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461B1 - 조적 블록 구조체 - Google Patents

조적 블록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461B1
KR102024461B1 KR1020180024804A KR20180024804A KR102024461B1 KR 102024461 B1 KR102024461 B1 KR 102024461B1 KR 1020180024804 A KR1020180024804 A KR 1020180024804A KR 20180024804 A KR20180024804 A KR 20180024804A KR 102024461 B1 KR102024461 B1 KR 102024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onry
masonry block
block structure
groov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3863A (ko
Inventor
박춘임
Original Assignee
박춘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임 filed Critical 박춘임
Priority to KR1020180024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46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적 블록 구조체는, 상호 조적되며, 인접하는 조적면에 상호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조적 블록 및 복수 개의 조적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요홈에 삽입되며, 내부 중공을 갖는 각판 형상의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적 블록 구조체{MASONRY BLOCK STRUCTURE}
본 발명은 조적 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건축물의 외벽체 및 내벽체에 ALC 블록의 조적 블록 구조가 많이 시공되고 있다. ALC 블록은 경량기포콘크리트 블록으로서, 동일한 크기의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중량이 약 4분의 1정도로 가벼워 경량성이 뛰어나고, 내화성이 뛰어나며 규산질 원료, 석회질 원료, 분말생석회, 석고, 알루미늄 등의 기포제 등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고 발포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무기질로서 유해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일반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열 전도율이 약 10분1로서 단열성이 우수하며 차음성이 좋아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뛰어나 최근 들어 다양한 건축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ALC 블록을 사용하는 조적 블록 구조체는, 중량이 가벼워 외부에서 전해지는 충격에 약하고, 외부 충격 등에 쉽게 파손되거나 무너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진 등의 위험에 대비한 내진 성능 측면에서도 종래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취약한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강도를 보강하고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적 블록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도를 보강하고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적 블록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적 블록 구조체는, 상호 조적되며, 인접하는 조적면에 상호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조적 블록; 및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홈에 삽입되며, 내부 중공을 갖는 각판 형상의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 블록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홈은, 각각의 조적 블록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홈부; 및 각각의 조적 블록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하며, 하나의 조적 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제1 홈부 및 제2 홈부는,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의 상하 방향에서 서로 다른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인접하는 조적 블록의 제2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인접하는 조적 블록의 제1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보강부재는, 각각, 상기 상하 방향에서 인접하는 조적 블록의 제1 홈부와 제2 홈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홈은,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의 상하 방향에서 지그 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홈은,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의 상하 방향에서 사인 웨이브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보강부재의 상기 내부 중공은,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은, ALC 블록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은, 황토 블록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홈 상에 형성되며, 상기 조적 블록의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강도를 보강하고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적 블록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적 블록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조적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조적 블록 구조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적 블록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적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조적 블록에 보강 보재의 삽입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적 블록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조적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조적 블록 구조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적 블록 구조체(10)는, 수직 골조부재(100), 조적 블록(300) 및 보강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골조부재(100)는,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10)를 통한 외벽체 또는 내벽체 등을 형성할 때, 후술하는 조적 블록들(3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직 골조부재(100)는 소정 강도를 갖는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로써, H 빔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적 블록(300)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호 조적되며, 일정한 높이로 바닥면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조적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들(300)은, ALC 블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ALC 블록은, 시멘트와 규사, 생석회등 무기질 원료를 고온, 고압으로 증기 양생 시킨 경량 기포 콘크리트로 시공속도가 빨라 결과적으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건축된 실내의 유효면적이 증가하며 단열성이 뛰어나고 기포가 형성되어 있어 통기성이 우수하고, 건축된 건축물의 자중이 감소되고 내화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들(300)은, 각각, 블록 본체(310), 외장재(330), 단열재(350) 및 요홈(3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 본체(3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갖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블록 본체(310)의 상면(302)과 하면(306)에는 후술하는 요홈(37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장재(330)는, 상기 조적 블록(3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외장재(330)는 상기 조적 블록(300)의 조적을 통한 상기 건축물의 외벽체 또는 내벽체를 형성할 때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350)는, 상기 외장재(330)와 상기 블록 본체(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단열재(350)는 단열 기능을 갖는 다양한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요홈(370)은, 상기 블록 본체(310)의 상면(302)과 하면(306)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홈(370)은 상기 블록 본체(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대략적으로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요홈(370)은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들(300)의 조적 시, 조적 블록들(300)의 인접하는 조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인접하는 조적 블록들(300)의 요홈들(370)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들(300)의 조적 시, 함께 소정 크기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요홈(370)은 제1 홈부(372) 및 제2 홈부(3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부(372) 및 상기 제2 홈부(376)는, 하나의 조적 블록(300)을 기준으로,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10)의 상하 방향에서 서로 다른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홈부(372) 및 상기 제2 홈부(376)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 개의 요홈들(370)은, 상기 조적 블록들(300)의 조적 시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10)의 상하 방향에서 지그 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홈부(372) 및 상기 제2 홈부(376)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 개의 요홈들(370)은, 상기 조적 블록들(300)의 조적 시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10)의 상하 방향에서 사인 웨이브(SINE WAVE)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상기 제1 홈부(372) 및 상기 제2 홈부(376)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상기 제1 홈부(372)는, 상기 조적 블록(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적 블록(300)의 상면(302)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홈부(372)는 상기 조적 블록들(300)의 조적 시 상측에 인접하는 조적 블록(300)의 제2 홈부(376)와 함께 후술하는 보강 부재(500) 삽입을 위한 소정 크기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홈부(372)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인접하는 조적 블록(300)의 상기 제2 홈부(376)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홈부(376)는, 상기 조적 블록(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적 블록(300)의 하면(306)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홈부(376)는 상기 조적 블록들(300)의 조적 시 하측에 인접하는 조적 블록(300)의 제1 홈부(372)와 함께 후술하는 보강 부재(500) 삽입을 위한 소정 크기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500)는,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10)의 강도를 보강하고 내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들(300)의 상기 요홈(370)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보강 부재들(500)은,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10)의 상하 방향에서 인접하는 조적 블록들(300)의 제1 홈부(372)와 제2 홈부(376)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보강 부재들(500)은, 상기 조적 블록들(300)의 상기 요홈(370)에 삽입된 이후 상기 수직 골조부재(100)와 용접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보강 부재들(500)은, 각각, 내부 중공(550)을 갖는 각판 형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중공(550)은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보강 부재들(500)을 통해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10)의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내진 성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 부재들(500)이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내부 중공(550)을 구비하는 각판 형상으로 구비되기에, 비틀림 강성 또한 우수한 조적 블록 구조체(10)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 부재들(500)이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10)의 상하 방향에서 상기 사인 웨이브 형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요홈들(370)을 통해 사인 웨이브 형상으로 배치되기에, 내진 성능 측면에서도 종파 충격 뿐만 아니라 횡파 충격에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진 성능 측면에서 살펴 보면, 상기 종파 충격은 각판 형상의 보강 부재들(500)의 형상을 통해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횡파 충격은 상기 보강 부재들(500)의 사인 웨이브 형상 배치를 통해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골조부재(100), 역시, 상기 보강 부재들(500)의 사인 웨이브 형상 배치를 통해 용접 포인트 또한 사인 웨이브 형상으로 배치되기에, 상기 수직 골조부재(100) 부근에서도 종파 및 횡파 충격에 강한 내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조적 블록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적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조적 블록에 보강 부재의 삽입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적 블록(700)은, 황토 블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황토 블록은, 최근의 에코 트렌드에 따른 사용자 등에게 자연 친화적이 심미감을 제공하며, 향균, 탈취 및 보온 측면에서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황토 블록은 원적외선 방사로 유해 전자파를 차단함과 아울러 높은 습도 조절 성능을 통해 보다 더 쾌적한 내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조적 블록(700)은, 블록 본체(710), 외장재(730), 단열재(750), 요홈(770) 및 연통 스페이서(7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 본체(710), 상기 외장재(730), 상기 단열재(750) 및 상기 요홈(770)은 앞선 실시예의 상기 블록 본체(310), 상기 외장재(330), 상기 단열재(350) 및 상기 요홈(77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외장재(730) 및 상기 단열재(750) 없이 상기 블록 본체(710)가 황토 벽돌로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연통 스페이서(790)는, 상기 요홈(770) 상에 형성되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블록 본체(7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 개의 연통 스페이서들(790)은 상기 조적 블록(7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블록 본체(710)에 관통되게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적 블록(700)의 조적 시 상기 조적 블록(700)의 상하 방향에서 인접하는 조적 블록(700)의 연통 스페이서들(790)과 상호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연통 스페이서들(790)의 지름(D), 즉, 상기 복수 개의 연통 스페이서들(790)의 폭(D)은 상기 요홈(770)에 상기 보강 부재(500) 삽입 후 상기 복수 개의 연통 스페이서들(790)의 적어도 일부가 인접하는 연통 스페이서들(790)과 연통될 수 있도록 상기 요홈(770)의 폭(t)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연통 스페이서들(790)은 상기 요홈(770)에 상기 보강 부재(500)가 삽입된 이후 소정의 연통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통 공간은 상기 조적 블록(700) 내부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여, 공기를 순환시켜 통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통 공간으로 인한 유로 공간으로 인해 여름철에는 바깥의 더운 공기를 막아주며, 겨울철에는 내부로 온기를 발산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강도를 보강하고 내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적 블록 구조체(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조적 블록 구조체
100: 수직 골조부재
300: 조적 블록
310: 블록 본체
330: 외장재
350: 단열재
370: 요홈
372: 제1 홈부
376: 제2 홈부
500; 보강부재
550: 중공
700: 조적 블록
710: 블록 본체
730: 외장재
750: 단열재
770: 요홈
790: 연통 스페이서

Claims (10)

  1. 조적 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상호 조적되며, 인접하는 조적면에 상호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조적 블록; 및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홈에 삽입되며, 종파 충격 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내부 중공을 갖는 각판 형상의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는,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을 지지하는 수직 골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보강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요홈은,
    횡파 충격 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의 조적 시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의 상하 방향에서 지그 재그 형태의 사인 웨이브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직 골조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홈에 삽입된 상기 복수 개의 보강 부재와 용접 결합되며,
    상기 수직 골조부재와 상기 복수 개의 보강 부재 사이의 용접 결합에 따른 용접 포인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홈의 사인 웨이브 형상의 배치를 통해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의 상하 방향에서 사인 웨이브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는,
    상기 용접 포인트의 사인 웨이브 형상 배치를 통해 상기 횡파 충격 시 상기 수직 골조부재 부근에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 블록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홈은,
    각각의 조적 블록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홈부; 및
    각각의 조적 블록의 하면에 형성되는 제2 홈부;를 포함하며,
    하나의 조적 블록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제1 홈부 및 제2 홈부는,
    상기 조적 블록 구조체의 상하 방향에서 서로 다른 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 블록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인접하는 조적 블록의 제2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서 인접하는 조적 블록의 제1 홈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 블록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보강부재는, 각각,
    상기 상하 방향에서 인접하는 조적 블록의 제1 홈부와 제2 홈부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 블록 구조체.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보강부재의 상기 내부 중공은,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 블록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은,
    ALC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 블록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은,
    황토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 블록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조적 블록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홈 상에 형성되며, 상기 조적 블록의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 블록 구조체.
KR1020180024804A 2018-02-28 2018-02-28 조적 블록 구조체 KR10202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804A KR102024461B1 (ko) 2018-02-28 2018-02-28 조적 블록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804A KR102024461B1 (ko) 2018-02-28 2018-02-28 조적 블록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863A KR20190103863A (ko) 2019-09-05
KR102024461B1 true KR102024461B1 (ko) 2019-09-23

Family

ID=6794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804A KR102024461B1 (ko) 2018-02-28 2018-02-28 조적 블록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4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692B1 (ko) * 2014-05-20 2016-03-02 김형숙 경량블럭을 이용한 단열과 방음기능이 개선된 벽체구조
KR101727688B1 (ko) * 2015-08-07 2017-04-18 박영택 조적이 용이한 흙 벽돌 구조 및 흙 벽돌 조적 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692B1 (ko) * 2014-05-20 2016-03-02 김형숙 경량블럭을 이용한 단열과 방음기능이 개선된 벽체구조
KR101727688B1 (ko) * 2015-08-07 2017-04-18 박영택 조적이 용이한 흙 벽돌 구조 및 흙 벽돌 조적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863A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35206U (zh) 外墙内保温板
US20020043045A1 (en) Modular panels for building construction
CN204551880U (zh) 一种蒸压加气混凝土复合墙板
CN203684430U (zh) 一种蒸压加气混凝土保温板
KR20130001243A (ko) 에너지 및 질량 효율적 빌딩 블록, 그 제조 및 적용 방법
KR100908920B1 (ko)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구조
CN101886445B (zh) 复合自保温墙体砌块
KR100717967B1 (ko) 다중경량 단열방음공간벽돌
KR100970239B1 (ko) 건축물 외벽용 패널
KR102024461B1 (ko) 조적 블록 구조체
KR20210012106A (ko) 난방용 바닥재
US20220081902A1 (en) Pre-insulated block
KR101183908B1 (ko) 층간차음바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층간차음구조
KR102214758B1 (ko) 건축물의 외단열에 사용되는 pf석재패널 등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패널 시공법
KR20080084520A (ko) 보강철근이 구비된 alc블록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63496B1 (ko) 조립식 경량판넬.
KR102249058B1 (ko) 조립식 벽체
EP2534318B1 (de) Baukörper mit eingeführtem akustikkörper
KR102334250B1 (ko) 열메타 구조를 이용한 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
CN215368011U (zh) 一种高品质大型砌块
CN201778428U (zh) 复合自保温墙体砌块
KR101454309B1 (ko) 비내력 내벽 경량벽체
KR100916309B1 (ko) 콘크리트 구조체
EP3186456B1 (en) Thermal insulating façade construction component
CN205476040U (zh) 一种轻质复合隔墙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