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636Y1 - 멀티형 냉온풍기 - Google Patents

멀티형 냉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636Y1
KR200359636Y1 KR20-2004-0015648U KR20040015648U KR200359636Y1 KR 200359636 Y1 KR200359636 Y1 KR 200359636Y1 KR 20040015648 U KR20040015648 U KR 20040015648U KR 200359636 Y1 KR200359636 Y1 KR 200359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cooling
indoo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희
Original Assignee
김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희 filed Critical 김선희
Priority to KR20-2004-0015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6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6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얼음팩 또는 전열히터등의 열매체를 이용하여 실내의 냉난방을 가능케 하는 냉온풍기에 관련한 것으로서, 특히 고유기능인 냉난방 기능외에 다양한 부가기능을 추가하므로써 실용성에 주안점을 둔 멀티형 냉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 제 1실시예의 냉온풍기는 몸체(10), 상기 몸체(10)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강제대류에 의해 열교환하여 주는 냉난방부(30),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건의 수납용도로 사용되는 수납부(40),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오염공기 또는 고온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실내공기배출부(50), 및 상기 몸체(10)상에 구비되어 냉난방 및 실내공기배출기능 등을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2실시예의 냉온풍기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강제대류에 의해 열교환하여 주는 제 1, 2냉난방부(130,140),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2냉난방부(130,140)에 구비된 얼음팩과 같은 열교환기를 냉동시키기 위한 열교환기 냉동실(150), 상기 몸체(100)상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다시 실내로 환원하여 주는 공기청정부(160), 및 상기 몸체(100)상에 구비되어 냉난방 제어 및 냉동실, 공기청정부를 각각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부(17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멀티형 냉온풍기{Multy type cool and heating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얼음팩 또는 전열히터등의 열매체를 이용하여 실내의 냉난방을 가능케 하는 냉온풍기에 관련한 것으로서, 특히 고유기능인 냉난방 기능외에 다양한 부가기능을 추가하므로써 실용성에 주안점을 둔 멀티형 냉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냉온풍기는 축류팬의 회전력에 의존하는 단순 송풍방식의 선풍기에 비해 송풍량 또는 냉방효율등이 향상되고, 경우에 따라 제습 및 온풍기능을 겸하는 경우가 많아 선풍기와는 구별되며, 또한 보급율이 급진된 에어컨보다는 냉난방효율이 그리 높지 않음이 분명하므로 선풍기와 에어컨의 중간상품으로서 인식되어 있다. 하지만 에어컨에 비해 가격이나 전력소비량등의 면에서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보급률이 낮기 때문에 기능성 또는 실용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의 여지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냉방성능의 향상 및 기능성을 보다 다양화한 냉온풍기를, 실용신안등록 제257381호(독립송풍방식의 복층식 냉온풍기) 및 실용신안등록 제257382호(수납부를 낮는 냉온풍기)에 의해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전자의 복층식 냉온풍기는 냉난방기능의 향상에 보다 치중되어 부가기능이 전혀 없으며, 후자의 수납부를 갖는 냉온풍기는 수납부라는 부가기능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에어컨에는 흔히 갖추어져 있는 예컨데 공기청정기능, 환기기능 등이 없어 보다 현실적인 기능 추가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래 기능인 냉난방 성능을 유지하면서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갖는 멀티형 냉온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형 냉온풍기의 제 1실시예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형 냉온풍기의 제 2실시예
도 4는 도 2의 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프론트 패널
12a : 공기흡입구 12b : 공기배출구
14 : 설치실 16 : 송풍팬
18 : 팬모터 20 : 열교환기
21 : 열교환 가속판 22: 클립
24 : 응축수 트레이 26 : 에어필터
28 : 단열재 30 : 냉난방부
40 : 수납부 50 : 실내공기배출부
52 : 공기배출구 60 : 제어부
100 : 몸체
102a, 102c : 공기흡입구 102b, 102d : 공기토출구
103 : 격벽 104 : 제 1설치실
106 : 제 2설치실 108 : 제 1송풍팬
110 : 제 2송풍팬 109,111 : 팬모터
112 : 제 1열교환기 113 : 굴곡면
114 : 제 2열교환기 115 : 열교환 가속판
116 : 클립 118 : 제 1응축수 트레이
120 : 제 2응축수 트레이 122 : 제 1에어필터
124 : 제 2에어필터 130 : 제 1냉난방부
140 : 제 2냉난방부 150 : 열교환기 냉동실
160 : 공기청정부 170 : 제어부
제시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멀티형 냉온풍기는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강제대류에 의해 열교환하여 주는 냉난방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건의 수납용도로 사용되는 수납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오염공기 또는 고온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실내공기배출부, 및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어 냉난방 및 실내공기배출기능 등을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멀티형 냉온풍기는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강제대류에 의해 열교환하여 주는 제 1, 2냉난방부, 상기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2냉난방부에 구비된 얼음팩과 같은 열교환기를 냉동시키기 위한 열교환기 냉동실,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다시 실내로 환원하여 주는 공기청정부, 및 상기 몸체상에 구비되어 냉난방 제어 및 냉동실, 공기청정부를 각각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형 냉온풍기의 제 1실시예로서, 도면에 따르면 제 1실시예의 냉온풍기는 몸체(10), 냉난방부(30), 수납부(40), 실내공기배출부(50), 제어부(60)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그 후방이 전방에 비해 협소한 형상으로 되어 실내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시 설치공간의 점유율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그 전방에 공기흡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를 갖는 프론트 패널(12)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흡입구(12a)와 공기배출구(12b)는 루버에 의해 공기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프론트 패널(12)에 의해 개폐 가능한 설치실(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설치실(14)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흡입구(12a)를 통해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공기토출구(12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강제대류수단인 횡류형 송풍팬(16)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팬모터(18)가 설치된다.
또한, 송풍팬(16)의 후방에는 공기를 저온 또는 고온으로 열교환시켜주는 열교환기(20)가 설치된다. 이 열교환기(20)는 공기를 저온화하기 위한 얼음팩 또는 공기를 고온화하기 위한 전열히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얼음팩은 공기흡입구(12a)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토출구(12b)로 워놜하게 유동되도록 만곡형상으로 되며, 적어도 공기와 접하는 면은 산과 골이 연속된 굴곡면(20a)으로 되어 열교환면적을 보다 확장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열교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열교환기(20)는 설치실(14)의 내부에 설치된 클립(22)으로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20)의 하나인 얼음팩의 표면에는 열교환을 보다 촉진시키기 위하여 열전달효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의 열교환 가속판(21)이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20)의 하부에는 열교환기(20)의 표면에 발생되는 응축수가 낙수될 경우 이를 포집하기 위한 응축수 트레이(24)가 설치된다. 이 응축수 트레이(24)는 프론트 패널(12)을 개방한 상태에서 서랍식으로 탈거가 가능하므로 만수시에는 응축수를 버린 후 재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12)의 공기흡입구(12a)측 직후방에는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므로써 공기토출구(12b)로 토출될 때는 신선한 공기가 실내로 환원되도록 하는 에어필터(2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에어필터(26)는 에어컨등에 흔히 사용되는 예컨데 광촉매 원리를 이용한 흡진식 에어필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설치실(14)의 내벽면중 후면과 양측면에는 단열재(28)가 설치되어 설치실(14)과 외부와의 열교환으로 인한 열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수납부(40)는 서랍형으로 열고 닫을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집안내에 수납공간이 부족한 현실을 반영하므로써 수납장으로서의 역할도 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실내공기배출부(50)는 몸체(10)의 상부측에 위치하므로써 실내의 오염공기 또는 더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실내공기배출부(50)의 내부에는 별도의 공기배출용 송풍팬 및 팬모터(미도시)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실내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미설명부호 52는 공기배출구(52)이다. 이 공기배출구(52)는 덕트에 의해 실외와 연결되므로써 실내공기배출부(50)의 전방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공기배출구(5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는 냉온풍기의 통상적인 제어 예컨데 온/오프 제어, 풍량, 바람의 방향등의 제어와 함께 실내공기배출부(50)의 온/오프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멀티형 냉온풍기의 제 2실시예이다. 도면에 따르면, 제 2실시예의 냉온풍기는 몸체(100), 제 1, 2냉난방부(130,140), 열교환기 냉동실(150), 공기청정부(160), 제어부(170)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 후방이 전방에 비해 협소한 형상으로 된다. 그 이유는 상술한 바 있다.
그리고, 몸체(100)는 그 전방에 제 1공기흡입구(102a) 및 제 1공기토출구(102b)와, 제 2공기흡입구(102c) 및 제 2공기토출구(102d)를 갖는 프론트 패널(102)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각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는 루버에 의해 공기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1공기토출구(102b)와 제 2공기토출구(102d)는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 1공기흡입구(102a)와 제 2공기흡입구(102d)는 원접하게 위치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가 인접할 경우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와의 간섭으로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격벽(10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분된 제 1설치실(104)과 제 2설치실(10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 2설치실(104,106)의 내부에는 제 1, 2공기흡입구(102a,102c)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제 1, 2공기토출구(102b,102d)를 통해 각각 배출되도록 하는 강제대류수단인 횡류형 제 1, 2송풍팬(108,110)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팬모터(109,11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2송풍팬(108,110)의 후방에는 공기를 저온 또는 고온으로 열교환시켜주는 제 1, 2열교환기(112,114)가 설치된다. 이 제 1, 2열교환기(112,114)는 공기를 저온화하기 위한 얼음팩 또는 공기를 고온화하기 위한 전열히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얼음팩은 각 공기흡입구(102a,102c)로 유입된 공기가 각 공기토출구(102b,102d)로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도록 만곡형상으로 되며, 적어도 공기와 접하는 면은 산과 골이 연속된 굴곡면(113)으로 되어 열교환면적을 보다 확장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열교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 1, 2열교환기(112,114)는 제 1, 2설치실(104,106)의 내부에 설치된클립(116)으로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12,114)의 하나인 얼음팩의 표면에는 열교환을 보다 촉진시키기 위하여 열전달효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의 열교환 가속판(115)이 설치된다.
상기 제 1, 2열교환기(112,114)의 하부에는 제 1, 2열교환기(112,114)의 표면에 발생되는 응축수가 낙수될 경우 이를 포집하기 위한 제 1, 2응축수 트레이(118,120)가 설치된다. 이 제 1, 2응축수 트레이(118,120)는 프론트 패널(102)을 개방한 상태에서 서랍식으로 탈거가 가능하므로 만수시에는 응축수를 버린 후 재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102)의 제 1, 2공기흡입구(102a,102c)측 직후방에는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므로써 제 1, 2공기토출구(102b,102d)로 토출될 때는 신선한 공기가 실내로 환원되도록 하는 제 1, 2에어필터(122,12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에어필터(122,124)는 에어컨등에 흔히 사용되는 예컨데 광촉매 원리를 이용한 흡진식 에어필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2설치실(104,106)의 내벽면중 후면과 양측면에는 단열재(126)가 설치되어 제 1, 2설치실(104,106)과 외부와의 열교환으로 인한 열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공기청정부(160)는 별도의 송풍팬 및 팬모터와 에어필터등을 설치하여 실내공기를 계속적으로 순환시켜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수단이다. 실내공간내에는 건축자재나 가구, 생활용품중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를 정화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데, 이를 감안한 기능이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 냉동실(150)은 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얼음팩을 별도의 냉동고에서 얼려야 하는 불편함을 고려한 얼음팩 전용 결빙수단이다. 이때, 열교환기 냉동실(150)은 얼음팩의 얼림용도 이외에 일반적인 냉동고로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170)은 냉온풍기의 통상적인 제어 예컨데 온/오프 제어, 풍량, 바람의 방향등의 제어와 함께 냉동실(150) 및 공기청정부(160)의 온/오프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기본적인 냉온풍 가능외에 꼭 필요한 부가 기능들을 추가하므로써 사용상 편리성과 실용성을 보다 배가시킨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몸체(10), 상기 몸체(10)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강제대류에 의해 열교환하여 주는 냉난방부(30),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물건의 수납용도로 사용되는 수납부(40),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오염공기 또는 고온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실내공기배출부(50), 및 상기 몸체(10)상에 구비되어 냉난방 및 실내공기배출기능 등을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냉온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공기흡입구(12a)와 공기토출구(12b)를 갖는 프론트 패널(12)에 의해 개폐 가능한 설치실(14)이 구비되고, 이 설치실(14)의 내부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12)에 구비된 공기흡입구(12a)를 통해 실내공기를 강제로 유입하여 프론트 패널(12)에 구비된 공기토출구(12b)를 통해 배출하는 강제대류수단인 송풍팬(16) 및 팬모터(18)가 내장되며, 상기 송풍팬(16)의 후방에는 송풍팬에 의해 유도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면서 유도되는 공기를 저온 또는 고온으로 열교환시켜주는 만곡형상의 열교환기(20)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20)의 하부에는 열교환기로부터 낙수되는 응축수를 포집하기 위한 응축수 트레이(24)가 내장되며, 상기 공기흡입구의 직후방에는 공기흡입구(12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주는 에어필터(26)가설치되고, 상기 설치실(14)의 내면은 외부와의 열교환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2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냉온풍기.
  3. 몸체(100),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강제대류에 의해 열교환하여 주는 제 1, 2냉난방부(130,140),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2냉난방부(130,140)에 구비된 얼음팩과 같은 열교환기를 냉동시키기 위한 열교환기 냉동실(150), 상기 몸체(100)상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정화하여 다시 실내로 환원하여 주는 공기청정부(160), 및 상기 몸체(100)상에 구비되어 냉난방 제어 및 냉동실, 공기청정부를 각각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부(1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냉온풍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제 1, 2공기흡입구(102a,102c)와 제 1, 2공기토출구(102b,102d)를 갖는 프론트 패널(102)에 의해 개폐 가능한 제 1, 2설치실(104,106)이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고, 각 설치실의 내부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102)에 구비된 제 1, 2공기흡입구(102a,102c)를 통해 실내공기를 강제로 유입하여 프론트 패널(102)에 구비된 제 1, 2공기토출구(102b,102d)를 통해 배출하는 강제대류수단인 제 1, 2송풍팬(108,110) 및 팬모터(109,111)가 내장되며, 상기 각 송풍팬(108,110)의 후방에는 각 송풍팬에 의해 유도되는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유도하면서 유도되는 공기를 저온 또는 고온으로 열교환시켜주는 만곡형상의 제 1, 2열교환기(112,114)가 설치되고, 상기 각 열교환기의 하부에는 각 열교환기로부터 낙수되는 응축수를 포집하기 위한 제 1, 2응축수 트레이(118,120)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2공기흡입구(102a,102c)의 직후방에는 이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주는 제 1, 2에어필터(122,124)가 설치되고, 상기 각 설치실의 내면은 외부와의 열교환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12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냉온풍기.
KR20-2004-0015648U 2004-06-04 2004-06-04 멀티형 냉온풍기 KR200359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648U KR200359636Y1 (ko) 2004-06-04 2004-06-04 멀티형 냉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648U KR200359636Y1 (ko) 2004-06-04 2004-06-04 멀티형 냉온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636Y1 true KR200359636Y1 (ko) 2004-08-21

Family

ID=4943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648U KR200359636Y1 (ko) 2004-06-04 2004-06-04 멀티형 냉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6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434B1 (ko) 2005-06-03 200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품 수납형 공기청정기
KR101856634B1 (ko) * 2018-01-11 2018-05-14 구본웅 냉기 또는 온기 공급 기능을 갖는 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434B1 (ko) 2005-06-03 200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품 수납형 공기청정기
KR101856634B1 (ko) * 2018-01-11 2018-05-14 구본웅 냉기 또는 온기 공급 기능을 갖는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912B1 (ko) 환기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
KR900000269B1 (ko) 냉동기에 의한 건조방법 및 장치
WO2005095874A1 (ja) 調湿装置
JP2007510885A (ja) 熱・湿気交換手段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並びに複数の空気調和装置を用いた室内温度及び湿度調節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2314183B1 (ko)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
CN112577122B (zh) 空调
JP4325716B2 (ja) 調湿装置
KR200359636Y1 (ko) 멀티형 냉온풍기
CN209744605U (zh) 厨房空调一体机
KR200408403Y1 (ko) 측면 혹은 배면에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직립형 냉난방기
KR200404334Y1 (ko) 외기흡입장치가 구비된 코너 스탠드형 에어컨
CN209744606U (zh) 厨房空调一体机
JP4544419B2 (ja) 空気調和機
KR100529921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H07101113B2 (ja) 空調用床置形換気ユニット
CN215062423U (zh) 空调室内机
CN218154535U (zh) 空调室外机
CN215571590U (zh) 一种调温调湿箱
CN218001662U (zh) 空调室内机
CN216522004U (zh) 空调室内机
JPH04353327A (ja) 換気機能付空気調和装置
KR20040040034A (ko) 제습장치
KR20090028855A (ko) 공기 조화 장치
CN2197619Y (zh) 恒温空气交换机
KR200237404Y1 (ko) 전열교환기용 열교환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