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482Y1 -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 - Google Patents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482Y1
KR200358482Y1 KR20-2004-0004508U KR20040004508U KR200358482Y1 KR 200358482 Y1 KR200358482 Y1 KR 200358482Y1 KR 20040004508 U KR20040004508 U KR 20040004508U KR 200358482 Y1 KR200358482 Y1 KR 200358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lever
main body
storage
lev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혜정
Original Assignee
박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혜정 filed Critical 박혜정
Priority to KR20-2004-0004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4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pencils or pen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어린이들이 많이 사용하는 필통에 적어도 3가지 이상의 게임기 기능과 함께 보드판 기능을 덧붙여 기분전환의 효과와 함께 필통에 싫증을 내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에 관한 것으로서, 게임기능을 구비하는 필통에 있어서, 입체게임수단이 구비되는 게임기본체(1)와; 필기도구의 수납기능을 수행하며, 그 외면에 제1평면게임수단(21)이 구비되는 제1수납본체(2)와; 필기도구의 수납기능을 수행하며, 그 외면에 보드판(31)이 구비되는 제2수납본체(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 {Pencil case having game kit}
본 고안은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특히 어린이들이 많이 사용하는 필통에 적어도 3가지 이상의 게임기 기능과 함께 보드판 기능을 덧붙여 기분전환의 효과와 함께 필통에 싫증을 내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필통은 연필, 볼펜, 사인펜, 지우개 등의 각종의 필기도구를 수납하여 취급이 간편하도록 하기 위한 학용품으로서, 필기구에 대한 보호나 분실방지, 휴대의 편의 등을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통은 주로 상면을 이루는 덮개가 필기도구들을 수납하는 하부케이스에 힌지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드 개폐가 가능하게 취부되어 내부에 필기도구들을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필통은 단순히 필기도구를 수납하기 위한 용도의 일색으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다른 학용품에 비해 비교적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필통 본체 자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더욱이, 미적인 기능과 함께 다양한 기능을 추구하는 현대의 학용품의 조류에 비추어 볼 때, 필통에 대하여 많은 개선점이 요구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한편, 최근 게임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필통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281045호의 '축구 놀이 기능을 구비하는 필통'이나 동 등록번호 제20-330306호의 '게임수단이 구비된 필통'등이 개발되어 있기는 하나, 이 또한 어느 한 가지의 게임기능 만을 갖는 것으로 일관되어 있어 특히 주 사용자인 어린이들의 요구를 충족치는 못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게임기능과 그에 더해 부가적인 기능을 더 포함하는 필통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특히 어린이들이 많이 사용하는 필통에 적어도 3가지 이상의 게임기 기능과 함께 보드판 기능을 덧붙여 기분전환의 효과와 함께 필통에 싫증을 내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을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통을 절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필통에서의 게임기본체를 상세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게임기본체를 상세하게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게임기본체의 베이스플레이트 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게임기본체 2 : 제1수납본체
3 : 제2수납본체 11 : 미드플레이트
12 : 투명커버 13 : 베이스플레이트
14 : 제1힌지 15 : 제2힌지
16 : 게임설명스티커 17 : 제1평면게임수단
21 : 제2평면게임수단 31 : 보드판
111 : 제1레버홈 112 : 제2레버홈
113 : 제3레버홈 114 : 제4레버홈
115 : 좌하동작간 116 : 우하동작간
117 : 좌상동작간 118 : 우상동작간
119 : 제5레버홈 120 : 제6레버홈
131 : 제1타격구 132 : 제1타격손잡이
133 : 제1탄성연결대 134 : 제2타격구
135 : 제2타격손잡이 136 : 제2탄성연결대
115-1 : 좌하동작간축 115-2 : 좌하구동레버홀더
115-3 : 좌하압축스프링 115-4 : 좌하구동레버
115-5 : 좌하동작레버 115-6 : 좌하동작간축스토퍼
116-1 : 우하동작간축 116-2 : 우하구동레버홀더
116-3 : 우하압축스프링 116-4 : 우하구동레버
116-5 : 우하동작레버 116-6 : 우하동작간축스토퍼
117-1 : 좌상동작간축 117-2 : 좌상구동레버홀더
117-3 : 좌상압축스프링 117-4 : 좌상구동레버
117-5 : 좌상동작레버 117-6 : 좌상동작간축스토퍼
118-1 : 우상동작간축 118-2 : 우상구동레버홀더
118-3 : 우상압축스프링 118-4 : 우상구동레버
118-5 : 우상동작레버 118-6 : 우상동작간축스토퍼
본 고안에 따른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은, 게임기능을 구비하는 필통에 있어서, 입체게임수단이 구비되는 게임기본체와; 필기도구의 수납기능을 수행하며, 그 외면에 제1평면게임수단이 구비되는 제1수납본체와; 필기도구의 수납기능을 수행하며, 그 외면에 보드판이 구비되는 제2수납본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게임기본체와 상기 제1수납본체 및 제2수납본체들이 서로에 대하여 힌지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게임기본체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상기 제1수납본체와 제2수납본체가 힌지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게임기본체는 다수의 레버들이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하여 미드플레이트에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들을보호하는 투명커버와;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하면에 위치하며, 게임을 위한 볼을 타격하기 위한 제1타격구 및 제2타격구가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미드플레이트에는 좌하동작간이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1레버홈, 우하동작간이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2레버홈, 좌상동작간이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3레버홈, 우상동작간이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4레버홈, 제1타격구가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5레버홈 및 제2타격구가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6레버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레버홈에는 좌하동작간이 가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레버홈에는 우하동작간이 가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레버홈에는 좌상동작간이 가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4레버홈에는 우상동작간이 가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5레버홈에는 제1타격구가 노출되도록 하여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6레버홈에는 제2타격구가 노출되도록 하여 설치되며, 상기 좌하동작간, 우하동작간, 좌상동작간 및 우상동작간들은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며, 게임기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취부되며, 각각 동작간축과, 상기 동작간축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동레버들과, 상기 동작간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구동레버들에 계합되어 상기 동작간축의 동작에 의해 연동되는 구동레버들 및 상기 구동레버들에 일체로 고정되되, 상기 구동레버들에 의해 종동되도록 축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취부되는 동작레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타격구 및 제2타격구는 각각 탄성연결대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탄성적으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타격구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타격구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의 타격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은, 게임기능을 구비하는 필통에 있어서, 입체게임수단이 구비되는 게임기본체(1)와; 필기도구의 수납기능을 수행하며, 그 외면에 제1평면게임수단(21)이 구비되는 제1수납본체(2)와; 필기도구의 수납기능을 수행하며, 그 외면에 보드판(31)이 구비되는 제2수납본체(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의 게임기 겸용 필통들이 하나의 평면게임기능 또는 하나의 입체게임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필기도구들을 수납하는 수납공간들 역시 단 하나만이 존재하도록 구성됨에 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은 하나의 입체게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게임기본체(1)를 중심으로 그 상하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납본체(2)와 제2수납본체(3)의 2개의 수납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수납본체(2)의 외면에 하나의 평면게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평면게임수단(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납본체(3)의 외면에는 백색판 상에 마커(Marker)로 글씨나 그림을 표시하고, 또 지울 수 있도록 하여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보드판(31)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게임기본체(1)의 외면에 다른 하나의 평면게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평면게임수단(17)이 형성된, 다기능 및 다종의 게임이 가능한 필통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임기본체(1)의 외면의 일부에는 다종의 게임이 가능한 관계로 이들 게임들의 게임방법을 설명하는 게임설명스티커(16)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게임기본체(1)와 상기 제1수납본체(2) 및 제2수납본체(3)들이 제1힌지(14) 및 제2힌지(15)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힌지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게임기본체(1)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상기 제1수납본체(2)와 제2수납본체(3)가 힌지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게임시에는 입체게임이 가능한 게임기본체(1)가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1수납본체(2)와 제2수납본체(3)가 모두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펼칠 수 있으며, 휴대 또는 보관시에는 상기 게임기본체(1)를 중심으로 어느 하나인 제1수납본체(2)는 상기 게임기본체(1)의 상방으로, 그리고 다른 하나인 제2수납본체(3)는 상기 게임기본체(1)의 하방으로 절첩되어 최소의 면적으로 차지하도록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게임기본체(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레버들이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미드플레이트(11)와; 상기 미드플레이트(11)의 상면에 위치하여 미드플레이트(11)에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들을 보호하는 투명커버(12)와; 상기 미드플레이트(11)의 하면에 위치하며, 게임을 위한 볼을 타격하기 위한 제1타격구(131) 및 제2타격구(134)가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3);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미드플레이트(11)에는 좌하동작간(115)이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1레버홈(111), 우하동작간(116)이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2레버홈(112), 좌상동작간(117)이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3레버홈(113), 우상동작간(118)이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4레버홈(114), 제1타격구(131)가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5레버홈(119) 및 제2타격구(134)가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6레버홈(120)들이 형성되며,상기 제1레버홈(111)에는 좌하동작간(115)이 가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레버홈(112)에는 우하동작간(116)이 가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레버홈(113)에는 좌상동작간(117)이 가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4레버홈(114)에는 우상동작간(118)이 가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5레버홈(119)에는 제1타격구(131)가 노출되도록 하여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6레버홈(120)에는 제2타격구(134)가 노출되도록 하여 설치되며, 상기 좌하동작간(115), 우하동작간(116), 좌상동작간(117) 및 우상동작간(118)들은 상기 미드플레이트(11)와 베이스플레이트(13) 사이에 위치하며, 게임기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취부되며, 각각 동작간축과, 상기 동작간축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동레버들과, 상기 동작간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구동레버들에 계합되어 상기 동작간축의 동작에 의해 연동되는 구동레버들 및 상기 구동레버들에 일체로 고정되되, 상기 구동레버들에 의해 종동되도록 축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미드플레이트(11)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취부되는 동작레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 2인이 각각 게임기본체(1)의 상부 및 하부에 마주한 채로 앉아서 어느 한 사용자는 좌하동작간(115)과 우하동작간(116)을 조절하여 상기 미드플레이트(11)의 상면에 노출된 각 동작레버들을 적절히 조절하여 볼을 상대편 쪽의 제6레버홈(120) 내로 밀어넣는 것을 점수를 획득하는 것으로 하여 게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한 사용자는 좌상동작간(117)과 우상동작간(118)을 조절하여 상기 미드플레이트(11)의 상면에 노출된 각 동작레버들을 적절히 조절하여 볼을 상대편 쪽의 제5레버홈(119) 내로 밀어넣는 것을 점수를 획득하는 것으로 하여 게임을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각 사용자들 중 어느 한 사용자가 상기 좌하동작간(115)과 우하동작간(116)을, 그리고 다른 한 사용자가 상기 좌상동작간(117)과 우상동작간(118)을 조절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최초의 게임의 시작은 어느 한 사용자가 자신 쪽에 위치하는 타격구를 사용하여 타격을 개시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즉, 좌하동작간(115)과 우하동작간(116)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개시할 때는 상기 제5레버홈(119)에 노출되도록 취부된 제1타격구(131)를 사용하여 볼을 타격함으로써 개시하며, 타격에 의한 개시와 동시에 상대편은 자기쪽에 위치하는 좌상동작간(117)과 우상동작간(118)을 사용하여 동작레버들을 조절하여 상대편 쪽으로 볼을 밀어내는 것으로 게임이 진행된다. 상기 동작간의 동작에 의한 동작레버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좌하동작간(115)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좌하동작간(115)을 자기 몸쪽으로 당겼다가 놓는 것에 의해 상기 좌하동작간(115)은 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좌하압축스프링(115-3)에 의해 탄력을 받아 전진하게 되고, 이 좌하동작간(115)에 일체로 형성된 좌하동작간축(115-1)이 동시에 가변되면서 이 좌하동작간축(115-1)에 일체로 형성된 좌하구동레버홀더(115-2)들에 연동되도록 계합된 좌하구동레버(115-4)들이 연동되게 되고, 이 좌하구동레버(115-4)들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미드플레이트(11)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고정된 좌하동작레버(115-5)들이 상기 좌하구동레버(115-4)들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좌하동작레버(115-5)들이 이를 사용한 사용자의 몸쪽으로 그 단부가 후퇴하였다가 전진하면서 그에 접촉하는 볼을 전방쪽으로 즉, 상대편 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또한, 상기 좌하동작간축(115-1)의 변위를 제한하는 좌하동작간축스토퍼(115-6)가 상기 미드플레이트(11)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좌하동작간축(115-1)의 전단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우하동작간(116)은 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우하압축스프링(116-3)에 의해 탄력을 받아 전진하게 되고, 이 우하동작간(116)에 일체로 형성된 우하동작간축(116-1)이 동시에 가변되면서 이 우하동작간축(116-1)에 일체로 형성된 우하구동레버홀더(116-2)들에 연동되도록 계합된 우하구동레버(116-4)들이 연동되게 되고, 이 우하구동레버(116-4)들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미드플레이트(11)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고정된 우하동작레버(116-5)들이 상기 우하구동레버(116-4)들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우하동작레버(116-5)들이 이를 사용한 사용자의 몸쪽으로 그 단부가 후퇴하였다가 전진하면서 그에 접촉하는 볼을 전방쪽으로 즉, 상대편 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또한, 상기 우하동작간축(116-1)의 변위를 제한하는 우하동작간축스토퍼(116-6)가 상기 미드플레이트(11)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우하동작간축(116-1)의 전단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대편이 사용하는 좌상동작간(117)과 우상동작간(118)들 역시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움직임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각 사용자들은 상대편을 향하여 볼을 지속적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게임의 공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타격구(131) 및 제2타격구(13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제1탄성연결대(133) 및 제2탄성연결대(136)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3)에 탄성적으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타격구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타격구를 동작시킬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의 제1타격손잡이(132) 및 제2타격손잡이(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타격구들에 의해 게임을 개시하거나 또는 실점을 한 후, 재 공격시에 공격을 개시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의 볼의 타격은 상기 타격손잡이를 손가락으로 당겼다가 놓는 것에 의해 상기 타격구를 탄성적으로 가변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연결대의 탄력에 의해 상기 타격구가 후퇴하였다가 전진하면서 볼을 타격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입체게임 외에도 장기나 바둑, 오델로, 오목 등 평면게임이 가능한 게임도면들이 상기 게임기본체(1)의 외면(제2평면게임수단(17)) 또는 상기 제1수납본체(2)의 외면(제1평면게임수단(21))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통상의 인쇄방법에 의해 형성되거나 이러한 게임도면들이 인쇄된 스티커를 부착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기본체(1)의 외면의 일부에는 다종다양한 게임들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필통의 구성 전체의 사용법 등을 게시한 게임설명스티커(16)들이 부착될 수 있다. 물론, 게임설명을 스티커에 인쇄하여 붙이는 대신 게임기본체(1)의 외면에 직접 인쇄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수납본체(3)의 외면에는 보드판(31)이 형성되어 보드판(31)에 반복적으로 글씨쓰기 및 지우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특히 어린이들이 많이 사용하는 필통에 적어도 3가지 이상의 게임기 기능과 함께 보드판 기능을 덧붙여 기분전환의 효과와 함께 필통에 싫증을 내지 않고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게임기능을 구비하는 필통에 있어서,
    입체게임수단이 구비되는 게임기본체와; 필기도구의 수납기능을 수행하며, 그 외면에 제1평면게임수단이 구비되는 제1수납본체와; 필기도구의 수납기능을 수행하며, 그 외면에 보드판이 구비되는 제2수납본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게임기본체와 제1수납본체 및 제2수납본체들이 서로에 대해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게임기본체가 다수의 레버들이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미드플레이트와;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하여 미드플레이트에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레버들을 보호하는 투명커버와;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하면에 위치하며, 게임을 위한 볼을 타격하기 위한 제1타격구 및 제2타격구가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미드플레이트에는 좌하동작간이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1레버홈, 우하동작간이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2레버홈, 좌상동작간이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3레버홈, 우상동작간이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4레버홈, 제1타격구가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5레버홈 및 제2타격구가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제6레버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레버홈에는 좌하동작간이 가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레버홈에는 우하동작간이 가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3레버홈에는 좌상동작간이 가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4레버홈에는 우상동작간이 가변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5레버홈에는 제1타격구가 노출되도록 하여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6레버홈에는 제2타격구가 노출되도록 하여 설치되며, 상기 좌하동작간, 우하동작간, 좌상동작간 및 우상동작간들은 상기 미드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며, 게임기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취부되며, 각각 동작간축과, 상기 동작간축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동레버들과, 상기 동작간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구동레버들에 계합되어 상기 동작간축의 동작에 의해 연동되는 구동레버들 및 상기 구동레버들에 일체로 고정되되, 상기 구동레버들에 의해 종동되도록 축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미드플레이트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취부되는 동작레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기본체와 상기 제1수납본체 및 제2수납본체들이 서로에 대하여 힌지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되, 상기 게임기본체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상기 제1수납본체와 제2수납본체가 힌지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격구 및 제2타격구는 각각 탄성연결대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탄성적으로 가변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타격구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타격구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의 타격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
KR20-2004-0004508U 2004-02-20 2004-02-20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 KR200358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508U KR200358482Y1 (ko) 2004-02-20 2004-02-20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508U KR200358482Y1 (ko) 2004-02-20 2004-02-20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482Y1 true KR200358482Y1 (ko) 2004-08-11

Family

ID=4943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508U KR200358482Y1 (ko) 2004-02-20 2004-02-20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4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89Y1 (ko) * 2013-03-22 2014-10-23 안민석 접이식 필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789Y1 (ko) * 2013-03-22 2014-10-23 안민석 접이식 필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135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toy that incorporates illuminated components
KR102172853B1 (ko) 다기능의 입체 동화놀이 교구
KR200358482Y1 (ko)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
CN211048908U (zh) 一种多功能玩具桌
KR200380261Y1 (ko)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JP4485497B2 (ja) ナンバープレース用ゲーム具
CN109663335B (zh) 一种游戏棋盘
JP3138102U (ja) 剣玉玩具
KR200194704Y1 (ko) 필통
KR100485366B1 (ko) 자석을 이용한 휴대용 게임세트
JP3135337U (ja) ラトルバック運動構造付き筆記具
KR200311754Y1 (ko) 축구 게임판을 구비한 필통
CN210355989U (zh) 游戏机卡套
CN219376055U (zh) 溶接性珠玩具用的珠供给器
KR200356563Y1 (ko)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KR200321796Y1 (ko) 놀이구를 겸한 필기구
KR100915414B1 (ko) 필기구에 탈부착 가능한 필기용품
KR200411044Y1 (ko) 필통
CN210698798U (zh) 一种拼拼乐益智玩具
KR200356562Y1 (ko) 양 방향 회동절첩식 2단 필통
KR200229162Y1 (ko) 필통
JP3039537U (ja) 走行玩具発射装置
JPH0633961Y2 (ja) 多色筆記具を収容する容器を兼ねたゲーム盤
JP3103590U (ja) 消しゴム
JP3072091U (ja) くじ用ゲーム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