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261Y1 -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 Google Patents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261Y1
KR200380261Y1 KR20-2005-0000649U KR20050000649U KR200380261Y1 KR 200380261 Y1 KR200380261 Y1 KR 200380261Y1 KR 20050000649 U KR20050000649 U KR 20050000649U KR 200380261 Y1 KR200380261 Y1 KR 200380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display unit
game board
pencil cas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운
Original Assignee
송경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운 filed Critical 송경운
Priority to KR20-2005-0000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2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2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게임을 보다 편안한 자세로 즐길 수 있는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은 힌지 결합된 뚜껑이 구비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가 뚜껑 역할을 하는 필통 본체의 저면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필통 정면으로 인출되는 슬라이딩 부재가 구비된 필통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U'자 형상으로 하부의 결합부(121)가 힌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지지대(12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며 게임칩(114)이 내장된 디스플레이부(110)와, 함몰되어 형성된 버튼부 보관함(133)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다수의 버튼부가 구비된 본체(131)와 본체(131)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선(132)으로 구성된 게임조작 버튼부(130)와, 게임판(100) 정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게임조작 버튼부(130)의 연결선(132)과 연결되어 게임을 구동시키는 소켓(134)과, 게임판(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150) 및 건전지 장착구(140)로 이루어진 게임판(100)과;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교체용 디스플레이부(110')(11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은 필통 본체 저면에 슬라이드 결합된 게임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며, 버튼부 보관함에 삽입된 연결선이 구비된 게임조작 버튼부를 인출하여 게임판 정면에 구비된 소켓에 연결선을 연결하여 게임판 외부에서 게임을 컨트롤 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가 높으며, 상기 게임칩이 내장된 디스플레이부는 상부 케이스의 양측에 교체용 디스플레이부로 교체하여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아이들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Pencil case with electronic game}
본 고안은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뚜껑이 힌지 결합된 상부 케이스의 양측에 분리 가능한 교체용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가 뚜껑 역할을 하며 힌지 결합된 필통 본체의 저면에 미닫이 서랍식으로 결합된 게임판에 회동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분리 가능한 게임조작 버튼부가 구비되어 필기구 수납공간과 별개로 게임판을 통해 게임을 즐기면서 디스플레이부의 각도를 조절하고, 게임조작 버튼부를 게임판과 분리하여 게임을 컨트롤 함으로써, 편리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에 구비된 교체용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아이들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에 관한 것이다.
필통은 연필이나 볼펜과 같은 필기구와 지우개 등을 넣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본적인 문방구로서, 필기구가 담기는 수납체와 뚜껑만으로 이루어진 가장 단순한 형태의 1단 필통으로부터 필기구 수납 공간이 작은 상기 1단 필통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2단 또는 3단 필통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각 필통이 가지고 있는 단순한 필기구 수납 수단이라는 역할에 따른 단조로움을 피하고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하여 각 필통에 다양한 오락부재들이나 기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컴퓨터와 각종 게임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단순한 기능의 필통에는 관심을 갖지 않게 되었음은 물론, 기본적으로 어린이들은 새로운 어떠한 대상에 대하여 흥미를 쉽게 가지게 되기도 하나,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기도 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함체상의 단순한 기능을 가진 필통으로는 사용자의 흥미를 거의 끌 수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관심을 끌기 위하여 매우 다양한 형태의 필통들이 지속적으로 개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인 바, 필통을 이용하여 오락이나 퍼즐 등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소형 오락부재가 필통에 결합되기도 하고,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각종 캐릭터들을 필통의 외면에 인쇄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관심을 끌기 위하여 필기구의 보관을 기본적인 기능으로 하는 종래의 필통에 새로운 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결합되는 대표적인 오락부재로는 축구 게임기, 농구 게임기, 전자 오락기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각종 오락들 중 필통에 결합되는 축구 게임기나 농구 게임기와 같은 구기 종목과 관련된 게임기는 골대, 공을 차거나 던지기 위한 수단, 간이 벽체, 경기장 뚜껑 등 다양한 게임부재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지게 될 뿐 아니라, 필통의 크기가 어느 정도 이상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되는 상태에서 게임기가 필통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게임부재의 크기가 작을 수 밖에 없으며, 필통에 결합되는 게임기의 각종 게임부재는 원가적인 측면과 안전사고 방지의 측면에서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바, 게임부재의 내구성이 떨어져 조심성이 부족한 초등학생의 조작에 의해 게임기가 쉽게 소손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자 오락기가 구비된 게임 필통으로 공지된 본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353667호의 필통 저면에 게임 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구조의 필통을 살펴보면, 상면 일측에 디스플레이부(D)와 다수의 게임조작 버튼(B) 및 스피커부(SP)가 구비되며, 상면 타측에 뚜껑(C')이 결합된 건전지장착홈(VB)과 종류별 게임칩(CG)을 보관하기 위한 다수의 칩보관홈(VCG)이 형성되고, 그 배면에는 상기 게임칩(CG)을 삽입 장착하기 위한 칩장착홈(VC)이 형성된 슬라이딩 부재가 필통 본체의 저면에 미닫이 서랍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이나, 미닫이 서랍식 구조로 결합된 슬라이딩 부재의 면적이 한정적이라서 게임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적어질 수 밖에 없으며, 바닥면과 수평하게 고정된 디스플레이부을 통하여 게임을 할 경우 사용자는 바닥으로 고개를 숙인 상태가 어린이들의 자세가 흐트러지게 되며 장시간 이용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부재의 면적이 한정되어 있어 디스플레이의 면적이 적은 단점과 아울러 좁은 면적에 고정된 게임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게임을 즐겨야 하기 때문에 게임 컨트롤에 어려움이 있으며, 게임의 종류를 바꿀 때마다 게임칩을 필통의 배면에 일일이 꽂아야 하고, 슬라이딩 부재의 상면에 게임칩이 보관됨으로써 게임시 게임칩의 이탈이나 분실의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뚜껑이 힌지 결합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가 뚜껑 역할을 하며 저면에 슬라이딩 부재가 결합된 본체로 이루어진 필통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는 회동 가능하게 결하된 디스플레이부 지지대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시선을 편리하게 해주며, 연결선이 구비된 게임조작 버튼부를 게임판의 외부에서 연결선을 통하여 게임판과 연결함으로써 게임조작 버튼부의 활용이 편리해졌으며, 상부 케이스의 양측에 구비된 교체용 디스플레이부를 게임판의 디스플레이지지대에 교체 결합하여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아이들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전자 게임기를 갖는 필통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필통 본체 저면에 슬라이딩 결합된 게임판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소켓에 의해 게임판과 연결되며 게임판에 보관이 가능한 게임조작 버튼부와, 상부 케이스의 양측에 구비된 교체용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은 본체의 저면에 슬라이딩 결합된 게임판을 평상시에는 본체에 밀어 넣어 두고, 게임을 하고자 할 때는 필통의 전방측으로 당겨 사용하게 되며, 소정의 두께로 구성되어 전자 게임기에 필수 구성요소인 디스플레이부, 게임조작 버튼부, 스피커, 건전지 장착홈 등이 구비된다.
이때, 게임판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회동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연결선이 구비된 게임조작 버튼부를 게임판 정면의 소켓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버튼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교체용 디스플레이부를 상부 케이스에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게임판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최대화시킬 수 있음에 그 구조적 특징이 있다.
즉, 슬라이딩 결합된 게임판을 필통 본체의 전방측으로 당긴 후 디스플레이부를 0°~ 90°사이의 범위내에서 사용자가 편리한 각도로 조절하고, 버튼부 보관함에 보관된 게임조작 버튼부를 꺼내어 게임판의 정면에 연결함으로써 자유로운 공간에서 게임조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에 보관된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교체하면서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게임판의 한정된 공간에서의 게임 컨트롤 및 사용자의 편리성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게임조작 버튼부는 고정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게임판에 구비된 버튼부 보관함에 의해 보관되었다가 사용시에 게임판의 외부로 분리하여 게임판 정면의 소켓에 게임조작 버튼부의 연결선을 연결하여 게임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됨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게임조작 버튼부가 외부로 분리됨으로써, 게임시 게임판 위에 손을 올리고 게임을 컨트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큰 면적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필통을 책상이나 바닥에 놓고 게임을 할 때 사용자의 시선이 필통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디스플레이부의 각도 조절에 의해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디스플레이부를 응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필통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게임판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의 (가)는 본 고안의 디스플레이부 정면도이며, (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은, 뚜껑(11)이 힌지 결합된 상부 케이스(10)와 상기 상부 케이스(10)가 뚜껑 역할을 하며 필기구를 수납하는 본체(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20)의 저면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필통 전방으로 인출되는 슬라이딩 부재가 구비된 필통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U'자 형상으로 하부가 게임판에 힌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지지대(12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며 게임칩(114)이 내장된 디스플레이부(110)와, 함몰되어 형성된 버튼부 보관함(133)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다수의 버튼부가 구비된 본체(131)와 본체(131)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선(132)으로 구성된 게임조작 버튼부(130)와, 게임판(100) 정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게임조작 버튼부(130)의 연결선(132)과 연결되어 게임을 구동시키는 소켓(134)과, 게임판(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150) 및 건전지 장착구(140)로 이루어진 게임판(100)과;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교체용 디스플레이부(110')(110")로 구성된다.
상기 게임판(100)은 필통 본체(120)의 저면에 슬라이딩으로 장착되어 필통의 면적보다 적은 면적으로 구성되어 전자 게임에 필수적인 디스플레이부(110)와 게임조작 버튼부(130), 스피커(150) 및 건전지 장착구(140) 등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게임판(100)의 한정된 면적의 효율성을 최대로 높이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플레이 지지대(120)에 의해 0°~ 90°의 범위로 회동되어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게임을 컨트롤하기 위한 게임조작 버튼부(130)는 게임판(100)에 형성된 버튼부 보관함(133)에 보관 후 사용시에는 게임판(100)에서 분리하여 자유로운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내부에 게임칩(114)이 내장되고 전면에 LCD창(111)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양측면 상부에 탈착방지돌기(112)가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지지대(120)의 양측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탈착방지돌기(112)의 하부에 소정 높이로 이루어진 회전방지 돌기(113)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지지대(120)와 추가 결합이 되어 디스플레이 지지대(12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11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방지 돌기(113)에 의해 디스플레이 지지대(12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부(110)는 움직이지 않고 디스플레이 지지대(120)만 게임판(100)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각도를 조절하면서도 디스플레이부(110)자체의 움직임을 없애 디스플레이부의 탈착방지돌기(112)나 회전방지 돌기(113)에 외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아 파손의 우려가 없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대(120)는 'U'자 형상으로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우와 하부를 감싸며 하부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결하부(121)가 게임판(110)과 힌지 결합되어 게임판(100)에 눕혀진 상태에서 전방으로 0°~ 90°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각을 취할 수 있어 사용자의 눈높이나 각도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도 5의 (나)에서와 같이 상부가 두껍고 하부가 얇은 구조로 이루어져 상부 케이스(10)의 양측에 보관시 상부가 상부 케이스의 테두리와 이어지도록 결합되고 하부는 뚜껑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결합되며, 디스플레이부 일측 측면에 결합된 결합부(P)에 의해 상부 케이스(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부 마다 고유의 게임칩(114)이 내장되어 있어 게임판(100)에 디스플레이부(110)를 교체하여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호기심이 강한 아이들의 경우 다양한 게임과 함께 친구들과 교환하여서도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과 더불어 흥미를 지속시켜 줄 수 있다.
상기 게임조작 버튼부(130)는 게임판(100)에 고정장착 될 경우 사용자가 한정된 면적의 게임판(100)에 손을 올린 체 게임을 컨트롤해야 하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는 바, 게임판(100)에 형성된 버튼부 보관함(133)에 내입하여 보관함으로써 게임을 실행시에는 게임판(100)으로부터 분리하여 게임판(100)의 외부에서 컨트롤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게임조작 버튼부(130)는 다수의 게임 컨트롤 버튼이 구비된 몸체(131)와 게임판(100)과의 연결을 해주는 연결선(132)으로 구성되어 게임시에는 게임조작 버튼부(130)를 외부로 꺼내어 연결선(132)을 게임판(100)의 정면에 구비된 소켓(134)에 연결하여 자유로운 공간에서 게임을 컨트롤 할 수 있음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게임조작 버튼부(130)에는 게임을 컨트롤 할 수 있는 버튼이 형성되고, 전원버튼이나 음향버튼 등은 게임판의 공간에 설치하여 게임조작 버튼부를 효율적으로 구성함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7에서와 같이 2인 이상이 즐길 수 있는 게임칩이 내장된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고, 게임판 정면에는 상기의 소켓(134) 외에 동일한 기능을 갖는 추가소켓(134')이 구비되어 게임조작 버튼부를 2개 연결되도록 함도 가능하여 친구들과 동시에 게임을 즐겨 아이들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게임판에 구비되는 스피커(150)와 건전지 장착구(140)는 전자게임기의 필수 구성요소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은 필통 본체 저면에 슬라이드 결합된 게임판에 지지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며, 버튼부 보관함에 삽입된 연결선이 구비된 게임조작 버튼부를 인출하여 게임판 정면에 구비된 소켓에 연결선을 연결하여 게임판 외부에서 게임을 컨트롤 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도가 높으며, 상기 게임칩이 내장된 디스플레이부는 상부 케이스의 양측에 교체용 디스플레이부로 교체하여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어 아이들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게임판 정면에는 상기 소켓 외에 동일한 기능의 추가소켓이 구비되어 2인용 게임도 부가적으로 즐길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전자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게임기 필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게임판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도 5의 (가)는 본 고안의 디스플레이부 정면도이고, (나)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 케이스 20. 필통 본체
100. 게임판 110. 디스플레이부
110', 110". 교체용 디스플레이부 112. 탈착방지돌기
113. 회전방지 돌기 120. 디스플레이 지지대
121. 결합부 130. 게임조작 버튼부
133. 버튼부 보관함 134. 소켓

Claims (3)

  1. 힌지 결합된 뚜껑이 구비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가 뚜껑 역할을 하는 필통 본체의 저면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필통 정면으로 인출되는 슬라이딩 부재가 구비된 필통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U'자 형상으로 하부의 결합부(121)가 힌지 결합된 디스플레이부 지지대(12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며 게임칩(114)이 내장된 디스플레이부(110)와, 함몰되어 형성된 버튼부 보관함(133)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다수의 버튼부가 구비된 본체(131)와 본체(131)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선(132)으로 구성된 게임조작 버튼부(130)와, 게임판(100) 정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게임조작 버튼부(130)의 연결선(132)과 연결되어 게임을 구동시키는 소켓(134)과, 게임판(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피커(150) 및 건전지 장착구(140)로 이루어진 게임판(100)과;
    상기 상부 케이스(10)의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교체용 디스플레이부(110')(1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양측면 상부에는 디스플레이 지지대(120)의 양측 내부와 결합되는 탈착 방지 돌기(112)가 구비되고, 상기 탈착 방지 돌기(112)의 직하부에 회전 방지 돌기(113)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지지대(120)의 결합된 디스플레이부(110)가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판(100) 정면에는 상기 소켓(134) 외에 동일한 기능의 추가소켓(134')이 구비되어 게임조작 버튼부(130) 2개가 연결되어 2인용 전자 게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KR20-2005-0000649U 2005-01-10 2005-01-10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KR200380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649U KR200380261Y1 (ko) 2005-01-10 2005-01-10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649U KR200380261Y1 (ko) 2005-01-10 2005-01-10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261Y1 true KR200380261Y1 (ko) 2005-03-29

Family

ID=4368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649U KR200380261Y1 (ko) 2005-01-10 2005-01-10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2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568B1 (ko) 2007-07-10 2008-06-11 진천덕 디지털키가 형성된 필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568B1 (ko) 2007-07-10 2008-06-11 진천덕 디지털키가 형성된 필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3369A1 (en) Balanced game controller clip
CN104174169A (zh) 一种可自动分体的组合式玩具陀螺
US11890551B2 (en) Movable puzzle platform
CA2593189A1 (en) Game control system
US20100279769A1 (en) Game controller with display screen
US20120196680A1 (en) Compact game controller
KR200380261Y1 (ko) 전자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CN206103297U (zh) 一种手游游戏枪
CN201361442Y (zh) 一种双手柄双屏旋转掌上游戏机
JP3138102U (ja) 剣玉玩具
CN109663335B (zh) 一种游戏棋盘
US20040033835A1 (en) Device for illuminating palm-top TV game
KR200358482Y1 (ko)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
USD538856S1 (en) Educational game
CN209809481U (zh) 一种游戏棋盘
CN204073389U (zh) 一种可自动分体的组合式玩具陀螺
CN203505959U (zh) 互动式数码游戏桌
CN2801229Y (zh) 遥控台球装置
KR200311754Y1 (ko) 축구 게임판을 구비한 필통
CN205886185U (zh) 可更换式游戏控制器摇杆帽
CN209825710U (zh) 一种英语学习课桌
CN203425531U (zh) 一种趣味性强的手指滑板玩具
KR100485366B1 (ko) 자석을 이용한 휴대용 게임세트
CN203663424U (zh) 玩具竞技足球台
CN202654674U (zh) 一种游戏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