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094Y1 -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 Google Patents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094Y1
KR200337094Y1 KR20-2003-0030474U KR20030030474U KR200337094Y1 KR 200337094 Y1 KR200337094 Y1 KR 200337094Y1 KR 20030030474 U KR20030030474 U KR 20030030474U KR 200337094 Y1 KR200337094 Y1 KR 2003370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shooting
basketball
case
game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운
Original Assignee
송경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운 filed Critical 송경운
Priority to KR20-2003-0030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0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0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28Board games simulating indoor or outdoor sporting games, e.g. bowling, basketball, boxing, croquet, athletics, jeu de boules, darts, snooker, rodeo
    • A63F3/00047Basketball board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통 뚜껑을 연 상태에서 그 내부에 눕혀져 있던 두 쌍의 측판을 세움으로써 상부가 개방된 사각 함체상의 게임용 농구장이 조립되는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은,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 사각함체상의 수납 케이스(11)와; 다수의 안착공(H)이 관통 형성된 사각 판상의 바닥판(12A1)과 직립 가능한 두 쌍의 측판(12A2)(12A3)으로 구성된 농구장(12A)과, 상기 바닥판(12A1) 보다 길이가 긴 지지판(12B1A)의 테두리를 따라 두 쌍의 측벽(12B1B)(12B1C)이 직립하며 상기 수납 케이스(11)의 일측 폭 방향 측벽 상단부에 저면 일측 폭 방향 모서리가 힌지 결합되는 사각함체상의 슈팅 케이스(12B1)와, 지지판(12B1A) 상면 양 측에서 바닥판(12A1) 하부로 각각 삽입되어 노출부(O)와 삽입부(I)로 구분되는 슈팅바(12B2)로 구성된 슈팅 장치(12B)로 이루어진 농구 게임기(12)와; 농구 게임기(12)의 슈팅 케이스(12B1) 일측 폭 방향 측벽 상단부에 일측 폭 방향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뚜껑(13)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은 게임기의 결합에 따른 필통 부피의 증가가 최소화되며, 농구공을 움직이기 위한 슈팅바의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조작이 쉽고, 돌기의 상단 경사면에 의해 슈팅의 정확도가 향상되어 손쉽고 누구나 재미있게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The pencilcase with a game board for basket ball}
본 고안은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필통 뚜껑을 연 상태에서 그 내부에 눕혀져 있던 두 쌍의 측판을 세움으로써 상부가 개방된 사각 함체상의 게임용 농구장이 조립되어 두 사람이 농구 게임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한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에 관한 것이다.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학용품인 필통은 연필이나 볼펜과 같은 필기구와 지우개 등을 넣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본적인 문방구로서, 특히 글쓰기가 익숙치 못하며 연필과 지우개를 주로 사용하는 초등학생에게는 없어서는 안되는 소형의 보관함이다.
상기와 같은 필통의 경우 초등학생의 경우는 대부분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하드 케이스 타입을 사용하며, 중학생 이상인 경우는 직물로 만들어지며 지퍼가 구비되어 부피가 작고 휴대가 간편한 주머니 타입을 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볼펜이나 샤프 등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 중학생 이상 학생의 경우 필통을 사용치 않고 한 두 자루의 필기구만을 휴대하기도 한다.
즉, 필통은 크게 주머니 타입과 하드 케이스 타입의 두 종류로 구분되며,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그 구조가 단순한 주머니 타입 필통은 주로 중학생 이상을 대상으로 하고, 하드 케이스 타입은 초등학생을 주 대상으로 하는 바, 주머니 타입에 비하여 하드 케이스 타입 필통의 수요가 더욱 크다.
그러나, 초등학생은 흥미를 쉽게 가지기도 하나 쉽게 실증내는 경향이 있는 바, 초등학생의 흥미를 붙잡기 위하여 하드 케이스 타입 필통의 경우 매우 다양한 형태의 필통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만들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하드 케이스 타입 필통(이하 '필통'이라고만 함)은 필기구가 담기는 수납체와 뚜껑만으로 이루어진 가장 단순한 형태의 1단 필통으로부터 수납체가 다단으로 구성된 다단 필통으로 발전되었을 뿐 아니라, 어린학생들의 관심을 끌기 위하여 최근에는 오락이나 퍼즐 등을 즐길 수 있는 소형의 오락부재가 구비되기도 하고,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각종 캐릭터들이 필통의 외면에 인쇄되기 한다.
상기와 같이 필통에 결합되는 오락부재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 바, 대표적인 것으로 전자오락기, 축구 게임기, 농구 게임기 등이 대표적인 것인 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전자오락기는 건전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건전지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필통에 결합된 오락기는 일반적으로 소형의 오락기로서두 사람이 동시에 할 수 을 뿐 아니라 필통의 단가를 높이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축구 게임기는 오락실의 축구 게임기를 축소한 것으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11754에 개시된 축구 게임판을 구비한 필통은, 공을 움직이기 위하여 막대(31)에 결합된 사람 형상의 접촉부(32) 때문에 필통의 상·하 방향 부피가 커져 필통을 휴대하는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32)를 손쉽게 회전시키기 위하여 서는 상기 막대(31)의 길이를 필통의 폭 보다 길게 하여야 하기 때문에 필통의 보관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골인된 골을 꺼내기 위해서는 필통을 열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그리고,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275451호에는 농구 놀이를 할 수 있는 필통이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필통은 스프링이 내장된 발사관을 이용하여 단지 볼을 바스켓에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두 사람이 동시에 놀이를 할 수 없으며, 그 구조 역시 단순하여 어린이들의 흥미를 끌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본 고안은 오락기가 구비된 종래 필통들이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게임을 위한 경기장을 구성하는 경기장 측벽을 눕힌 상태에서 세울 수 있는 구조로 하여 필통의 부피 증가를 최소화시키면서 별도의 건전지가 필요 없고, 두 사람이 함께 승패를 겨룸으로써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게임기가 결합된 필통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농구 게임기가 닫힌 본 고안 일실시예 필통의 개방 사시도.
도 2는 농구 게임기가 열린 본 고안 일실시예 필통의 개방 사시도.
도 3 농구장이 조립된 본 고안 일실시예 필통의 사시도.
도 4는 일측 일실시예 횡측판의 사시도.
도 5는 일실시예 바닥판을 보인 것으로,
(가)는 평면도이고,
(나)는 정단면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 슈팅바를 보인 것으로,
(가)는 평면 배열도이고,
(나)는 부분 결합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수납 케이스 12. 농구 게임기 13. 뚜껑
12A. 농구장 12A1. 바닥판 12A2. 종측판 12A3. 횡측판
12B. 슈팅 장치 12B1.슈팅바 케이스 12B2. 슈팅바
12B1A. 지지판 12B1B. 종측벽 12B1C. 횡측벽
B. 바스켓 B1. 농구공 b. 가지 E. 슈팅 돌기
E1.E2.E3. 걸림돌기 F. 연결구 I. 삽입부 M. 몸체
O. 노출부 SE. 슈팅 돌기의 상단면 V. 공간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경기장을 이루는 측벽의 가변형 직립 구조와, 공을 바스켓에 넣기 위한 지렛대식 슈팅바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은, 두 사람이 함께 게임으로서의 농구 경기 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사각함체상의 농구장과, 바스켓에 공을 넣기 위한 슈칭 장치에 그 구조적 특징이 있는 바, 이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필통에 구비된 농구 게임기를 구성하는 농구장은, 서로 대향하는 두 쌍의 측판과 각 측판이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세워지는 사각 판상의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바, 각 측판의 하단부는 상기 바닥판 상면의 네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한 쌍의 측판(종측판)은 바닥판에 적층되는 상태로 눕혀지거나 바닥판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직립가능한 구조이며, 다른 한 쌍의 측판(횡측판)은 바닥판의 길이 방향 양 단부를 벗어나는 형태로 눕혀지거나 양 단부에 직립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두 횡측판의 상호 대향면에는 각 대향면 상에서 접혀지거나 직립 가능한 바스켓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게임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네 측판을 눕힌 상태에서 뚜껑을 닫아 필통을 보관하게 되며, 게임을 하는 경우에는 뚜껑을 연 상태에서 상기 두 쌍의 측판을 바닥판에 직립시켜 상부가 개방된 사각함체상의 농구장을 만들어 농구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에는 농구공이 놓이게 되는 다수의 안착공이 형성되고, 각 안착공 주변의 상면은 안착공을 향하는 경사면을 이루게 된다.
즉, 바닥판 상면은 하나의 평탄면이 아닌, 안착공 수 만큼의 경사면들이 구비된 요철면을 이루게 되는 바, 바닥판위에 떨어진 농구공은 그 위치에 관계 없이 어느 한 경사면에 위치하게 되고, 그 결과 농구공은 농구공이 위치하게 되는 각 경사면을 따라 경사면이 향하는 안착공에 놓여지게 된다.
상기 농구장과 함께 본 고안의 구조적 특징을 이루는 슈팅 장치는, 농구장의 바닥판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슈팅바 케이스와 농구공을 바스켓에 넣기 위한 슈팅바로 구성되는 바, 슈팅바 케이스는 사각 판상의 지지판 테두리를 따라 내면 상단부에 단턱부가 형성된 두 쌍의 측벽이 직립한 상부 개방형의 사각함체상 구조로서, 상기 지지판의 폭은 상기 농구장 바닥판 저면의 폭 방향 양 단부가 지지판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직립하여 대향하는 두 종측벽의 단턱부에 안착될 수 있는 폭이며, 지지판의 길이는 지지판의 길이 방향 양 단부가 바닥판의 길이 방향 양 단부를 각각 동일한 길이 만큼 벗어나는 길이이다.
즉, 농구장은 상기 슈팅바 케이스를 이루는 두 측벽(종측벽)의 길이 방향 중앙부 내면 상단 단턱부에 안착 고정되며, 서로 평행한 농구장 바닥판의 저면과 슈팅바 케이스 지지판의 상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과 지지판 사이의 공간에 양 방향으로부터 슈팅바가 각각 장착되는 바, 슈팅바는 바닥판의 길이 방향 양 단부를 벗어난 양 측 지지판 상에서 상기 공간 내부로 동일한 수가 각각 삽입되어 슈팅바의 일측부는 바닥판 하부 공간을 벗어나 지지판의 상면 상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부는 바닥판 하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서, 각 슈팅바는 바닥판의 길이 방향 저면 테두리부에 대응하는지지판의 상면에 돌출된 걸림돌기를 받침점으로 하는 지렛대식 결합을 하게 된다.
즉, 지지판의 걸림돌기를 중심으로 하여 슈팅바의 노출부를 누름으로써 삽입부가 바닥판 하부 공간에서 들리게 된다.
또한, 각 슈팅바에는 바닥판의 안착공 위치에 대응하는 다수의 슈팅 돌기들이 구비되는 바, 바닥판의 각 안착공에는 지지판의 길이 방향 양 측에서 바닥판 하부 공간으로 각각 삽입 결합된 두 슈팅바의 두 슈팅 돌기가 대응하게 되며, 두 슈팅 돌기의 각 상단면은 서로 반대 방향의 바스켓을 향한 경사면이 형성된다.
즉, 안착공에 농구공이 놓여진 상태에서 바닥판의 길이 방향 양 측 단부를 벗어난 지지판의 양 측 상면상에 있는 양 측의 슈팅바 노출부 중 어느 일측을 빠르게 눌러주느냐에 따라 슈팅바의 슈팅 돌기가 농구공을 쳐올려 그 반대 방향측 바스켓을 향한 슈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농구 게임기가 닫힌 본 고안 필통의 개방 사시도를, 도 2에 농구 게임기가 열린 본 고안 필통의 개방 사시도를, 도 3 농구장이 조립된 본 고안 필통의 사시도를, 도 4에 일측 횡측판의 사시도를, 도 5에 바닥판의 평면도와 정단면도를, 도 6에 슈팅바의 배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필통은 내부에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 사각함체상의 수납 케이스(11)와;
상기 수납 케이스(11)의 일측 폭 방향 측벽 상단부에 저면 일측 폭 방향 모서리가 힌지 결합되는 사각함체상의 농구 게임기(12)와;
상기 농구 게임기(12)의 일측 폭 방향 측벽 상단부에 일측 폭 방향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뚜껑(13)으로 구성되며, 상기 농구 게임기(12)는 농구장(12A)과 슈팅 장치(12B)로 구성되는 바, 상기 농구장(12A)은 상면과 저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안착공(H)이 관통 형성된 사각 판성의 바닥판(12A1)과, 바닥판(12A1)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직립 가능하면서 바닥판(12A1)의 상면에 적층 상태로 눕혀질 수 있도록 하단부가 바닥판(12A1)의 폭 방향 양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종측판(12A2)과, 상기 바닥판(12A1)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직립 가능하면서 바닥판(12A1)의 외측으로 눕혀져 직립시의 상단부가 지지판(12B1A)의 횡측벽 내면 상단부의 단턱부(J)에 지지되도록 하단부가 바닥판(12A1)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직립시 상호 대향면에 눕혀지면서 직립 가능한 바스켓(B)이 각각 결합된 한 쌍의 횡측판(12A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안착공(H) 주변의 바닥판(12A1)의 상면에는 각 안착공(H)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S)이 형성되는 바, 이 경사면에 의하여 바닥판에 떨어진 농구공(B1)은 자동적으로 어느 한 안착공(H)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직립시의 횡측판(12A3) 내면 상단부 양 측 단부에는 종축판(12A2)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F)가 구비되는 바, 네 측판을 직립시킨 상태에서종축판(12A2) 내면 상단부 양 측 단부를 상기 횡측판(12A3)의 연결구(F)에 끼움으로써 게임하는 동안 농구장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농구 게임기(12)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 요소인 슈팅 장치(12B)는, 상기 바닥판(12A1) 보다 길이가 긴 사각 판상의 지지판(12B1A)과, 지지판(12B1A)의 폭 방향 양 단부를 따라 직립하며 내면 상단부 단턱부(J)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상기 바닥판(12A1)의 폭 방향 양 단부가 결합되는 한 쌍의 종측벽(12B1B) 및 지지판(12B1A)의 길이 방향 양 단부를 따라 직립한 한 쌍의 횡측벽(12B1C)으로 이루어진 상부 개방형 사각함체상의 슈팅 케이스(12B1)와; 바닥판(12A1)의 길이 방향 양 단부를 벗어난 지지판(12B1A) 상면의 양 측에서 바닥판(12A1)과 지지판(12B1A) 상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V)내로 각각 하나 이상씩 동일한 수가 삽입되어 노출부(O)와 삽입부(I)로 구분되며 바닥판(12A1)의 안착공(H) 내에 위치하게 되는 슈팅 돌기(E)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가지(b)가 일자형 편상 몸체(M)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슈팅바(12B2)로 구성된다.
또한, 바닥판(12A1) 저면의 길이 방향 양 단부와 이에 대응하는 지지판(12B1A) 상면에는 전폭에 걸쳐 걸림돌기(E1)(E2)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삽입부(I)에 비하여 두께가 두꺼운 노출부(O)에 인접한 삽입부(I)의 상면에도 전폭에 걸쳐 걸림돌기(E3)가 돌출 형성되는 바, 바닥판(12A1) 저면의 걸림돌기(E1)가 슈팅바(12B2)의 노출부(O)와 걸림돌기(E3) 사이에 끼워져 슈팅바(12B2)의 위치가 고정되며, 슈팅바(12B2)의 경계부 저면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판(12B1A) 상면의걸림돌기(E2)를 받침점으로 하여 슈팅바가 지렛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각 슈팅바(12B2)에 형성된 슈팅 돌기(E)의 상단면(SE)은 상대측 바스켓(B)을 향하여 하향 경사면을 이루며, 각 안착공(H)에는 양 측 슈팅바의 슈팅 돌기가 하나씩, 즉 경사 방향이 서로 다른 상단면을 갖는 도합 2개의 슈팅 돌기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필통에서 농구 게임을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뚜껑(13)을 연 상태에서 두 쌍의 측판(12A2)(12A3)을 바닥판(12A1)에 직립시키고, 두 횡측판(12A3)의 대향면에 결합된 바스켓(B)을 대향면에 직립시킨 후 바닥판(12A1) 상에 농구공(B1)을 놓음으로써 게임의 준비가 완료되며, 두 사람이 지지판(12B1A)의 길이 방향 양 측에 위치한 후 양 측의 슈팅바(12B2) 노출부(O)를 눌러줌으로써 농구 게임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슈팅바의 누르는 속도와 힘에 의해 슈팅바의 경사진 슈팅 돌기 상단면에 튕겨지는 농구공의 방향이 결정된다.
그리고, 게임을 하지 않을 때, 농구장(12)을 구성하는 두 횡측판(12A3)을 슈팅 케이스(12B1)의 두 횡측벽(12B1C)측으로 각각 눕히게 되면, 상기 두 횡측판(12A3)은 바닥판(12A1)과 함께 슈팅 케이스(12B1)의 뚜껑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상기 바닥판(12A1)은 밀폐 뚜껑의 역할을, 두 횡측판(12A3)은 개폐 가능한 뚜껑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은 눕혀지면서 직립 가능한 측판에 의해 농구장이 만들어지고, 슈팅바의 상·하 움직임 역시 크지 않기 때문에 게임기의 결합에 의한 필통 부피의 증가가 최소화되며, 농구공을 움직이기 위한 슈팅바의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조작이 쉬울 뿐 아니라, 농구공을 쳐내는 돌기의 상단면을 경사면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슈팅의 정확도가 향상되어 농구 게임의 재미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내부에 필기구 수납부가 형성된 상부 개방형 사각함체상의 수납 케이스(11)와:
    농구공(B1)이 안착되는 다수 안착공(H)이 관통 형성된 사각 판상 바닥판(12A1)의 테두리부에 한 쌍의 종측판(12A2)과 상호 대향면에 각각 바스켓이 결합된 한 쌍의 횡측판(12A3)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개방형 사각함체상으로 조립되는 농구장(12A)과; 상기 수납 케이스(11)의 일측 폭 방향 측벽 상단부에 저면 일측 폭 방향 모서리가 힌지 결합되며 길이 방향 상단부 중앙에 상기 바닥판(12A1)이 고정 결합되는 상부 개방형 사각함체상의 슈팅 케이스(12B1)와, 상기 바닥판(12A1)의 길이 방향 양 단부를 벗어난 슈팅 케이스(12B1) 내부 양 측으로부터 바닥판(12A1) 저면과 슈팅 케이스(12B1) 상면 사이의 공간(V) 내부로 각각 하나 이상씩 동일한 수가 삽입되며 상면 일측에 슈팅 돌기(E)가 돌출 형성된 다수의 가지(b)가 일자형 편상 몸체(M)의 측면으로부터 분기된 슈팅바(12B2)로 이루어진 슈팅 장치(12B)로 구성된 구성된 농구 게임기(12)와:
    상기 농구 게임기(12)의 일측 폭 방향 측벽 상단부에 일측 폭 방향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뚜껑(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착공(H) 주변의 바닥판(12A1) 상면에는 각 안착공(H)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S)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2A1)의 저면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걸림돌기(E1)가 전폭에 걸쳐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구장(12A)의 두 종측판(12A2)은 바닥판(12A1)의 상면에 적층 상태로 눕혀질 수 있도록 그 하단부가 바닥판(12A1)의 폭 방향 양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두 횡측판(12A3)은 바닥판(12A1)의 길이 방향 양 단부 외측으로 눕혀질 수 있도록 바닥판(12A1)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슈팅 케이스(12B1)는 농구장(12A) 바닥판(12A1) 보다 길이가 긴 지지판(12B1A)과, 지지판(12B1A)의 폭 및 길이 방향 각 양 단부에 직립 연결되어 일체화한 한 쌍씩의 종측벽(12B1B) 및 횡측벽(12B1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2B1A) 상면 중 바닥판(12A1) 저면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대응하는 두 곳에 각각 걸림돌기(E2)가 전폭에 걸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종측벽(12B1B)과 횡측벽(12B1C)의 내면 상단부에는 단턱부(J)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슈팅바(12B2)의 몸체(M)는 지지판(12B1A) 상에 노출되는 노출부(O)와, 농구장(12A) 바닥판(12A1)의 하부 공간(V)에 삽입된 삽입부(I)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O)는 삽입부(I) 보다 두께가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O)에 인접한 삽입부(I)의 상면에 걸림돌기(E3)가 전폭에 걸쳐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슈팅바(12B2)의 가지(b) 상면에 돌출 형성된 슈팅 돌기(E)의 상단면(SE)은 상대측 바스켓(B)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착공(H)에는 상단면 경사 방향이 서로 다른 도합 2개의 슈팅 돌기(E)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KR20-2003-0030474U 2003-09-26 2003-09-26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KR2003370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74U KR200337094Y1 (ko) 2003-09-26 2003-09-26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474U KR200337094Y1 (ko) 2003-09-26 2003-09-26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094Y1 true KR200337094Y1 (ko) 2003-12-31

Family

ID=4942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474U KR200337094Y1 (ko) 2003-09-26 2003-09-26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0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6278B2 (en) Game table having a pivoting table section for chess and backgammon and having storage compartments therein
US20070102881A1 (en) Folding Chess Set
US5927718A (en) Game apparatus
KR200337094Y1 (ko) 농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US201402651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Game
CN210728640U (zh) 轻便骰塔结构
KR200369836Y1 (ko) 보드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KR200362405Y1 (ko) 축구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US3584874A (en) Solitaire checkers game apparatus
JP4071252B2 (ja) 遊戯媒体収容箱
KR200356563Y1 (ko) 전쟁놀이 게임기가 구비된 필통
KR200443088Y1 (ko) 다용도 판이 구비된 필통
KR200356562Y1 (ko) 양 방향 회동절첩식 2단 필통
CN218652983U (zh) 一种多功能益智玩具
KR100485366B1 (ko) 자석을 이용한 휴대용 게임세트
CN215136790U (zh) 一种立体地图拼图盒子
TWM580453U (zh) Upright stacked combination puzzle building block device
KR200285137Y1 (ko) 자석 지함 필통
JPS639341Y2 (ko)
KR200257846Y1 (ko) 휴대용 다트 게임기
KR200325237Y1 (ko) 어린이용 에어볼풀
EP1075862A1 (en) A team game set and anthropomorphic piece
KR20110004091U (ko) 게임을 할 수 있는 필통
KR200433239Y1 (ko) 필통
KR200311754Y1 (ko) 축구 게임판을 구비한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