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859B1 -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859B1
KR101718859B1 KR1020150062892A KR20150062892A KR101718859B1 KR 101718859 B1 KR101718859 B1 KR 101718859B1 KR 1020150062892 A KR1020150062892 A KR 1020150062892A KR 20150062892 A KR20150062892 A KR 20150062892A KR 101718859 B1 KR101718859 B1 KR 101718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ctuator
fixing
sensing uni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142A (ko
Inventor
박성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디씨전력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디씨전력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디씨전력기술
Priority to KR1020150062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85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를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로 전화가 걸려온 경우 전화가 걸려온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를 상기 몸체로부터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말기 거치대{Handset cradle}
본 발명은 몸체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를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로 전화가 걸려온 경우 전화가 걸려온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를 상기 몸체로부터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남녀노소 구분없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생활필수품으로 [0002] 외부활동시에는 주머니 또는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활동을 하고, 사무실 등 실내공간에서는 스마트폰이 잘 보이는 장소나 손에 쉽게 닿을 수 있는 책상에 스마트폰을 올려놓고 업무를 보다가 스마트폰을 사용할 경우에는 스마트폰이 어디 있는지 찾거나 또는 부주의한 경우에는 스마트폰이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 및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거치대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 거치할 수 있는 기능만 있고, 그외에 기능이 없어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단순히 책상의 공간만 차지하여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동시에, 메모지를 함께 보관할 수 있어 메모지가 필요할 때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메모지를 책상의 어느 한 구석에 보관할 필요없이 거치대와 함께 보관함으로 책상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메모지가 부착된 스마트폰 거치대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116764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116764호로 제안된 바와 같은 스마트폰 거치대는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스마트폰을 위치고정시킬 수 없고, 스마트폰 거치대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간편하게 인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11676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몸체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를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로 전화가 걸려온 경우 전화가 걸려온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를 상기 몸체로부터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배면과 접하여 상기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하고, 하부에 상기 단말기의 하부를 안착지지하는 받침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의 일측과 상기 단말기의 타측을 파지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가 상기 단말기의 일측과 상기 단말기의 타측을 파지하도록 상기 고정부를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몸체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상기 엑츄에이터로의 전원공급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상기 단말기를 고정 및 상기 단말기를 고정한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고정부 및 타측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일측고정부와 상기 타측고정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고정부 및 타측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일측고정부와 상기 타측고정부 모두를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감지부는 상기 몸체의 받침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감지부는 상기 몸체의 받침대에 구비되는 제 1감지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제 2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를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고정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구비되는 랙부재와; 상기 랙부재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축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고정부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를 좌우이동시키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축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에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고정부 사이의 좌우간격을 조절하는 좌우간격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좌우간격조절부는 상기 엑츄에이터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이동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간격조절부는 상기 좌우이동판을 좌우이동시킨 상태로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몸체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하는 고정부를 통해 상기 몸체에 거치된 상기 단말기를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고정부를 좌우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몸체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로 전화가 걸려온 경우 전화가 걸려온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를 상기 몸체로부터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몸체에서 단말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몸체에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제 1감지부와 제 2감지부로 이루어지는 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엑츄에이터의 제 1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제 1예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고정부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엑츄에이터의 제 2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제 2예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고정부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엑츄에이터의 제 3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제 3예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고정부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엑츄에이터의 제 4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제 4예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고정부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엑츄에이터의 제 5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는 제 5예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고정부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6은 엑츄에이터의 제 6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7은 제 6예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고정부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8은 좌우간격조절부의 제 1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9는 제 1예의 좌우간격조절부에 의해 고정부 사이의 좌우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0은 좌우간격조절부의 제 2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1은 제 2예의 좌우간격조절부에 의해 고정부 사이의 좌우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2는 제 1예의 좌우간격조절부에 나사결합된 리드스크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제 2예의 좌우간격조절부에 나사결합된 리드스크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몸체에서 단말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몸체에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제 1감지부와 제 2감지부로 이루어지는 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단말기 거치대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고정부(20), 엑츄에이터(도 5 및 도 6의 30), 감지부(40) 및 제어부(도 5의 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몸체(10)의 전측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단말기(3)의 배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단말기(3)의 배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단말기(3)의 하부를 안착지지하는 받침대(110)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 중심부에는 상기 단말기(3)의 하부 중심부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기(3)를 충전하기 위한 USB단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충전단자(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 등의 축전지 또는 상기 몸체(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전원공급부(11)의 전원이 상기 충전단자(120)를 통해 상기 단말기(3)로 공급되어 상기 단말기(3)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되어 상기 단말기(3)의 일측과 상기 단말기(3)의 타측을 파지하여 상기 몸체(10)에 거치된 상기 단말기(3)를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엑츄에이터(30)는 상기 고정부(20)가 상기 단말기(3)의 일측과 상기 단말기(3)의 타측을 파지하도록 상기 고정부(20)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몸체(10)로 접근하는 상기 단말기(3) 및 사용자의 손부위 등을 포함한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0)에는 1개의 상기 감지부(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1개의 상기 감지부(40)는 도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받침대(110)의 전면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3) 및 사용자의 손부위 등을 포함한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몸체(10)에는 2개의 상기 감지부(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2개의 상기 감지부(4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받침대(110)의 전면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기(3) 및 사용자의 손부위 등을 포함한 물체를 감지하는 제 1감지부(410)와;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전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의 받침대(110)에 거치된 상기 단말기(3)를 감지하는 제 2감지부(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5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3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한 상기 엑츄에이터(30)로의 전원공급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부(20)가 상기 단말기(3)를 고정 및 상기 단말기(3)를 고정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6은 엑츄에이터의 제 1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제 1예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고정부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고정부(2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고정부(210) 및 타측고정부(2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엑츄에이터(30)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일측고정부(210) 또는 상기 타측고정부(22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엑츄에이터(30)는 제 1예로, 상기 일측고정부(21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 또는 상기 타측고정부(22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에 수평으로 일체형으로 용접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피스고정, 볼트고정될 수 있는 전자식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 또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에 구비될 수 있는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는 서로 좌우대칭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또한, 좌우길이가 신장되는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에 의해 좌우이동할 수 있는 상기 일측고정부(210) 또는 좌우길이가 신장되는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에 의해 좌우이동할 수 있는 상기 타측고정부(220)는 서로 좌우대칭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식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가 상기 일측고정부(210)를 좌우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일측고정부(210)는 크게, 파지암(211), 이동로드(212) 및 탄성부재(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타측고정부(220)는 파지암(2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직구비되어 상기 단말기(3)의 일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단말기(3)의 일측을 파지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된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의 일측은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의 측면 중간부위에 일체형으로 용접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피스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이동로드(212)는 1개 또는 2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동로드(212)가 2개로 이루어질 경우, 2개의 상기 이동로드(212)는 상기 파지암(21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일측을 각각 좌우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2개의 상기 이동로드(212)의 일측은 2개의 상기 이동로드(212)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파지암(211)의 측면부위에 일체형으로 용접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피스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2개의 상기 이동로드(212)의 타측에는 환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걸림턱(214)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탄성부재(213)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213)의 내측에 2개의 상기 이동로드(212)가 수용된 상태로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213)의 일측은 상기 몸체(10)의 일측 내면과 접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213)의 타측은 2개의 상기 이동로드(212)의 걸림턱(214)의 일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타측고정부(220)의 파지암(211)은 상기 몸체(10)의 타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용접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피스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가 상기 타측고정부(220)를 좌우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타측고정부(220)가 파지암(211), 이동로드(212) 및 탄성부재(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일측고정부(210)가 파지암(2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이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용접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피스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감지부(40)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받침대(110) 전면 중심부에 구비되는 1개의 상기 감지부(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고정부(210)가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진 상태 또는 상기 타측고정부(220)가 상기 몸체(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단말기(3)가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하게 되면, 1개의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몸체(10)로 접근하는 상기 단말기(3)와 사용자의 손부위 모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하는 상기 단말기(3)가 상기 몸체(10)의 받침대(110)의 상부에 거치되면 1개의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거치된 상기 단말기(3)를 감지하지 못하고 사용자의 손부위만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전자식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로 전원이 공급되어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의 좌우길이가 일정길이로 줄어들면서 상기 탄성부재(213)가 수축됨과 더불어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이 상기 단말기(3)의 일측과 접하거나, 상기 타측고정부(220)의 파지암(211)이 상기 단말기(3)의 타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받침대(110)의 상부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단말기(3)로 전화가 걸려온 경우, 전화가 걸려온 상기 단말기(3)를 상기 몸체(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손부위를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시키게 되고, 이때, 1개의 상기 감지부(40)가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상기 감지부(40)가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부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전자식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됨과 더불어 팽창하는 상기 탄성부재(213)로 인해 상기 엑츄에이터(30)의 좌우길이가 일정길이로 늘어나면서 상기 일측고정부(210)가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이동 또는 상기 타측고정부(220)가 상기 몸체(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부(20)의 단말기(3) 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다른예로, 상기 감지부(40)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받침대(110) 전면 중심부에 구비되는 1개의 상기 감지부(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이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지지 않고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접하거나 상기 타측고정부(220)의 파지암(211)이 상기 몸체(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지지 않고 상기 몸체(10)의 타측과 접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단말기(3)가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하게 되면, 1개의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몸체(10)로 접근하는 상기 단말기(3)와 사용자의 손부위 모두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상기 감지부(40)가 상기 몸체(10)로 접근하는 상기 단말기(3)와 사용자의 손부위 모두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전자식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로 전원이 공급되어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의 좌우길이가 일정길이로 늘어나면서 상기 탄성부재(213)가 팽창됨과 더불어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이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상기 타측고정부(220)의 파지암(211)이 상기 몸체(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상태에서 상기 단말기(3)가 상기 몸체(10)의 받침대(110) 상부에 거치되면 1개의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거치된 상기 단말기(3)를 감지하지 못하고 사용자의 손부위만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전자식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탄성부재(213)가 수축됨과 더불어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의 좌우길이가 일정길이로 줄어들면서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이 상기 단말기(3)의 일측과 접하거나, 상기 타측고정부(220)의 파지암(211)이 상기 단말기(3)의 타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받침대(110)의 상부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단말기(3)로 전화가 걸려와 전화가 걸려온 상기 단말기(3)를 상기 몸체(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손부위가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하게 되면, 1개의 상기 감지부(40)가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사용자의 손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상기 감지부(40)가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부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전자식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로 전원이 공급되어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의 좌우길이가 일정길이로 늘어나면서 상기 탄성부재(213)가 팽창됨과 더불어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이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상기 타측고정부(220)의 파지암(211)이 상기 몸체(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져 상기 고정부(20)의 단말기(3) 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 다른예로, 상기 감지부(40)가 상기 제 1감지부(410)와 상기 제 2감지부(4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고정부(210)가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진 상태 또는 상기 타측고정부(220)가 상기 몸체(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단말기(3)가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하게 되면, 상기 제 1감지부(410)가 상기 몸체(10)로 접근하는 상기 단말기(3)와 사용자의 손부위 모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하는 상기 단말기(3)가 상기 몸체(10)의 받침대(110)의 상부에 거치되면, 상기 제 2감지부(420)가 상기 단말기(3)를 감지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제 1감지부(410)는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거치된 상기 단말기(3)를 감지하지 못하고 사용자의 손부위만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전자식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로 전원이 공급되어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의 좌우길이가 일정길이로 줄어들면서 상기 탄성부재(213)가 수축됨과 더불어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이 상기 단말기(3)의 일측과 접하거나, 상기 타측고정부(220)의 파지암(211)이 상기 단말기(3)의 타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받침대(110)의 상부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단말기(3)로 전화가 걸려온 경우, 전화가 걸려온 상기 단말기(3)를 상기 몸체(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손부위를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제 2감지부(420)는 상기 단말기(3)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감지부(410)가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감지부(420)가 상기 단말기(3)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감지부(410)가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부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전자식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됨과 더불어 팽창하는 상기 탄성부재(213)로 인해 상기 엑츄에이터(30)의 좌우길이가 일정길이로 늘어나면서 상기 일측고정부(210)가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이동 또는 상기 타측고정부(220)가 상기 몸체(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부(20)의 단말기(3) 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예로, 상기 감지부(40)가 상기 제 1감지부(410)와 상기 제 2감지부(4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이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지지 않고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접하거나 상기 타측고정부(220)의 파지암(211)이 상기 몸체(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지지 않고 상기 몸체(10)의 타측과 접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단말기(3)가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하게 되면, 상기 제 1감지부(410)가 상기 몸체(10)로 접근하는 상기 단말기(3)와 사용자의 손부위 모두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감지부(410)가 상기 몸체(10)로 접근하는 상기 단말기(3)와 사용자의 손부위 모두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전자식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로 전원이 공급되어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의 좌우길이가 일정길이로 늘어나면서 상기 탄성부재(213)가 팽창됨과 더불어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이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상기 타측고정부(220)의 파지암(211)이 상기 몸체(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이상태에서 상기 단말기(3)가 상기 몸체(10)의 받침대(110) 상부에 거치되면 상기 제 2감지부(420)가 상기 단말기(3)를 감지함과 더불어 상기 제 1감지부(410)는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거치된 상기 단말기(3)를 감지하지 못하고 사용자의 손부위만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전자식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탄성부재(213)가 수축됨과 더불어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의 좌우길이가 일정길이로 줄어들면서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이 상기 단말기(3)의 일측과 접하거나, 상기 타측고정부(220)의 파지암(211)이 상기 단말기(3)의 타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받침대(110)의 상부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단말기(3)로 전화가 걸려온 경우, 전화가 걸려온 상기 단말기(3)를 상기 몸체(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손부위를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급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제 2감지부(420)가 상기 단말기(3)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감지부(410)가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감지부(420)가 상기 단말기(3)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감지부(410)가 상기 몸체(10)의 전면 방향으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부위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전자식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로 전원이 공급되어 제 1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의 좌우길이가 일정길이로 늘어나면서 상기 탄성부재(213)가 팽창됨과 더불어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이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상기 타측고정부(220)의 파지암(211)이 상기 몸체(1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벌어져 상기 고정부(20)의 단말기(3) 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도 8은 엑츄에이터의 제 2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제 2예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고정부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자식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엑츄에이터(30)는 제 2예로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 모두에 구비되어 1개의 상기 감지부(40) 또는 상기 제 1, 2감지부(410, 420)의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일측고정부(210)와 상기 타측고정부(220) 모두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엑츄에이터의 제 3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제 3예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고정부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엑츄에이터(30)는 제 3예로서,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이동부재(310), 랙부재(320), 피니언기어(330) 및 구동부재(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1개의 상기 감지부(40) 또는 상기 제 1, 2감지부(410, 420)의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일측고정부(210)와 상기 타측고정부(22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킬 수도 있다.
제 3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가 상기 일측고정부(210)를 좌우이동시킬 경우, 상기 일측고정부(210)는 상기 파지암(211)과 상기 이동로드(21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타측고정부(220)는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용접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피스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파지암(2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3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가 상기 타측고정부(220)를 좌우이동시킬 경우, 상기 타측고정부(220)가 상기 파지암(211)과 상기 이동로드(21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일측고정부(210)가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용접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피스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파지암(2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31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을 좌우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좌우이동부재(210)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의 측면 중간부위에 일체형으로 용접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피스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일측고정부(210)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좌우이동부재(310)는 상기 몸체(10)의 타측을 좌우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좌우이동부재(310)의 타측과 마주보는 상기 타측고정부(220)의 파지암(211)의 측면 중간부위에 일체형으로 용접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피스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타측고정부(220)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랙부재(320)는 상기 좌우이동부재(3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330)의 상부는 상기 랙부재(320)의 하부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 또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350)는 상기 피니언기어(330)와 축결합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 또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330)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엑츄에이터의 제 4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제 4예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고정부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좌우이동부재(310), 랙부재(320), 피니언기어(330) 및 구동부재(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엑츄에이터(30)는 제 4예로서,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 모두에 구비되어 1개의 상기 감지부(40) 또는 상기 제 1, 2감지부(410, 420)의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일측고정부(210)와 상기 타측고정부(220) 모두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14는 엑츄에이터의 제 5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는 제 5예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고정부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엑츄에이터(30)는 제 5예로서,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드스크류(340)와 상기 구동부재(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1개의 상기 감지부(40) 또는 상기 제 1, 2감지부(410, 420)의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일측고정부(210)와 상기 타측고정부(22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킬 수도 있다.
제 5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가 상기 일측고정부(210)를 좌우이동시킬 경우, 상기 일측고정부(210)는 상기 파지암(211)과 상기 이동로드(21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타측고정부(220)는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용접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피스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파지암(2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5예의 상기 엑츄에이터(30)가 상기 타측고정부(220)를 좌우이동시킬 경우, 상기 타측고정부(220)가 상기 파지암(211)과 상기 이동로드(212)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일측고정부(210)가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용접고정 또는 분리가능하게 피스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파지암(2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34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을 좌우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리드스크류(340)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의 측면 중간부위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여 상기 일측고정부(210)를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리드스크류(340)는 상기 몸체(10)의 타측을 좌우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리드스크류(340)의 타측과 마주보는 상기 타측고정부(220)의 파지암(211)의 측면 중간부위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여 상기 타측고정부(220)를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구동부재(350)는 상기 리드스크류(34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 또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34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도 16은 엑츄에이터의 제 6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7은 제 6예의 엑츄에이터에 의해 고정부가 단말기의 양측을 파지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리드스크류(340)와 상기 구동부재(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엑츄에이터(30)는 제 6예로서,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 모두에 구비되어 1개의 상기 감지부(40) 또는 상기 제 1, 2감지부(410, 420)의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일측고정부(210)와 상기 타측고정부(220) 모두를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1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18은 좌우간격조절부의 제 1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9는 제 1예의 좌우간격조절부에 의해 고정부 사이의 좌우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단말기(3)의 좌우길이에 따라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고정부(20)의 일측고정부(210)의 파지암(211)과 타측고정부(220)의 파지암(211) 사이의 좌우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좌우간격조절부(60)가 상기 몸체(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간격조절부(60)는 제 1예로,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일측고정부(210)를 좌우이동 또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타측고정부(210)를 좌우이동시키는 좌우이동판(6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610)의 전측에 전자식 실린더 또는 전자실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엑츄에이터(30) 또는 상기 엑츄에이터(30)의 구동부재(350)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0은 좌우간격조절부의 제 2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1은 제 2예의 좌우간격조절부에 의해 고정부 사이의 좌우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는, 상기 좌우이동판(6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좌우간격조절부(60)는 제 2예로, 도 20 및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 모두에 각각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일측고정부(210)와 상기 타측고정부(220) 모두를 좌우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22는 제 1예의 좌우간격조절부에 나사결합된 리드스크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제 2예의 좌우간격조절부에 나사결합된 리드스크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2 및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간격조절부(60)는 상기 좌우이동판(610)을 좌우이동시킨 상태로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6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62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 또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 모두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좌우이동판(610)의 하부 중심부에 형성된 좌우이동편(611)과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좌우이동판(610)의 좌우이동편(611)과 나사결합된 상기 리드스크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위치고정부재(620)의 일측은 상기 몸체(10)의 일측 하부에 베어링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위치고정부재(620)의 일단부에는 상기 몸체(10)의 일측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브(6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좌우이동판(610)의 좌우이동편(611)과 나사결합된 상기 리드스크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위치고정부재(620)의 타측은 상기 몸체(10)의 타측 하부에 베어링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위치고정부재(620)의 타단부에는 상기 몸체(10)의 타측 하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노브(621)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노브(621)를 각각 정역회전시켜 상기 리드스크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위치고정부재(620)를 각각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좌우이동판(610)이 좌우이동된 상태로 위치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판(610)의 좌우이동편(611)과 나사결합되는 1개의 양방향 리드스크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위치고정부재(620)를 사용자가 정역회전시켜 상기 몸체(10)의 내부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내부 타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좌우이동판(610) 모두를 한번에 각각 좌우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3)의 양측을 파지하는 상기 고정부(20)를 통해 상기 몸체(10)에 거치된 상기 단말기(3)를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10)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상기 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30)가 상기 고정부(20)를 좌우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몸체(10)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3)로 전화가 걸려온 경우 전화가 걸려온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 단말기(3)를 상기 몸체(10)로부터 손쉽게 인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몸체, 20; 고정부,
30; 엑츄에이터, 40; 감지부,
50; 제어부.

Claims (12)

  1. 단말기의 배면과 접하여 상기 단말기의 배면을 지지하고, 하부에 상기 단말기의 하부를 안착지지하는 받침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탄성부재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일측과 상기 단말기의 타측을 파지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몸체의 외부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좌우길이가 늘어나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이동판과, 상기 좌우이동판을 좌우이동시킨 상태로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고정부 사이의 좌우간격을 조절하는 좌우간격조절부와;
    상기 몸체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상기 엑츄에이터로의 전원공급여부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상기 단말기를 고정 및 상기 단말기를 고정한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고정부 및 타측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일측고정부와 상기 타측고정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고정부 및 타측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일측고정부와 상기 타측고정부 모두를 상기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몸체의 받침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몸체의 받침대에 구비되는 제 1감지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제 2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62892A 2015-05-06 2015-05-06 단말기 거치대 KR101718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92A KR101718859B1 (ko) 2015-05-06 2015-05-06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892A KR101718859B1 (ko) 2015-05-06 2015-05-06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142A KR20160131142A (ko) 2016-11-16
KR101718859B1 true KR101718859B1 (ko) 2017-03-22

Family

ID=5754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892A KR101718859B1 (ko) 2015-05-06 2015-05-06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1163A (zh) * 2017-03-10 2017-06-13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英语教学手持式手机音频视频采集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455737B1 (ko) * 2018-02-23 2022-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9850A1 (en) * 2001-11-22 2004-04-29 Hideaki Takahashi Container holder
KR200359655Y1 (ko) 2004-06-09 2004-08-21 노하우뱅크(주)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JP2013543814A (ja) * 2010-11-25 2013-12-09 トーマス ブーフハルター 携帯機器を収容するための自動車用ホル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0962B1 (en) * 1995-08-29 2001-11-20 Kenneth D. Eisenbraun Electrically operated object cradle
KR101508333B1 (ko) 2013-03-25 2015-04-07 김종진 메모지가 부착된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9850A1 (en) * 2001-11-22 2004-04-29 Hideaki Takahashi Container holder
KR200359655Y1 (ko) 2004-06-09 2004-08-21 노하우뱅크(주)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JP2013543814A (ja) * 2010-11-25 2013-12-09 トーマス ブーフハルター 携帯機器を収容するための自動車用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142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02194S1 (en) Combined card holder and ring support for a portable device
USD671950S1 (en) Apparatus holder
USD879763S1 (en) Mobile device holder with pocket
GB2581647A8 (en)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USD740829S1 (en) Multi-position under-cabinet mounted control system for a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ATE526608T1 (de) Stand für eine kameravorrichtung
KR101718859B1 (ko) 단말기 거치대
SG144101A1 (en) Multi-functional storage apparatus
WO2012124984A3 (en) Support device for three-dimensional glasses
CN103736274A (zh) 多功能游戏手柄
KR200478058Y1 (ko) 모니터 사이드 조명이 구비된 문서 거치대
KR200460420Y1 (ko) 태블릿피씨 케이스
US20150342361A1 (en) Electric bed adapted to wirelessly recharge an electronic device
CN206336216U (zh) 一种多功能汽车座椅
KR101434510B1 (ko) 스탠드형 수납장치
KR200474301Y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거치대
KR101602320B1 (ko) 휴대폰 거치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MY166070A (en) Container holder apparatus
USD613352S1 (en) Portable resistance training device
KR20170024183A (ko)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되는 테이블
USD599230S1 (en) GPS apparatus holder
CN209017127U (zh) 电子设备支架
CN106473329B (zh) 适于支撑手机或平板电脑的钥匙扣
KR20170004188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68603Y1 (ko) 거치대 및 밴드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