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737B1 -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5737B1 KR102455737B1 KR1020180022246A KR20180022246A KR102455737B1 KR 102455737 B1 KR102455737 B1 KR 102455737B1 KR 1020180022246 A KR1020180022246 A KR 1020180022246A KR 20180022246 A KR20180022246 A KR 20180022246A KR 102455737 B1 KR102455737 B1 KR 1024557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late
- mounting structure
- electronic device
- external electronic
- adjustmen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는,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안착면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안착면의 인접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안착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된 접속 커넥터; 상기 제 2 부분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서로 다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부분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방향의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거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전자 장치를 고정 및 거치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지지면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초고속, 대용량 무선통신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나 전자 지갑 등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전자 장치를 홍보 또는 전시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거치하는 동시에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더욱이, 도난이나 사고 방지를 위하여 전자 장치를 고정 및 잠금할 수 있는 거치 구조가 필요하다. 또한, 거치 구조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쉽게 분리되지 않아야 하며 사용자(예: 매장 직원)에 의해 쉽게 설치 및 해체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일반적인 거치 구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 우 또는 상, 하 영역에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잡아 고정하고, 물리적으로 시건하는 그립 타입(grip type),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부착 구조 사이에 접착 테잎(tape)을 붙여 고정을 시키는 테잎 타입(tap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 타입(grip type)의 거치 구조는 전시 제품(예: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 우 또는 상, 하 영역을 그립하여 물리적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분리가 어려워, 사용자가 제품을 체험할 때의 그립감 또는 전시 제품의 심미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테잎 타입(tape type)의 거치 구조는 전시 제품과 부착 구조 사이에 접착 테잎을 붙이고 추가 고정을 위해 접착 후에 나사를 사용하여 돌리는 방식으로 제조되어 설치 및 해체하는 과정에서 나사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 거치 구조의 재사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시 제품(예: 외부 전자 장치)을 체험할 때 그립감과 심미성이 좋아지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전시 제품과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여 사용성이 개선된 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사이즈나 유형에 따른 전자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을 조절함에 따라, 안착면에 안착된 외부 전자 장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는,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안착면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안착면의 인접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안착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된 접속 커넥터; 상기 제 2 부분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서로 다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부분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방향의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면을 제공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접속 커넥터;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면과 서로 다른 제 2 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사이에 두고 대면 배치된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회전 결합하고, 상기 조절 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면적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는, 전시 제품(예: 외부 전자 장치)을 체험할 때 그립감과 심미성이 좋아지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전시 제품과의 설치 및 해체가 간편하여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는,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사이즈나 유형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를 거치 및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는, 외부 전자 장치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면을 제공하고, 일면에 접착 부재를 배치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시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 방향에서 바라본 거치 구조(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거치 구조(1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의 후면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사시도를 A-A'방향으로 절단한 거치 구조(1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700)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크래들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800)를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800)와 조절 부재(500)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20)가 결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20)가 결합한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700)을 포함한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거치 구조(1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의 후면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사시도를 A-A'방향으로 절단한 거치 구조(1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700)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크래들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800)를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800)와 조절 부재(500)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20)가 결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20)가 결합한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700)을 포함한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문서에 발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발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 구조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 또는 거치 구조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이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 방향에서 바라본 거치 구조(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거치 구조(1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의 후면을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사시도를 A-A'방향으로 절단한 거치 구조(1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3축 직교 좌표계의 'Z'는 상기 거치 구조(10)의 길이 방향, 'X'는 상기 거치 구조(10)의 폭 방향, 'Y'는 상기 거치 구조(10)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Z'는 제 1 방향(+Z, -Z)을 의미할 수 있으며, 'X'는 제 2 방향(+X, -X)을 의미할 수 있으며, 'Y'는 제 3 방향(+Y, -Y)을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10)는 외부 전자 장치(예: 모바일 기기)를 거치하고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상태가 유지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20))는 전시장과 같은 공공 장소에서 사용자들에게 시연되어 자유로운 사용을 제공하는 동시에 도난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구조(10)는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조절 부재(500) 및 접착 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100)는 각종 부품 등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된 각종 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0)는 외부 지면(예: 테이블, 전시대 또는 가판대)에 입설된 상태로, 상기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및 조절 부재(500) 등을 지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바디부(100)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100)에는 전원 케이블(150)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접속 커넥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케이블(150)은 외부로 노출된 커넥터(151)를 포함하며, 상기 노출된 커넥터(151)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커넥터(151)로부터 연결된 전선은 바디부(100)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디부(100)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접속 커넥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커넥터(200)와 외부 전자 장치(20)가 접점을 이루는 경우, 상기 노출된 커넥터를 통해 전달된 전력은 외부 전자 장치(20)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100)는 제 1 부분(110) 및 상기 제 1 부분(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2 부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110)은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Z 방향을 향하고 외부 지면에 입설되도록 편평한 형상의 바닥면(111)과 상기 바닥면(111)과 반대 방향인 +Z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부 전자 장치(20)의 적어도 일면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분(120)은 상기 제 1 부분(1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부분(120)은 상기 안착면(112)의 인접 영역에서 상기 제 1 방향(+Z)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120)은 상기 제 1 부분(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 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돌출된 제 2 부분(120)에 의하여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체적으로 '┛', '┗' 형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분(120)은 상기 접속 커넥터(200)와 대면하고 +X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 1 면(121) 및 상기 제 1 면(121)과 반대 방향(-X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면(121)에는 지지 플레이트(3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면(122)에는 조절 부재(5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면(122)은 상기 +Z 방향으로 갈수록 제 1 면(121)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거치 구조(10) 외면의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면(122)은 상기 +Z 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연장된 경사 영역(12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영역(122a)으로 인하여, 상기 거치 구조(10)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예: 도 2 참조), 상기 제 2 부분(120)의 상단 부분은 제 1 두께(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상단 이외의 다른 부분은 상기 제 1 두께보다 두꺼운 제 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분(120)은 제 1 면(121)으로부터 제 2 면(122)까지 연장 형성된 관통 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123)은 제 2 부분(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조절 부재(500) 또는 지지 플레이트(3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조절 부재(500)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부분(120)에 형성된 관통 홀(120)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절 부재(5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 홀(120) 내측으로 상기 조절 부재(500)의 체결부(52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결합함에 따라, 상기 조절 부재(500)와 연결된 지지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 1 방향(+Z, -Z)과 서로 다른 제 2 방향(+X, -X)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제 2 방향(+X, -X)의 수평 이동으로 인하여 외부 전자 장치(20)가 안착되는 안착면(11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외부 전자 장치(20)에 따라, 상기 안착면(112)에 안착되는 외부 전자 장치(20)의 측면의 두께는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관통 홀(120)과 조절 부재(500)의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다양한 측면에 대응되는 유동적인 안착면의 면적(예: 안착면의 폭 방향(+X, -X))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이동 방향(예: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으로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적어도 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다양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커넥터(200)는 상기 바디부(100)에 형성된 제 1 개구(112a)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커넥터(200)는 외부 전자 장치(20)의 커넥터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Z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는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 커넥터(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커넥터(200)는 외부 전자 장치(20)의 커넥터 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조되고, 상기 커넥터 홀에 삽입되어 내부 커넥터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거치 구조(10)의 접속 커넥터(200)는 USB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에 충전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커넥터(20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일측을 안착하는 안착면(112)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전면 또는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300)와 함께 외부 전자 장치(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착면(112) 상에 돌출된 접속 커넥터(200)의 전 영역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됨에 따라, 상기 안착면(112)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가 커버하지 못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좌, 우 방향(예: 제 3 방향(+Y, -Y))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는 상기 바디부(100)의 제 2 부분(120) 또는 제 2 부분(120)과 인접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조되어, 외부 전자 장치(20)의 전면 또는 후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는 상기 안착면(112)이 외부 전자 장치(20)를 지지하는 영역과 서로 다른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300)는 상기 안착면(112)이 향하는 방향과 서로 다른 다양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와 접촉면을 형성하는 지지면(310), 상기 지지면(310)으로부터 상기 조절 부재(50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돌출 부분(330) 및 상기 돌출 부분(330)의 중심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개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10)은 전체적인 면적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부분(120)의 제 1 면(121)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각 모서리 부분은 미려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굴곡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 부분(330)은 -X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부분(120)의 관통 홀(123)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부분(330)의 외경은 조절 부재(500)의 체결부(520)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어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 부분(330)의 외경보다 상기 체결부(520)의 외경이 더 크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520)의 외경보다 상기 제 2 부분(120)의 관통 홀(123)이 더 크도록 형성되어, 돌출 부분(330), 체결부(520) 및 관통 홀(123)은 서로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 부분(33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 2 개구(320)는 홀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개구(320) 내측으로 이탈 방지 부재(35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 부재(350)는 상기 지지면(310)과 상기 조절 부재(500)의 원평 플레이트(510)와 지정된 거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탈 방지 부재(350)는 나사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측에 형성된 외경은 단턱 또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제 2 개구(320)와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이탈 방지 부재(350) 타측은 상기 조절 부재(50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 부재(350)의 결합 관계에 따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 2 부분(1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500)는 상기 바디부(100)의 제 2 부분(12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 부재(500)의 적어도 일부는 외경이 스쿠류 형상으로 제조되어, 상기 제 2 부분(120)의 관통 홀(123)에 형성된 나나산과 회전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500)는 지그 등이 삽입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홈(511)이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510) 및 상기 원형 플레이트(510)로부터 돌출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511)은 일자 형상의 지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ㅡ"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나사산은 상기 상기 제 2 부분(120)의 관통 홀(123) 내측의 나사산과 암수 결합할 수 있도록, 관통 홀(123) 내측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조절 부재(500)의 홈 형상 및 나사산의 형상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제 2 개구(320)와 삽입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 2 방향(+X, -X)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5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부분(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와 대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절 부재(500)의 원형 플레이트(510)는 상기 제 2 부분(120)의 제 2 면(122) 및 상기 제 1 면(121)에 배치된 지지면(310)과 대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20)는 상기 제 2 부분(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 홀(123)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제 2 개구(32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520)는 내측으로 리세스된 홈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돌출 부분(330)과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 내측으로 이탈 방지 부재(350)가 삽입되고 끼움 결합 또는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50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2 부분(120)의 상기 관통 홀(123)과 결합함에 따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와의 이격 간극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조절 부재(5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 플레이트(300)와 결합된 영역이 늘어나는 경우,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를 -X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절 부재(500) 및 지지 플레이트(300) 사이의 이격 간극을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상기 조절 부재(5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 플레이트(300)와 결합된 영역이 줄어드는 경우,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를 +X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절 부재(500) 및 지지 플레이트(300) 사이의 이격 간극을 늘릴 수 있다. 상기 조절 부재(500)의 조절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300)는 전체 면적이 안착면(112)에 수직인 상태로, 전, 후 운동이 가능하고, 안착면(112)에 안착된 외부 전자 장치(20)의 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 부재(60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 일면에 배치되어, 외부 전자 장치(20)와 지지 플레이트(300)간의 접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부재(600)는 박리지를 포함한 테잎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외부 전자 장치(20)와의 접촉시 박리지를 제거한 후,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일면과 테잎을 접촉시켜 지지 플레이트(300)와 결합시키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 부재(600)는 지지면(310)에 접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면(310)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외부 전자 장치(20)를 상기 거치 구조(10)에서 분리하기 위해선 후술될 지그가 상기 접촉 부재(600)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 사이에 삽입하는 공정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700)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크래들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3축 직교 좌표계의 'Z'는 상기 크래들(700)의 두께 방향, 'X'는 상기 크래들(700)의 폭 방향, 'Y'는 상기 크래들(70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Z'는 제 1 방향(+Z, -Z)을 의미할 수 있으며, 'X'는 제 2 방향(+X, -X)을 의미할 수 있으며, 'Y'는 제 3 방향(+Y, -Y)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 구조(10)는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조절 부재(500) 및 크래들(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구조(10)의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및 조절 부재(500)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의 거치 구조(10)의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및 조절 부재(500)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10)는 상기 바디부(100)를 지지할 수 있는 크래들(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700)은 다양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8 내지 10의 외부 전자 장치(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1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100)보다 큰 저면을 포함하여 외부 지면(예: 테이블, 전시대 또는 가판대)에 안정적으로 입설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래들(700)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래들(700)은 제 1 영역(710) 및 상기 제 1 영역(710)의 양단부에 배치된 제 2 영역(720) 및 제 3 영역(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710)은 상기 바디부(100)의 제 1 부분(110)이 안착할 수 있는 안착 영역(711)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 영역(711)은 지정된 기울기를 가진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을 포함하는 안착 영역(711)에 상기 바디부(100)의 제 1 부분(110)이 결합된 경우, 상기 바디부(100)도 경사진 형태로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부(100)에 결합된 외부 전자 장치(20)도 경사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전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영역이 직립되어 있는 상태보다 지정된 기울기를 가진 경우, 사용자는 전시된 외부 전자 장치(20)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래들(700)의 제 1 영역(710)의 후면은 바디부(100)에서 외부로 노출된 전원 케이블(150)의 커넥터가 외부 전원과의 연결 관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영역(720)은 상기 제 1 영역(710)으로부터 +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720)의 저면은 외부 지면에 입설되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710)으로부터 연장된 길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를 지지하는 면이 확장되어, 상기 대면적의 외부 전자 장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영역(730)은 상기 제 1 영역(710)으로부터 -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영역(730)의 저면은 외부 지면에 입설되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710)으로부터 연장된 길이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20)를 지지하는 면이 확장되어, 상기 대면적의 외부 전자 장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800)를 포함하는 거치 구조(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800)와 조절 부재(500)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 구조(10)는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조절 부재(500) 및 지그(8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구조(10)의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및 조절 부재(500)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의 거치 구조(10)의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및 조절 부재(500)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10)는 상기 조절 부재(50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8 내지 10의 외부 전자 장치(20))를 고정할 수 있는 지그(8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조절 부재(500)를 손으로 직접 돌려서 지지 플레이트(300)의 이동시킬 수 있으나, 지그(800)를 이용하여 편하고 안정적으로 조절 부재(5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한 예로, 상기 지그(800)는 상기 거치 구조(10)와 결합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를 상기 거치 구조(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지그(800)의 일측면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와 상기 거치 구조(10)(도 5 참조)사이에 끼움 결합 후 밀어내는 방식으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분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그(800)는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재질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그(8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몸체(810), 상기 몸체(810)로부터 연장되고, 양 단에 배치된 제 1 단부(820) 및 제 2 단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부(820)는 상기 조절 부재(500)의 홈(511)에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단부(820)가 상기 홈(511)에 삽입된 채로 상기 조절 부재(5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절 부재(500)는 지그(800)의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300)와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511)은 "ㅡ" 형상으로 마련된 경우, 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단부(820)도 "ㅡ"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단부(830)는 상기 제 1 단부(820)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부(830)는 주걱과 같은 형상으로 일부 경사면을 포함한 단부 형상으로 마련되어, 결합된 외부 전자 장치(20)와 거치 구조(10)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20)가 결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20)가 결합한 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크래들(700)을 포함한 거치 구조(10)에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 구조(10)는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조절 부재(500) 및/또는 크래들(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 구조(10)의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조절 부재(500) 및/또는 크래들(700)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3, 도 6 및 도 7의 거치 구조(10)의 바디부(100), 접속 커넥터(200), 지지 플레이트(300), 조절 부재(500) 및/또는 크래들(700)의 구조와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는 거치 구조(10)와 복수의 접촉면을 형성하며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 측면에는 커넥터 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커텍터 홀 내측으로 상기 거치 구조(10)의 접속 커넥터(200)가 삽입되어, 외부 전자 장치(20)의 측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커넥터 홀 주변의 측면은 상기 거치 구조(10)의 바디부(100)에 형성된 안착면(112)과 접촉면을 형성하여, 외부 전자 장치(2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거치 구조(10)의 지지 플레이트(300)와 접촉면을 형성하여, 외부 전자 장치(2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의 일면에 접착 부재(예: 도 5의 접착 부재(600))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접착 부재(600)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의 후면의 일부 영역에 강한 접착력을 제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를 지지 플레이트(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는 거치 구조(10)의 크래들(700)과 복수의 접촉면을 형성하며 결합할 수 있으며,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20) 측면 중 안착면(112)이 커버할 수 없는 영역은 상기 크래들(700)의 제 1 영역(710)의 안착 영역(711)과 접촉면을 형성하여, 외부 전자 장치(2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후면 중 상기 지지 플레이트(300)가 커버할 수 없는 일부 영역은 상기 크래들(700)의 제 1 영역(710)의 안착 영역(711)과 접촉면을 형성하여, 외부 전자 장치(2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예: 도 1의 거치 구조(10))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안착면(예: 도 1의 안착면(112))을 포함하는 제 1 부분(예: 도 1의 제 1 부분(110)) 및 상기 안착면의 인접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부분(예: 도 1의 제 2 부분(120))을 포함하는 바디부(예: 도 1의 바디부(100)); 상기 안착면에 형성된 개구(예: 도 4의 제 1 개구(112a))를 통해 노출된 접속 커넥터(예: 도 1의 접속 커넥터(200)); 상기 제 2 부분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서로 다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 플레이트(예: 도 1의 지지 플레이트(300)); 및 상기 제 2 부분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방향의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 부재(예: 도 2의 조절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대면 배치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회전 이동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직선 운동은, 상기 안착면의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 홀(예: 도 4의 관통 홀(123))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 홀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5의 외부 전자 장치(20))의 일면과 접촉면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면(예: 도 4의 지지면(310)); 상기 지지면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상기 조절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 부분(예: 도 4의 돌출 부분(330)); 및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돌출 부분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개구(예: 도 4의 제 2 개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홈(예: 도 3의 홈(511))이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예: 도 4의 원형 플레이트(510)); 및 상기 원형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관통 홀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과 대응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예: 도 4의 체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의 체결부는 상기 제 2 부분의 관통 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돌출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체결부의 단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가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 부재의 체결부 및 상기 제 2 부분의 관통 홀은 회전에 따른 암수 결합을 제공하고, 상기 체결부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조절 부재의 상기 지지면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원형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간극은 가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방향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부분의 안착면의 면적이 가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관통 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개구 및 상기 조절 부재의 상기 체결부의 중심은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는, 상기 접속 커넥터를 향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지지면에 배치되고, 안착면에 안착된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간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 부재(예: 도 4의 접착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는, 일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 부재의 일면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예: 도 4의 이탈 방지 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는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바디부가 외부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보다 큰 접촉면을 제공하는 크래들(예: 도 6의 크래들(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크래들은,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경사진 형태로 안착되기 위한 지정된 기울기의 안착 영역(예: 도 6의 안착 영역(711))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예: 도 6의 제 1 영역(710)); 상기 제 1 영역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을 지지하는 제 2 영역(예: 도 6의 제 2 영역(720)) 및 제 3 영역(예: 도 6의 제 3 영역(7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는, 상기 조절 부재 및 지지 플레이트의 회전 결합 또는 외부 전자 장치의 탈착을 위한 지그(예: 도 8의 지그(80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몸체(예: 도 8의 몸체(810));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상기 홈에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제 1 단부(예: 도 8의 제 1 단부(820)); 및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제 1 단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경사면을 가진 제 2 단부(예: 도 8의 제 2 단부(8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 구조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면을 제공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접속 커넥터;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면과 서로 다른 제 2 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사이에 두고 대면 배치된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결합하고, 상기 조절 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면적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수평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면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 간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 구조는, 일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 부재의 일면과 결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는, 상기 안착면이 배치된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안착면의 인접 영역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대면 배치된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커넥터는 USB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거치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거치 구조: 10
외부 전자 장치: 20
바디부: 100
제 1 부분: 110
제 2 부분: 120
접속 커넥터: 200
지지 플레이트: 300
조절 부재: 500
접착 부재: 600
크래들: 700
지그: 800
외부 전자 장치: 20
바디부: 100
제 1 부분: 110
제 2 부분: 120
접속 커넥터: 200
지지 플레이트: 300
조절 부재: 500
접착 부재: 600
크래들: 700
지그: 800
Claims (20)
- 거치 구조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안착면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안착면의 인접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안착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된 접속 커넥터;
상기 제 2 부분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과 서로 다른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부분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 2 방향의 이동을 제어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은,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외부 전자 장치의 일면과 접촉면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상기 조절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 홀 내측으로 삽입된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대면 배치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회전 이동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직선 운동은, 상기 안착면의 면적을 가변시키는 거치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홀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거치 구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돌출 부분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개구를 더 포함하는 거치 구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된 원형 플레이트; 및
상기 원형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관통 홀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과 대응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는 거치 구조.
-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의 체결부는 상기 제 2 부분의 관통 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돌출 부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체결부의 단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거치 구조.
-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의 체결부 및 상기 제 2 부분의 관통 홀은 회전에 따른 암수 결합을 제공하고,
상기 체결부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조절 부재의 상기 지지면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원형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간극이 가변하는 거치 구조.
-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방향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안착면의 면적이 가변하는 거치 구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관통 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개구 및 상기 조절 부재의 상기 체결부의 중심은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된 거치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넥터를 향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지지면에 배치되고,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 간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거치 구조.
- 제 4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개구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 부재의 일면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거치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바디부가 외부 지면과 접촉하는 면적보다 큰 접촉면을 제공하는 크래들을 더 포함하는 거치 구조.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제 1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상기 제 1 부분이 경사진 형태로 안착되기 위한 지정된 기울기의 안착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연장 배치되고, 상기 제 1 영역을 지지하는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 및 지지 플레이트의 회전 결합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탈착을 위한 지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상기 홈에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제 1 단부; 및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제 1 단부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경사면을 가진 제 2 단부를 포함하는 거치 구조.
- 거치 구조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의 제 1 면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면을 포함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안착면의 인접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접속 커넥터;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제 1 면과 서로 다른 제 2 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사이에 두고 대면 배치된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은,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고, 상기 조절 부재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면적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수평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기 제 2 면과 접촉면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면; 및
상기 지지면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상기 조절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 홀 내측으로 삽입된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거치 구조.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수평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면의 크기가 가변되는 거치 구조.
-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지지면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상기 지지 플레이트 간의 접착력을 제공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거치 구조.
-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7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 내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 부재의 일면과 결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거치 구조.
- 삭제
-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넥터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거치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2246A KR102455737B1 (ko) | 2018-02-23 | 2018-02-23 |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 |
PCT/KR2019/002058 WO2019164255A1 (ko) | 2018-02-23 | 2019-02-20 |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2246A KR102455737B1 (ko) | 2018-02-23 | 2018-02-23 |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1828A KR20190101828A (ko) | 2019-09-02 |
KR102455737B1 true KR102455737B1 (ko) | 2022-10-19 |
Family
ID=6768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2246A KR102455737B1 (ko) | 2018-02-23 | 2018-02-23 |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5737B1 (ko) |
WO (1) | WO201916425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7854B1 (ko) * | 2023-02-01 | 2023-05-30 | (주)금오전자 | 전시 단말기용 커넥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3577B1 (ko) | 2006-03-02 | 2007-01-24 | 주성표 | 다기능을 갖는 크래들 |
JP2011113485A (ja) | 2009-11-30 | 2011-06-09 | S-Cube Inc | 防犯センサ及び防犯システム |
KR101627460B1 (ko) * | 2015-04-02 | 2016-06-07 | 임영철 |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3229A (ko) * | 2004-12-24 | 2006-06-28 | 심병철 | 삼각대 체결공이 구비된 카메라폰 거치대 |
JP4858056B2 (ja) * | 2006-09-29 | 2012-01-18 | ソニー株式会社 | 音楽機能付きクレードル装置 |
JP4760759B2 (ja) * | 2007-03-30 | 2011-08-31 | ソニー株式会社 | クレードル装置及び電子機器支持装置 |
KR20120010706A (ko) * | 2010-07-27 | 2012-02-06 | 김영기 | 전자기기의 거치대 |
KR200469219Y1 (ko) * | 2011-12-16 | 2013-10-02 | 주식회사 인피센스 | 휴대폰용 목업 전시대 |
JP6171823B2 (ja) * | 2013-10-09 | 2017-08-02 |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 端末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
KR20150084599A (ko) * | 2014-01-14 | 2015-07-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의 충전기 |
KR101718859B1 (ko) * | 2015-05-06 | 2017-03-22 | 주식회사 티디씨전력기술 | 단말기 거치대 |
KR20170134999A (ko) * | 2016-05-30 | 2017-12-08 | 주식회사 팝폰 |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
-
2018
- 2018-02-23 KR KR1020180022246A patent/KR10245573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2-20 WO PCT/KR2019/002058 patent/WO201916425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3577B1 (ko) | 2006-03-02 | 2007-01-24 | 주성표 | 다기능을 갖는 크래들 |
JP2011113485A (ja) | 2009-11-30 | 2011-06-09 | S-Cube Inc | 防犯センサ及び防犯システム |
KR101627460B1 (ko) * | 2015-04-02 | 2016-06-07 | 임영철 |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1828A (ko) | 2019-09-02 |
WO2019164255A1 (ko) | 2019-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98843B2 (ja) |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電子装置 | |
US11061445B2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US10303223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nge structure | |
US936297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mounting, and accessorizing of digital devices | |
US11188120B2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 |
KR102207039B1 (ko) | 액세서리 장치 | |
US20160195117A1 (en) | Alignment structure | |
TW201611710A (zh) | 用於電子裝置之鉸鏈配置 | |
US7377603B2 (en) | Computing device mounting systems | |
US10615538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unfoldable connector module | |
US20150103483A1 (en) | Detachable electronic apparatus | |
US20160277052A1 (en) | Modular Portable Power Device | |
TWI532447B (zh) | 保護套 | |
CN105472920A (zh) | 保护壳 | |
US8625272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10722014B2 (en) | Protection cover | |
KR102455737B1 (ko) |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 | |
US8988872B2 (en) | Cradle for a portable device having a connector rotatably mounted on a base | |
TWM542165U (zh) | 電腦裝置用之底座 | |
KR20120008365U (ko) | 디스플레이장치 거치용 케이스 | |
TW202318949A (zh) | 用於可攜式電子裝置之外殼 | |
KR20220134412A (ko) | 제품간 체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10840637B2 (en) | Docking station with connectors for tablet and smart cover | |
CN221227601U (zh) | 电子设备配件 | |
KR102689095B1 (ko) |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