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704Y1 - 필통 - Google Patents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704Y1
KR200194704Y1 KR2020000006758U KR20000006758U KR200194704Y1 KR 200194704 Y1 KR200194704 Y1 KR 200194704Y1 KR 2020000006758 U KR2020000006758 U KR 2020000006758U KR 20000006758 U KR20000006758 U KR 20000006758U KR 200194704 Y1 KR200194704 Y1 KR 200194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ball
pencil case
strik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용규
Original Assignee
한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용규 filed Critical 한용규
Priority to KR2020000006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7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A63F7/025Pinball games, e.g. flipper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통에 관한 것으로, 각종 필기구들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으로는 필기구를 담을 수 있는 수납홈(12)이 구비되고, 일측 단부에는 힌지부(11)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싱(10)과;
상기 하부케이싱(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부(11)를 축으로 지점회동되어 하부케이싱(10)의 내부를 개방하거나 폐쇠하는 상부케이싱(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20)의 상부 양측으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볼(30)을 타격하며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타격수단(110)이 구비된 게임구(100)로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여가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집중력을 증대시켜, 지능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필통 {Pencil case}
본 고안은 필통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종 필기구를 휴대, 보관하는 필통에 게임구를 설치하여 여가활동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통은 문구의 한 품목으로써, 학습에 필요한 연필이나 볼펜과 같은 필기구를 수납하여 사용하며, 상기 필기구들이 각각 놓여졌을 때 따른 분실의 위험을 줄이는 도구이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필통은 통상적으로, 사각함체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단순히 학습에 필요한 필기구를 휴대, 보관토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필통의 일면에 별도의 화이트보드 등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토록 함과 아울러 지능 개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필통의 뚜껑체 외부로 게임기를 형성하여 여가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제품과 필통의 덮개부에 거울 등이 형성된 제품도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필통은 단순히 필기구를 수납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어, 필통의 활용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통의 외측으로 게임기를 형성하거나 내부에 거울 등을 형성한 제품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제품들은 주사위와 같이 단순한 수의 조합등에 의해 게임을 진행하므로, 사용자들이 쉽게 싫증을 유발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즉, 필통의 외측부로 게임기 등을 형성한 제품들은 필통의 사용하는 대상연령이 비교적 집중력이 산만한 저학년의 초등학생들이 많이 사용하므로, 사용중 쉽게 싫증을 유발시키므로, 구매욕구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필기구를 휴대, 보관하는 필통에 게임구를 설치하여 여가활동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필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필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필통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게임구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필통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필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타격수단중 조작부의 형상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필통의 타격수단 형상을 도시한 요부 확대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필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게임구중 바닥면의 형상을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이 필통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케이싱 11 - 힌지부
12 - 수납홈 20 - 상부케이싱
21 - 바닥면 22 - 투명케이스
23 - 수납홀 24 - 힌지축
30 - 볼 40 - 지지케이스
50 - 포켓부 100 - 게임구
110 - 타격수단 120 - 타격부
121 - 타격대 122 - 기어부
130 - 조작부 131 - 연동기어부
132 - 손잡이 140 - 리턴부재
141 - 코일스프링 200 - 필통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필기구들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으로는 필기구를 담을 수 있는 수납홈(12)이 구비되고, 일측 단부에는 힌지부(11)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싱(10)과;
상기 하부케이싱(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부(11)를 축으로 지점회동되어 하부케이싱(10)의 내부를 개방하거나 폐쇠하는 상부케이싱(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20)의 상부 양측으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볼(30)을 타격하며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타격수단(110)이 구비된 게임구(10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필통(200)은 상부케이싱(20)의 상부면에 타격수단(110)의 조작으로 볼을 타격하여 볼의 진행에 따라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게임구(100)가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지능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필통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게임구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필통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필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타격수단중 조작부의 형상을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필통의 타격수단 형상을 도시한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필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게임구중 바닥면의 형상을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이 필통의 일 실시예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필통(200)의 상부케이싱(20)의 상면에는 볼(30)을 타격하여 볼의 진행에 따라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게임구(1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게임구(100)는 외부에서 게임진행을 식별할 수 있도록 상부면은 투명케이스(22)로 형성되며, 상부케이싱(20)의 양측 중앙부에는 볼의 진행에 따라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납홀(2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납홀(23)의 양측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볼(30)을 타격하여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타격수단(110)이 형성된다.
상기 타격수단(110)은 수납홀(23)의 양측부에 힌지축(24)에 의해 고정되며, 몸체 전면부에는 볼(30)과 접촉되어 볼(30)을 타격시킬 수 있는 타격대(121)가 구비되고, 상기 타격대(121)의 후측으로는 주동 기어부(122)가 형성된 타격부(120)와, 상기 타격부(120)를 외측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몸체 일측으로는 연동 기어부(131)가 형성되고, 몸체 상부로는 손잡이(132)가 구비된 조작부(130)와, 상기 조작부(130)의 내측에 위치되어 조작부(130)의 작동 후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리턴부재(14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턴부재(140)로는 코일 스프링(141)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코일 스프링(141)이 아닌 통상의 탄성수단은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리턴부재(140)는 조작부(130)의 하측에 별도의 지지케이스(40) 내측으로 위치되면서, 조작부(130)를 원상태로 복원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 조작부(130)는 지지케이스(40)의 상부에서 위치되면서, 조작부(130)의 일단부가 리턴부재(140)에 걸려 있고, 상기 리턴부재(140)는 지지케이스(40) 내에 위치되므로, 조작부(130)는 리턴부재(140)에 의해 작동후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130)의 작동에 타격부(120)가 주동 기어부(122)와 연동 기어부(131)의 치차 결합에 의해 회동하면서, 볼(30)을 타격하여 대응되는 방향의 수납홀(23)에 볼(30)을 넣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게임구(100)의 바닥면(21)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볼(30)의 진행이 용이하므로, 게임의 진행을 더욱 더 흥미롭게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인 필통(200)의 상부케이싱(20) 상면에 형성되는 게임구(100)는 사용자가 조작부(130)의 작동에 의해 타격부(120)가 연동되면서 볼(30)을 타격하여 대응되는 방향으로 볼(30)을 이동시킬 수 있고, 조작부(130)의 내측에는 리턴부재(14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조작부(130)를 쉽게 간편하게 작동시키면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격수단(110)을 이용하여 볼(30)을 타측방향을 수납홀(23)에 넣는 방식의 게임외에 선택적으로 타격수단(110)을 일측부에만 형성하고, 타측부에는 포켓부(50)를 형성하여 타격수단(110)의 작동에 의해 볼(30)을 타측방향의 포켓부(50)로 넣는 방식의 게임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즉, 게임구(100)의 일측부에는 타격수단(110)을 구비하고, 타측부에는 다수개의 포켓부(50)를 형성하여 타격수단(110)의 작동에 의해 볼을 타측방향의 포켓부(50)로 넣는 방식의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타격수단(110)의 작동으로 볼(30)을 포켓부(50)로 넣은 게임의 경우에도 바닥면(21)은 중앙을 중심으로 소정의 기울기로 양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게임의 흥미를 더욱 더 증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인 필통(200)은 상부케이싱(20)의 상면으로 타격수단(110)의 조작에 의해 볼(30)을 타격하여 볼의 진행에 따른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여가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사용자의 지능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필통(200)의 상부면에 볼(30)을 타격하여 볼의 진행방향에 따라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게임구(100)가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여가시간 활용 및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통(200)의 몸체에 흥미로운 게임구(1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게임기를 구입하지 않고도, 여가시간을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이 아닌 양측에서 상대방을 대상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게임의 흥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사용자의 지능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5)

  1. 각종 필기구들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몸체 내측으로는 필기구를 담을 수 있는 수납홈(12)이 구비되고, 일측 단부에는 힌지부(11)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싱(10)과;
    상기 하부케이싱(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힌지부(11)를 축으로 지점회동되어 하부케이싱(10)의 내부를 개방하거나 폐쇠하는 상부케이싱(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싱(20)의 상부 양측으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볼(30)을 타격하며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타격수단(110)이 구비된 게임구(1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수단(110)은 수납홀(23)의 양측부에 힌지축(24)에 의해 고정되며, 몸체 전면부에는 볼(30)과 접촉되어 볼(30)을 타격시킬 수 있는 타격대(121)가 구비되고, 상기 타격대(121)의 후측으로는 주동 기어부(122)가 형성되는 타격부(120)와;
    상기 타격부(120)를 외측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몸체 일측으로는 연동 기어부(131)가 형성되고, 몸체 상부로는 손잡이(132)가 구비된 조작부(130)와;
    상기 조작부(130)의 내측에 위치되어 조작부(130)의 작동 후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리턴부재(1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재(140)로는 코일 스프링(141)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구(100)의 바닥면(21)은 볼(30)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중앙을 중심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5.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구(100)는 타격수단(110)을 일측부에만 형성하고, 타측부에는 포켓부(50)를 형성하여 타격수단(110)의 작동에 의해 볼(30)을 타측방향의 포켓부(50)로 넣는 방식의 게임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필통.
KR2020000006758U 2000-03-10 2000-03-10 필통 KR200194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758U KR200194704Y1 (ko) 2000-03-10 2000-03-10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758U KR200194704Y1 (ko) 2000-03-10 2000-03-10 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704Y1 true KR200194704Y1 (ko) 2000-09-01

Family

ID=1964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758U KR200194704Y1 (ko) 2000-03-10 2000-03-10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7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297B1 (ko) * 2002-02-04 2004-08-09 윤현옥 농구 놀이 기능을 구비하는 필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297B1 (ko) * 2002-02-04 2004-08-09 윤현옥 농구 놀이 기능을 구비하는 필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9085A (en) Portable recreational product assembly
KR200194704Y1 (ko) 필통
KR200229162Y1 (ko) 필통
KR200184888Y1 (ko) 필통
KR200387206Y1 (ko) 필통
KR200358482Y1 (ko) 게임기를 포함하는 필통
KR200285137Y1 (ko) 자석 지함 필통
KR200167352Y1 (ko) 필통
KR200311754Y1 (ko) 축구 게임판을 구비한 필통
KR200326965Y1 (ko) 필통
KR960009468Y1 (ko) 필통
KR200222488Y1 (ko) 필통
KR200330306Y1 (ko) 게임수단이 구비된 필통
KR200362278Y1 (ko) 필통
KR200339618Y1 (ko) 게임기능이 구비된 필기구
KR200283092Y1 (ko) 골프클럽 헤드커버
KR200208919Y1 (ko) 게임 구를 갖는 필통
KR200317001Y1 (ko) 완구기능을 구비한 필통
KR200362362Y1 (ko) 필통
KR200356562Y1 (ko) 양 방향 회동절첩식 2단 필통
KR200188840Y1 (ko) 필통중간 케이스
KR100485366B1 (ko) 자석을 이용한 휴대용 게임세트
KR200356563Y1 (ko)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KR0140261Y1 (ko) 연필깍기
KR200442091Y1 (ko) 스탠드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