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708Y1 -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 Google Patents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708Y1
KR200358708Y1 KR20-2004-0013376U KR20040013376U KR200358708Y1 KR 200358708 Y1 KR200358708 Y1 KR 200358708Y1 KR 20040013376 U KR20040013376 U KR 20040013376U KR 200358708 Y1 KR200358708 Y1 KR 200358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body
panel
coupling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김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4353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58708(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진 filed Critical 김경진
Priority to KR20-2004-0013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7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다에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사각 형상으로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에서 원통형의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바닥역할을 하는 패널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체(1)의 하부에 부력부재인 파이프(2)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3)이 형성된 커플링에 있어서, 본체(1)의 상부 양측에 가드역할을 하는 파이프(6)를 끼우기 위한 수평 관통공(12)이 형성된 난간대(14)를 일체로 형성하고 난간대의 사이에는 패널(10)이 끼워지는 요홈(13)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상향돌출편(15)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omitted}
본 고안은 바다에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는 바다에 사각 형상으로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에서 원통형의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바닥역할을 하는 패널이 고정되는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로는, 바다에서 고기를 양식하는 가두리 양식장 등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 해상 구조물의 커플링이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서, 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하부에 부력부재인 원통형 파이프(2)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3)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양측에는 난간대(4)가 끼워지는 삽입공(5)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난간대(4)는 파이프(6)가 끼워지는 "T"형 관(7)과 난간대(4)의 수직길이를 결정하는 수직관(8)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체(1)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삽입공(5)의 사이에 위치된 평면(9)에는 작업자가 걸어다닐 수 있도록 발판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패널(10)이 스크류(1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2)를 본체(1)에 형성된 관통공(3)의 내부로 차례로 끼우고 나면 발판역할을 하는 패널(10)을 본체(1)의 평면(9)상에 스크류(11)를 이용하여 차례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1)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3)에 파이프(2)를 끼워 커플링을 수면 위에 부상되도록 한 다음 발판역할을 하는 패널(10)을 고정시키고 나면 난간대(4)의 수직 길이에 따라 수직관(8)의 길이를 결정하여 만들어진 난간대(4)를 커플링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삽입공(5)에 차례로 끼우고 상기 난간대(4)의 "T"형 관(7)에 파이프(6)를 끼우므로써 해상구조물이 완성된다.
따라서 이렇게 시공된 해상 구조물을 바다에 띄워 놓으면 작업자가 패널(10)의 상면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는데, 이 때 난간대(4)에 끼워진 파이프(6)는 가드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해상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발판역할을 하는 패널을 본체의 평면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면서 이들을 스크류로 체결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이 저하되었음은 물론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파도가 칠 경우 본체에 고정된 패널이 뒤틀리면서 스크류 체결공에 유격이 발생되므로 패널이 커플링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둘째, 난간대가 본체와 분리 형성되어 삽입공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작업 중에 난간대가 삽입공으로부터 이탈되어 파이프가 가드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음은 물론 난간대를 본체에 고정시키는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시공에 따른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셋째, 난간대가 "T"형 관과 수직관으로 분리 형성되어 있어 이들을 상호 일체화하는 별도의 융착작업을 실시하여야 되므로 신속한 시공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커플링의 구조를 개선하여 해상구조물의 신속한 시공이 가능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의 하부에 부력부재인 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커플링에 있어서, 본체의 상부 양측에 가드역할을 하는 파이프를 끼우기 위한 수평 관통공이 형성된 난간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난간대의 사이에는 패널이 끼워지는 요홈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상향돌출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해상 구조물의 커플링이 설치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해상 구조물을 형성한 상태의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6 : 파이프
3 : 관통공 10 : 패널
12 : 수평 관통공 13 : 요홈
14 : 난간대 15 : 상향 돌출편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을 이용하여 해상 구조물을 형성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본체(1)의 하부에 부력부재인 파이프(2)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3)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의 상부 양측에는 가드역할을 하는 파이프(6)를 끼우기 위한 수평 관통공(12)이 형성된 난간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및 도 3에서는 관통공(3)을 3개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관통공(3)을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4와 같이 2개만 형성할 수도 있으므로 관통공의 개수에 대하여 한정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난간대(14)의 사이에는 패널(10)이 끼워지는 요홈(13)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상향돌출편(15)이 형성되어 있고 난간대(14)의 상부는 그물 등을 매달기 위한 보조 파이프(16)를 끼울 수 있도록 통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 길이로 절단된 파이프(2)를 본체(1)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3)의 내부에 차례로 결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파이프(2)를 본체(1)에 융착 고정시키는 작업은 접속면을 깨끗이 닦은 다음 공지의 융착기에 의해 열을 가하여 이들을 상호 융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공정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체(1)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3)에 파이프(2)를 차례로 끼워 고정시키고 나면 난간대(14)에 가드역할을 하는 직경이 작은 또 다른 파이프(6)를 차례로 끼워 융착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향 돌출편(15)사이에 형성된 요홈(13)내에 패널(10)을 차례로 끼워 스크류(11)로 고정시키므로써 해상구조물의 조립작업이 완료되는데, 상기 패널(10)의 조립작업은 상향 돌출편(15)에 의해 형성된 요홈(13)내에 패널(10)을 끼우기만 하면 패널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작업능률을 향상 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으로 해상구조물의 조립을 완료하여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파도 등에 의해 패널(10)이 뒤틀리더라도 패널(10)이 요홈(13)내에 위치되어 있어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스크류 체결공에 유격이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커플링을 이용하여 제작된 해상 구조물은 종래의커플링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발판역할을 하는 패널이 상향 돌출편에 의해 형성된 요홈내에 위치되어 있어 패널의 조립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파도가 쳐 본체에 고정된 패널이 뒤틀리더라도 패널이 요홈내에 위치되어 있어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패널이 커플링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둘째, 난간대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작업 중에 난간대가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은 물론 난간대를 본체에 고정시키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없게 되므로 시공에 따른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1)

  1. 본체의 하부에 부력부재인 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커플링에 있어서, 본체의 상부 양측에 가드역할을 하는 파이프를 끼우기 위한 수평 관통공이 형성된 난간대를 일체로 형성하고 난간대의 사이에는 패널이 끼워지는 요홈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상향돌출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2004-0013376U 2004-05-13 2004-05-13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358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376U KR200358708Y1 (ko) 2004-05-13 2004-05-13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376U KR200358708Y1 (ko) 2004-05-13 2004-05-13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708Y1 true KR200358708Y1 (ko) 2004-08-12

Family

ID=4943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376U KR200358708Y1 (ko) 2004-05-13 2004-05-13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70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446U (ko) * 2006-11-27 2008-05-30 송영선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구
KR100873721B1 (ko) 2008-05-07 2008-12-12 아쿠아이엔지(주)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커플링
KR200461384Y1 (ko) 2010-08-17 2012-07-12 케이넷(주) 부력튜브의 교체가 가능한 수상구조물용 연결브라켓
KR101174859B1 (ko) 2012-02-29 2012-08-17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소형선박 접안용 해상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446U (ko) * 2006-11-27 2008-05-30 송영선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고정구
KR100873721B1 (ko) 2008-05-07 2008-12-12 아쿠아이엔지(주)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커플링
KR200461384Y1 (ko) 2010-08-17 2012-07-12 케이넷(주) 부력튜브의 교체가 가능한 수상구조물용 연결브라켓
KR101174859B1 (ko) 2012-02-29 2012-08-17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소형선박 접안용 해상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615B1 (ko) 해상구조물용 발판 고정유니트
KR101277117B1 (ko) 조립식 수상 부유구조물
KR200358708Y1 (ko) 해상 구조물의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393014Y1 (ko) 핸드레일용 계단 난간 구조물
KR102560861B1 (ko) 연결구를 이용한 데크구조
KR200423525Y1 (ko) 조립식 안전통로
KR200441390Y1 (ko) 수로관용 생태보호구
JP7306816B2 (ja) 足場板用連結具および足場板の連結構造
KR101174858B1 (ko) 해상 구조물의 난간대 및 선박 고정대 결합장치
KR200201567Y1 (ko) 암거설비
KR102553272B1 (ko) 데크 고정 클립
KR200378348Y1 (ko) 계단난간 설치용 링크 콘넥터
KR200390716Y1 (ko) 계단 난간용 기둥
KR101005223B1 (ko) 도난방지구를 가진 교량난간
KR100420834B1 (ko) 합성수지관을 이용한 조립식 내파성 가두리장치
KR200294096Y1 (ko) 엔드 커버의 조립구조
JP3838236B2 (ja) 浴槽の配管接続部の水受け構造
KR950025223A (ko) 조립식 난간
KR200331497Y1 (ko) 창틀용 연결구
KR860003329Y1 (ko) 핸드 레일의 결속장치
KR860002995Y1 (ko) 베란다 난간 연결부 보호구
KR900006025Y1 (ko) 조립식 난간
KR960000701Y1 (ko) 벽판넬의 결합장치
KR200278187Y1 (ko) 양식장용 사각파이프의 연결구조
JP6573480B2 (ja) 排水継手、及び排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605

Effective date: 20090428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506

Effective date: 20100728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