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655Y1 -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655Y1
KR200359655Y1 KR20-2004-0016162U KR20040016162U KR200359655Y1 KR 200359655 Y1 KR200359655 Y1 KR 200359655Y1 KR 20040016162 U KR20040016162 U KR 20040016162U KR 200359655 Y1 KR200359655 Y1 KR 200359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portable terminal
terminal
mobile terminal
accommod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섭
Original Assignee
노하우뱅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하우뱅크(주) filed Critical 노하우뱅크(주)
Priority to KR20-2004-0016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6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6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의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클램핑이 자동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기의 기종이나 폭에 무관하게 휴대단말기의 클램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충전기에 의하면;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수용공간의 저부에 마련되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와; 수용공간의 양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1, 제2 설치공간 및 수용공간의 전면에 형성된 제3설치공간과; 제1,제2,제3설치공간에 배치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휴대단말기의 양측면 및 전면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충전기{CHARGER FOR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종이 다른 다양한 형상의 휴대단말기를 공용으로 충전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휴대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효율성 및 반복적인 사용을 감안하여 제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한다.
즉, 이동전화 단말기, MP3 플레이어 또는 PAD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충전기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여 계속적으로 사용되는 데, 도 1은 종래 휴대단말기용 충전기를 보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충전기(20)는 휴대단말기(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21)이 형성된 본체(22)와, 본체(22)의 수용공간(21)에 마련되며 휴대단말기(20) 배터리의 배터리단자(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23)를 포함한다. 또한, 충전기의 수용공간(21) 양측면에는 수용되는 휴대단말기(10)를 클램핑하기 위한 탄성돌기(24)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단말기(10)를 충전기의 수용공간(21)에 수용시키면, 수용공간(21)에 측면에 형성된 탄성돌기(24)가 휴대단말기의 측면에 형성된 요홈(12)에 탄성 결합되면서 휴대단말기의 클램핑이 이루어지며 배터리 단자와 충전단자(2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충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휴대단말기용 충전기는 통상 한가지 기종의 휴대단말기만을 꽂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충전기의 수용공간이 해당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외형에 대응하게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크기나 외형이 각기 다른 기종의 휴대단말기 배터리를 장착하여 충전시킬 수 없다.
또한, 종래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에서는 그 클램핑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충전기는 휴대단말기의 클램핑이 탄성돌기와 요홈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므로 기종이 다르거나 크기가 다른 휴대단말기와는 호환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단말기가 충전기에 클램핑 되는 과정에서 휴대단말기의 측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클램핑 구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기종이나 폭에 무관하게 전기종 휴대단말기의 클램핑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를 측면뿐만 아니라 전면까지 가압함으로써 충전이 보다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용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모터구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가압하는 방식을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가 감지센서에 의해 작동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가 감지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방식을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본체 211: 수용공간
212: 충전단자 221, 231, 241, 251: 설치공간
222, 232, 242: 탄성부재 223, 233, 243: 지지편
224, 234, 244: 회전롤러 252: 구동모터
253: 회전축 254: 피니언기어
255: 랙기어 250: 탄성가압대
260: 감지스위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에 있어서;
충전기는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수용공간의 저부에 마련되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와; 수용공간의 양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1, 제2 설치공간 및 수용공간의 전면에 형성된 제3설치공간과; 이 제1,제2,제3설치공간에 배치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휴대단말기의 양측면 및 전면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에 있어서;
충전기는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수용공간의 저부에 마련되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와; 수용공간의 양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1, 제2 설치공간 및 수용공간의 전면에 형성된 제3설치공간과; 이 제1,제2설치공간에 배치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휴대단말기의 양측면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재와, 제3설치공간에 배치되며 모터구동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가압하는 모터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는 휴대단말기(100)가 여유있게 수용되도록 수용공간(211)이 형성된 본체(200)와, 이 본체(200)에 수용된 휴대단말기(100)의 양 측면 및 전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충전기 본체(200)에는 휴대단말기(100)를 수용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으로 수용공간(211)이 형성된다. 이 수용공간(211)은 기종과 크기에 무관하게 모든 휴대단말기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으로 마련된다. 또한, 수용공간(211)의 저부에는 휴대단말기(100)의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212)가 마련된다. 이 충전단자(212) 역시 기종과 크기에 무관한 모든 휴대단말기(100)의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공간(211)의 양측면 및 전면에는 탄성가압부재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221)(231)(24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설치공간(221)(231)(241)은 수용공간(211)의 양 측면에 대향되게 오목하게 형성된 제1설치공간(221) 및 제2설치공간(231)과, 수용공간(211)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3설치공간(241)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제1,제2,제3설치공간(221, 231, 241)에는 수용공간(211)에 수용된 휴대단말기(100)의 양측면 및 전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가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탄성가압부재는 각각의 설치공간(221, 231, 241)에 각각 순차적으로 마련되는 탄성부재(222, 232, 242)와, 이 탄성부재(222,232,242)에 탄성 지지되어 제1,제2,제3설치공간(221,231,241)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편(223, 233, 243)과, 이 지지편(223,233,243)들의 선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휴대단말기를 유연하게 가압하기 위한 쿠션부재(224, 234, 244)를 갖추고 있다.
이 탄성부재(222, 232, 242)들은 일단이 각 설치공간(221, 231, 241)의 측벽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이의 타단은 지지편(223, 233, 243)의 일측에 고정 지지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쿠션부재(224,234,244)들은 지지편(223,233,243)들의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롤러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회전롤러(224, 234, 244)들은 탄성부재(222, 232, 242)가 고정 지지되는 지지편(223,233,243)의 반대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회전롤러(224, 234, 244)들은 지지편(223, 233, 243)의 높이방향을 따라 균등한 간격으로 다수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나만이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회전롤러(224, 234, 244)는 러버(rubber)등의 탄성적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것은 회전롤러(224, 234, 244)가 휴대단말기(100)의 양 측면 및 전면을 탄력있게 가압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의 작용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를 살펴본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 본체(200)의 수용공간(211)에 휴대단말기(100)를 밀어 넣는다.
이 때, 각 회전롤러(224, 234, 244)들은 각 탄성부재(222, 232, 242)에 의해 수용공간(211) 중심을 향해 돌출된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삽입되면, 휴대단말기의 양 측면 및 전면이 상기 회전롤러(224, 234, 244)를 회전시키면서 수용공간(211)으로 진입한다. 이 때, 휴대단말기가 수용공간(211)으로 삽입되면서 회전롤러(224, 234, 244)는 약간 후방으로 밀리면서 휴대단말기(100)를 가압한다.
계속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삽입이 완료되어 배터리 단자와 충전기의 충전단자(212)가 접속되면 회전롤러(224, 234, 244)는 그 회전은 정지되지만 탄성부재(222, 232, 242)의 복원력에 의해 휴대단말기(100)의 측면을 가압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100)를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회전롤러(224, 234, 244)는 바람직하게 러버등의 탄성재질로 마련되므로, 휴대단말기(100)가 충전기 본체(200)에 클램핑 될때 휴대단말기(100)의 측면 내지 전면이 손상되지 않는 클램핑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클램핑이 돌기와 휴대단말기에 형성된 요홈과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휴대단말기가 회전롤러의 회전 및 가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휴대단말기의 기종이나 크기에 무관하게 전기종의 휴대단말기의 클램핑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 작동은 휴대단말기의 전면까지 탄성가압부재가 탄성적으로 가압하므로 충전부의 접속이 보다 긴밀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모터구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가압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용공간(211)의 전면에 형성된 제3설치공간(241)에 휴대단말기(100)의 전면을 모터구동에 의해 탄성가압하는 모터가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모터가압수단은, 구체적으로 충전기 본체(200)의 내부에 배치된 구동모터(252)와, 상기 구동모터(252)의 회전축 결합되며 제3설치공간(241) 내부에위치되는 피니언 기어(254)와, 제3설치공간(241)의 개방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되 피니언 기어(254)와 이물림되어 직선 이동하도록 랙기어(255)를 갖춘 탄성가압대(2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모터가압수단을 통한 가압작용은 구동모터(252)에 의해 회전축(253)이 소정 속도로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254)가 회전하게 되고, 이 피니언 기어(254)에 연동하여 랙기어(255)와 함께 탄성가압대(256)가 휴대단말기(100)의 전면 방향으로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가압대(256)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재질의 합성수지체나 고무체로 구성함으로써, 랙기어(255)의 직선운동에 따라 휴대단말기(100)의 전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모터(252)에는 미도시된 부하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소정의 부하를 받게 되면 구동이 정지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단말기(100)의 전면을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휴대단말기의 전면 가압은 미도시된 스위치의 인위적 스위칭에 의해 수행될 수 도 있으나 별도의 인위적 스위칭 동작없이 휴대단말기의 장착과 동시에 구동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전 과정을 자동화 시킬 수 있다.
즉, 도 4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에는 배터리 단자와 충전단자와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여 모터가압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단자에 배터리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감지센서의 접속신호에 의해 모터가압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별도의 인위적 스위칭 동작없이 휴대단말기의 장착과 동시에 구동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211) 상면에 구동모터(2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감지스위치(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감지스위치(260)는 충전기 본체(200)에 마련되어 휴대단말기(100)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0)가 수용공간(211)에 안착 수용되면 감지스위치(260)의 스위칭에 의해 모터가압수단의 구동모터(252)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별도의 인위적 스위칭 동작없이 휴대단말기의 장착과 동시에 구동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의 기술적 사상은 배터리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자체를 충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만을 충전시킬 수 있는 경우에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으며 균등 범위내에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는 개인용 충전기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의점 또는 가판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영업용 충전기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 역시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에 의하면, 휴대단말기가 충전기에 클램핑 될때 휴대단말기의 측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클램핑 구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용 충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기의 기종이나 폭에 무관하게 전기종 휴대단말기의 클램핑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용 충전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를 측면 뿐만 아니라 전면까지 가압함으로써 충전이 보다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8)

  1.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의 저부에 마련되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와;
    상기 수용공간의 양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1, 제2 설치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의 전면에 형성된 제3설치공간과;
    상기 제1,제2,제3설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휴대단말기의 양측면 및 전면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제1,제2,제3설치공간 내부에 각각 배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제1,제2,제3설치공간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휴대단말기를 유연하게 가압하기 위한 쿠션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지지편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롤러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4.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용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의 저부에 마련되어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충전단자와;
    상기 수용공간의 양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제1, 제2 설치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의 전면에 형성된 제3설치공간과;
    상기 제1,제2설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휴대단말기의 양측면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재와,
    상기 제3설치공간에 배치되며 모터구동에 의해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가압하는 모터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압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제3설치공간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피니언 기어와 이물림되어 직선 이동하도록 랙기어를 갖춘 탄성가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배터리 단자와 상기 충전단자와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가압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휴대단말기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가압수단을 구동시키기 위한 감지스위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제1,제2설치공간 내부에 각각 배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제1,제2설치공간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휴대단말기를 유연하게 가압하기 위한 쿠션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KR20-2004-0016162U 2004-06-09 2004-06-09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KR200359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62U KR200359655Y1 (ko) 2004-06-09 2004-06-09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162U KR200359655Y1 (ko) 2004-06-09 2004-06-09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655Y1 true KR200359655Y1 (ko) 2004-08-21

Family

ID=4943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162U KR200359655Y1 (ko) 2004-06-09 2004-06-09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65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577B1 (ko) * 2006-03-02 2007-01-24 주성표 다기능을 갖는 크래들
WO2014021486A1 (ko) * 2012-08-03 2014-02-06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장치,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용 시트, 및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방법
KR20160131142A (ko) * 2015-05-06 2016-11-16 박성삼 단말기 거치대
KR101736782B1 (ko) 2015-09-17 2017-05-18 (주)예림컴퍼니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
KR101830473B1 (ko) * 2014-09-11 2018-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충전기 및 배터리 충전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577B1 (ko) * 2006-03-02 2007-01-24 주성표 다기능을 갖는 크래들
WO2014021486A1 (ko) * 2012-08-03 2014-02-06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장치,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용 시트, 및 휴대전자기기 디스플레이부 보호필름 부착방법
KR101830473B1 (ko) * 2014-09-11 2018-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충전기 및 배터리 충전 방법
KR20160131142A (ko) * 2015-05-06 2016-11-16 박성삼 단말기 거치대
KR101718859B1 (ko) 2015-05-06 2017-03-22 주식회사 티디씨전력기술 단말기 거치대
KR101736782B1 (ko) 2015-09-17 2017-05-18 (주)예림컴퍼니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64295B (zh) 电动支架
CA2064145C (en) Charging device
CN110601708B (zh) 一种方便固定放置的对讲机
KR20070097427A (ko) 전동식 파지 장치
JP3131135U (ja) 電気エネルギー交換装置
KR200359655Y1 (ko)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CN109547620B (zh) 一种手机整机按键功能测试一体机
CN208264134U (zh) 移动终端支架
KR200359654Y1 (ko)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KR200411025Y1 (ko)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겸용 휴대 충전기
KR101495775B1 (ko)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휴대단말기 배터리용 충전장치
CN210016297U (zh) 一种智能支架以及无线充电器
CN109147196B (zh) 一种共享电源的弹出盒以及共享电源设备
CN201039441Y (zh) 无线耳塞机与充电器的组合装置
KR20180001448U (ko) 차량용 휴대 단말기 무선충전 거치대
JP3672021B2 (ja) コードレス工具
KR10050272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CN219425737U (zh) 一种智能充电手电钻
CN212062819U (zh) 一种充电宝扩展插口
CN214045088U (zh) 一种电源的充电装置
CN211652998U (zh) 一种用于锂电池内阻自动检测的装置
CN219056468U (zh) 电动自行车
CN213750249U (zh) 一种手机电池测试治具
CN215841601U (zh) 一种用于玩具产品的压持机构及照相机玩具
JP2003053683A (ja) コードレス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