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782B1 -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 - Google Patents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782B1
KR101736782B1 KR1020150131329A KR20150131329A KR101736782B1 KR 101736782 B1 KR101736782 B1 KR 101736782B1 KR 1020150131329 A KR1020150131329 A KR 1020150131329A KR 20150131329 A KR20150131329 A KR 20150131329A KR 101736782 B1 KR101736782 B1 KR 101736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charging
mobile
roll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517A (ko
Inventor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주)예림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림컴퍼니 filed Critical (주)예림컴퍼니
Priority to KR1020150131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7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027
    • H02J7/0021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02J2007/0062

Abstract

본 발명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모바일기기(M)를 수납하고, 수납과 동시에 모바일기기가 충전되는 모바일기기 충전장에 있어서, 하부면에 이동을 위한 캐스터(102)가 결합되고, 전후면이 개방된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며, 함체 내부에 수평판(106)에 의해 상하로 다수의 공간셀이 구획되어 모바일거치충전부(104)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이동시 용이하도록 밀대손잡이(108)가 결합형성된 본체하우징(100)과; 다수의 롤러결합공(212)이 관통 형성된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하우징(100)에 구획된 모바일거치충전부(104)에 각각 고정결합되고, 모바일기기(M)를 수납보관하는 거치브라켓(200)과; 모바일기기(M)의 수평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상기 거치브라켓(200)의 다수의 롤러결합공(212) 수직축선상에 축결합하여 자유회전되게 다수가 결합고정되고, 모바일기기(M)의 좌우면을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구름운동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300)와; 일단에는 모바일기기(M)가 상기 가이드롤러(300)를 따라 안내된 끝단의 상기 거치브라켓(200)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기기(M)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원단자(41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에 결합되어 모바일기기(M)의 충전상태를 안내표시하는 충전표시LED(420)가 병렬로 분기되어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USB 연결커넥터(430)가 형성된 전원공급수단(4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Chapter multiple mobile device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mobile}
본 발명은 복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의해 스마트폰, 테블릿 등의 모바일기기 다수를 동시 보관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하우징에 충전거치수단을 다수배열하여 고가의 모바일기기를 안전하게 동시 보관이 가능함은 물론, 보관과 동시에 전원 공급을 통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기기(Mobile device)는 주머니에 쏙 들어갈 만한 크기의 컴퓨터장치로, 스마트기기(Smart device), 휴대용기기 등으로도 통용이 되며, 터치 입력을 가진 표시화면이나 소형자판, 그리고 전원용 배터리가 구비된다. 상기 모바일기기의 종류는 모바일컴퓨터, PDA/EDA, 그래핑계산기(graphing calcaulator), 휴대용게임기, 디지털카메라, 디지털비디오카메라(디지털 캠코더), 포터블미디어플레이어, 이북(e-book) 리더, 휴대전화, 무선호출기, 개인 내비게이션장치(PND) 등이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아이패드, 겔럭시탭, 노트북, 플레이트 피씨(PC) 등(100, 이하 '모바일기기'라 통칭함)과 같은 고자의 제품들이 있다.
이러한 모바일기기의 전원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특허문헌)을 살펴보면,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4-53146호(2011.04.01.) 또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4-56008호(2011.09.30.) 등이 있으나, 하나의 모바일기기를 충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대학이나 교육기관, 공공기관, 기업체, 연수원 등에서는 여러 사람이 다수의 모바일기기를 공동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고가의 모바일기기를 보관하거나 또는 충전하는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취급중에 손상 및 파손될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임시로 마련된 다단의 선반 등에 모바일기기를 올려놓고 각각의 충전 커넥터를 꽂기가 불편하고 전원단자 및 커넥터가 쉽게 손상 및 파손되며 이때, 접촉불량으로 인해 충전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최근 개시되고 있는 것으로, 1) 대한민국 특허 제10-1165939호의 모바일기기 충전식 멀티보관장치 및 2) 대한민국 특허 제10-1262301호의 모바일 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 기기 충전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1) 특허의 경우는 다단으로 모바일기기를 보관할 수 있는 프레임을 형성하고, 프레임에 모바일기기의 충전을 위한 전원공급수단이 결합된 거치대가 형성되며, 거치대 상부에 모바일기기 상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안내롤러가 형성된 것이다. 1) 특허는 다수의 모바일기기를 보관 및 충전이 가능하다는 점과 거치대 상면에 형성된 안내롤러에 의해 모바일기기의 긁힘이나 손상,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고 게재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1) 특허는 안내롤러가 상부면에 형성되어 단지 구름운동을 통한 모바일기기의 슬라이딩 역할이외에는 사실상 긁힘이나 손상, 파손을 방지하지는 못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모바일기기는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여 사용하는 특성상 모바일기기의 측면 모서리측의 접촉이 빈번하고, 사실상 모서리측의 도금이나 코팅이 벗겨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1)특허의 경우에는 첫째로, 가장 손상 발생이 빈번한 모서리의 구름운동을 통한 긁힘이나 손상, 파손의 방지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 상부에 모바일기기의 면상 구름운동만을 통해 슬라이딩 작용만 하는 안내롤러는 모바일기기의 충전단자와 전원공급수단과의 접속이 정확히 이루어지기란 사실상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모바일기기의 충전단자와 전원공급수단과 육안으로 접촉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다단으로 형성된 프레임의 특성상 사용자가 접촉이 정확히 이루어졌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기란 더더욱 힘든 문제점이 있다.
한편, 2) 특허는 통상의 모바일기기를 거치와 함께 전원공급을 하는 거치대와 본체지지부,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 거치대에 모바일기기 안내부와 모바일기기의 상부를 탄성력에 의해 고정하는 모바일기기 고정부, 고정부 지지프레임 등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2) 특허는 모바일기기의 충전단자가 전원공급부와 원활하게 접속되어 전원공급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모바일기기 안내부, 모바일기기 고정부에 의해 달성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하지만, 상기 2) 특허는 모바일기기가 모바일기기 안내부, 모바일기기 고정부에 끼워 이동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전원공급을 위한 안내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는 것이나, 고가의 모바일기기의 긁힘이나 손상,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모바일기기 안내부를 모바일기기의 폭에 대응되도록 동일한 크기에 가깝게 설계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모바일기기 안내부와 모바일기기의 측면과 측면상하부에 긁힘이나 손상이 발생되기 쉽다. 즉, 2) 특허의 목적인 모바일기기의 취급중 손상 및 파손 즉, 모바일기기가 고정되지 않아 외부로 이탈되어 떨어지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이나 파손에서는 보호할 수 있느나 정작 충전을 위해 거치대에 모바일기기를 끼워넣는 과정에서의 손상이나 파손, 긁힘의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된다.
더욱이, 모바일기기 고정부의 탄성력에 의한 모바일기기의 상부가압은 모바일기기 상하부면에 마찰력을 증대하여 긁힘을 더욱 심각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를 방지하고자 모바일기기의 폭과 두께보다 모바일기기의 안내부를크게 형성하거나 모바일기기 고정부의 탄성력을 약하게 조정할 경우 상기 2) 특허의 목적인 모바일기기의 충전단자에 정확이 결합하여 올바른 충전이 어렵고, 앞서 말한 2) 특허를 통한 모바일기기의 취급상 손상이나 파손방지의 역할을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특허 제10-1165939호 (2012년 07월 09일). 2) 대한민국 특허 제10-1262301호 (2013년 05월 02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모바일기기의 보관 및 충전이 용이함은 물론, 모바일기기의 긁힘이나 손상, 파손 없이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하고, 다양한 모바일기기의 크기에 대응이 용이함은 물론, 보관 및 충전과정에서의 취급 부주의로 인한 모바일기기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은 다수의 모바일기기(M)를 수납하고, 수납과 동시에 모바일기기가 충전되는 모바일기기 충전장에 있어서, 하부면에 이동을 위한 캐스터(102)가 결합되고, 전후면이 개방된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며, 함체 내부에 수평판(106)에 의해 상하로 다수의 공간셀이 구획되어 모바일거치충전부(104)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이동시 용이하도록 밀대손잡이(108)가 결합형성된 본체하우징(100)과; 다수의 롤러결합공(212)이 관통 형성된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하우징(100)에 구획된 모바일거치충전부(104)에 각각 고정결합되고, 모바일기기(M)를 수납보관하는 거치브라켓(200)과; 모바일기기(M)의 수평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상기 거치브라켓(200)의 다수의 롤러결합공(212) 수직축선상에 축결합하여 자유회전되게 다수가 결합고정되고, 모바일기기(M)의 좌우면을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구름운동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300)와; 일단에는 모바일기기(M)가 상기 가이드롤러(300)를 따라 안내된 끝단의 상기 거치브라켓(200)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기기(M)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원단자(41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에 결합되어 모바일기기(M)의 충전상태를 안내표시하는 충전표시LED(420)가 병렬로 분기되어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USB 연결커넥터(430)가 형성된 전원공급수단(4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브라켓(200)은 사각의 수평판체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가이드롤러(300)가 수평판체와 직교되는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자유회전하도록 결합되며, 모바일기기(M)의 수평폭에 대응되는 폭에 따라 상기 가이드롤러의 위치를 이동결합하도록 상하로 관통되게 타공형성된 다수의 롤러결합공(212)이 형성된 거치판(210)과; 상기 거치판(210) 전방측으로 절개형성되고, 모바일기기(M)의 인출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잡아당기기 용이하도록 전방이 개방된 사각의 인출홈부(22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모바일거치충전부(104)에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거치판(210)의 전후로 하향절곡되어 형성되어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된 결합편(230)과; 상기 거치판(210)의 후단으로 상향절곡되어 수직으로 기립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300)를 따라 이동되는 모바일기기(M)의 충전단자와 동일위치에 대응되는 일면에 상기 전원공급수단(400)의 전원단자(410)가 결합되는 전원접속공(242)이 형성되며, 모바일기기(M)가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을 제한하는 전원접속편(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롤러(300)는 서로 다른 직경의 다단으로 형성된 2단롤러(320)로 형성되되, 상단롤러 직경이 하단롤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모바일기기(M) 상부를 상단롤러가 접촉하여 모바일기기 상부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전원단자(410)로 모바일기기 충전단자가 안내되어 접속하도록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300) 중앙 외주연에 모바일기기의 두께에 대응되는 슬라이딩홈(340)이 외주연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340)에 상기 모바일기기의 좌우가 끼움되어 가이드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측으로 모바일기기가 안내이동되도록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의 보관 및 충전이 용이함은 물론, 다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모바일기기의 긁힘이나 손상, 파손 없이 거치 및 충전이 가능하고, 다수의 가이드롤러의 간격 조정을 통한 다양한 모바일기기의 크기에 대응이 용이하여 범용사용이 가능하여 모바일기기의 변화에 별도의 유지비 없이도 대응이 가능함과 함께 보관 및 충전과정에서의 취급 부주의로 인한 모바일기기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의 가이드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의 가이드롤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의 가이드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의 가이드롤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모바일기기를 동시 수용보관이 가능하고, 모바일기기의 동시충전이 가능한 것으로, 보관 및 충전시 모바일기기의 긁힘이나 손상, 파손의 위험이 현저히 적으며, 모바일기기 충전단자와 전원단자의 접속이 모바일기기를 밀어넣는 동작만으로도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기기의 보관 및 이동시 외력에 의한 유동발생이 없이 고정될 수 있어 모바일기기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00), 거치브라켓(200), 가이드롤러(300), 전원공급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하우징(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이동을 위한 캐스터(102)가 결합되고, 전후면이 개방된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며, 함체 내부에 수평판(106)에 의해 상하로 다수의 공간셀이 구획되어 모바일거치충전부(104)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이동시 용이하도록 밀대손잡이(108)가 결합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하우징(100)에는 외부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콘센트를 구비하거나 고정으로 설치될 경우 외부전원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100)은 도면에 도시된 모양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거치브라켓(200)은 모바일기기의 종류에 따라 후술되는 가이드롤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롤러결합공(212)이 관통 형성된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하우징(100)에 구획된 모바일거치충전부(104)에 각각 고정결합되고, 모바일기기(M)를 수납보관하는 것으로, 상기 거치브라켓(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판(210), 인출홈부(220), 결합편(230), 전원접속편(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판(210)은 사각의 수평판체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후술되는 가이드롤러(300)가 수평판체와 직교되는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자유회전하도록 결합되며, 모바일기기(M)의 수평폭에 대응되는 폭에 따라 상기 가이드롤러의 위치를 이동결합하도록 상하로 관통되게 타공형성된 다수의 롤러결합공(2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판(210)에 형성된 롤러결합공(212)은 일부만 도시하였으나 상기 거치판(210) 전체에 형성하여 다양한 모바일기기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인출홈부(220)는 상기 거치판(210) 전방측으로 절개형성되고, 모바일기기(M)의 인출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잡아당기기 용이하도록 전방이 개방된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인출홈부(220)는 사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디자인적 요소를 적용하여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인출홈부는 모바일기기(M)가 상기 거치브라켓(200)에 거치되어 충전보관된 후, 충전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 모바일기기의 충전단자가 후술되는 전원공급수단의 전원단자로부터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외력이 작용되도록 사용자 손이 삽입되어 모바일기기의 상하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결합편(230)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모바일거치충전부(104)에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거치판(210)의 전후로 하향절곡되어 형성되어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편(2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절곡되어 형성되나 본체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결합 위치에 적합하게 절곡형성하여 거치브라켓을 상기 모바일거치충전부(104)에 고정결합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전원접속편(240)은 상기 거치판(210)의 후단으로 상향절곡되어 수직으로 기립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300)를 따라 이동되는 모바일기기(M)의 충전단자와 동일위치에 대응되는 일면에 상기 전원공급수단(400)의 전원단자(410)가 결합되는 전원접속공(242)이 형성되며, 모바일기기(M)가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전원접속편(240)은 도면에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나 다양한 모바일기기의 충전단자의 위치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ㄴ" 형상의 탈부착형으로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롤러(300)는 모바일기기(M)의 수평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상기 거치브라켓(200)의 다수의 롤러결합공(212) 수직축선상에 축결합하여 자유회전되게 다수가 결합고정되고, 모바일기기(M)의 좌우면을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구름운동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롤러(300)는 경질 EVA 소재로 형성하여 소재의 탄성력에 의해 모바일기기의 긁힘이나 손상, 파손을 최소화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를 사용자가 전원단자측으로 밀어넣는 과정에서 측면 긁힘 없이 부드럽게 자유회전하는 가이드롤러(300)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가이드롤러(300)의 간격은 모바일기기의 폭에 최적으로 대응하여 불필요한 공간의 형성을 방지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필요한 공간의 형성으로 인한 모바일기기의 유동이나 비뚤어진 이동경로를 방지함에 따라 모바일기기가 전원단자측으로 이동시 직선도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모바일기기의 충전단자와 전원단자의 접속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모바일기기(M)가 전원단자측으로 정확히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롤러(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의 다단으로 형성된 2단롤러(320)로 형성되되, 상단롤러 직경이 하단롤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모바일기기(M) 상부를 상단롤러가 접촉하여 모바일기기 상부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전원단자(410)로 모바일기기 충전단자가 안내되어 접속하도록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2단롤러(320)의 경우에는 모바일기기의 좌우와 상부면 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모바일기기가 전원단자측으로 정확히 직선이동이 가능하여 보다 정확한 충전단자와 전원단자의 접속이 가능하고, 자유회전하는 2단롤러(320)에 의해 모바일기기의 긁힘이나 손상, 파손이 최소화되어 보관 및 충전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2단롤러(320)를 응용하여 모바일기기의 상하부면과 좌우면의 이동을 제한하여 직선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300) 중앙 외주연에 모바일기기의 두께에 대응되는 슬라이딩홈(340)이 외주연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340)에 상기 모바일기기의 좌우가 끼움되어 가이드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측으로 모바일기기가 안내이동되도록 형성되어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의 하부면까지 유동을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모바일기기의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전원단자측으로 밀어넣는 과정에서 정확히 수평상 직선으로 밀어넣을 수 없기 때문에 모바일기기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하 내지는 좌우로 유동하거나 이동하게 되어 전원단자와의 접속이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않고, 모바일기기의 좌우면 또는 상하면에 긁힘이나 손상,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유회전하는 가이드롤러, 2단롤러, 슬라이딩홈의 형성을 통해 모바일기기의 긁힘이나 손상, 파손없이 전원단자와의 접속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고, 탄성력에 의한 좌우밀착이 가능한 가이드롤러와 상부면 내지는 상하부면을 빈틈없이 잡아주는 2단롤러와 슬라이딩홈의 구성을 통해 모바일기기의 보관이나 이동시 취급 부주의로 인한 손상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수단(4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는 모바일기기(M)가 상기 가이드롤러(300)를 따라 안내된 끝단의 상기 거치브라켓(200)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기기(M)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원단자(41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에 결합되어 모바일기기(M)의 충전상태를 안내표시하는 충전표시LED(420)가 병렬로 분기되어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USB 연결커넥터(4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수단(400)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 일반적인 전원공급수단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면과 같이 이동형이 아닌 고정형일 경우 외부전원과 직접연결하여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전원공급수단(400)은 USB 연결커넥터(430) 형식으로 형성됨에 따라 다양한 모바일기기의 충전단자에 대응되는 전원단자(410)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본체하우징 102 : 캐스터
104 : 모바링거치충전부 106 : 수평판
108 : 밀대손잡이 200 : 거치브라켓
210 : 거치판 212 : 롤러결합공
220 : 인출홈부 230 : 결합편
240 : 전원접속편 242 : 전원접속공
300 : 가이드롤러 320 : 2단롤러
340 : 슬라이딩홈 400 : 전원공급수단
410 : 전원단자 420 : 충전표시 LED
430 : USB 연결커넥터 M : 모바일기기

Claims (4)

  1. 삭제
  2. 다수의 모바일기기(M)를 수납하고, 수납과 동시에 모바일기기가 충전되는 모바일기기 충전장에 있어서, 하부면에 이동을 위한 캐스터(102)가 결합되고, 전후면이 개방된 사각의 함체로 형성되며, 함체 내부에 수평판(106)에 의해 상하로 다수의 공간셀이 구획되어 모바일거치충전부(104)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이동시 용이하도록 밀대손잡이(108)가 결합형성된 본체하우징(100)과; 다수의 롤러결합공(212)이 관통 형성된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하우징(100)에 구획된 모바일거치충전부(104)에 각각 고정결합되고, 모바일기기(M)를 수납보관하는 거치브라켓(200)과; 모바일기기(M)의 수평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상기 거치브라켓(200)의 다수의 롤러결합공(212) 수직축선상에 축결합하여 자유회전되게 다수가 결합고정되고, 모바일기기(M)의 좌우면을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구름운동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300)와; 일단에는 모바일기기(M)가 상기 가이드롤러(300)를 따라 안내된 끝단의 상기 거치브라켓(200)에 결합되어 상기 모바일기기(M)의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원단자(41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전면에 결합되어 모바일기기(M)의 충전상태를 안내표시하는 충전표시LED(420)가 병렬로 분기되어 형성되고, 타단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USB 연결커넥터(430)가 형성된 전원공급수단(400);으로 형성되되,
    상기 거치브라켓(200)은 사각의 수평판체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상기 가이드롤러(300)가 수평판체와 직교되는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자유회전하도록 결합되며, 모바일기기(M)의 수평폭에 대응되는 폭에 따라 상기 가이드롤러의 위치를 이동결합하도록 상하로 관통되게 타공형성된 다수의 롤러결합공(212)이 형성된 거치판(210)과;
    상기 거치판(210) 전방측으로 절개형성되고, 모바일기기(M)의 인출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잡아당기기 용이하도록 전방이 개방된 사각의 인출홈부(220)와;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모바일거치충전부(104)에 고정결합되도록 상기 거치판(210)의 전후로 하향절곡되어 형성되어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된 결합편(230)과;
    상기 거치판(210)의 후단으로 상향절곡되어 수직으로 기립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300)를 따라 이동되는 모바일기기(M)의 충전단자와 동일위치에 대응되는 일면에 상기 전원공급수단(400)의 전원단자(410)가 결합되는 전원접속공(242)이 형성되며, 모바일기기(M)가 더 이상 진행되는 것을 제한하는 전원접속편(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300)는 서로 다른 직경의 다단으로 형성된 2단롤러(320)로 형성되되, 상단롤러 직경이 하단롤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모바일기기(M) 상부를 상단롤러가 접촉하여 모바일기기 상부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전원단자(410)로 모바일기기 충전단자가 안내되어 접속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300) 중앙 외주연에 모바일기기의 두께에 대응되는 슬라이딩홈(340)이 외주연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홈(340)에 상기 모바일기기의 좌우가 끼움되어 가이드롤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측으로 모바일기기가 안내이동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
KR1020150131329A 2015-09-17 2015-09-17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 KR101736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329A KR101736782B1 (ko) 2015-09-17 2015-09-17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329A KR101736782B1 (ko) 2015-09-17 2015-09-17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517A KR20170033517A (ko) 2017-03-27
KR101736782B1 true KR101736782B1 (ko) 2017-05-18

Family

ID=5849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329A KR101736782B1 (ko) 2015-09-17 2015-09-17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7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6025A3 (en) * 2018-08-03 2020-04-30 Iws Global Pty Ltd. System for managing u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1385681B1 (en) 2020-08-05 2022-07-12 Bretford Manufacturing, Inc. Docking computer storage system
KR102498286B1 (ko) 2022-11-22 2023-02-08 배미선 충전 상태의 통합 제어를 기반으로 한 복수의 전자 기기의 충전 및 거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28882B1 (ko) 2023-08-22 2024-01-25 이종윤 태블릿 pc 충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208B1 (ko) * 2018-10-17 2019-08-09 강신만 충전상태 확인이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충전함
KR102020588B1 (ko) 2018-11-08 2019-09-10 김남원 모바일기기 충전기능을 갖는 케이스
KR102511488B1 (ko) * 2022-10-27 2023-03-17 주식회사 블루인텍 스마트 장치 충전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655Y1 (ko) 2004-06-09 2004-08-21 노하우뱅크(주)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KR101165939B1 (ko) * 2011-10-07 2012-07-20 이동현 모바일기기 충전식 멀티보관장치
KR200464110Y1 (ko) * 2012-10-19 2012-12-11 유현 모바일 기기용 충전식 보관장치
KR101262301B1 (ko) * 2013-01-14 2013-05-13 주식회사 두드림 모바일 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 기기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655Y1 (ko) 2004-06-09 2004-08-21 노하우뱅크(주) 휴대단말기용 충전기
KR101165939B1 (ko) * 2011-10-07 2012-07-20 이동현 모바일기기 충전식 멀티보관장치
KR200464110Y1 (ko) * 2012-10-19 2012-12-11 유현 모바일 기기용 충전식 보관장치
KR101262301B1 (ko) * 2013-01-14 2013-05-13 주식회사 두드림 모바일 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 기기 충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6025A3 (en) * 2018-08-03 2020-04-30 Iws Global Pty Ltd. System for managing u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1385681B1 (en) 2020-08-05 2022-07-12 Bretford Manufacturing, Inc. Docking computer storage system
KR102498286B1 (ko) 2022-11-22 2023-02-08 배미선 충전 상태의 통합 제어를 기반으로 한 복수의 전자 기기의 충전 및 거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28882B1 (ko) 2023-08-22 2024-01-25 이종윤 태블릿 pc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517A (ko) 201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782B1 (ko) 다수의 모바일기기 충전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충전장
US9836086B2 (en) Adjustable docking stand with ejector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KR101165939B1 (ko) 모바일기기 충전식 멀티보관장치
US10401905B2 (en) Slide dock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6994575B1 (en) Desktop charger with adjustable connector module
KR200464110Y1 (ko) 모바일 기기용 충전식 보관장치
US8780546B2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US8619416B2 (en) Dual-orientation docking apparatus
US9276423B2 (en) Charging base for multiple different sized components positioned using rotating elements
US20130069381A1 (en) Carrying case
WO2015017827A1 (en) Adjustable docking stand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US20090045152A1 (en) Medicine cart
US20130009592A1 (en) Autonomous device battery exchange
JP2015133888A (ja) 電子機器の多量充電装置
KR20140007049A (ko)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TW201607804A (zh) 充電車及其存放架
KR101447950B1 (ko) 무선 충전기
CN110958527B (zh) 充电座和头戴式耳机
KR101262301B1 (ko) 모바일 기기 거치대 및 모바일 기기 충전장치
KR101459357B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휴대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1308506B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위한 홀더
US20140268582A1 (e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system and method
US20120305502A1 (en) Electronic device stand with keyboard attachment
CN112449032B (zh) 移动终端
JP3169098U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