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267A -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 - Google Patents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267A
KR20060019267A KR1020040067844A KR20040067844A KR20060019267A KR 20060019267 A KR20060019267 A KR 20060019267A KR 1020040067844 A KR1020040067844 A KR 1020040067844A KR 20040067844 A KR20040067844 A KR 20040067844A KR 20060019267 A KR20060019267 A KR 20060019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ans
finishing material
building
building finishing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625B1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1020040067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6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coustic absorption means on the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5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축물의 공간을 구성하는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무리 또는 장식을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가 제공된다.
상기 건축물 마감재는, 내부 충진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충진재 충진공간이 일체로 형성된 단위셀들이 모여서 전체적으로 판형태로 구성되는 마감재 몸체수단 및, 상기 마감재 몸체수단의 충진공간에 충진되고, 충진후 이탈이 방지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이나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를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축물 마감재는, 마감재 몸체수단에 단위셀들에 구비된 여러 형태의 충진공간에 황토와 같이 불연성이면서 인체건강에 유익한 기능 또는, 화재시 화염에 강한 시멘트 등의 불연성 기능을 각각 또는 동시에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가 충진되면서 이 충진재의 단위셀이탈이 방지됨으로서,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마감재로 간편하게 사용되면서 여러 유익한 기능들이 제공되는 것은 물론, 이를 이용하여 방음용 마감재나 가스운송덕트로 대용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매우 실용적인 마감재를 제공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는다.
건축물 마감재, 다기능 마감재, 황토, 기능성 재료, 마감재 유니트

Description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Finishing Materials for Structure and Gas Duct using The Same Materia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건축물 마감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제 1 실시예의 건축물 마감재에서 내부공간 확장형 다공 몸체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도 2의 본 발명인 마감재의 몸체수단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도 2의 'A' 요부도
(b)는 도 2의 'B' 방향 요부도
(c)는 도 3a의 'C-C'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제 1 실시예의 건축물 마감재에 충진되는 기능성 재료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몸체수단내에 황토가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b)는 몸체수단내에 한약재 등의 추가적인 기능성 건강재료를 포함하는 황토가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c)는 몸체수단내에 시멘트 또는 석고 등의 불연성 물질이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d)는 몸체수단내에 불연성물질을 함유하는 경량 합성수지폼이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감재에서 충진된 재로이탈 현상의 차단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제 1 실시예에서 내부공간 확장형 다공 몸체수단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제 1 실시예의 건축물 마감재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몸체수단의 일측면이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b)는 몸체수단의 양측면이 마감처리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인 제 2 실시예의 건축물 마감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요부 사시도
(b)는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제 3 실시예의 건축물 마감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요부 사시도
(b)는 측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제 4 실시예의 건축물 마감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횡단면도
(b)는 바닥에 개구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제 1-4 건축물 마감재의 모서리부분에 덮여지는 커버부재 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1단 마감재인 경우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b)는 커버부재에 제공되는 탄성홈과 탄성 체결구를 도시한 상세도
(c)는 2단 마감재인 경우의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건축물 마감재가 방음용으로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흠음기능을 갖는 마감재를 도시한 사시도
(b)는 방음용 마감재를 벽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c)는 방음용 마감재를 커버부재로 처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건축물 마감재를 이용한 또 다른 실시에로서 가스운송덕트를 도시한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건축물 마감재를 나타낸 사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0,200,300,400.... 건축물 마감재
500.... 건축물 마감재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
10,110,210,310.... 충진공간
20,120,220,310.... 몸체수단
22,122,222,322.... 몸체수단의 단위셀
26.... 이탈방지턱 40.... 황토
42.... 기능성 물질 50.... 불연성 충진재
60.... 불연성 경량합성수지폼 80.... 덮개부재
90.... 1단 마감재의 커버부재 90'.... 다단 마감재의 커버부재
124,224....격벽 126,226.... 충진재 통과공
228,328.... 돌기 326.... 밀폐면
410.... 흡음부재 500.... 가스온송덕트
510.... 합성수지시트(층)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공간을 구성하는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등의 마무리 또는 장식을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마감재 몸체수단에 구비된 다수의 내부확장형 다공들에 황토 또는, 한약재, 숯, 솔잎 등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황토 혹은, 시멘트 등의 불연성 물질등이 충진되고, 이 충진재의 이탈이 방지됨으로서,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마감재로 간편하게 사용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 또는 화염에 강한 불연성 기능을 제공하면서, 필요시 방음용 마감재로도 사용할 수 고, 이와 같은 마감재를 이용하여 부식성이 강한 유해가스의 운송덕트로도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체적으로 매우 실용적인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물의 내부공간을 건축물에 사용환경에 맞는 기능을 제공하면서, 건축물에 의한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고, 특히 건축물의 내부 마무리나 특정 장식적인 외관을 제공하기 위여 건축 구조물에 대상부분 예를 들어, 내부벽, 바닥 또는 천장 등에는 마감재를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근래에는 건축물 마감재가 외관적으로 미려하게 하거나 마감시공을 견고하게 하는 것에 더하여, 건축물의 사용자에서 건강적으로 이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성 마감재의 요구가 증폭되고 있고, 이와 같은 기능성 건강물질을 포함하는 마감재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건축물 마감재에 황토 등의 기능성 건강물질을 충진 또는 포함시키어 이 마감재로 시공된 건축물내에 인체에 이로운 기능들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마감재가 알려져 있고, 특히 현재 '웰빙' 의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이와 같은 기능성 마감재의 수요가 증폭되고 있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공보 1999-0083715호(건축용 황토 내부 마감재) 또는 동 공보 2003-0051518호(마루판)에서는 내부에 황토 또는 옥가루, 숯가루, 황토가루등을 충진한 건축물 마감재 또는 마루판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기 공보들에서 제공된 종래의 마감재나 마루판등은 단순히 판재형태의 몸체에 특정형태의 다공들을 형성시키고, 황토 등의 기능성 물질들을 충진시킨후, 그 상,하측을 한지(창호지)등의 덮개부재로 밀봉시키고, 그 위에 필요에 따라 무늬목등을 결합시킨 형태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마감재 등은 마감재 몸체를 이루는 판재에 단순히 다공(충진 공간)을 형성시킨 것이기 때문에, 실제 충진재이 마감재의 사용시 건조 수축되거나 분말 형태이므로 몸체인 판재에서 손쉽게 이탈되는 재료이탈현상이 발생되고, 결국 종래 마감재는 기능성 물질을 그대로 노출시킨 상태로 시공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반드시 이를 덮는 덮개부재가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판재인 마감재 몸체부분의 내부 충진공간에서 초기 충진된 황토나 기능성 물질의 가루들이 그대로 이탈되기 때문에, 기능성 물질의 충진과 이를 다지는 마감작업도 용이하지 않은 다른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건축물 마감재에 충진되는 황토 등의 기능성 물질이 마감재 몸체내부에서 가능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건축물 마감재가 요구되어 왔다.
또한, 기능성 물질이 충진된 건축물 마감재를 가스운송덕트로 사용한 기술이 제안된 바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마감재 몸체수단에 구비된 다수의 내부확장형 다공들에 황토 또는, 한약재, 숯, 솔잎 등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황토 혹은, 시멘트 등의 불연성 물질등이 충진되고, 이 충진재의 이탈이 방지됨으로서,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마감재로 간편하게 사용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 또는 화염에 강한 불연성 기능을 제공하면서, 필요시 방음용 마감재로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인 건축물 마감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건축물 마감재에 합성수지시트를 일체로 결합시킨후, 이를 절곡하여 덕트형상으로 형성시킴으로서, 부식성이 강한 유해가스 운송용으로 대용하게 된 건축물 마감재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실시예의 제 1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감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에 있어서, 내부 충진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다수의 내부확장형 충진공간이 형성 된 마감재 몸체수단; 및,
상기 마감재 몸체수단의 내부 확장형 충진공간들에 충진되고, 충진후 이탈이 방지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이나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를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물 마감재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기술적인 일 실시예의 제 2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감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에 있어서, 내부 충진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격벽 돌출형 충진공간이 형성된 마감재 몸체수단; 및,
상기 마감재 몸체수단의 격벽 돌출형 충진공간들내에 충진되고, 충진후 이탈이 방지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이나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를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물 마감재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기술적인 일 실시예의 제 3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감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에 있어서, 내부 충진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격벽 및 돌기 구비형 충진공간이 형성된 마감재 몸체수단; 및,
상기 마감재 몸체수단의 격벽 및 돌기 구비형 충진공간내에 충진되고, 충진후 이탈이 방지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이나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를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물 마감재를 마련함에 의한다.
그리고, 또한, 기술적인 일 실시예의 제 4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감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에 있어서, 내부 충진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밀폐 돌기형 충진공간이 형성된 마감재 몸체수단; 및,
상기 마감재 몸체수단의 밀폐 돌기형 충진공간내에 충진되고, 충진후 이탈이 방지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이나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를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물 마감재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기술적인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감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에 있어서, 제 1항, 제 5항, 제 10항 및, 제 1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몸체수단;
상기 몸체수단의 내부 충진공간들에 충진되고, 충진후 이탈이 방지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이나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를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 및,
상기 기능성 충진재가 충진된 몸체수단사이에 제공되어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부재;
를 포함하여 방음기능을 추가로 제공토록 구성된 건축물 마감재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기술적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제 1항, 제 5항, 제 10항 및, 제 1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마감재의 적어도 일측면에 합성수지시트가 부착되고, 일체로 절곡되어 가스 운송용 덕트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여러 실시예들에서 동일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로 설명하고, 관련 구성요소는 100단위의 부호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건축물 마감재(1)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건축물 마감재(1)는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감처리와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시공 처리되는 건축물 마감재로서 크게 몸체수단(20)과 상기 몸체수단(20)에 충진되는 기능성 충진재로 나누어 지고, 이에 더하여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덮개부재(80)를 포함 할 수 있는데, 이들 구성요소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건축물 마감재(1)의 상기 몸체수단 (2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마감재 몸체수단(20)은, 다음의 도 4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몸체수단(20)의 내부에 충진되고 다음에 도 4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기능성 충진재(40)(50)(60)들의 몸체수단 이탈을 방지시키도록 다수의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수단(20)은 전체적으로 일정두께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마감재(1)가 시공 사용되는 건축물의 환경에 맞추어 그 두께가 조정되는 일정두께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이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셀(22)들이 연이어 연결되어 단위셀라인(L)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단위셀라인(L)들이 전,후측 즉, 판형태의 몸체수단 길이방향(X)으로 연속 결합되어 상기 몸체수단(20)은 전체적으로 일정두께의 판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수단(20)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수단(20)의 단위셀(22)은 일정두께의 역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같은 역 U 자 형상의 단위셀(22)들이 도 1의 몸체부재(20)에서 폭방향(Y)으로 연이어 연결되어 하나의 단위셀라인(L)을 이룬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단위셀라인(L)은 그 전,후측에 인접하여 다른 단위셀라인 (L)과 일체로 연결되는데, 예를 들어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측 단위셀(22)들의 하단(22a)과 하부측 단위셀(22)들의 라운딩한 상단(22b)이 일체로 연결되 면서 몸체수단 (20)은 전체적으로 다수의 단위셀라인들이 전,후측에 연결되는 판재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셀(22)들사이에 제공되는 상기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은 위에서 볼때 아래쪽이 좁은 타원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단위셀라인(L)의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은 전체적으로는 대략적으로 벌집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수단(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은, 상기 몸체수단 단위셀(22)의 상,하측에서 평면상으로 일체로 돌출 형성된 충진재 이탈방지턱(24)들에 의하여 내부 확장되는 형태의 공간이 제공될 수 있고, 결국 이 이탈방지턱(24)들에 의하여 충진공간 (10)내에 충진된 기능성 충진재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이탈방지턱(24)은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감재 몸체수단(20)의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내에 황토 등의 기능성 충진재가 충진되고, 시공후 충진재가 건조되어 수축되어 상기 몸체수단 단위셀(22)과 수축된 충진재사이에 미세한 틈 D가 형성되어도 상기 이탈방지턱(24)에 의하여 충진재의 몸체수단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건축물 마감재(1)는 황토 등의 기능성 충진재를 사용하여도 몸체수단(2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에 충진되므로 충진재의 충진량을 최대한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지금까지 설명한 상기 몸체수단(20)은 전체적으로는 휘어짐이 용이한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으로 성형 제작될 수 있고, 이와 같은 합성수지체의 몸체수단(20)은 크기나 휘어짐 상태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을 용이하게 할 것이고, 하나의 판형태 몸체수단(20)을 절단하여 여러 형태의 몸체수단(20)으로 가공시키는 것도 매우 용이하게 할 것이며, 내부 충진재의 충진전에는 그 무게도 매우 가볍기 때문에, 이동이나 보관등도 용이하게 할 것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제 1 건축물 마감재(1)인 경우에는 이탈방지턱(24)이 일체로 단위셀(22)들의 상하 수평면상으로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실제 마감재 몸체수단 제작시에는 역 U 자형 단위셀(22)들을 길이방향(X) 연결시키고, 이 단위셀라인(L)을 전후로 일체화시키어 하나의 합성수지 구조체로 제작하게 된다.
이때, 도 14에서는 본 발명인 제 1 건축물 마감재(1)를 사진으로 나타내고 있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제 1 건축물 마감재(1)의 상기 몸체수단(20)에 충진되는 기능성 충진재들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기능성 충진재들은 다음의 다른 실시예들의 건축물 마감재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고, 이 기능성 충진재들의 설명은 도 4를 토대로 집중적으로 설명하며, 다음에서는 그 설명을 간략한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충진재는, 상기 마감재 몸체수단(20)의 단위셀(22)들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내부확장형 충진 공간 (10)들에 충진되고, 단위셀의 이탈방지턱(24)에 의하여 충진후 건조 수축되어도 몸체수단(20)에서의 이탈이 최소화되고, 특히 인체 건강에 유익한 전강적인 기능이나 화재시 화염에 강한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건축물 마감재(1)의 상기 몸체수단(20)의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내에 충진되는 상기 기능성 충진재는,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을 발생시키면서 동시에, 타지 않는 불연성의 황토(40)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황토(40)는 수분 함수율이 5-10% 정도이고 입자를 고르게 처리하여 몸체수단(20)의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에 충진시킨 다음,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여 충진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후, 압착시키어 몸체수단(20)의 내부에 긴밀하게 충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황토는 세균을 흡수 제거하고 원적외선을 발산시켜 생체리듬을 활성화시키는 인체에 건강적인 기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근래에는 이와 같은 황토의 효능으로 인하여 건축물의 벽이나 바닥 등을 황토로 이용하는 추세가 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황토로 된 기능성 충진재(40)는 인체 건강에 유익한 세균제거나 원적외선 발생 뿐만 아니라, 수분이 건조되면서 굳으면 강도가 매우 강하여 마감재의 강도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황토로 된 기능성 충진재 (40)에는 내부 충진재에서 발생되는 건강적인 기능을 보다 강화시키도록 다른 건강적인 기능을 발생시키는 한약재, 숯 분말 또는, 솔잎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42)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한약재가 인체 건강에 유익하다는 것은 물론이고, 숯은 강한 흡착력이 있어 독소를 제거하는 기능과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황토와 혼합하여 사용하면 본 발명인 마감재(1)에서 곰팡이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시킬 것이다.
그리고, 솔잎은 통상 식물 특히 소나무의 잎에서는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여러가지 살균물질 즉, 피톤치드(phytoncide)라는 물질을 발생시키는데, 이 피톤치드는 공기중의 세균이나 곰팡이를 제거하고, 해충 등을 줄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따라서 솔잎을 황토와 함께 혼합하여 내부 충진재(40)로 사용하면 그 만큼 마감재의 수명이 오래 가고 곰팡이 등의 서식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것이다.
이때, 기능성 충진재가 황토인 경우에는 실제 현장시공시 콩기름들을 발라서 그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 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감재(1)에서 상기 몸체수단 (20)의 단위셀(22)내에 형성되는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에 충진되는 또 다른 기능성 충진재(50)는, 불연성 물질 즉, 화염에 강한 시멘트, 석고, 석회, 질석, 규사 또는 목탄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제 1 건축물 마감재(1)에서 도 4c의 불연성 물질인 충진재(50)가 내부에 충진되어 굳어지면, 이와 같은 내부 충진재는 화재시 화염에 강판 불연성물질이므로 본 발명의 마감재는 불연성 마감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단위셀(22)들로서 구성되어 구비된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에 불연성 충진재(50)가 충진되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몸체수단(20)의 여러 잇점을 이용하면서 화재에 취약한 건축물의 마감재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4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감재(1)의 몸체수단(20)의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에 충진되는 또 다른 기능성 충진재는, 불연성 물질 즉, 앞에서 설명한 시멘트, 석고, 석회, 질석, 규사 또는 목탄중 하나의 불연성 물질과 합성수지액을 혼합하고, 이를 몸체수단(20)의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에 충진시킨후, 일체로 발포 성형시키어 충진되는 불연성 경량합성수지폼(6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불연성 경량합성수지폼(60)은 불연성 물질 즉, 시멘트, 석고, 석회, 질석, 규사 또는 목탄중 하나를 선택하여 분말화시킨후 합성수지액 예를 들어, 우레탄에 혼합하여 충진 공간내에 충진시킨후, 일체로 발포시키어 불연성 경량 합성수지폼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4d의 본 발명의 제 1 건축물 마감재(1)에 충진되는 다른 내부충진재인 불연성 경량합성수지폼(60)은 불연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화염에는 강하면서, 도 4a 나 도 4c에서 도시한 마감재 보다는 합성수지폼(60)의 내부 충진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만큼 경량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4d의 내부 경량 합성수지폼의 충진재(60)를 사용한 건축물 마감재 (1c)는 제작공정은 조금 복잡하지만 마감재의 경량화를 이루도록 하는 다른 잇점을 제공한다.
다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마감재(1)에서 몸체수단 (20)을 그 중심선(C)을 기준으로 절단시키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인데, 이 경우는 내부충진재들(40)(50)(60)중 하나가 충진되면서 부착되는 벽(W)의 반대쪽으로 단위셀(22)에는 이탈방지턱(2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충진재의 이탈이 차단되기 때문에, 사용상 문제는 없을 것이고, 이 경우 몸체수단(20)을 반으로 절단시키어 사용하기 때문에, 시공비용을 줄이도록 하는 잇점을 제공하지만, 마감재의 전체 두께가 얇아지므로 적당한 건축물에 사용하면 될 것이다.
다음, 도 2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감재는 상기 몸체수단(20)의 적어도 일측에 겹합되는 덮개부재(8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덮개부재(80)는 상기 기능성 충진재가 충진 처리된 몸체수단(20)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 결합되는 부착포, 한지 또는 충진재의 건강적인 기능을 통과시키어 발산을 가능히게 하는 미세한 다공을 갖는 합성수지시트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재(80)는 몸체수단(20)의 일측면 즉, 본 발명의 마감재(1)가 부착되는 벽(W)에 접착제(C)로서 부착되는 일측에만 제공되는데, 이는 몸체수단(20)의 타측에는 덮개부재(80)를 덮지 않아 내부 충진재가 황토(40)나 한약재(42)들이 황토인 경우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들이 바로 외부로 발산되기 때문에, 보다 인체 건강에 유익할 것이다.
그런데, 마감재(1)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는 경우에는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C)로서 몸체수단(20)의 타측에도 덮개부재(80)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 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덮개부재(80)는 각각 벽(W)측에는 부직포를 사용하고, 반대쪽으로 외관적으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한지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인데, 이는 부직포인 경우 마감재(1)와 벽(W)의 접착 고정력을 높이도록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마감재(1)를 대상으로 설명한 상기 덮개부재(80)는 다음의 다른 실시예들의 마감재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다음,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제 2 실시예의 건축물 마감재(100)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8a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8b는 측 단면도이다.
즉,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제 2 실시예의 다기능 건축 마가재(100)도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감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로서, 크게 내부 충진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격벽 돌출형 충진공간(110)이 형성된 마감재 몸체수단(120) 및, 상기 마감재 몸체수단(120)의 격벽 돌출형 충진공간(110)들내에 충진되고, 충진후 이탈이 방지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이나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를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성 충진재는 도 4a 내지 도 4d에서 도시한 황토(40), 불연성 충진재(50) 또는, 불연성 경량합성수지폼(60)중 하나를 사용하면 되고, 본 실시예에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 건축물 마감재(100)에서 상기 몸체수단(120)은, 내 부에 상기 격벽 돌출형 충진공간(110)이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셀(122)들이 모여서 전체적으로 일정두께의 판형태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체이다,.
이때, 본 제 2 실시예의 구성적 특징인 상기 몸체수단(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격벽 돌출형 충진공간(110)은, 상기 몸체수단 단위셀(122)의 내측 중앙부분에서 일체로 수평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충진재 통과공(126)이 형성된 격벽(124)에 의하여 격벽 돌출형 충진공간으로 구성되고, 결국 그 내부에 충진되는 여러 기능성 충진재(40)(50)(60)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건축물 마감재(100)에서는 단위셀(122)의 중앙에 충진재 통과공(126)이 형성된 격벽(124)이 제공되기 때문에, 충진되는 여러 형태의 충진재(40)(50)(60)가 몸체수단(120)의 단위셀(122)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24)이 중앙에 수평 형성되는 상기 몸체수단 단위셀(122)의 격벽 연결부위(122a)는 강도유지를 위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제 2 건축물 마감재(100)는 실제로는 제 1 마감재와 같이 상하측에서 수명 돌출되는 이탈방지턱(24)이 없기 때문에, 합성수지체인 몸체수단(120)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 제작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ek.
다음, 도 9에서는 본 발명인 제 3 실시예의 건축물 마감재(200)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9a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9b는 측 단면도이다.
즉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건축물 마감재(200)도 건축 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감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로서, 크게 내부 충진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격벽 및 돌기 구비형 충진공간(210)이 형성된 마감재 몸체수단 및, 상기 마감재 몸체수단(220)의 격벽 및 돌기 구비형 충진공간(210)내에 충진되고, 충진후 이탈이 방지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이나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를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성 충진재는 도 4a 내지 도 4d에서 도시한 황토(40), 불연성 충진재(50) 또는 불연성 경량합성수지폼(60)중 하나를 사용하면 되고, 본 실시예에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수단(220)은, 내부에 상기 격벽 및 돌기 구비형 충진공간(210)이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셀(222)들이 모여서 전체적으로 일정두께의 판형태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체로 제공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제 3 건축물 마감재(200)는 실제로는 제 1 마감재와 같이 상하측에서 수명 돌출되는 이탈방지턱(24)이 없기 때문에, 합성수지체인 몸체수단 (220)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 제작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적 특징인 상기 몸체수단(2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격벽 및 돌기 구비형 충진공간(210)은, 상기 몸체수단 단위셀(222)의 내측 중앙부분에서 일체로 수평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진재 통과공(226)과 상하로 돌출된 돌기(228)들을 구비한 격벽(224)에 의하여 격벽 및 돌기 구비형 충진공간으로 구성되고, 결국 상기 격벽 및 돌기 구비형 충진공간(210)의 내부에 충진된 기능성 충진재(40)(50)(60)는 상기 몸체수단의 단위셀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때, 도 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격벽(224)이 중앙에 수평 형성되는 상기 몸체수단 단위셀(222)의 격벽 연결부위 (222a)는 강도유지를 위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10에서는 본 발명인 제 4 실시예의 건축물 마감재(300)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10a는 바닥 밀폐형을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6b는 바닥 개구형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즉, 도 10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제 4 건축물 마감재(300)도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감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로서, 크게 내부 충진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밀폐 돌기형 충진공간(310)이 형성된 마감재 몸체수단 (320) 및, 상기 마감재 몸체수단(320)의 밀폐 돌기형 충진공간(310)내에 충진되고, 충진후 이탈이 방지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이나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를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능성 충진재는 도 4a 내지 도 4d에서 도시한 황토(40), 불연성 충진재(50) 또는 불연성 경량합성수지폼(60)중 하나를 사용하면 되고, 본 실시예에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10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수단(320)은, 내부에 상기 밀폐 돌기형 충진공간(310)이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셀(322)들이 모여서 전체적으로 일정두께의 판형태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체로 제공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제 4 건축물 마감재(300)는 실제로는 제 1 마감재와 같이 상하측에서 수명 돌출되는 이탈방지턱(24)이 없기 때문에, 합성수지체인 몸체수단 (320)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 제작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10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제 4 건축물 마감재(300)에서 상기 몸체수단(3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밀폐 돌기 구비형 충진공간 (310)은, 상기 몸체수단 단위셀(322)의 일측에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수직돌기(328)들을 구비하는 밀폐면(326)에 의하여 밀폐 돌기형 충진공간으로 구성되고, 결국 그 내부에 충진된 기능성 충진재의 이탈은 상기 수직돌기(328)들과 밀착되기 때문에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밀폐면(326)이 있어서 한쪽으로는 이탈이 차단되게 된다.
이때, 도 10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돌기(328)의 상단에는 충진재와의 접촉을 긴밀하게 하는 돌기머리(328a)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그런데, 도 10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면(326)에는 충진재 통과공(326a)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충진재의 충진방향으로 도 10a의 마감재 보다는 양쪽에서 진행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잇점을 제공하며, 실제 충진재(40)(50)(60)의 이탈은 상기 밀폐면(326)상의 수직돌기(328)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다음, 도 11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인 제 1-4 건축물 마감재(1) (100)(200)(300)의 모서리부분에 덮여지는 커버부재(90)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도 11a는 1단 마감재인 경우 커버부재를 도시하고 있고, 도 11b는 커버부재에 제공되는 탄성홈과 탄성 체결구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11c는 2단 마감재인 경우의 커버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셀들의 여러 형태의 충진공간내에 기능성 충진재들이 충진된 몸체수단의 모서리부분에는 금속체 또는 합성수지체로 일체로 형성된 ㄷ 자 형상의 커버부재(90)가 제공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커버부재(9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 1-4 마감재들은 하나의 세트품으로서 유통 시공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1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협력하여 마감재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홈(92)과 탄성 체결구(9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커버부재(90)에 형성된 탄성홈(92)에 다른 커버부재(90)에 형성된 탄성 체결구(94)가 끼워지면서 탄성 연결되어 세트화된 본 발명 마감재의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1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물 마감재(1)(100) (200)(300)들의 몸체수단들은 2단이상의 다단 적층될 수 있고, 이경우 상기 커버부재(90)는 다단의 몸체수단에 대응하여 그 크기가 결정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2,도 8,도 9 및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제 1-4 마감재(1)(100) (200)(300)(400)들의 몸체수단 단위셀(22)(122)(222)(322)들의 내측 충진공간(10) (110)(210)(310)들의 형상이 위에서 볼 때, 타원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기타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원형, 사각, 육각, 팔각등의 다각형태 또는 마름모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건축물 마감재(100)(200)(300)를 시공하는 경우, 그 몸체수단들의 단위셀에 충진되는 기능성 충진재가 불연성의 시멘트, 석회, 질석, 규사 및, 목탄중 하나(50)(도 4c)이거나, 또는 상기 불연성 충진재를 포함하는 불연성 경량 합성수지폼(60)(도 4d)인경우, 상기 몸체수단(120)(220)(320)의 단위셀(122)(222)(322)의 그 상,하단 노출부위의 두께(P)는 화재시 연소되는 것을 방지토록 적어도 10mm 이내 바람직하기는 5-10mm 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경우, 10mm 크면 몸체수단 단위셀인 합성수지체인 경우 연소되기 때문에, 가능한 10mm 이내의 두께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시공환경에 의하여 화재 우려가 없는 장소이면 상기 단위셀 두께는 10mm 보다 크게 형성시키는 것도 무방할 것인데, 실제 마감재의 시공시 휘어짐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는 상기 두께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데, 이는 불연성 재질 자체의 판재형태 보다는 본 발명의 마감재들은 합성수지체의 단위셀들을 구비하는 몸체수단내에 충진되기 때문에, 휘특성이 보다 우수하고, 이는 마감재의 보관과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할 것이다.
다음, 도 12에서는 본 발명인 마감재를 흡읍용 건축물 마감재(400)로 사용하 는 다른 실시예 즉, 방음용 건축물 마감재(40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방음용 건축물 마감재(400)는 지금까지 설명한 내부 충진재의 이탈을 최소하시키는 여러 형태의 충진공간(10)(110)(210)(310)들이 형성된 마감재 몸체수단(20)(120)(220)(320)들중 하나와, 그 내부에 충진되는 도 4에서 도시한 기능성 충진재(40)(50)(60)들중 하나 및, 상기 기능성 충진재가 충진된 몸체수단사이에 제공되어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부재(410)를 포함하여 방음용으로 구성시킨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흡음부재(410)는 다공성의 유리섬유, 석면 또는, 합성수지폼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수단들 사이의 흡음부재(410)는 여러 형태의 몸체수단들중 하나에 충진되어 굳어진 기능성 충진채를 통과하여 리벳형태로 결합되어 하나의 세트품으로 시공될 수 있다.
또는, 도 1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에 리벳(R)을 먼저 시공하고 본 발명의 방음용 건축물 마감재(400)에 구멍을 뚫어 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이때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몸체수단과 벽(W)사이에는 부직포의 덮개부재(80)가 부착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부측으로는 한지나 다공 합성수지시트 등의 다른 덮개부재(80)를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화재를 감안할때 외부측 덮개부재(80)를 부착시키지 않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 도 1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벳 대신에 ㄷ자 형상의 금속체나 합성수지체로 된 커버부재(90)를 사용하는 방음용 마감재를 세트화시킬 수 있고, 이 때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커버부재(90)에는 탄성홈과 탄성 체결구(도 11c)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방음용 건축물 마감재(400)에 있어서는, 불연성이 있으면서 인체에 유익한 건강적인 기능을 발생시키는 황토(40), 시멘트 등의 불연성 물질 (50) 또는 불연성 물질을 함유하는 경량의 합성수지폼(60)중 하나를 충진재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중의 몸체수단이 흡음부재(410)를 재개하여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전체적인 경량화를 위하여 불연성 경량 합성수지폼(60)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2단의 몸체수단사이에 흡음부재(410)를 개재시킨 전체적으로 3단의 방음용 마감재(400)를 도시하였지만, 그 적층 단의 수는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방음용 건축물 마감재(400)는, 불연성 물질을 포함하는 폼형태의 불연성 경량합성수지폼(60)이 충진되고, 한쌍의 몸체수단사이에 흡음부재(410)를 개재시킴으로서, 마감재의 불연성이나 경량화가 가능하면서 특히 소음을 흡수하여 방음시키는 흡음기능이 우수한 것이고, 예를 들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흡음용 건축물 마감재(400)는 화재시 대량의 인명피해가 발생되어 이를 예방하면서 방음기능이 필요한 노래방등의 마감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13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인 건축물 마감재(1)(100)(200)(300)중 하나를 내식성이 필요한 유해가스 운송용 덕트(500)로 사용하는 것이다.
즉,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설명한 제 1 - 4 실시예의 마감재(1)(100)(200)(300)중 하나의 몸체수단내의 충진공간에 기능성 충진재(40) (50)(60)들중 하나, 가장 바람직하기는 불연성이면서 경량화된 불연성 경량합성 수지폼 (60)(도 4d)을 충진시키고, 그 일측 또는 양측에 가스에 부식되지 않는 폴리에틸렌등의 합성수지시트(510)를 부착시키고, 이를 적정한 형태로 절곡시키어 전체적으로 내부에 유해가스가 흐르는 가스운송용 덕트(500)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감재를 이용하여 사용되는 가스 온송용 덕트(500)는 마감재들에 의하여 강도는 유지되면서 절곡 등의 형태변형이 가능하면서, 플랜지(F) 형태로 내측 합성수지시트(510)를 열용착이나 기타 체결방법으로 밀폐시키면, 그 내부에 유해가스 예를 들어, 현재 전자산업의 각종 가공공정 즉, 기판식각공정등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의 운반이 용이하게 되는데, 이는 내측 합성수지시트(510)는 가스에 부식되지 않고, 이 합성수지시트(510)의 약한 강도는 외측의 본 발명 마감재로 보상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에 의 하면, 합성수지로 성형된 마감재 몸체수단에 구비된 다수의 내부확장형 다공들에 황 토 또는, 한약재, 숯, 솔잎 등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황토 혹은, 시멘트 등의 불연성 물질등이 충진되고, 이 충진재의 이탈이 방지됨으로서,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마감재로 간편하게 사용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 또는 화염에 강한 불연성 기능을 제공하면서, 필요시 흡음용 마감재로도 사용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인 건축물 마감재를 제공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한편, 유해가스 운송용 덕트로 사용하여 견고하면서 내식성이 있는 덕트를 제공하는 다른 잇점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7)

  1.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감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1)에 있어서,
    내부 충진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다수의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이 형성 된 마감재 몸체수단(20); 및,
    상기 마감재 몸체수단(20)의 내부 확장형 충진공간(10)들에 충진되고, 충진후 이탈이 방지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이나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를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20)은, 내부에 상기 내부확장형 충진공간 (10)이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셀(22)들이 모여서 전체적으로 판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20)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내부확장형 충진공간(10)은, 상기 몸체수단(20)의 단위셀(22)의 상,하측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 충진재 이탈방지턱(24)에 의하여 내부확장형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능성 충진재의 단위셀이탈이 방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5.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감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100)에 있어서,
    내부 충진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격벽 돌출형 충진공간(110)이 형성된 마감재 몸체수단(120); 및,
    상기 마감재 몸체수단(120)의 격벽 돌출형 충진공간(110)들내에 충진되고, 충진후 이탈이 방지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이나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를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120)은, 내부에 상기 격벽 돌출형 충진공간 (110)이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셀(122)들이 모여서 전체적으로 판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120)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격벽 돌출형 충진공간(110)은, 상기 몸체수단 단위셀(122)의 내측 중앙부분에서 일체로 수평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충진재 통과공(126)이 형성된 격벽(124)에 의하여 격벽 돌출형 충진공간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충진된 상기 기능성 충진재의 단위셀이탈이 방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24)이 중앙에 수평 형성되는 상기 몸체수단 단위셀(122)의 격벽 연결부위(122a)는 강도유지를 위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10.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감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200)에 있어서,
    내부 충진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격벽 및 돌기 구비형 충진공간(210)이 형성된 마감재 몸체수단(220); 및,
    상기 마감재 몸체수단(220)의 격벽 및 돌기 구비형 충진공간(210)내에 충진되고, 충진후 이탈이 방지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이나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를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220)은, 내부에 상기 격벽 및 돌기 구비형 충진공간(210)이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셀(222)들이 모여서 전체적으로 판형태로 구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220)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2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격벽 및 돌기 구비형 충진공간(210)은, 상기 몸체수단 단위셀(222)의 내측 중앙부분에서 일체로 수평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진재 통과공(226)과 상하로 돌출된 돌기 (228)들을 구비한 격벽(224)에 의하여 격벽 및 돌기 구비형 충진공간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충진된 상기 기능성 충진재의 단위셀이탈이 방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224)이 중앙에 수평 형성되는 상기 몸체수단 단위셀(222)의 격벽 연결부위(222a)는 강도유지를 위하여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15.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감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300)에 있어서,
    내부 충진재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밀폐 돌기형 충진공간(310)이 형성된 마감재 몸체수단(320); 및,
    상기 마감재 몸체수단(320)의 밀폐 돌기형 충진공간(310)내에 충진되고, 충진후 이탈이 방지되면서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이나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를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320)은, 내부에 상기 밀폐 돌기형 충진공간(310)이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셀(322)들이 모여서 전체적으로 판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230)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3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밀폐 돌기 형 충진공간(310)은, 상기 몸체수단 단위셀(322)의 일측에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수직돌기(328)들을 구비하는 밀폐면(326)에 의하여 밀폐 돌기형 충진공간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충진된 상기 기능성 충진재의 단위셀이탈이 방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돌기(328)의 상단에는 충진재와의 접촉력을 높이는 돌기머리(328a)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면(326)에는 충진재 통과공(326a)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21. 제 1항, 제 5항, 제 10항 및, 제 1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의 모서리부분에 덮여지는 커버부재(9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협력하여 마감재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홈(92)과 탄성 체결구(94)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은 다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부재(90)는 다단의 몸체수단에 대응하여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24. 건축물의 벽, 바닥 또는, 천장 등의 마감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건축물 마감재(400)에 있어서,
    제 1항, 제 5항, 제 10항 및, 제 1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몸체수단;
    상기 몸체수단의 내부 충진공간들에 충진되고, 충진후 이탈이 방지되면서 인 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이나 불연성 기능 또는, 이들 모두를 제공하는 기능성 충진재; 및,
    상기 기능성 충진재가 충진된 몸체수단사이에 제공되어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부재(410);
    를 포함하여 방음기능을 추가로 제공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410)는 다공성의 유리섬유, 석면 또는, 합성수지폼중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과 그사이에 개재되는 흡음부재(410)는 리벳형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과 그사이에 개재되는 흡음부재(410)는 모서리부분에 덮여지는 커버부재(90)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90)는 서로 협력하여 방음용 마감재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탄성홈(92)과 탄성 체결구(94)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29. 제 1항, 제 5항, 제 10항 및,제 1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의 충진공간내에 충진되는 기능성 충진재는, 인체 건강에 유익한 기능을 발생시키면서 불연성의 황토(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충진재인 황토(40)에는 인체 건강에 유익한 다른 건강적인 기능을 추가로 발생시키는 한약재, 숯분말 및, 솔잎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42)이 추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31. 제 1항, 제 5항 , 제 10항 및, 제 1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의 충진공간에 충진되는 기능성 충진재는, 불연성의 시멘트, 석회, 질석, 규사 및, 목탄중 하나(50)인 불연성 충진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32. 제 1항, 제 5항 , 제 10항 및, 제 1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의 충진공간내에 충진되는 기능성 충진재는, 불연성 물질과 혼합된 합성수지가 충진 발포되어 경량화를 이루는 불연성 경량합성수지폼(60)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성 물질은, 시멘트, 석회, 질석, 규사 및, 목탄중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건출물 마감재
  34. 제 5항, 제 10항 및, 제 1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의 충진공간에 충진되는 기능성 충진재가 불연성의 시멘트, 석회, 질석, 규사 및, 목탄중 하나(50)이거나, 또는 상기 불연성 충진재를 포함하는 불연성 경량 합성수지폼(60)로 구성되고,
    상기 충진재(50)(60)들이 충진공간내에 충진되는 몸체수단의 단위셀은 그 상,하단 노출부위의 두께(P)가 화재시 연소되는 것을 방지토록 10mm 이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35. 제 1항, 제 5항, 제 10항, 제 15항 및, 제 21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단의 적어도 일측에 겹합되는 덮개부재(8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80)는 상기 기능성 충진재가 충진 처리된 몸체수단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 결합되는 부착포, 한지 및, 미세한 다공들을 갖는 합성수지시트중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
  37. 제 1항, 제 5항, 제 10항 및, 제 1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마감재의 적어도 일측면에 합성수지시트(510)가 부착되거나 합성수지층이 제공되고, 일체로 절곡되어 가스 운송용 덕트(500)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
KR1020040067844A 2004-08-27 2004-08-27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 KR100690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844A KR100690625B1 (ko) 2004-08-27 2004-08-27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844A KR100690625B1 (ko) 2004-08-27 2004-08-27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267A true KR20060019267A (ko) 2006-03-03
KR100690625B1 KR100690625B1 (ko) 2007-03-13

Family

ID=3712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844A KR100690625B1 (ko) 2004-08-27 2004-08-27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6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1318A2 (ko) * 2009-12-10 2011-06-16 Cho Hyun-Chul 내장부재를 구비하는 보드, 단열구조체 및 침수방지용 선박
KR101228918B1 (ko) * 2010-11-18 2013-02-01 곽원택 욕실천정 패널 조립체
KR20220095735A (ko) * 2020-12-30 2022-07-07 박창구 건축용 단열판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129B1 (ko) 2008-10-30 2011-09-30 이재준 허니컴판넬과 난방판넬이 결합된 방음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101132094B1 (ko) * 2009-12-10 2012-04-04 조현철 탄성체 내장 보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236B1 (ko) * 2007-03-06 2008-08-20 피에스케이 주식회사 배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처리장치, 그리고 배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1318A2 (ko) * 2009-12-10 2011-06-16 Cho Hyun-Chul 내장부재를 구비하는 보드, 단열구조체 및 침수방지용 선박
WO2011071318A3 (ko) * 2009-12-10 2011-11-03 Cho Hyun-Chul 내장부재를 구비하는 보드, 단열구조체 및 침수방지용 선박
KR101228918B1 (ko) * 2010-11-18 2013-02-01 곽원택 욕실천정 패널 조립체
KR20220095735A (ko) * 2020-12-30 2022-07-07 박창구 건축용 단열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625B1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1273A (en) Soundproof wall
MXPA02010390A (es) Mejoras a edificios modulares, elementos de construccion, metodos y materiales para los mismos.
KR100690625B1 (ko) 건축물 마감재 및, 이를 이용한 가스운송덕트
KR101135663B1 (ko) 흡음 천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81867B1 (ko) 방화문
KR20070109754A (ko) 조립식매트블럭
KR200431159Y1 (ko) 건축내장용 방음패널
JP2007126828A (ja) 断熱パネル、断熱パネルを用いた外壁構造
KR20130010736A (ko) 숯이 내장된 건축용 흡음재 및 흡음 도어
KR200332657Y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KR20080084460A (ko) 건축용 내 외장 패널 및 패널 제조 방법
KR200466813Y1 (ko) 방화 방음 판넬 구조
KR100555129B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KR100977168B1 (ko) 층간 소음 방지용 탄성 바닥재
KR200287104Y1 (ko) 건축재용 조립식 판넬
KR200380186Y1 (ko) 건축용 단열보드
US1926509A (en) Sound absorbing and deadening material
KR200401924Y1 (ko) 건축물용 층간소음 저감패널
KR200446774Y1 (ko) 흡음재를 일체로 접합 구성한 실내마감재
KR200422314Y1 (ko) 조립식 매트블럭
KR200401927Y1 (ko) 기능성 매트
JPH02229997A (ja) 複合パネル
JP2005133387A (ja) 鋼板・発泡材一体形成による外装用サイディング材
KR101609093B1 (ko) 친환경 조립식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2139231B1 (ko) 멀티기능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멀티기능형 실내장식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