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652Y1 - 고추씨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고추씨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652Y1
KR200357652Y1 KR20-2004-0013792U KR20040013792U KR200357652Y1 KR 200357652 Y1 KR200357652 Y1 KR 200357652Y1 KR 20040013792 U KR20040013792 U KR 20040013792U KR 200357652 Y1 KR200357652 Y1 KR 200357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per
discharge
red pepper
blood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학
Original Assignee
김승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학 filed Critical 김승학
Priority to KR20-2004-0013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6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6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추씨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추피에서 분리된 고추씨의 배출 량을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출되는 고추피의 처리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추 공급부와, 고추피 파쇄부 및 상기 고추피 파쇄부에서 파쇄된 고추를 공급받아 하우징 내의 거름망을 사이에 두고 그 거름망의 상,하부에서 회전되는 각각의 배출스크류를 통하여 고추피와 고추씨를 각각 배출하는 분리/배출부로 구성된 고추씨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의 밑면에 양측으로 회동되게 장착되는 각각의 배출량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추피가 배출되는 배출구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배출하우징 내에서 회전되는 배출스크류에 의해 상기 고추피를 상측에서 배출하도록 하는 고추피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씨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추씨 분리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a seed from a red pepper}
본 고안은 고추씨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고추피에서 분리된 고추씨의 배출 량을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출되는 고추피의 처리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고추씨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씨 분리장치(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추가 수용되는 호퍼(112)와 그 호퍼의 하부에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M)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14)가 장착되어 고추를 공급하는 고추 공급부(110)와, 상기 고추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고추를 파쇄케이스(122) 내부에서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M)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파쇄날(124)에 의해 고추피를 파쇄하는 고추피 파쇄부(120)와, 상기 고추피 파쇄부에서 파쇄된 고추를 공급받아 하우징(132) 내의 거름망(134)을 사이에 두고 그 거름망의 상,하부에서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M)(M)에 의해 회전되는 각각의 배출스크류(136)(136a)를 통하여 고추피와 고추씨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리/배출부(130)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한 종래의 고추씨 분리장치에 있어서는 고추씨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고추피와 고추씨가 개별적으로 각각 완전히 분리되어 진다.
그러나, 고추가루를 제조시에는 고추피와 고추씨가 적당 량 섞여서 분쇄되어야 고추가루 특유의 맛은 물론 일정한 분량을 가질 수 있는 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추씨 분리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고추피와 고추씨가 완전히 각각으로 분리되어 짐에 따라 고추가루를 제조하기 위한 분쇄작업시에는 다시 작업자가 고추피와 고추씨를 재차 적당하게 혼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고추씨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량으로 고추씨를 혼합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대로 고추씨를 투입함으로써, 고추피와 고추씨 간의 혼합비율이 적합하지 않아 양질의 고추가루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도 초래되었다.
또한, 상기, 분리/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추피와 고추씨는 그 배출스크류의 배출구 측으로 놓여지는 저장용기 등에 저장됨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저장용기에 쌓여진 각각의 고추피와 고추씨를 별도의 포장작업 등을 통하여 다시 포장해야 하는 번거러움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 이송스크류와 각각의 배출스크류 및 파쇄날은 별도의 각각의 구동원을 구비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 또한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추씨 분리장치에서 각각으로 조절되는 배출량 조절부에 의해 고추피로부터 분리된 고추씨의 배출 량을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출되는 고추피의 처리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추씨의 배출 량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출되는 고추씨의 처리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추 공급부와, 고추피 파쇄부 및 상기 고추피 파쇄부에서 파쇄된 고추를 공급받아 하우징 내의 거름망을 사이에 두고 그 거름망의 상,하부에서 회전되는 각각의 배출스크류를 통하여 고추피와 고추씨를 각각 배출하는 분리/배출부로 구성된 고추씨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의 밑면에 양측으로 회동되게 장착되는 각각의 배출량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추피가 배출되는 배출구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배출하우징 내에서 회전되는 배출스크류에 의해 상기 고추피를 상측에서 배출하도록 하는 고추피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량 조절부는 상기 거름망의 밑면과 대응되게 중간이 분할되어 맞닿게 형성되는 받침대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의 분할되지 않은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회전되도록 돌출되게 장착되는 회동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축의 끝단에는 고정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홀더를 장착 고정하고 상기 고정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의 하우징에 다수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고정된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추씨가 배출되는 배출구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배출하우징 내에서 회전되는 배출스크류에 의해 상기 고추씨를 상측에서 배출하도록 하는 고추씨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고추씨 분리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A-A선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B-B선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동력전달 관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8은 종래 고추씨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출량 조절부
12 : 받침대 14 : 회동축
20 : 고추피 배출부
22,42 : 배출하우징 24,44 : 배출스크류
26,46 : 배출관
30 : 각도 조절부
32 : 고정볼트 35 : 홀더
36 : 고정편 36a : 고정공
40 : 고추씨 배출부
100 : 고추씨 분리장치
110 : 고추 공급부 120 : 고추피 파쇄부
130 : 분리/배출부 132 : 하우징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고추씨 분리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A-A선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B-B선의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추가 수용되는 호퍼(112)와 그 호퍼의 하부에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114)가 장착되는 고추 공급부(110)와, 상기 고추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고추를 파쇄케이스(122) 내부에서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파쇄날(124)에 의해 고추피를 파쇄하는 고추피 파쇄부(120)와, 상기 고추피 파쇄부에서 파쇄된 고추를 공급받아 하우징(132) 내의 거름망(134)을 사이에 두고 그 거름망의 상,하부에서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각각의 배출스크류(136)(136a)를 통하여 고추피와 고추씨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리/배출부(130)로 구성된 고추씨 분리장치(100)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고추씨 분리장치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거름망(134)의 밑면에 양측으로 회동되게 장착되는 각각의 배출량 조절부(10)를 구비하고;
상기 고추피가 배출되는 배출구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배출하우징(22) 내에서 그 배출하우징의 상단으로 설치되는 통상의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M)에 의해 회전되는 배출스크류(24)에 의해 상측으로 형성된 배출관(26)을 통하여 상기 고추피를 상측에서 배출하도록 하는 고추피 배출부(20)를 구비하여 상기 배출관에 통상의 포장용 포대 등을 연결하여 고추피가 직접 넣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량 조절부(10)는 상기 거름망(134)의 밑면과 대응되게 중간이 분할되어 맞닿게 형성되는 받침대(12)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의 분할되지 않은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32)에서 회전되도록 돌출되게 장착되는 회동축(14)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회동축의 끝단은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회전시키거나 또는 통상적으로 상기 하우징에 브라켓이나 고정핀 등과 같은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고정 및 분리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원 고안의 각 이송스크류 및 배출스크류는 여러 개의 동력원을 각각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추 공급부(110)의 이송스크류는 별개의 동력원(M)을 사용하고, 고추피 파쇄부(120)와 분리/배출부(130)는 하나의 동력원(M)과 그 동력원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인 각각의 풀리 및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고추피 파쇄부의 파쇄날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분리/배출부의 각각의 배출스크류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개의 동력원을 구비하는 것에 비해 구조를 간단하게 함과 아울러 제조원가 또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을 함에 따라, 상기 고추 공급부(110)의 호퍼(112)와 이송스크류(114)에 의해 공급되는 고추는 고추피 파쇄부(120)에서 회전되는 다수의 파쇄날(124)에 의해 고추피가 파쇄되면서 분리/배출부(130)의 하우징(132) 내로 유입된다.
이렇게, 분리/배출부(130)로 유입된 고추는 상기 고추피 파쇄부에서 고추피가 파쇄된 상태이므로, 상기 거름망(135)의 상측에서 회전되는 배출스크류(136)에 의해 고추피는 이송되면서 배출구를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배출구에 형성된 배출하우징의 배출스크류를 통하여 상부측에서 배출되어 진다. 이때, 상기 고추피는 배출하우징의 상부측에서 배출됨에 따라 통상의 포장용 포대 등을 이용하여 배출과 함께 바로 포장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리/배출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고추피로부터 분리되는 고추씨는 거름망에 쌓이게 되는 데, 이때 그 거름망의 밑면에 장착되어 있는 배출량 조절부(10)의 회동축(14)을 필요로 하는 량 만큼만 고추씨가 배출되도록 회전시켜 하우징에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는 받침대(12)가 일점쇄선에서 실선과 같이 회전되어 이격되면서 고추씨가 하부로 낙하된다.
또한, 상기 배출량 조절부의 받침대는 필요에 따라 일측만 조절하여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량의 고추씨를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양측의받침대 모두를 회전시켜 배출 폭을 넓게 확보하여 많은 량의 고추씨가 낙하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상기 거름망의 하부로 낙하된 고추씨는 그 거름망의 하부에서 회전되고 있는 배출스크류(136a)에 의해 하우징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분리/배출부의 거름망 밑면에 형성되는 배출량 조절부의 받침대를 각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고추씨가 필요로 하는 량 만큼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추가루를 제조하고자 할 때 고추피와 적당 량의 고추씨가 포함되어 배출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어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바로 고추가루를 제조하기 우한 분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배출량 조절부의 받침대를 작업자가 보다 간편하게 필요로 하는 량 만큼의 고추씨를 배출시키고 하는 각도 만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축(14)의 끝단에는 고정볼트(32)가 나사 결합되는 홀더(35)를 장착 고정하고 상기 고정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의 하우징(132)에 다수의 고정공(36a)이 형성되어 고정된 고정편(36)으로 구성되는 각도 조절부(30)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거름망의 밑면에서 회동축을 기점으로 여닫히는 받침대의 회전반경을 상기 각도 조절부의 고정볼트를 고정편에 형성된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받침대의 회전되는 각도를 간편하여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배출되는 고추씨의 배출량을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분리/배출부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추씨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고추씨가 배출되는 배출구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배출하우징(42) 내에서 그 배출하우징의 상부측에 설치된 통상의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M)에 의해 회전되는 배출스크류(44)에 의해 상기 고추씨를 상측에 형성된 배출관(46)을 통하여 상측에서 배출하도록 고추씨 배출부(40)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고추씨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당히 매운 성분을 가지고 있는 고추씨로 인해 작업장에서 눈을 뜨지 못하고 작업하여야 불편함을 상기 고추씨를 상측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고추씨 배출부를 구비함으로써, 통상의 포장용 포대 등에 직접 넣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환경 또한 개선함과 아울러 별도의 추가적인 포장작업 등을 할 필요가 없이 바로 포장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편리성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고추씨 분리장치에서 분리된 고추씨를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배출량 조절부에 의해 필요로 하는 량 만큼만 배출할 수 있도록함과 아울러 고추피와 고추씨가 섞여져 상측에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고추가루 제조에 따른 고추피와 고추씨를 별도의 추가적인 작업을 통하여 섞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작업 없이 바로 포장 등을 행할 수 있어 작업공정을 보다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고추씨를 배출하는 받침대의 각도를 필요로 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고추씨를 필요로 하는 량 만큼만 정확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고추씨를 추가적인 작업없이 배출과 동시에 바로 포장 등을 행할 수 있도록 고추씨 배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의 간편성은 물론 고추씨 분리에 따른 매운 성분없은 작업환경에서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4)

  1. 고추 공급부와, 고추피 파쇄부 및 상기 고추피 파쇄부에서 파쇄된 고추를 공급받아 하우징 내의 거름망을 사이에 두고 그 거름망의 상,하부에서 회전되는 각각의 배출스크류를 통하여 고추피와 고추씨를 각각 배출하는 분리/배출부로 구성된 고추씨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의 밑면에 양측으로 회동되게 장착되는 각각의 배출량 조절부(10)를 구비하고;
    상기 고추피가 배출되는 배출구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배출하우징(22) 내에서 회전되는 배출스크류(24)에 의해 상기 고추피를 상측에서 배출하도록 하는 고추피 배출부(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씨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 조절부(10)는 상기 거름망의 밑면과 대응되게 중간이 분할되어 맞닿게 형성되는 받침대(12)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의 분할되지 않은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에서 회전되도록 돌출되게 장착되는 회동축(1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씨 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14)의 끝단에는 고정볼트(32)가 나사 결합되는 홀더(35)를 장착 고정하고 상기 고정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의 하우징에 다수의 고정공(36a)이 형성되어 고정된 고정편(36)으로 구성되는 각도 조절부(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씨 분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추씨가 배출되는 배출구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배출하우징(42) 내에서 회전되는 배출스크류(44)에 의해 상기 고추씨를 상측에서 배출하도록 하는 고추씨 배출부(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씨 분리장치.
KR20-2004-0013792U 2004-05-18 2004-05-18 고추씨 분리장치 KR200357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792U KR200357652Y1 (ko) 2004-05-18 2004-05-18 고추씨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792U KR200357652Y1 (ko) 2004-05-18 2004-05-18 고추씨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652Y1 true KR200357652Y1 (ko) 2004-07-31

Family

ID=4943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792U KR200357652Y1 (ko) 2004-05-18 2004-05-18 고추씨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65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047B1 (ko) 2008-05-09 2010-02-04 김재칠 고추씨 분리장치가 있는 고추씨 분쇄장치
KR200455186Y1 (ko) 2011-06-16 2011-08-23 윤명희 고추씨 분리용 초벌 파쇄기
KR101433600B1 (ko) * 2012-07-05 2014-08-26 강대순 고추 가공기
KR101805580B1 (ko) * 2016-05-04 2018-01-10 이규호 병렬식 고추씨 분리기
CN115362831A (zh) * 2022-08-18 2022-11-22 金华市农业科学研究院(浙江省农业机械研究院) 一种育种用辣椒籽无损取籽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047B1 (ko) 2008-05-09 2010-02-04 김재칠 고추씨 분리장치가 있는 고추씨 분쇄장치
KR200455186Y1 (ko) 2011-06-16 2011-08-23 윤명희 고추씨 분리용 초벌 파쇄기
KR101433600B1 (ko) * 2012-07-05 2014-08-26 강대순 고추 가공기
KR101805580B1 (ko) * 2016-05-04 2018-01-10 이규호 병렬식 고추씨 분리기
CN115362831A (zh) * 2022-08-18 2022-11-22 金华市农业科学研究院(浙江省农业机械研究院) 一种育种用辣椒籽无损取籽设备
CN115362831B (zh) * 2022-08-18 2024-03-29 金华市农业科学研究院(浙江省农业机械研究院) 一种育种用辣椒籽无损取籽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12804B (zh) 食品制备装置
KR200357652Y1 (ko) 고추씨 분리장치
US8196850B2 (en) Self-clearing rasp system for automatic milling apparatus
JP2007111593A (ja) 電動石臼
KR100783133B1 (ko) 고추씨 분리 겸용 고추 분쇄기
EP1623765A1 (en) Particle processing apparatus
KR200167512Y1 (ko) 고추분쇄기의 고추씨 분리장치
KR200384254Y1 (ko) 고추분쇄기
KR200307733Y1 (ko) 분말형상의 재료 공급장치
KR20010037763A (ko) 고추 분쇄기
JP2001212473A (ja) 石臼装置
KR20200040045A (ko) 블렌더 겸용 정미기
KR20000003636U (ko) 고추 분쇄기
RU279525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одуктов питания
KR200297531Y1 (ko) 가정용 도정기의 미강선별구조
JP7162720B2 (ja) 給餌装置
KR200287816Y1 (ko) 콩탈곡 겸용 상토제조기
JP3115950U (ja) 製麺機の原料供給装置
KR910004869Y1 (ko) 고추씨앗선별 및 절단기
JPS6182848A (ja) 揉み合わせ装置
KR101864823B1 (ko) 다단형 식품 분쇄기
KR970005191Y1 (ko) 고추분쇄기
KR200151349Y1 (ko) 왕겨분쇄기
KR101778916B1 (ko) 인공 쌀알의 제조 방법
JP2008168029A (ja) ごます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