15a)와, 제 2 식물부(11b)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 2 식물부(15b)와, 제 3 식물부(11c)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 3 식물부(15c)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 이상의 식물부 및 수조부가 각 3개인 것으로 도시되나, 그 개수는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하나 이상의 식물부(11a, 11b, 11c)는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공기가 상호 유통 가능하도록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식물부(11a, 11b, 11c)는 인접한 식물부끼리 서로 연통되기 위한 연통 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연통 홀(미도시)을 통해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수조부(15a, 15b, 15c)는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수조부(15a, 15b, 15c)에 수용된 물이 상호 유통 가능하도록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수조부 중 인접한 2개의 수조부 사이에는, 인접한 2개의 수조부 사이에 유체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통 유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구조에 대하여는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하나 이상의 식물부(11a, 11b, 11c) 중 어느 하나의 식물부를 식물부(11)로 지칭하고, 하나 이상의 수조부(15a, 15b, 15c) 중 어느 하나의 수조부를 수조부(15)로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식물부(11)에는, 복수 개의 화분(12)이 탈부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식물을 성장 정도 및 상태에 따라서, 개별 화분(12)을 교체함으로써, 식물의 관리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부(11)는, 공기 조화부(13)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공기 조화부(13)의 다른 측방에 또 다른 식물부(11)를 추가 배치함으로써, 하나의 공기 조화부(13)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식물부(11)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식물부(11)는, 수조부(15)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식물부(11)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쉽게 수조부(15)로 안내될 수 있으므로, 수조부(15) 및 식물부(11) 사이에 물이 순환하는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제공할 수 있다. 식물부(11)는 하우징(110), 복수 개의 공급 선반(112) 및 복수 개의 화분 선반(11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복수 개의 공급 선반(112) 및 복수 개의 화분 선반(111)을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공기 조화부(13)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방이 개구되고, 후방이 막혀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복수 개의 공급 선반(112)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공급 선반(112)은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화분 선반(111)은 복수 개의 공급 선반(112)에 서랍식으로 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공급 선반(112) 및 화분 선반(111)은 하우징(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며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 개의 공급 선반(112) 중 어느 하나의 공급 선반의 위쪽 및 아래쪽에는 화분 선반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공급 선반(112)은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 공급 선반(112)은, 물을 수용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아래쪽에 배치된 화분 선반(111)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선반(112)은 하우징(110)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화분 선반(111) 각각은, 복수 개의 화분을 지지하며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 선반(111)은 하우징(110)의 내측벽에 마련된 레일(1123)에 의해 지지되고, 레일(1123)을 따라서 인입 또는 인출됨으로써 하우징(110)에 대하여 탈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 선반(111)은, 물을 수용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포트(1111a)에 장착된 화분에 마련된 식물의 뿌리 측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화분 선반(111)은 포트(1111a)가 형성된 거치 플레이트(1111)와, 거치 플레이트(1111)에 연결되고 화분의 적어도 일부가 물에 잠길 수 있도록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1112)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1111a)의 테두리부는, 화분(12)의 플랜지부를 지지할 수 있다. 화분 선반(111)은 아래쪽에 배치된 공급 선반(112)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공급 선반(112) 및 화분 선반(111) 중 가장 아래쪽에 마련된 선반은 수조부(15)로 물을 배수할 수 있다.
거치 플레이트(1111)는, 예를 들어, 전방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화분(12)을 보다 용이하게 탈부착 할 수 있고, 상하로 인접한 한 쌍의 공급 선반(112) 및 화분 선반(111) 사이의 공간만으로 식물의 생장 공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식물부(11)의 전면이 식물로 풍성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물받이(1112)는, 거치 플레이트(1111)에 연결되고, 화분의 적어도 일부가 물에 잠길 수 있도록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유입구(1115)는, 공기 조화부(1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후방 공간(113)을 거쳐서 유입되는 구멍이다. 공기 조화부(13)에서 토출된 공기는, 유입구(1115)를 통해 거치 플레이트(1111) 및 물받이(111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후, 포트(1111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공간에는, 물받이(1112)에 수용된 물이 증발되어, 다습한 공기가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술한 공간을 "증발 공간"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증발 공간은 내부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미세 먼지 등의 대기 오염 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필터로써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 공간은, 화분(12)을 통과하기 전에 공기를 미리 필터링 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수분에 의해 포집된 대기 오염 물질은 물받이(1112)에 수용된 물으로 낙하하여 제거될 수 있다. 대기 오염 물질이 선행하여 제거되는 만큼, 화분(12)에 의한 정화 능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전체 공기 정화 시스템(1)의 정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원(119)은, 식물부(11)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무드등으로 기능하거나, 화분(12)의 생장에 도움이 되는 빛을 방출하거나, 및/또는 제어부(19)에 의해 제어되어 사용자에게 특정한 정보를 알리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광원(119)은, 공급 선반(112)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별도로 광원(119)을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등의 지지 구조물 없이도, 하측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화분 선반(111) 상에 거치되는 화분(12)에 빛을 공급할 수 있다.
후방 공간(113)은, 식물부(1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기 조화부(13)로부터 후방 공간(113)에 유입된 공기는, 화분 선반(11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방 공간(113)에는, 공기 조화부(13)의 토출구(138)로부터, 유입구(1115)까지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는 격벽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후방 공간(113)은, 격벽에 의해 구획되지 않는 하나의 공간일 수 있다. 후방 공간(113)에 의하면, 화분 선반(111)에서 증발되는 공기가 직접적으로 공기 조화부(1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버퍼 공간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토출구(138)를 통해 후방 공간(113)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이, 후방 공간(113)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과 수직하게 마련되면, 화분 선반(111)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한 쪽으로 편향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문제를 줄여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화분 선반(111) 중 공기 조화부(13)로부터 가까운 쪽으로 공기가 편향하여 토출되는 문제를 줄여줌으로써, 전체 공기 조화 시스템(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 조화부(13)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가 식물부(11)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공기 조화부(13)는, 흡입판(131), 필터(133), 송풍 팬(135), 공기질 감지 센서(137), 토출구(138) 및 디스플레이(139)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판(131)은, 공기 조화부(13)의 외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써,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상류 측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 홀을 구비할 수 있다. 흡입판(131)에 의하면, 공기 흡입 홀의 직경보다 큰 이물질이 공기 조화부(13)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터(133)는, 흡입판(131)의 공기 흡입 홀을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대기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133)는, 미세 먼지 등의 미세한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헤파 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fil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133)에 의하면, 식물부(11)로 토출되는 공기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식물부(11)에 의한 필터링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송풍 팬(135)은, 필터(133)의 후류 측에 위치하고, 식물부(11)를 향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송풍 팬(135)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는 공기 조화부(1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 배치되어 복수 개의 화분 선반(111)을 통하여 공기가 균등하게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송풍 팬(135)은, 도 2에 도시되는 것처럼, 후방 공간(113)을 통하여 식물부(11)의 측방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식물부(11)가 1개인 경우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지만,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식물부(11)가 복수 개로 나란히 배열될 경우, 복수 개의 식물부(11) 사이의 후방 공간(113)이 상호 연통되도록 격벽 연통 유로를 형성하고, 하나의 공기 조화부(13)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식물부(11)를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식물부(11)가 공기 조화부(13)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할 경우, 공기 조화부(13)의 토출구 위치는 공기 조화부(13)의 위치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에 마련될 수 있다.
공기질 감지 센서(137)는, 미세 먼지 등 대기 오염 물질의 수준을 감지하여, 제어부(19)로 전달할 수 있다. 공기질 감지 센서(137)는, 예를 들어, 공기 조화부(13)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공기 조화부(13)의 외부나, 식물부(11) 또는 수조부(15)의 내외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둔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공기질 감지 센서(137)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어떠한 수단이라도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토출구(138)는, 공기 조화부(13) 및 식물부(11) 사이를 구획하는 구획판(P)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38)는, 송풍 팬(135)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획판(P)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구획판(P) 및 토출구(138)에 의하면, 송풍 팬(135)에 의하여 식물부(11)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 손실은 최소화하면서도, 식물부(11)로부터 공기 조화부(13)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식물부(11) 주변의 다습한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 조화부(13)의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 부품들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9)는, 식물부(11), 공기 조화부(13), 수조부(15) 또는 주변 공기질의 상태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 식물부(11)에서 물을 순환되는 시키는 유로의 개폐 상태나, (ii) 미세 먼지를 포함한 각종 대기 오염 물질의 수준, 현재 온도 및 습도, 또는 현재의 송풍량 등에 대한 정보나, (iii) 수조부(15)에 수용된 물의 수위에 대한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9)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공기 조화부(13)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공기 조화부(13)가 아닌, 식물부(11) 또는 수조부(15)에도 설치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둔다.
수조부(15)는, 식물부(11)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공간으로써, 식물부(11)의 일측, 예를 들면,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식물부(11)와 순환되는 물의 경로를 보다 줄여줄 수 있다. 수조부(15)는, 물 주입부(153) 및 수위 체크 윈도우(155)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주입부(153)는, 수조부(15)의 내부에 물을 충진시킬 수 있는 서비스 홀이다. 물 주입부(153)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물을 쉽게 충진할 수 있도록, 수조부(15)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수위 체크 윈도우(155)는, 수조부(15)의 물 주입부(153)를 개방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수조부(15)에 저장된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부분이다. 수위 체크 윈도우(155)는, 예를 들어, 수조부(15)의 전면 또는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9)는, 공기 조화부(13)의 공기 토출량 및/또는 식물부(11)의 물의 순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는, 예를 들어, 구획판(P)을 기준으로 공기 조화부(13)에 배치됨으로써, 화분 선반(111)으로부터 증발되는 다습한 공기가 제어부(19)로 유입되어, 제어부(19)를 손상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i) 흡입판(131)에 의해 1차적으로 정화되고, (ii) 필터(133)에 의해 2차적으로 정화되고, (iii) 거치 플레이트(1111) 및 물받이(1112) 사이의 증발 공간에서 증발된 수분에 의해 3차적으로 정화되고, (iv) 화분(12)의 내부에 적셔진 상태로 제공되는 수용된 토양 기반재 및 활성탄과, 식재된 식물의 뿌리에 의해 4차적으로 정화될 수 있다. 특히, 화분(12)에 의하면, 기존의 공기 청정기와 달리, 이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까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설계된 바와 같이, 화분(12)에 의한 정화 작용을 가장 마지막에 수행되게 하고, 다른 정화 기능들이 선행하여 다단계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 효율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분(12)은, 식물이 식재되는 부분으로써, 화분 베이스(121) 및 화분 커버(122)를 포함할 수 있다.
화분 베이스(121)는, 하이드로볼 등의 토양기반재와, 숯 등의 활성탄을 수용할 수 있다. 토양기반재 및 활성탄은, 수분을 머금어서, 그에 접촉되는 식물의 뿌리에 수분 및 양분을 제공하는 한편, 이와 접촉하여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대기 오염 물질을 포집하는 기능을 한다. 화분 베이스(121)의 상부는 개구되고, 측면 및 하면에는, 내부로 물 받이(1112)의 물이 유입되게 하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화분 커버(122)는, 화분 베이스(121)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 커버(122)는, 화분 베이스(121)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화분 베이스(121)는, 지지 플레이트(1221) 및 고정 레그(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221)는, 거치 플레이트(1111)로부터 화분(12)을 꺼낼 때, 화분 베이스(121)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기반재 등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레그(1222)는, 지지 플레이트(122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으로, 화분 베이스(121)의 내부에 수용된 토양 기반재 등의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화분 커버(122)가 화분 베이스(121)에 대하여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부의 복수 개의 공급 선반 및 화분 선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절개선 Ⅵ-Ⅵ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절개선 Ⅶ-Ⅶ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식물부(11)는 복수 개의 화분 선반(111) 및 복수 개의 공급 선반(112)을 포함할 수 있다.
화분 선반(111)은, 포트(1111a)가 형성된 거치 플레이트(1111)와, 거치 플레이트(1111)에 연결되고 화분의 적어도 일부가 물에 잠길 수 있도록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1112)와, 물받이(1112)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물받이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한 수위를 초과할 정도로 물이 공급되면 초과하여 공급된 양의 물을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공급 선반(112)으로 안내하는 화분 유로(1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표현된 "유로"란 유체가 흐르는 길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도 5 등에 도시된 것처럼, 유체를 감싸는 배관 등이 존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예를 들어, 상호 인접한 화분 선반(111) 및 공급 선반(112)이 상하 방향으로 상호 오버랩되게 설치될 경우, 상측의 화분 선반(111)의 바닥부에 천공된 구멍이 화분 유로로 기능할 수 있을 것임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화분 유로(1113)의 상단은, 물받이(1112)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물받이(1112)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 유로(1113)는 복수 개의 화분 선반(111) 및 공급 선반(112)의 적층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된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방 및 하방으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일정한 수위"란 물받이(1112)에 공급된 물이 화분 유로(1113)로 진입하기 시작하는 수위를 말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화분(12)의 하측이 물에 잠길 정도로 물받이(1112)에 물이 충분하게 저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물받이(1112)에 물이 충진되는 동안 물받이(1112)의 측벽을 넘어서 외부로 물이 넘쳐 흘러나는 것을 방지하고, 화분 선반(111)의 하측에 위치하는 공급 선반(112)으로 물이 공급되게 할 수 있다.
화분 유로(1113)의 하단은, 예를 들어, 물받이(1112)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거나, 물받이(1112)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받이(1112)의 바닥면에 구멍 형상의 화분 유로(1113)를 형성하거나, 도시된 것처럼 물받이(111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관 형상의 화분 유로(1113)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화분 선반(111)을 서랍식으로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공급 선반(112)과 간섭되는 문제를 줄여줄 수 있다.화분 유로(1113)는 하우징(110, 도 1 참조)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포트(1111a)에 오버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물받이(1112)에 충진되는 물이 포트(1111a)를 통하여 외부로 넘쳐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받이(1112)는, 베이스 플레이트(1112a)와, 베이스 플레이트(1112a)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화분 유로(1113)를 지지하는 유로 지지 플레이트(1112b)와, 베이스 플레이트(1112a) 및 유로 지지 플레이트(1112b) 사이에 마련되는 단차부(1112c)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12a) 및 유로 지지 플레이트(1112b)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지지 플레이트(1112b)는 베이스 플레이트(1112a) 보다 상대적으로 위쪽에 위치하고, 화분 유로(1113)는, 유로 지지 플레이트(1112b)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 유로(1113)는, 유로 지지 플레이트(1112b)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 유로(1113)의 하단의 높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112a)의 높이보다 높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 유로(1113)의 하단이 특정 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갖지 않고, 특정 면에 형성된 구멍일 경우에는, 화분 유로(1113)를 통해 토출되는 물이 바로 하방으로 낙하하지 못하고, 표면 장력에 의해 물받이(1112)의 바닥면을 따라 사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단차부(1112c)는 물이 표면 장력에 의해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물은 일정한 범위 내에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화분 유로(113)의 하단은, 유로 지지 플레이트(1112b)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화분 유로(113)를 통해 내려온 물이 장력에 의해 유로 지지 플레이트(1112b)를 타고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공급 선반(112)은, (i) 물을 수용 가능한 공급 베이스(1121)와, (ii) 공급 베이스(1121)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공급 베이스(112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한 수위를 초과할 정도로 물이 공급되면, 초과하여 공급된 양의 물을 복수 개의 화분 선반 중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화분 선반(111)으로 안내하는 공급 유로(1122)와, (iii) 화분 선반(111)을 지지하기 위한 레일(1123)과, (iv) 점적관수 홀(1124, drip-watering hole)과, (v) 차단 플레이트(1129)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유로(1122)는 상단이 공급 베이스(1121)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유로(1122)는 복수 개의 화분 선반(111) 및 공급 선반(112)의 적층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된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방 및 하방으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일정한 수위"란 공급 베이스(1121)에 공급된 물이 공급 유로(1122)로 진입하기 시작하는 수위를 말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공급 유로(1122)에 물이 충분하게 저장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공급 선반(112)에 충진되는 물의 일정한 수위와, 화분 선반(111)에 충진되는 물의 일정한 수위가 반드시 동일하여야 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공급 유로(1122)는 하단이 공급 베이스(1121)의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 유로(1122)의 하단은, 화분 선반(111)의 중앙 부근까지 충분히 하측으로 연장됨으로써, 화분 선반(111)에 충진된 물로 낙하하는 물에 의한 소음을 줄여줄 수 있다. 다만, 화분 선반(111)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과정에서, 공급 유로(1122)가 간섭되지 않도록, 공급 유로(1122)의 하단은 하측에 위치하는 화분 선반(112)의 물받이(1112)의 후방 벽의 상단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공급 유로(1122)의 하단은,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공급 유로(1122)로부터 낙하되는 물이 화분 선반(111)의 후방으로 떨어지는 문제를 줄여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시된 것처럼 공급 유로(1122)의 하단의 후측이 물받이(1112)에 의해 막혀있지 않더라도, 공급 유로(1122)로부터 낙하하는 물이 외부로 튀어나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110, 도 1 참조)의 높이 방향, 다시 말하면, 복수 개의 화분 선반(111) 및 공급 선반(112)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가장 인접한 한 쌍의 화분 선반(111) 및 공급 선반(112)에 있어서, 화분 유로(1113) 및 공급 유로(1122)는 서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화분 유로(1113)를 통과한 물은 곧바로 공급 유로(1122)로 낙하하지 않고, 공급 베이스(1121)로 낙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급 유로(1122)를 통과한 물은 곧바로 화분 유로(1113)로 낙하하지 않고, 물받이(1112)로 낙하할 수 있다.
레일(1123)은 화분 선반(111)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1123)은, 하우징(110, 도 1 참조)의 양측 내벽에 전후방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레일(1123)을 통하여, 화분 선반(111)을 공급 선반(112)으로부터 이탈시키거나, 공급 선반(112)의 상측 또는 하측에 장착시킬 수 있다.
점적관수 홀(1124)은 공급 베이스(1121)에 관통 형성되고, 하우징(110, 도 1 참조)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포트(1111a)에 오버랩될 수 있다. 점적관수 홀(1124)은 직경이 작은 홀일 수 있으며, 공급 베이스(1121)에 수용된 물을 물방울 형태로 포트(1111a)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적관수 홀(1124)은 광원(119)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점적관수 홀(1124)은 물방울 형태로 식물의 줄기 및/또는 잎 부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점적관수 홀(1124)을 통해 물이 상측에서도 공급되므로, 식물은 충분한 수분을 갖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점적관수 홀(1124) 및 화분 유로(1113)를 통해 양 방향으로 식물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식물이 바람에 의해 건조되는 현상을 줄여줄 수 있다. 점적관수 홀(1124)은 하나의 구멍으로 도시되나,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개수는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화분 유로(1113)를 통해 공급 선반(112)으로 유입된 물은, 공급 유로(1122)를 통해 유출되기 전에, 공급 선반(112)에 마련된 점적관수 홀(1124)을 통해, 아래쪽 화분 선반(111)에 장착된 화분으로 이동될 수 있다. 화분 유로(1113)를 통해 공급 선반(112)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점적관수 홀(1124)을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보다 많은 경우, 공급 선반(112)의 수위는 높아질 수 있다. 공급 선반(112)의 수위가 일정 수준을 넘어설 경우, 공급 유로(1122)를 통해 물이 토출될 수 있어서, 공급 선반(112)에 물이 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1129)는 공급 베이스(112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1129)는 하우징(110, 도 1 참조)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화분 선반(111)에 오버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분 선반(111)이 공급 선반(112)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차단 플레이트(1129)는 화분 선반(111)의 거치 플레이트(1111)의 상측부에 접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1129)는 화분 선반(111)의 상측부의 인입 거리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화분 선반(111)을 원활하게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차단 플레이트(1129)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포트(1111a) 이외의 부분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절개선 Ⅷ-Ⅷ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화분 선반이 제 1 포지션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서 화분 선반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 2 포지션에 위치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화분 선반(111)은 제 1 포지션(도 8 참조) 또는 제 2 포지션(도 9 참조)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포지션"은, 화분 선반(111)이 공급 선반(112)을 기준으로 충분히 깊숙하게 위치한 포지션으로써, 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1)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상태에서의 화분 선반(111)의 포지션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 2 포지션"은, 제 1 포지션 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포지션으로써, 화분 선반(111)에 수용된 식물 화분들을 교체하는 등, 공기 정화 시스템(1)의 보수 작업이 수행될 때의 포지션을 의미한다. 물론 화분 선반(111)은 공급 선반(11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도 있다.
하우징(110, 도 1 참조)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포트가 공급 선반(112)에 오버랩된 면적은, 화분 선반(111)이 제 1 포지션으로부터 제 2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동안 감소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화분 선반(111)의 포트는 제 2 포지션에서 상대적으로 외부로 많이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분 선반(111)을 제 2 포지션에 위치시킨 후, 화분을 용이하게 화분 선반(111)에 탈부착할 수 있다.
공급 선반(112)은 화분 선반(111)을 지지하기 위한 레일(1123)과, 레일(1123)에 함몰 형성되고 화분 선반(11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복수 개의 레일 홈(1124)과, 레일(1123)에 설치되고 화분 선반(111)의 후면을 지지하여 화분 선반이 레일(1123)의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12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레일(1123)이 공급 선반(112)의 일 구성인 것으로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점적 관수를 위한 공급 선반(112) 없이, 화분 선반(111)의 서랍식 인입/인출을 위한 레일(1123)만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는 점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복수 개의 레일 홈(1124)은 제 1 레일 홈(1124a)과, 제 1 레일 홈(1124a) 보다 전방에 마련된 제 2 레일 홈(1124b)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홈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화분 선반(111)은 복수 개의 레일 홈(1124) 중 어느 하나의 레일 홈에 삽입 가능한 돌기(1118)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1125)는 화분 선반(111)이 후방 공간(113)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분 선반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화분 선반과 수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수조부(15a, 15b, 15c)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 또는 호스 등의 연통 유로(C)가 인접한 2개의 수조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모든 수조부(15a, 15b, 15c)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수조부(15a, 15b, 15c)를 각각 충진할 필요 없이, 어느 하나의 수조부(15)만 물을 충진시킴으로써 쉽게 물을 보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수조부 중 공기 조화부(13)에 인접한 수조부(15a)에는 물 공급부(16, 17, 18)가 연결될 수 있다. 물 공급부는 펌프(16), 복수 개의 밸브(17) 및 복수 개의 메인 유로(18)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16)는 하나 이상의 수조부(15a, 15b, 15c)에 수용된 물을 상방으로 끌어 올릴 수 있다. 복수 개의 밸브(17) 각각은 복수 개의 메인 유로(18)로 진입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메인 유로(18)는 하나 이상의 식물부(11a, 11b, 11c)로 물을 안내할 수 있다.
각각의 식물부는 서로 다른 메인 유로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밸브를 통해 서로 같거나 다른 양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각각의 식물부에는 각기 다른 식물이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식물이 요구하는 물의 양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부(13)에 연결되는 수조부(15)의 개수가 변화하더라도, 복수 개의 밸브(17)를 각각 개폐함으로써, 변경된 사양에 맞추어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식물부(11a, 11b, 11c) 각각의 가장 아래에 마련된 선반에 마련된 유로는 수조부(15)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화분 선반(111)이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공급 선반(112)이 가장 아래에 위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화분 선반(111)의 화분 유로(1113)는 하단부가 수조부(15)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수조부(15)에 수용된 물에 잠겨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식물부에서 수조부로 낙하하는 물이 충격에 의해 소음을 발생하는 현상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분 선반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화분 선반과 수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은, 식물부에서 가장 아래에 마련된 화분 선반(111)의 화분 유로(1113)로부터 수조부(15)로 공급되는 물을, 수조부(15)의 측벽을 향해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G)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G)를 따라 이동한 물은 측벽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므로, 물이 수면에 충돌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화분 유로(1113)를 하측으로 연장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화분 선반(111)을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분 선반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화분 선반과 수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은, 식물부에서 가장 아래에 마련된 화분 선반(111)의 화분 유로(1113)로부터 수조부(15)로 공급되는 물을, 수조부(15)의 바닥을 향해 가이드하기 위한 깔대기(H)를 포함할 수 있다. 깔대기(H)를 따라 이동한 물은 수조부(15)의 바닥으로 안내되므로, 물이 수면에 충돌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화분 유로(1113)를 하측으로 연장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화분 선반(111)을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화분(pot)이 탈부착 가능한 식물부;
    상기 식물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식물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 가능한 수조부; 및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가 상기 식물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기 조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부는,
    상기 공기 조화부와 연통되는 하우징;
    상기 화분이 삽입 가능한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후방으로 인입가능한 복수 개의 화분 선반;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화분 선반으로 전달되는 물을 수용 가능하고, 수용된 물이 일정한 수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초과하여 공급된 양의 물을 상기 복수 개의 화분 선반 중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화분 선반으로 공급 가능한 복수 개의 공급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화분 선반은 상기 공급 선반에 서랍식으로 거치될 수 있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화분 선반은, 상기 복수 개의 공급 선반과 교번하여 배치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선반은,
    상기 포트가 형성된 거치 플레이트;
    상기 거치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화분의 적어도 일부가 물에 잠길 수 있도록 물을 수용하는 물받이; 및
    상기 물받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한 수위를 초과할 정도로 물이 공급되면, 초과하여 공급된 양의 물을 상기 복수 개의 공급 선반 중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공급 선반으로 안내하는 화분 유로를 포함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유로의 상단은, 상기 물받이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물받이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유로의 하단은, 상기 물받이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거나, 상기 물받이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포트에 오버랩되지 않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높이와 다른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화분 유로를 지지하는 유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유로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선반은,
    물을 수용 가능한 공급 베이스; 및
    상기 공급 베이스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 베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한 수위를 초과할 정도로 물이 공급되면, 초과하여 공급된 양의 물을 상기 복수 개의 화분 선반 중 하측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화분 선반으로 안내하는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로의 하단은 상기 공급 베이스의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로의 하단은, 상기 공급 선반의 하측에 위치하는 화분 선반의 물받이의 후방 벽의 상단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로의 하단은, 하측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형상을 갖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선반은,
    상기 공급 베이스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포트에 오버랩되는 점적관수 홀을 더 포함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선반은,
    상기 공급 베이스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높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화분 선반에 오버랩되는 차단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화분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레일; 및
    상기 레일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화분 선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 가능한 제 1 레일 홈 및 제 2 레일 홈을 더 포함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화분 선반의 후면을 지지하여 상기 화분 선반이 상기 레일의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부 및 수조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조부는 서로 직렬로 연통 가능하게 배치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수조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복수 개의 식물부 각각의 상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 개의 메인 유로; 및
    상기 복수 개의 메인 유로 각각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 개의 밸브를 포함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로 낙하하는 물이 상기 수조부의 측벽을 따라 흐르도록, 상기 수조부의 측벽을 향하여 경사진 형상을 갖고, 상기 수조부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로 낙하하는 물을 상기 수조부의 바닥을 향해 흐르도록, 상기 수조부의 바닥부를 향하여 경사진 형상을 갖고,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깔대기를 더 포함하는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0200119945A 2020-09-17 2020-09-17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KR102497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945A KR102497905B1 (ko) 2020-09-17 2020-09-17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945A KR102497905B1 (ko) 2020-09-17 2020-09-17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242A KR20220037242A (ko) 2022-03-24
KR102497905B1 true KR102497905B1 (ko) 2023-02-09

Family

ID=8093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945A KR102497905B1 (ko) 2020-09-17 2020-09-17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9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884B1 (ko) * 2022-12-02 2023-07-17 전태평 벽체녹화용 버티컬 화분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042B1 (ko) * 2014-12-30 2017-04-18 주식회사 가든포유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20160097826A (ko) * 2015-02-10 2016-08-18 이진우 복수개의 식물재배 모듈이 구비된 식물재배시스템
KR102077897B1 (ko) * 2017-12-22 2020-04-07 이훈재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
KR20190131873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식물을 이용한 공기질관리장치
KR20190132078A (ko) * 2018-05-18 2019-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242A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9773B2 (ja) 立体水耕栽培装置
US10342190B2 (e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JP2006262750A5 (ko)
JP2009005634A (ja) 多段式植物育成装置の育成棚各段への加湿空気流供給システム
KR101724042B1 (ko) 식물을 활용한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102053378B1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074931B1 (ko) 벽면 녹화 및 공기정화를 위한 버티칼 가든
KR101429678B1 (ko)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KR200473002Y1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497905B1 (ko) 식물을 이용한 서랍식 공기 정화 시스템
KR20160111766A (ko) 공기정화 및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식생 구조물
KR102340390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제거 기능을 가진 친환경 공기청정시스템
KR102262219B1 (ko) 실내용 식물 재배장치
KR20160097826A (ko) 복수개의 식물재배 모듈이 구비된 식물재배시스템
JP2022520023A (ja) 空気清浄機
JP2015029426A (ja) 大気浄化壁面緑化装置
KR102497902B1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KR20140000924U (ko) 수경 재배장치
KR101596856B1 (ko) 공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창호
KR200400928Y1 (ko) 수경재배 화분의 공기정화장치
KR940018010A (ko)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배 및 정화장치
JP6280313B2 (ja) 植物栽培装置の送風装置
US20220142067A1 (en) Hydration system for an indoor gardening appliance
KR101817508B1 (ko) 식물의 근권부를 이용한 실내 환경 개선 벽면 녹화용 화분 조립체
KR101488108B1 (ko) 바이오필터화분 수분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