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401Y1 -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401Y1
KR200358401Y1 KR20-2004-0013390U KR20040013390U KR200358401Y1 KR 200358401 Y1 KR200358401 Y1 KR 200358401Y1 KR 20040013390 U KR20040013390 U KR 20040013390U KR 200358401 Y1 KR200358401 Y1 KR 200358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container
scrap
mold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길성
Original Assignee
고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길성 filed Critical 고길성
Priority to KR20-2004-0013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4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4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78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non-rigid undercut forming elements, e.g. elastic or resil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출성형되는 용기의 스크랩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스크랩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가 성형되는 고정금형의 하단측에 일측면이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2개의 이동다이를 서로 대응되게 설치하고, 상기 이동다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이 일측에 형성된 추출코어부의 경사면을 상기 이동다이의 경사면과 접하도록 하여 상기 이동다이의 좌/우측 진행에 의해 추출코어부가 순간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성형되는 용기의 스크랩이 자동적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된 용기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는, 내측에 성형되는 제품의 형상을 갖는 성형부(11)와, 상기 성형부(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압출기의 성형노즐에 의해 성형재료가 투입되는 투입부(12)를 갖는 고정금형(10)과, 상기 고정금형(10)의 양측단에 다수개의 고정핀(21)에 의해 고정되고 내측에 탄발스프링(22)이 내삽된 2개의 파지금형(20)을 갖는 용기성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10)의 좌/우 양측에 구성된 파지금형(20)의 하단측과 고정핀(23)에 의해 결합되고 마주보는 상단 일측에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면(31)(31)이 형성된 2개의 이동다이(30)(30)가 상기 고정금형(10)의 하단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금형(10)의 성형부(11) 하단측에는, 상기 2개의 이동다이(30)(30) 경사면(31)(31)에 접하고 이 경사면(31)(31)들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협곡면(41)이 하단측에 형성되며 내측에 성형용기의 스크랩이 인입되는 중공부(42)가 형성된 추출코어부(4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추출코어부의 내측에는 이 추출코어부의 전진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43)이 더 내삽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DEVICE FOR SCRAP ABSTRACTION OF MOLDING VESSEL}
본 고안은 압출성형되는 용기의 스크랩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스크랩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가 성형되는 고정금형의 하단측에 일측면이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2개의 이동다이를 서로 대응되게 설치하고, 상기 이동다이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이 일측에 형성된 추출코어부의 경사면을 상기 이동다이의 경사면과 접하도록 하여 상기 이동다이의 좌/우측 진행에 의해 추출코어부가 순간적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성형되는 용기의 스크랩이 자동적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된 용기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용기를 성형하는 방법은, 성형되는 용기의 형상이 형성된 성형부를 갖는 금형에 압출기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충진한 후, 상기 금형을 분리하여 성형된 용기를 꺼내는 방법에 의해 용기가 성형되는 것으로, 상기 금형은 다양한 것들이 안출되고 있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금형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하고자 하는 용기의 형상으로 가공된 성형부(11)와, 상기 성형부(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압출기(미도시)의 성형노즐이 인입됨으로써 성형재료가 상기 성형부(11)로 투입되는 투입부(12)를 갖는 고정금형(10)과, 상기 고정금형(10)의 양측단에 다수개의 고정핀(21)에 의해 고정되고 내측에 탄발스프링(22)이 내삽된 2개의 파지금형(2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성형부(11)의 일측에 형성된 투입부(12)에 압출기의 성형노즐을 통해 성형재료가 투입됨에 따라 상기 성형부(11)의 형상과 동일한 성형물이 양산된다.
이 때, 상기 성형물 즉, 용기의 하단에는 상기 성형재료의 짜투리 다시말해, 스크랩(scrap)이 생성되는 바, 이 스크랩을 제거하는 작업에 의해 용기의 생산라인이 원만하게 돌아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 스크랩을 사람이 일일이 하나하나 수작업으로 뜯어서 제거함에 따라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스크랩을 뜯어 용기와 분리하는 과정에서 양산된 용기에 스크래치 현상이 발생되어 용기 불량률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스크랩을 하나하나 제거하는 후가공 공정에 의해 작업자의 인건비 지출에 의한 생산단가의 증대를 가져오는 문제점 또한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용기를 성형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고안들이 안출되고 있으며, 일예로, 실용신안출원 제1991-9297호인 용기 및 스크랩 추출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구동수단에 의하여 일정 속도로 회전되는 성형 회전 원반에 등간격으로 금형을 다수 형성하여, 이 금형에 압출기의 성형노즐로부터 성형재료가 투입되고 상기 압출기의 대향되는 위치로 성형된 용기가 추출되는 용기의 추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 회전원반에 금형 브라켓트에 의하여 유동 가능하게 고정된 금형들의 사이에 첨단에 그립퍼를 가지는회전부움과, 이 회전부움을 회동시킬 수 있는 수직 고정부움을 가지는 스크랩 추출장치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의 용기가 추출되는 부분에 링크에 의해 유동하는 그립퍼와 이 그립퍼를 구동시키는 제3실린더가 다수 형성된 회전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사람의 수작업에 의해 경화된 용기와 스크랩을 일일이 손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발생하는 용기의 불량화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용기의 스크랩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생산설비를 설치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비용에 적지 않은 부담을 느끼곤 한다.
또 한예로서, 특허등록 제394628호인 스크랩 취출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제품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프레스 장치의 하형 금형의 일측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상향하여 상단에 힌지구가 형성되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힌지 브라켓의 상단 힌지구에 일측이 힌지 체결되며, 상기 성형 프레스 장치의 하형 금형에 대하여 바깥쪽 외측단에 중량부를 구성하여 자중에 의해 내측단이 상승되도록 하는 취출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자중에 의해 힌지 회전하는 취출 플레이트를 스크랩의 하부에 배치하여 스크랩의 절단과 동시에 이를 간단하게 취출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스크랩 취출장치는, 상기 컷팅된 스크랩을 일측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상기 취출플레이트가, 이 취출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된 중량부에 비해 취출되는 스크랩의 중량이 무거울 경우, 일측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함에 따라, 생산라인이 중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취출플레이트에 낙하되어 일측으로 미끄러지는 스크랩을 절단하는 스크랩 커터가 반복적으로 용기의 스크랩을 컷팅하는 과정에서 스크랩의 잔여물이 묻어짐에 따라 상기 스크랩이 제대로 컷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정금형의 성형부 하단측에 추출코어부를 더 구성하고, 이 추출코어부와 일정경사면에 의해 접하는 이동다이를 더 구비하여 성형된 용기를 빼내기 위해 좌/우측으로 이동되는 파지금형의 이동에 의해 이동다이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추출코어부가 고정금형의 타측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되어 용기의 스크랩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크랩을 추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추출코어부에 의해 용기의 밑면 굴곡부를 깊게 형성하도록 하여 양산되는 용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용기를 성형하는 금형의 일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금형 11 : 성형부
12 : 투입부 20 : 파지금형
21,23 : 고정핀 22 : 탄발스프링
30 : 이동다이 31 : 경사면
40 : 추출코어부 41 : 협곡면
42 : 중공부 43 : 스프링
44 : 굴곡면 50 : 용기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는,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을 갖는 성형부와, 이 성형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압출기의 성형노즐에 의해 성형재료가 투입되는 투입부를 갖는 고정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의 양측단에 다수개의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내측에 탄발스프링이 내삽된 2개의 파지금형을 갖는 용기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의 하단측에는 상기 고정금형의 좌/우 양측에 구성된 파지금형의 하단측과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고 마주보는 상단 일측에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2개의 이동다이와; 상기 2개의 이동다이 경사면에 접하고 이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협곡면이 하단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금형의 성형부 하단측과 상측단이 접하도록 상기 고정금형에 끼워지며 내측에 성형품의 스크랩이 인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추출코어부와; 상기 추출코어부의 내측에 내삽되어 이 추출코어부의 전진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금형의 성형부 하단측과 접하는 상기 추출코어부의 상측단은 성형되는 성형품의 저면부를 깊게 형성하기 위해 완만한 경사로 형성된 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는, 고정금형의 성형부에 성형된 성형제품을 꺼내기 위해 상기 고정금형을 양측단에서 파지하고 있는 파지금형의 후퇴되는 동작에 따라 자동적으로 추출코어부가 후퇴되어 성형제품의 스크랩이 자동적으로 추출된다.
이하,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는 기존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용기 등을 성형하는 금형에 더 장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그대로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는, 내측에 성형되는 제품의 형상을 갖는 성형부(11)와, 상기 성형부(11)의 일측에 형성되어 압출기의 성형노즐에 의해 성형재료가 투입되는 투입부(12)를 갖는 고정금형(10)과, 상기 고정금형(10)의 양측단에 다수개의 고정핀(21)에 의해 고정되고 내측에 탄발스프링(22)이 내삽된 2개의 파지금형(20)을 갖는 용기성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10)의 좌/우 양측에 구성된 파지금형(20)의 하단측과 고정핀(23)에 의해 결합되고 마주보는 상단 일측에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면(31)(31)이 형성된 2개의 이동다이(30)(30)가 상기 고정금형(10)의 하단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금형(10)의 성형부(11) 하단측에는, 상기 2개의 이동다이(30)(30) 경사면(31)(31)에 접하고 이 경사면(31)(31)들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협곡면(41)이 하단측에 형성되며 내측에 성형용기의 스크랩이 인입되는 중공부(42)가 형성된 추출코어부(4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추출코어부의 내측에는 이 추출코어부의 전진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43)이 더 내삽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금형(10)의 양측단에 구비되어 이 고정금형(10)을 파지하는 상기 파지금형(20)(20)들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유압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유압에 의해 상기 고정금형(10)으로부터 전/후진 운동을 반복하는 것으로, 이 기술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인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는, 상기 고정금형(10)내에 형성된 성형부(11)에 의해 용기(50)가 성형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크랩(51)이 상기 추출코어부(40)의 후퇴되는 운동에 의해 용기(50)의 하단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추출됨으로써, 생산효율성이 향상된다.
즉, 상기 성형부(11)의 하단측에 상측단이 접하여진 추출코어부(40)의 내측 중공부(42)내로 열가소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성형재료가 상기 성형부(11)내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바, 이 유입된 스크랩(51)은 상기 추출코어부(40)의 후퇴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성형된 용기(50)의 저면으로부터 추출된다.
상기 추출코어부(40)가 용기(50)가 성형되는 성형부(11)의 하단측으로부터 전진 또는 후퇴운동 됨에 따라 용기(50)의 하단측에 형성되는 스크랩(51)의 추출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추출코어부(40)의 내측에 스프링(43)이 내삽되어 있고 이 추출코어부(40)의 하단측이 일정경사각으로 협곡진 협곡면(41)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추출코어부(40)의 하단측을 지지하는 이동다이(30)가 상기 고정금형(10)의 양측단을 파지하고 있는 파지금형(20)이 별도의 유압장치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다이(30)가 파지금형(2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이 이동다이(30)의 상단 일측면의 경사면(31)(31)들과 접하여 구성된 상기추출코어부(40)가 고정금형(10)의 성형부(11)의 하단측으로부터 전진 또는 후퇴됨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 추출코어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다이(30)(30)들의 일측 상단 경사면(31)(31)들에 협곡진 협곡면(41)이 접하여져 있음에 따라, 상기 이동다이(30)(30)들이 파지금형(20)(20)들의 이동에 의해 내측으로 모아질 경우, 상기 추출코어부(40)는 고정금형(10)의 성형부(11)측으로 이동되어 있다가, 성형된 용기(50)를 빼내기 위해 상기 파지금형(20)(20)들이 고정금형(10)의 좌우측으로 벌어질 경우, 이동다이(30)(30) 또한, 외측방향으로 벌어짐에 따라 상기 이동다이(30)(30)들의 경사면(31)(31)들과 접하여 지지되는 상기 추출코어부(40)가 성형부(11)의 타측방향으로 밀어짐으로써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추출코어부(40)가 이동다이(30)(30)들이 서로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밀려 나오게 되는 이유는, 상기 추출코어부(40)에 내삽된 스프링(43)이 추출코어부(40)가 성형부(11)측으로 이동될 경우, 압축되어 있다가 상기 추출코어부(40)의 하단을 지지하고 있는 이동다이(30)(30)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어질 경우, 압축력이 풀려 복원됨으로써 이 스프링(4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추출코어부(40)는 성형부(11)의 타측으로 밀려 나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는, 성형된 용기를 꺼내기 위해 파지금형이 고정금형으로부터 좌우측으로 벌어지는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용기의 하단측에 형성된 스크랩이 자연스럽게 추출됨으로써, 별도의 수작업을 통하지 않고도 스크랩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는, 상기 고정금형(10)의 성형부(11) 하단측과 접하는 상기 추출코어부(40)의 상측단이 성형되는 성형품의 저면부를 깊게 형성하기 위해 완만한 경사로 형성된 굴곡면(44)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양산된 성형용기의 저면부가 깊게 파여진 굴곡진 형상을 갖을 수 있어, 성형용기의 평활도가 유지되는 안전성이 뛰어나게 된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는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용기를 성형함에 있어서, 성형된 용기를 꺼내기 위해 파지금형이 고정금형으로부터 좌우측으로 벌어지는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용기의 하단측에 형성된 스크랩이 자연스럽게 추출됨으로써, 별도의 수작업을 통하지 않고도 스크랩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스크랩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코어부의 상부면이 경사각으로 갖는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양산된 성형용기의 뛰어난 안전성을 갖을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2)

  1. 내측에 성형되는 제품의 형상을 갖는 성형부와, 상기 성형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압출기의 성형노즐에 의해 성형재료가 투입되는 투입부를 갖는 고정금형과, 상기 고정금형의 양측단에 다수개의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내측에 탄발스프링이 내삽된 2개의 파지금형을 갖는 용기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의 하단측에 이 고정금형(10)의 좌/우 양측에 구성된 파지금형(20)의 하단측과 고정핀(23)에 의해 결합되고 마주보는 상단 일측에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면(31)(31)이 형성된 2개의 이동다이(30)(30)와;
    상기 고정금형(10)의 성형부(11) 하단측에 상기 2개의 이동다이(30)(30) 경사면(31)(31)과 밀접되고 이 경사면(31)(31)들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협곡면(41)이 하단측에 형성되며 내측에 성형용기의 스크랩이 인입되는 중공부(42)가 형성된 추출코어부(40)와; 상기 추출코어부의 전/후진운동이 가능하도록 이 추출코어부의 내측에 내삽된 스프링(43)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의 성형부 하단측과 접하는 상기 추출코어부의 상측단은 성형되는 성형품의 저면부를 깊게 형성하기 위해 완만한 경사로 형성된 굴곡면(44)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
KR20-2004-0013390U 2004-05-14 2004-05-14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 KR200358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390U KR200358401Y1 (ko) 2004-05-14 2004-05-14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390U KR200358401Y1 (ko) 2004-05-14 2004-05-14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401Y1 true KR200358401Y1 (ko) 2004-08-06

Family

ID=4943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390U KR200358401Y1 (ko) 2004-05-14 2004-05-14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4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88Y1 (ko) 2010-08-17 2012-05-24 고길성 이중 누름구가 구성된 용기성형 금형
KR101770383B1 (ko) * 2017-04-05 2017-08-22 (주)대림프라스틱 스크랩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인몰드 라벨 용기 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488Y1 (ko) 2010-08-17 2012-05-24 고길성 이중 누름구가 구성된 용기성형 금형
KR101770383B1 (ko) * 2017-04-05 2017-08-22 (주)대림프라스틱 스크랩의 분리배출 구조를 갖는 인몰드 라벨 용기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375841U (zh) 一种电池盖旋钮按键的注塑模具
KR101213663B1 (ko) 사출금형의 사출물 취출장치
CN212888753U (zh) 一种显微镜加工用镜座成型模具
CN112388921A (zh) 一种日用品注塑生产用脱模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358401Y1 (ko) 성형용기의 스크랩 추출장치
KR20150109913A (ko) 사출 성형용 금형장치의 게이트 스크랩 커팅 시스템
CN217752544U (zh) 一种可快速脱模的模具
CN113715233B (zh) 一种聚氨酯产品脱模装置
CN206899670U (zh) 注塑模具简易定模抽芯结构
CN101134352B (zh) 一种模具及模内注塑钢片在模具中定位的方法
EP1512511A3 (de) Formschliessvorrichtung für eine Spritzgiessmaschine
CN209521233U (zh) 一种圆弧形空心注塑件一体脱模顶出注塑模具
KR200462878Y1 (ko) 성형용기의 바닥부 깊이조절장치
CN206780913U (zh) 一种装饰外壳成型模具
CN207696961U (zh) 模具斜顶装置
CN206106269U (zh) 一种改良结构的双平行导杆斜顶装置
CN215969914U (zh) 一种注塑机用的顶出机构
CN220904010U (zh) 一种注塑件脱模机构
CN220464629U (zh) 一种脱模便捷的注塑模具
CN215512114U (zh) 一种模内切刀防压退水口自动切割装置
CN214872278U (zh) 一种具有防止流道粘模结构的模具
CN220548629U (zh) 一种防止排气堵塞的半导体塑封模具
CN216544536U (zh) 一种便于上下活动的热固性塑料成型模具
CN210634036U (zh) 一种注塑模具便于脱模装置
CN216300133U (zh) 一种中空吹塑机的合模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