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583Y1 -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 Google Patents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583Y1
KR200359583Y1 KR20-2004-0013993U KR20040013993U KR200359583Y1 KR 200359583 Y1 KR200359583 Y1 KR 200359583Y1 KR 20040013993 U KR20040013993 U KR 20040013993U KR 200359583 Y1 KR200359583 Y1 KR 200359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wich panel
combustible material
combustible
fille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수
최영준
Original Assignee
김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수 filed Critical 김은수
Priority to KR20-2004-0013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5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5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8Rockwoo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불연성 재료로 된 충전재를 충전하되, 불연성 재료의 양 옆 단면부위에는 발포 폴리스티렌(일명 스티로폼)이 위치되게 하여 불연성 재료로부터 유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불연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안전성을 도모하는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철재로 된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방음, 단열, 불연성을 갖는 충전재가 위치된 샌드위치패널에 있어서, 충전재는, 평면상 중간부위는 불연성 재료로 되고, 불연성 재료의 외측에는 그 폭의 합이 불연성 재료의 폭보다는 좁게 스티로폼이 각각 위치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샌드위치패널에서 불연성 재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60% 이상이 되므로 기본적으로는 규정에 부합되는 정도의 불연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불연성 재료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아 작업자, 취급자, 사용자 모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가의 불연성 재료의 사용량이 줄어 샌드위치패널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샌드위치패널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Nonflammable sandwich panel to prevent harmful objects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고안은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불연성 재료로 된 충전재를 충전하되, 불연성 재료의 양 옆 단면부위에는 발포 폴리스티렌(이하, 스티로폼)이 위치되게 하여 불연성 재료로부터 유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불연성을 구현함과 동시에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안전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샌드위치패널은 조립식 건물의 외벽 또는 지붕에 외장재로 사용되거나, 실내의 칸막이 등에 내장재로 사용되는 등 건축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건축재료로서, 철재로 되어 있는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방음, 단열 등의 성능을 갖는 충전재가 위치되어 일체로 합지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샌드위치패널에 있어 충전재는 방음, 단열성을 갖는 재료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한데, 최근에는 방음, 단열성과 함께 불연성이 요구되면서 그라스울, 암면, 미네랄울, 화이버폼과 같은 불연성 재료가 충전재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샌드위치패널은 상하 양측에서 철판으로 된 상판과 하판이 각각 공급되고, 중간에서는 충전재가 그 상하면에 접착제가 칠해지면서 상판과 하판의 사이로 투입되어 압착롤러를 통과하면서 자동으로 부착되는 것이므로 샌드위치패널의 외측에서는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서 충전재가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으며, 이때 충전재로서 불연성 재료를 사용한 경우 불연성 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유리가루와 같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충전재의 노출부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샌드위치패널을 제조하는 작업자, 샌드위치패널을 취급하는 취급자, 또는 샌드위치패널을 적용한 건축물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충전재로서 100% 불연성 재료를 사용하게 되면 높은 불연성을 도모할 수는 있지만 제조원가가 증가되는 다른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충전재를 구성함에 있어 불연성 재료의 외측에 인체에 무해한 스티로폼을 위치시켜 불연성 재료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연성을 도모하면서도 작업중, 취급중 또는 사용중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불연성 재료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체를 보호할 수 있으며, 샌드위치패널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의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샌드위치패널 20 : 충전재
21 : 불연성 재료 22 : 스티로폼
31 : 상판 32 : 하판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샌드위치패널은 주지하다시피 철판으로 된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방음, 단열, 불연성을 갖는 충전재가 위치되어 일체로 합지되어 이루어지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샌드위치패널에서 충전재의 구성에 그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10)의 충전재(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 중간부위가 그라스울, 암면, 미네랄울, 화이버폼 등의 불연성 재료(21)로 구성되고, 불연성 재료(21)의 외측에는 그 폭의 합이 불연성 재료(21)의 폭보다는 좁게 스티로폼(22)이 각각 위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불연성 재료(21)로 된 부위의 폭은 충전재(20) 전체 폭의 60%이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샌드위치패널을 제조할 때에는 상부와 하부에서 철판으로 된 상판(31)과 하판(32)이 각각 공급되게 하고, 중간에서는 충전재(20)가 투입되면서 자동으로 접착제가 칠해지도록 하여 상/하판(31/32)과 충전재(20)를 일체로 합지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샌드위치패널(10)의 충전재(20)는 불연성 재료(21)의 양측에 스티로폼(22)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므로 샌드위치패널(10)의 제작 전에 불연성 재료(21)의 양측에 스티로폼(22)을 각각 접합시켜 완품의 충전재(20)를 준비하거나, 또는 샌드위치패널(10)의 제작시 불연성 재료(21)와 함께 그 양측에서 스티로폼(22)이 각각 공급되면서 서로 접합되게 하고, 이러한 충전재(20)를 상판(31)과 하판(32)의 사이에 부착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은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그라스울, 암면, 미네랄울, 화이버폼 등의 불연성 재료(21) 외측에 스티로폼(32)이 각각 위치되어 이루어진 충전재(20)가 상판(31)과 하판(32)의 사이에 위치되므로 내측의 불연성 재료(21)는 상부로는 상판(31), 하부로는 하판(32), 외측으로는 스티로폼(22)에 의해 각각 막힌 상태가 되어 불연성은 유지하면서 유리가루와 같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은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샌드위치패널(10)을 제조하는 작업자, 샌드위치패널(10)을 사용하여 건축물을 축조하는 취급자, 샌드위치패널(10)로 축조된 건축물을 사용하는 사용자 모두 불연성 재료(21)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불연성 재료(21)는 충전재(20) 전체 폭의 60%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또 스티로폼(22)도 최근에는 난연성 스티로폼이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본 고안에 이러한 난연성 스티로폼을 적용할 경우 규정에 부합되는 불연성의 샌드위치패널(10)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불연성 재료(21)에 비해 저가인 스티로폼(22)이 불연성 재료(21)와 같이 적용되므로 전체적인 샌드위치패널(10)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샌드위치패널(10)의 외곽측에서의 강성이 보강되어 샌드위치패널(10)의 휨이나 쳐짐이 없는 안전하고 견고한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부수적인 이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60%이상의 불연성 재료와 그 외측에서 불연성 재료의 노출을 막아주는 스티로폼으로 충전재를 구성한 것이므로 이러한 충전재가 철판으로 된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위치되면 기본적으로는 규정에 부합되는 정도의 불연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불연성 재료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아 작업자, 취급자, 사용자 모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수적으로는 샌드위치패널의 제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철재로 된 상판(31)과 하판(32)의 사이에 방음, 단열, 불연성을 갖는 충전재(20)가 위치된 샌드위치패널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20)는,
    평면상 중간부위는 불연성 재료(21)로 되고, 상기 불연성 재료(21)의 외측에는 그 폭의 합이 상기 불연성 재료(21)의 폭보다는 좁게 스티로폼(22)이 각각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성 재료(21)로 된 부위의 폭은 상기 충전재(20) 전체 폭의 60%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성 재료(21)는 그라스울, 암면, 미네랄울, 화이버폼 중 선택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KR20-2004-0013993U 2004-05-20 2004-05-20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KR200359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993U KR200359583Y1 (ko) 2004-05-20 2004-05-20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993U KR200359583Y1 (ko) 2004-05-20 2004-05-20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583Y1 true KR200359583Y1 (ko) 2004-08-21

Family

ID=49435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993U KR200359583Y1 (ko) 2004-05-20 2004-05-20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5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2010390A (es) Mejoras a edificios modulares, elementos de construccion, metodos y materiales para los mismos.
US10392797B2 (en) Single leaf separating wall
KR100696092B1 (ko) 건축용 조립식 방화 판넬
KR102064271B1 (ko) 차열 성능이 우수한 방화문
KR101079374B1 (ko) 내화용 샌드위치 판넬
KR101048860B1 (ko) 샌드위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359583Y1 (ko) 유해물질 배출방지용 불연성 샌드위치패널
KR101868211B1 (ko) 건축용 판넬
KR100701497B1 (ko) 건축용 무모르타르 블럭
KR200373994Y1 (ko) 샌드위치 복합패널
KR20190136376A (ko) 불연성 복합 단열판
KR200466813Y1 (ko) 방화 방음 판넬 구조
JP5991229B2 (ja) 建物壁部の耐火構造
KR100546445B1 (ko) 건축물의 층간바닥구조
KR200420072Y1 (ko) 건축용 조립식 방화 판넬
JP4162616B2 (ja) 不燃性パネル
KR20130055945A (ko) 구조용 목재가 포함된 단열복합패널 및 그 단열복합패널을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KR102066672B1 (ko) 건축물 외벽 패널
FI123413B (fi) Palomuuri
JP2006161403A (ja) 外壁の耐火構造
CN218323478U (zh) 一种防火多用途墙板
KR20060019267A (ko)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
KR102024461B1 (ko) 조적 블록 구조체
KR20050080076A (ko) 조립식 금고실 벽체패널 및 벽체구조
CN207538690U (zh) 一种强吸音防噪木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