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563Y1 -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 Google Patents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563Y1
KR200356563Y1 KR20-2004-0010738U KR20040010738U KR200356563Y1 KR 200356563 Y1 KR200356563 Y1 KR 200356563Y1 KR 20040010738 U KR20040010738 U KR 20040010738U KR 200356563 Y1 KR200356563 Y1 KR 200356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case
pencil
war
case
gam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운
Original Assignee
송경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운 filed Critical 송경운
Priority to KR20-2004-0010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5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5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75War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팀으로 나누어 장난감 대포로서 포탄을 발사하여 승패를 겨룰 수 있는 전쟁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필통은, 하향 개방형 뚜껑(11)이 결합되며, 상면(SU)에 군인들과 각종 전쟁물자가 도안되고, 상면(SU)의 길이 방향 양 단부 폭 방향 중앙부에 원통형 포결합구(A)가 직립 형성된 요홈(G)이 각각 구비된 사각함체상의 하단필통(10)과; 상기 하단필통(10)의 양 단부에 좌·우측으로 펼쳐지도록 각각 힌지 결합되며, 그 저면(SD)에 군인들과 각종 전쟁물자(M)가 도안된 한 쌍의 상단필통(20)과; 상기 하단필통(10)의 원통형 포결합구(A)에 회동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직선 왕복 이동과 회전이 가능한 장난감 대포(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필통은 하단필통의 상면이 2배로 확장되는 효과를 얻는 동시에 장난감 대포의 위치와 발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게임의 재미를 한층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The pencilcase with a war game board}
본 고안은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내부에 필기구 수납공간이 구비된 사각함체상의 하단필통 폭 방향 양측 단부에, 하단 필통 폭의 1/2이 되는 폭을 가지며 내부에 필기구 수납공간이 구비된 한 쌍의 상단필통을 하단필통의 양 측으로 각각 펼칠 수 있도록 힌지 결합시켜 두 상단필통이 하단필통의 폭 방향 양 측으로 각각 펼쳐진 상태에서 상단필통 폭의 2배 폭이 되는 전쟁놀이 보드가 만들어지며, 상기 상단필통의 길이 방향 양 단부 폭 방향 중앙부에 일정 범위 내에서 위치 및 방향 조절이 가능한 장나감 대포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상기 전쟁놀이 보드를 향하여 장난감 대포로 장난감 포탄을 발사하여 승패를 겨룰 수 있도록 한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에 관한 것이다.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학용품인 필통은 연필이나 볼펜과 같은 필기구와 지우개 등을 넣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본적인 문방구로서, 특히 글쓰기가 익숙하지 못하여 글씨를 배우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연필과 지우개를 사용하는 초등학생에게는 없어서는 안되는 소형의 필기구 보관함이다.
상기와 같은 필통의 경우 초등학생의 경우는 대부분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하드 케이스 타입을 사용하며, 중학생 이상인 경우는 직물로 만들어지고 지퍼가 구비되어 부피가 작고 휴대가 간편한 주머니 타입을 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볼펜이나 샤프 등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 중학생 이상 학생의 경우 필통을 사용치 않고 한 두 자루의 필기구만을 휴대하기도 한다.
즉, 필통은 크게 주머니 타입과 하드 케이스 타입의 두 종류로 구분되며,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그 구조가 단순한 주머니 타입 필통은 주로 중학생 이상을 대상으로 하고, 하드 케이스 타입은 초등학생을 주 대상으로 하는 바, 주머니 타입에 비하여 하드 케이스 타입 필통의 수요가 더욱 크다.
그러나, 초등학생은 어떠한 사물에 대하여 흥미를 쉽게 가지기도 하나 쉽게 실증내는 경향이 있는 바, 초등학생의 흥미를 붙잡기 위하여 하드 케이스 타입 필통의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의 필통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만들어지고 있다.
따라서, 하드 케이스 타입 필통(이하 '필통'이라고만 함)은 필기구가 담기는 수납체와 뚜껑만으로 이루어진 가장 단순한 형태의 1단 필통으로부터 수납체가 다단으로 구성된 다단 필통으로 발전되었을 뿐 아니라, 어린학생들의 관심을 끌기 위하여 최근에는 오락이나 퍼즐 등을 즐길 수 있는 소형의 오락부재가 구비되기도 하고,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각종 캐릭터들이 필통의 외면에 인쇄되기 한다.
상기와 같이 필통에 결합되는 오락부재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 전자오락기, 축구 게임기, 농구 게임기 등이 대표적인 것인 바, 오락부재가 구비된 종래의 필통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전자오락기는 건전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건전지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필통에 결합된 오락기는 소형의 오락기로서 두 사람이 동시에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그 게임이 단순하여 지속적인 흥미를 끌기가 어려우며, 게임의 수준을 높일 경우에는 필통의 제조 단가가 높아지게 되어 구매력이 낮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축구 게임기는 오락실의 축구 게임기를 축소한 것으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11754에 개시된 축구 게임판을 구비한 필통은, 공을 움직이기 위하여 막대에 결합된 사람 형상의 접촉부 때문에 필통의 상·하 방향 부피가 커져 필통을 휴대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를 손쉽게 회전시키기 위하여 서는 상기 막대의 길이를 필통의 폭 보다 길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필통의 보관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골인된 골을 꺼내기 위해서는 필통을 열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그리고,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275451호에는 농구 놀이를 할 수 있는 필통이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필통은 스프링이 내장된 발사관을 이용하여 단지 볼을 바스켓에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두 사람이 동시에 놀이를 할 수 없으며, 그 구조 역시 단순하여 어린이들의 흥미를 끌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오락부재에 의해 필기구 수납 공간이 축소되거나 그 부피가 커지게 되어 휴대에 불편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오락기가 구비된 종래 필통들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로에 대하여 완전히 독립된 필기구 수납부를 다수로 구비하여 종류별 필기구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손쉽게 분리 보관할 수 있으며, 휴대시의 필통 폭보다 2배 큰 정도의 넓은 면적에서 두 사람이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일실시예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을 보인 것으로,
(가)는 상면 사시도이며,
(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보인 본 고안 일실시예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의 사시도.
도 3은 완전히 펼쳐진 후 뒤집은 상태를 보인 본 고안 일실시예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의 사시도.
도 4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를 보인 본 고안 다른 실시예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단필통 11. 하단필통 뚜껑
12. 보조뚜껑 20. 상단필통
21. 상단필통 뚜껑 30. 대포
31. 대포 몸체 32. 대포 포신
33. 발사지렛대
A. 포결합구 B. 포탄
G. 요홈 h. 통공
M. 전쟁물자 SG. 요홈 바닥면
SD. 상단필통 저면 SU. 하단필통 상면
SU'. 상단필통뚜껑 상면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하단필통의 폭 방향 양단부에 한 쌍의 상단필통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2단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은 뚜껑이 결합되어 각각의 필기구 수납공간이 구비되며 사각함체상의 형상을 하는 한 쌍의 상단필통과 하나의 하단필통이 2단으로 결합된 구조로서, 각 상단필통이 하단필통의 양 측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젖혀지도록 함에 본 고안의 구조적 특징이 있다.
설명에 앞서 용어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본 고안 필통을 구성하는 상·하단 필통의 '상면'과 '저면'은 본 고안의 필통이 '펼쳐지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상단필통과 한 쌍의 상단필통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필통은, 상기 하단필통의 폭 방향 양 단부 각각에 상단필통이 하나씩 힌지 결합된 2층의 적층 구조로서, 상·하단필통은 접혀진 상태에서 상단필통의 저면과 하단필통의 상면이 서로 맞닿은 상태가 되는 바, 하단필통과의 양 측 힌지 결합부를 각각 축으로 하여 상기 두 상단필통을 하단필통의 폭 방향 양 측으로 각각 180°회전시켜 펼치게 되면 하단필통 상면의 양 단부에서 좌·우로 펼쳐진 두 상단필통의 저면이 하단필통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면서 상단필통 상면이 두 배로 확장되는 효과가 얻어지도록 함에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하단필통에 힌지 결합된 두 상단필통을 하단필통에 대하여 폭 방향 양 측으로 펼치게 되면, 180°회전에 의해 상면과 상·하 위치가 두바뀌게 된 하단필통의 저면이 상단필통의 상면을 중심으로 하여 그 폭 방향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면서 하단필통의 상면과 두 상단필통의 저면이 하나의 동일 평면으로 확장 연장되며, 이와 같이 하단필통의 상면이 두 상단필통의 저면에 의해 그 좌·우측으로 2배 확장됨으로써 전쟁놀이 게임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전쟁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전쟁놀이 보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필통 상면의 길이 방향 양 단부 폭 방향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단필통뚜껑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상면을 가지며 분리 가능한 보조뚜껑이 결합되는 요홈의 바닥면에는, 사람의 손으로 작동되며 일정 범위 내에서 위치와 방향이 조절되는 장난감 대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는 바, 상기 보조뚜껑을 요홈으로부터 분리한 후 장난감 대포의 위치와 발사 방향을 조절하여 전쟁놀이 보드를 향하여 장난감 포탄을 발사함으로써 전쟁놀이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보드로 발사된 포탄에 의해 게임의 승패가 갈라지도록 하기 위하여 전쟁놀이 보드에는 군인을 비롯하여 진지나 탱크 또는 장갑차 등의 각종 전쟁물자의 모형이 설치되거나 그림 등으로 표시되는 바, 발사된 포탄이 떨어지는 위치에 따라 점수 등을 계산하여 그 승패를 결정지울 수 있게 된다.
이때, 보드 상면 또는 모형 등을 자석이 붙는 강판과 같은 자성체로 구성하고, 장난감 포탄으로서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발사된 장난감 포탄이 보드에 충돌한 후 다른 곳으로 튀지 않고 보드에 직접 표시되거나 설치된 모형에 붙게 되어 점수 계산을 정확히 할 수 있게 되어 포탄이 보드에 충돌한 후 다른 곳으로 튐으로써 계산에 대한 착오가 생기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쟁놀이 외에 본 고안의 필통은 각각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한 쌍의 상단필통과 하나의 하단필통으로 구성되는 바, 상·하단필통의 뚜껑은 그 열리는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된다.
즉, 상·하단필통을 접은 상태에서, 한 쌍의 상단필통은 그 뚜껑이 모두 상향 개방되며, 하단필통은 하향 개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본 고안의 필통을 접은 상태에서는 어느 일측 필통의 뚜껑이 바닥에 놓여지게 되어 상단필통 또는 하단필통 중의 어느 일측만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띠라서, 상·하단필통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단필통을 하단필통의 좌·우측으로 펼친 후 이를 뒤집어 전쟁놀이 보드가 바닥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상·하단필통의 모든 뚜껑이 상향 개방되도록 한 후에 모든 상·하단필통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고안 일실시예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의 사시도를, 도 2에 본 고안 일실시예 필통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 3에 본 고안 일실시예 필통을 펼친 후 뒤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은, 폭 방향 하단부 일측에 하향 개방형 뚜껑(11)이 힌지 결합되어 내부에 필기구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면(SU)에 각종 전쟁물자(M)가 도안되고, 상면(SU)의 길이 방향 양 단부 각 폭 방향 중앙부에 상기 상면(SU)이 함몰되어 형성된 각 요홈(G)의 바닥면(SG)에는 원통형 내지는 원기둥형 포결합구(A)가 직립 형성되며, 상기 각 요홈(G)을 덮기 위하여 상단필통(20)의 뚜껑(21) 상면(SU')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상면을 갖는 하향 개방형 보조뚜껑(12)이 구비된 사각함체상의 하단필통(10)과;
상기 하단필통(10)의 상단부 폭 방향 양 단부에 각각의 하단부 폭 방향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하단필통의 좌·우측으로 각각 펼쳐지도록 하단필통 상면에 적층되고, 상단부 일측에는 상향 개방형 뚜껑(21)이 힌지 결합되어 내부에 필기구 수납공간이 형성된 사각함체상의 형상을 하며, 그 저면(SD)에 각종 전쟁물자(M)가 도안되며, 각각의 폭이 하단필통 폭의 1/2이 되면서 그 높이는 하단필통과 동일한 한 쌍의 사각함체상 상단필통(20)과;
상기 하단필통의 요홈(G) 바닥면에 직립 형성된 원통형 포결합구(A)의 외주면에 내면이 회동 및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포결합구에 대한 직선 왕복 이동 및 포결합구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가능한 하향 개방형 몸체(31)와, 몸체(31)의 상면 일측에 상향 고정된 원통형 포신(32)과, 포신(32)의 외부에 위치하는 일측단부를 누르는 힘과 속도에 의해 포신 내부에 위치하는 타측단부에 놓여진 장난감 포탄(B)의 발사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포신의 하부를 관통하여 유동 가능하게 포신(32)에 결합되어 포신과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지렛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발사지렛대(33)로 이루어진 장난감 대포(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요홈(G)을 하단필통(10)의 면적내에만 국한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그러한 경우 두 요홈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게 되는 바, 각 요홈의 바닥면(SG)이 하단필통의 길이 방향 양 단부를 각각 벗어나 돌출되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필통에서 전쟁놀이 게임을 재미있게 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상기 장난감 대포의 위치와 발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드의 전체면에 걸쳐 위치에 관계 없이 장난감 포탄을 발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장난감 대포의 위치와 포신의 방향을 변화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장난감 대포의 위치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요홈의 바닥면에 장난감 대포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는 바, 그 한 예가 상기와 같이 포결합구(A)가 장난감 대포의 몸체(31)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서, 이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포결합구는 장난감 대포를 구성하는 하향 개방형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포결합구의 반대측 두 외주면이 몸체의 폭 방향 대향 내면에 밀착되며, 몸체의 길이는 상기 포결합구의 외경보다 긴 형태로서, 포결합구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링형 돌기 또는 요홈이 형성되고, 몸체의 두 대향 내면에는 상기 포결합구 내주면의 링형 돌기 또는 요홈의 반대되는 두 부분에 형합되는 직선형 요홈 또는 돌기가 내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포결합구가 장난감 대포의 몸체 내부로 삽입되면 포결합구 외주면의 돌기 또는 요홈이 몸체 내부 두 대향면의 요홈 또는 돌기에 형합되어 결합됨으로써, 바다면에 고정된 포결합구에 대하여 몸체는 그 내면의 직선형 요홈 또는 돌기 방향으로 몸체의 길이 범위 내에서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포결합구의 링형 돌기 또는 요홈을 따라 몸체가 360°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그에 따라 장난감 대포의 발사 위치와 방향을 바꿀 수 있게 된다.
이때, 포탄의 발사 거리는 손으로 발사지렛대를 누르는 힘과 속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난감 대포를 이용하여 하단필통의 상면(SU)과 두 상단필통의 저면(SD)으로 이루어진 전쟁놀이 보드로 장난감 포탄을 발사하는 경우 포탄이 보드에 부딪힌 후 다른 곳으로 튀어나감으로써 게임 당사자간 점수 등의 계산에 의견 차이가 있을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난감 포탄을 자석으로 만들고, 보드를 구성하는 상·하단필통의 각 저면과 상면에 강판과 같은 판상의 자성체를 결합시키거나, 그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단필통의 저면과 상면에 다수의 통공(h)을 형성시키고, 각종 전쟁물자(M) 각각을 별개로 만든 후 이들을 상기 상·하단필통의 저면과 상면에 형성된 각 통공(h)에 꽂아 세운 상태에서 전쟁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체감이 있는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으며, 이 경우에도 전쟁물자와 포탄을 각각 자성체와 자석 또는 그 반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은 상·하 필통이 2층의 적층 구조를 이루는 동시에 한 쌍으로 구성된 상단필통이 하단필통의 좌·우측으로 펼쳐져 하단필통의 상면을 중심을 그 폭이 2배로 확장되는 효과를 얻는 동시에 장난감 대포의 위치와 발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 해서 게임의 재미를 한층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별도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하단필통과 함께 상단필통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필기구 수납공간이 독립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류별 필기구가 섞이지 않도록 구별하여 보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2단 필통에 있어서, 하단부에 하향 개방형 뚜껑(11)이 힌지 결합되며, 상면(SU)의 길이 방향 양 단부 폭 방향 중앙부 상면이 함몰되어 형성된 요홈(G)의 바닥면(SG)에 원통형 포결합구(A)가 직립하고, 상기 각 요홈(G)을 덮기 위한 하향 개방형 보조뚜껑(12)이 구비된 하단필통(10)과;
    각 하단부 일측이 상기 하단필통(10)의 상단부 폭 방향 양 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하단필통 상면에 적층되고, 각 상단부에는 상향 개방형 뚜껑(21)이 힌지 결합되며, 각각의 폭이 하단필통(10) 폭의 1/2인 한 쌍의 상단필통(20)과;
    상기 하단필통 포결합구(A)의 외주면에 내면이 회동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향 개방형 몸체(31)와, 몸체(31)의 상면 일측에 상향 고정된 포신(32)과, 장난감 포탄(B)을 발사하기 위하여 양 단부가 포신(32)의 내·외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포신의 하부를 관통하여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발사지렛대(33)로 이루어진 장난감 대포(30)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각 바닥면(SG)은 하단필통(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를 벗어나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난감 포탄(B)은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필통(20)의 상면(SU)과 두 상단필통의 저면(SD)에는 자석에 붙는 판상의 자성체가 부가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단필통(20)(10)의 저면(SD)과 상면(SU)에는 전쟁물자(M)가 인쇄되거나, 개별적으로 만들어진 다수의 전쟁물자(M)를 꽂아 세울 수 있는 다수의 통공(h)이 관통 형성된 것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KR20-2004-0010738U 2004-04-19 2004-04-19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KR200356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738U KR200356563Y1 (ko) 2004-04-19 2004-04-19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738U KR200356563Y1 (ko) 2004-04-19 2004-04-19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563Y1 true KR200356563Y1 (ko) 2004-07-15

Family

ID=4943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738U KR200356563Y1 (ko) 2004-04-19 2004-04-19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5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lisle Encyclopedia of play in today's society
JP2006341065A (ja) 磁石が結合された多面体ブロック玩具
US5431397A (en) Table top soccer game apparatus
US6926278B2 (en) Game table having a pivoting table section for chess and backgammon and having storage compartments therein
US5738354A (en) Educational board game
US3899173A (en) Simulated basketball game
US20090200742A1 (en) Game Apparatus for playing tossing game
US3715121A (en) Target and projecting apparatus including a balanced projectile
US2504818A (en) Balloon game
KR200356563Y1 (ko)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US20090184467A1 (en) Board game with laterally movable pieces
JP2007111144A (ja) コマ玩具
KR20110004091U (ko) 게임을 할 수 있는 필통
US4624464A (en) Game turntable
US6120023A (en) Random access game toy
KR200285137Y1 (ko) 자석 지함 필통
KR200477725Y1 (ko) 게임 2색 필기구
KR200337094Y1 (ko)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RU2777375C2 (ru) Игра-головоломка
US11167201B2 (en) Kit for a game system and method of use
CN217526325U (zh) 带有游戏盖的冷却器
KR200356562Y1 (ko) 양 방향 회동절첩식 2단 필통
KR102562069B1 (ko) 피규어 다트
JP3172694U (ja) 駒弾きゲーム玩具
KR200369836Y1 (ko) 보드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