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328Y1 - 복합 보청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 보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328Y1
KR200357328Y1 KR20-2004-0012155U KR20040012155U KR200357328Y1 KR 200357328 Y1 KR200357328 Y1 KR 200357328Y1 KR 20040012155 U KR20040012155 U KR 20040012155U KR 200357328 Y1 KR200357328 Y1 KR 200357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sound signal
microphone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칠
Original Assignee
(주)건융아이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융아이비씨 filed Critical (주)건융아이비씨
Priority to KR20-2004-0012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3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3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2Amplifying systems for the dea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Abstract

복합 보청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보청 시스템은, 주변의 음향을 집음하여 전기적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외부의 음향기기와 연결되며, 제1음향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외부입력부, 공중파 방송의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라디오 수신부, 수신된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보청 시스템{Combination hearing aid system}
본 고안은 복합 보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각 장애자의 청취 가능한 영역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복합 보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청기는 소리를 증폭해 주는 장치이며, 동작 원리는 마이크로폰(micro phone)(이하, '마이크'로 약칭한다)에 의해 집음된 소리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증폭하여 다시 소리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보청기는 사용자가 자신의 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형태가 보편적이며, 귀의 뒤쪽에 보청기의 구성요소인 마이크, 증폭기, 및 배터리를 포함하는 소형의 하우징을 형성한다. 또한, 하우징의 일 측으로 이어몰드(ear mold)와 접속된사운드 튜브(sound tube)가 연결되며, 이어몰드가 귓구멍에 삽입되어 소리를 사용자의 귀에 직접 전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청기는 사용자 주변에서 발신되는 음향만을 청취하기 위한 것이며, 사용자가 공중파 방송을 수신하거나, 텔레비전, 셀룰러 폰(cellular phone)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보청기는 사용자로부터 근거리에서 발신되는 음향만을 청취하기 위한 것이며, 강의실이나 극장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사용자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장소에서 발신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청각 장애자로 하여금 다양한 음원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며, 일정한 거리 이격된 장소에서 발신되는 음향도 청취할 수 있는 복합 보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보청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a는 도 1의 복합 보청 시스템의 수신부의 전면도, 도 2b는 상측면도, 도 2c는 좌측면도, 및 도 2d는 우측면도,
도 3은 도 2a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a는 송신부 음원이 선택된 경우, 도 4b는 라디오 음원이 선택된 경우, 도 4c는 외부입력 음원이 선택된 경우, 및 도 4d는 마이크 음원이 선택된 경우를 각각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복합 보청 시스템에 의한 동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도 1의 복합 보청 시스템의 송신부의 전면도, 도 6b는 후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6a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수신부 102 : 제1마이크
104 : 제1외부 입력부 106 : 라디오 수신부
108 : 음원 선택부 110 : 증폭부
112 : 음향신호 수신부 114 : 음향 출력부
116 : 조절부 118 : 진동 체감부
120 : 이어폰 130 : 송신부
132 : 제2마이크 134 : 제2외부 입력부
202 : 입력선택 스위치 204 : 모드전환 스위치
206 : 세트설정 스위치 208 : 디스플레이
210 : 전원 스위치 212 : 목걸이 고정 홀
214 : 배터리 커버 216 : 전원공급 잭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보청 시스템은, 주변의 음향을 집음하여 전기적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제1마이크; 외부의 제1음향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1음향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제1외부입력부; 공중파 방송의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라디오 수신부; 상기 마이크, 상기 외부 입력부, 상기 라디오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상기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보청 시스템은, 주변의 음향을 집음하여 전기적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제2마이크, 및 외부의 제2음향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2음향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제2외부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마이크 및/또는 상기 제2외부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에 의해 송출된 상기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음향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증폭부는 상기 음향신호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해 음향으로 출력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보청 시스템은, 상기 제1마이크, 상기 제1외부입력부, 상기 라디오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음원선택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상기 음향신호를 좌, 우의 두 개로 분할된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복합 보청 시스템은, 상기 음향출력부에 의해 좌, 우로 분할된 상기 음향에 대하여, 각각의 음향에 대한 음량 및 음색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 보청 시스템은, 상기 음향출력부와 연결되며, 상기 음향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음향을 진동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진동체감부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복합 보청 시스템은, 라디오 수신기능, 극장이나 학교 등의 공공장소에서의 청취기능 등을 갖추게 되어 청각 장애자의 불편을 해소시켜 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보청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보청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복합 보청 시스템은 수신부(100) 및 송신부(130)를 구비한다. 또한, 수신부(100)는 제1마이크(102), 제1외부 입력부(104), 라디오 수신부(106), 음원 선택부(108), 증폭부(110), 음향신호 수신부(112), 음향 출력부(114), 및 조절부(116)를 구비하며, 송신부(130)는 제2마이크(132) 및 제2외부 입력부(134)를 구비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는 진동 체감부(118) 및/또는 이어폰(120)과 연결가능하다.
제1마이크(102)는 수신부(100) 주변의 음향을 집음하여 전기적인 음향신호로 변환한다. 이하에서는 물체나 기계, 또는 악기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소리 자체를 '음향'으로 명칭하며, 전자기기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신호'로 구분하여 양자를 구분한다.
제1외부 입력부(104)는 오디오, 텔레비전,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외부의 음향기기와 접속가능하며, 접속된 외부 음향기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한다.
라디오 수신부(106)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된 공중파 방송의 음향신호를 수신한다.
음원 선택부(108)는 제1마이크(102), 제1외부 입력부(104), 라디오수신부(106), 및 송신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증폭부(110)는 음원 선택부(108)에 의해 선택된 음향신호를 증폭한다. 즉, 증폭부(110)는 제1마이크(102), 제1외부 입력부(104), 라디오 수신부(106), 및/또는 송신부(130)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의 주파수를 인간이 청취하기 용이한 500Hz 내지 4000Hz 범위의 주파수로 증폭시킨다.
음향신호 수신부(112)는 송신부(130)와 접속 가능하며, 송신부(130)로부터 송출된 음향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송신부(130)의 제2마이크(132)는 송신부(130) 주변의 음향을 집음하여 전기적인 음향신호로 변환하며, 제2외부 입력부(134)는 오디오, 텔레비전, 셀룰러 폰, PDA 등과 같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외부의 음향기기와 접속되어 음향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송신부(130)는 FM(Frequency Modul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일정거리 이격된 장소에서 무선으로 음향신호를 송출하며, 음향신호 수신부(112)는 송신부(130)에 의해 송출된 무선의 음향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각각 블루투스 시스템(bluetooth system),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송수신기, SSB(Single Sided Band : 단측파대) 무선 송수신기 등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향 출력부(114)는 증폭부(110)에 의해 증폭된 음향신호를 인간이 청취하기 용이한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즉, 음향 출력부(114)는 증폭부(110)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에 따라 소정의 얇은 막을 진동시킴으로써, 인간이 직접 청취할 수 있는 음향을 출력한다. 이때, 음향 출력부(114)는 진동 체감부(118) 또는이어폰(ear phone)(120)과 연결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연결된 진동 체감부(118) 또는 이어폰(120)에 변환된 음향을 전송하거나, 변환되기 전의 음향신호를 전송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는 증폭부(110)에 의해 증폭된 음향신호를 좌측 및 우측의 두 개로 분할된 음향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부(116)는 음향 출력부(114)에 의해 좌측 및 우측으로 분할된 음향에 대하여, 각각의 음향에 대한 음량 및 음색을 조절한다. 이때, 음향 출력부(114)가 진동 체감부(118) 또는 이어폰(180)과 연결되어 음향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조절부(116)는 전송되는 음향신호에 대한 음량 및 음색 신호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동 체감부(118)는 음향 출력부(114)와 연결되며, 음향 출력부(114)로부터 수신된 음향 또는 음향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진동 체감부(118)는 인간의 척추 또는 골반에 밀착되는 형태를 이루며, 청각 장애인들이 정상인에 비하여 진동에 민감한 점을 이용하여 음향 출력부(114)를 통해 수신한 음향 또는 음향신호를 증폭된 진동으로 변환하여 인간의 척추 또는 골반에 전달한다.
이어폰(120)은 인간의 양측 귀에 밀착되는 헤드 셋(head set) 또는 일반 헤드 폰(head phone)의 형태로 구현되며, 음향 출력부(114)로부터 수신한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시켜 인간의 좌측 귀 및 우측 귀에 직접 전달한다.
도 2는 도 1의 복합 보청 시스템의 수신부(10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전면도, 도 2b는 상측면도, 도 2c는 좌측면도, 및 도 2d는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과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복합 보청 시스템의 수신부(100)의 전면에는 제1마이크(102), 음원 선택부(108), 조절부(116), 및 디스플레이(208)가 구비된다. 여기서, 음원 선택부(108)는 입력선택 스위치(202), 모드전환 스위치(204), 및 세트설정 스위치(206)를 구비한다. 또한, 복합 보청 시스템의 상측면에는 전원 스위치(210) 및 목걸이 고정홀(212)이 구비된다. 또한, 복합 보청 시스템의 좌측면에는 이어폰 잭(114a), AUX 잭(104), 및 배터리 커버(214)가 구비되며, 복합 보청 시스템의 우측면에는 A-OUT 잭(114b) 및 전원공급 잭(216)이 구비된다.
조절부(116)는 상(▲), 하(▼), 좌(◀), 우(▶)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방향선택키가 마련되며, 마련된 선택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채널 또는 주파수, 음색조절 주파수, 마이크의 집음 감도 등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 및 하(▼)의 선택키를 이용하여, 음향 출력부(114)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거나, 좌(◀) 및 우(▶)의 선택키를 이용하여, 채널의 증가 또는 감소, 선택되는 방송 주파수의 증가 또는 감소, 음색 주파수의 증가 또는 감소, 마이크의 집음 감도의 증가 또는 감소를 설정할 수 있다.
입력선택 스위치(202)는 제1마이크(102), 제1외부 입력부(104), 라디오 수신부(106), 및 송신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음원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입력선택 스위치(202)를 한번 누르면 제1마이크(102)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가 수신되며, 입력선택 스위치(202)를 두 번 누르면 제1외부 입력부(104)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가 수신되고, 입력선택 스위치(202)를 세 번 누르면 라디오 수신부(106)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가 수신되고, 입력선택 스위치(202)를 네 번 누르면 송신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가 수신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입력선택 스위치(202)에 의해 선택된 음원은 MIC(마이크) -> AUX(외부입력) -> RADIO(라디오) -> AUDIO(송신부) -> MIC(마이크)와 같은 방법으로, 디스플레이(208)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선택 스위치(202)를 소정시간 이상 누른 경우에는 제1외부 입력부(104), 라디오 수신부(106), 또는 송신부(130)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와 제1마이크(102)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가 혼합되어 수신되며, 다시 입력선택 스위치(202)를 소정시간 이상 누른 경우에는 혼합 수신이 해제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청각 장애자가 제1외부 입력부(104), 라디오 수신부(106), 또는 송신부(130)로부터 수신된 음원을 청취하는 경우에도 주변의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모드전환 스위치(204)는 음색조절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일정시간 이상 누르는 경우에는 좌측 및 우측으로 출력되는 개별적인 음향에 대한 설정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드전환 스위치(204)를 누를 때마다 디스플레이(208)에는 P1 -> P2 -> P3 -> P4 -> P5 -> U1 -> U2 -> U3 -> P1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8)에 표시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P1 내지 P5는 기 설정되어 저장된 음색조절모드를 말하며, U1 내지 U3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음색조절모드를 말한다. 모드전환 스위치(204)를 일정시간 이상 누르는 경우, 예를 들어 모드전환 스위치(204)를 1초 이상 누르는 경우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전환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각각의 음향에 대한 개별적인 음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트설정 스위치(206)는 사용자가 음원선택 스위치(202)를 통해 선택한 음원, 또는 모드전환 스위치(204)를 통해 전환된 음색조절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이때, 음원선택 스위치(202)에 의해 공중파 방송이 선택된 경우, 모드전환 스위치(204)는 일정시간 이상 누름으로써 공중파 방송의 채널을 자동으로 선국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스위치(210)는 슬립형으로 구현되며, 복합 보청 시스템에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하거나, 복합 보청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볼륨 스위치만 동작되도록 홀드(hold) 전환시킨다.
목걸이 고정홀(212)은 목걸이를 고정하는 홀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복합 보청 시스템을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이어폰 잭(114a)은 사용자로 하여금 이어폰 또는 헤드 셋을 연결하여 복합 보청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며, AUX 잭(104)은 비디오, 텔레비전 등의 외부 음향기기와 연결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외부의 음향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터리 커버(214)는 착탈 가능하게 구현되며, 내부에 소형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A-OUT 잭(114b)은 진동 체감부(118)와 연결 가능하며, 음향출력부(114)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또는 음향신호를 진동 체감부(118)로 전송한다.
전원공급 잭(216)은 전원 어댑터(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며, 전원 어댑터에의해 변환된 전원 예를 들어, DC 5V의 전원을 공급받는다.
도 3은 디스플레이(208)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208)는 음원 표시부(302), 채널/주파수/볼륨 표시부(304), 음향 표시부(306), 음색조절모드 표시부(308), 라디오 선국 표시부(310), 및 배터리 표시부(312)로 구획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복합 보청 시스템의 동작 상황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음원 표시부(302)는 음원 선택부(108)를 통해 선택된 음원을 표시하며, 채널/주파수/볼륨 표시부(304)는 송신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의 채널, 선국된 공중파 방송의 채널,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수치로 표시한다.
음향 표시부(306)는 출력되는 음향을 좌측 및 우측으로 구분하여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각각의 음향출력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음색조절모드 표시부(308)는 음원 선택부(108)에 의해 선택된 음원에 대한 음색조절 상태를 표시하며, 라디오 선국 표시부(310)는 공중파 방송을 선국하는 경우에 선택된 채널이 기 저장된 채널인 경우에 표시된다. 또한, 배터리 표시부(312)는 복합 보청 시스템에 장착된 소형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배터리의 교체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보청 시스템의 수신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송신부 음원이 선택된 경우, 도 4b는 라디오 음원이 선택된 경우, 도 4c는 외부입력 음원이 선택된 경우, 및 도 4d는 마이크 음원이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입력선택 스위치(202)를 통해 AUDIO를 선택하고, 조절부(116)를 통하여 송신부(130)의 채널과 연동되는 채널을 선택하면, 디스플레이(208)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이 표시된다. 즉, 학교와 같은 공공장소에 강의실마다 송신부(130)가 마련되어 음향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경우에 각각의 송신부(130)끼리의 음향신호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송신부(130)는 서로 다르게 설정된 채널을 통하여 음향신호를 송출하며, 수신부(100)는 그 중의 어느 하나의 송신부(130)의 채널을 선택하여 음향신호를 수신한다. 도 4a는 송신부(130)의 선택된 채널이 3인 경우를 나타낸다. 선택된 음원에 대하여 사용자는 조절부(116)의 상(▲), 하(▼) 선택키를 이용하여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입력선택 스위치(202)를 통해 라디오 음원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조절부(116)의 좌(◀), 우(▶) 스위치를 이용하여 방송국의 채널 전환이 가능하다. 전환된 방송국 채널에 대한 최종 선택은 세트설정 스위치(206)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4b는 기 저장된 채널을 선택한 경우를 나타낸다.
AUX 잭(104)에 연결된 외부 음향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원을 선택한 경우 및 제1마이크(102)로부터 수신되는 음원을 선택한 경우는 도 4c 및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때, 각각의 음원에 대하여 좌측 및 우측에 분리되어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에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를 독립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청각 장애자로 하여금 자신의 청취 상태(예를 들어, 좌측 및 우측의 청취 감도가 동일하거나(상단), 좌측의 청취 감도가 우측에 비해 떨어진다(하단)는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모드전환 스위치(204)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의 채널을 선택하고, 조절부(116)를 통하여 각각의 음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복합 보청 시스템의 송신부(13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도 1의 복합 보청 시스템의 송신부의 전면도, 및 도 6b는 후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복합 보청 시스템의 송신부(130)의 전면에는 전원 스위치(402), 입력선택 스위치(404), 마이크 뮤트(MIC mute) 스위치(406), 채널 다운 스위치(408), 채널 업 스위치(410), 디스플레이(412), 마이크 볼륨 조절부(414), 및 오디오 볼륨 조절부(416)가 구비된다. 또한, 복합 보청 시스템의 송신부(10)의 후면에는 안테나 잭(418), 마이크 잭(420), AUX IN/OUT 잭(422), 및 전원공급 잭(24)이 구비된다.
전원 스위치(402)는 복합 보청 시스템의 송신부(13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며, 입력선택 스위치(404)는 송신부(130)가 AUX IN/OUT 잭(422)를 통해 복수의 외부 음향기기와 연결되거나, 마이크 잭(420)을 통해 제2마이크(132)와 연결되고 AUX IN/OUT 잭(422)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음향기기가 연결된 경우, 송신부(130)로 입력되는 음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 뮤트 스위치(406)는 제2마이크(132)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에 대하여, 수신여부의 온/오프를 설정한다. 이것은 제2마이크(132) 및 외부 음향기기로부터 음향신호가 함께 수신되는 경우, 외부 음향기가로부터의 음향신호만을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채널 다운 스위치(408) 및 채널 업 스위치(410)는 채널을 선택하기 위하여 방향키(◀ 및 ▶, 또는 ▼ 및 ▲)로 구현되며, 송신부(130)의 채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412)는 송신부(130)의 사용자로 하여금 동작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현재의 송신부(130)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마이크 볼륨 조절부(414)는 제2마이크(132)에 의한 집음감도를 조절하거나, 제2마이크(132)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조절한다.
오디오 볼륨 조절부(416)는 송신부(130)가 복합 보청 시스템의 수신부(100)로 음향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되는 음향신호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안테나 잭(418)은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안테나와 연결되는 잭으로서, 수신부(100)와 연동되어 수신부(100)에 음향신호를 전송한다.
전원공급 잭(424)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잭으로서, DC 12V 등과 같은 어댑터 잭과 연결된다.
도면에는 송신부(130)가 공공장소 등에 비치되는 비치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송신부(130)는 배터리 장착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휴대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a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12)는 입력선택 표시부(502), 채널/주파수 표시부(504), 및 음향크기 표시부(506)로 구분될 수 있다.
입력선택 표시부(502)는 제2마이크(132), 외부 음향기기, 또는 제2마이크(132) 및 외부 음향기기의 음향신호 혼합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2마이크(132)로부터의 음원이 선택된 경우에는 MIC가, 외부 음향기기로부터의 음원이 선택된 경우에는 AUX가, 음원이 이들의 혼합인 경우에는 MIC-M 등과 같은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채널/주파수 표시부(504)는 채널 다운 스위치(408) 및 채널 업 스위치(410)를 통해 설정된 채널의 상태를 표시한다.
음향크기 표시부(506)는 수신부(100)로 전송되는 음향신호의 크기를 표시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보청 시스템의 동작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복합 보청 시스템의 수신부(100)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수신부(100)의 제1마이크(102)는 수신부(100) 주변의 음향을 집음하여 음향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음향신호를 음원 선택부(108)로 전송한다.
제1외부 입력부(104)는 외부의 음향기기와 연결 가능하며, 연결된 음향기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음원 선택부(108)로 전송한다.
라디오 수신부(106)는 공중파 방송을 선국하여 수신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국된 공중파 방송을 수신하여 음원 선택부(108)로 전송한다.
송신부(13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수신부(100)로부터 이격된 장소에 비치되며, 제2마이크(132)를 통해 비치된 장소 주변의 음향을 집음하거나, 비치된 장소 주변의 음향기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부(100)에 무선으로 전송한다. 이때, 송신부(130)가 사용자의 주변에 복수로 마련된 경우에는, 각각이 송신부(130)는 고유의 채널이 기 설정되며, 수신부(100)는 송신부(130)에 설정된 고유의 채널을 선택하여 음향신호를 수신한다.
음원 선택부(108)는 제1마이크(102), 제1외부 입력부(104), 라디오 수신부(106), 및 송신부(130)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음향신호 중 어느 하나의 음향신호를 선택한다. 경우에 따라서, 음원 선택부(108)는 제1마이크(102)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와 제1외부 입력부(104), 라디오 수신부(106), 및 송신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증폭부(110)는 제1마이크(102), 제1외부 입력부(104), 라디오 수신부(106), 또는 송신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를 증폭한다. 일반인이 청취할 수 있는 음향의 주파수 범위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100Hz 내지 8kHz이다.
주파수(Hz) 음성 에너지(%) 음성 명료도(%)
100~500 60 5
500~1000 35 35
1000~2000 3 35
2000~4000 1 13
4000~8000 1 12
그 중, 500Hz~400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이 가장 명료하며, 전체의 83%를 차지한다. 또한, 정상인은 500Hz~400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에 민감하며, 이 부분에 장애가 있을 경우, 소리는 들리더라도 변별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복합 보청 시스템의 수신부(100)에 구비된 증폭부(100)는 청각 장애자의 설정에 따라 수신되는 음향신호의 주파수를 가변하여 사용자가 가장 민감하게 청취할 수 있는 음향신호를 제공한다.
음향 출력부(114)는 증폭부(110)에 의해 증폭된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음향 출력부(114)는 변환된 음향을 좌측 및 우측의 두개로 분할하여 출력하며, 조절부(116)는 분할된 각각의 음향에 대한 음색, 볼륨 등을 조절한다.
음향 출력부(114)를 통해 출력된 음향은 진동 체감부(118)를 통해 사용자의 척추 또는 골반에 진동으로 전달되거나, 이어폰(120)을 통해 사용자의 양측 귀에 직접 전달된다.
이로써, 청각 장애인은 복합 보청 시스템을 통하여 주변의 음향을 청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디오를 통한 공중파 방송,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되며, 강의실, 극장, 공연장 등과 같은 일정거리 이격된 장소에서 발신되는 음향신호도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복합 보청 시스템의 사용자는 송신부를 통해 일정 거리 이격된 장소에서 발신되는 음향도 청취할 수 있게 되므로, 청각 장애인의 활동영역의 범위가 확대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보청 시스템은, 진동 체감장치와 접속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진동으로 청각 장애인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청각 장애인의 음향 청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복합 보청 시스템은, 공중파 방송의 수신 및 외부 음향기기로부터의 음향신호 수신이 가능하므로, 청각 장애이 주변의 음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원으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청각 장애인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6)

  1. 주변의 음향을 집음하여 전기적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제1마이크;
    외부의 제1음향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1음향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제1외부입력부;
    공중파 방송의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라디오 수신부;
    상기 마이크, 상기 외부 입력부, 상기 라디오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상기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보청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주변의 음향을 집음하여 전기적인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제2마이크, 및 외부의 제2음향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2음향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제2외부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마이크 및/또는 상기 제2외부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음향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에 의해 송출된 상기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음향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증폭부는 상기 음향신호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음향출력부를 통해 음향으로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복합 보청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이크, 상기 제1외부입력부, 상기 라디오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음향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음원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보청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는 상기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상기 음향신호를 좌, 우의 두 개로 분할된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보청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에 의해 좌, 우로 분할된 상기 음향에 대하여, 각각의 음향에 대한 음량 및 음색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보청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부와 연결되며, 상기 음향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음향을 진동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진동체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보청 시스템.
KR20-2004-0012155U 2004-04-30 2004-04-30 복합 보청 시스템 KR200357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155U KR200357328Y1 (ko) 2004-04-30 2004-04-30 복합 보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155U KR200357328Y1 (ko) 2004-04-30 2004-04-30 복합 보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328Y1 true KR200357328Y1 (ko) 2004-07-23

Family

ID=4943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155U KR200357328Y1 (ko) 2004-04-30 2004-04-30 복합 보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32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570B1 (ko) 2005-11-30 2006-10-02 구연영 보청기용 에프엠 라디오
KR101171252B1 (ko) * 2011-11-15 2012-08-06 주식회사 엠비온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
KR101494306B1 (ko) * 2013-08-19 2015-02-26 김영서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
KR101709581B1 (ko) * 2015-09-18 2017-02-24 (주)건융아이비씨 청각장애인용 건물 내 방송수신 및 강의 수신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570B1 (ko) 2005-11-30 2006-10-02 구연영 보청기용 에프엠 라디오
KR101171252B1 (ko) * 2011-11-15 2012-08-06 주식회사 엠비온 보청기 송수신 시스템
KR101494306B1 (ko) * 2013-08-19 2015-02-26 김영서 선택적으로 외부 소리 정보 청취가 가능한 이어폰 시스템
KR101709581B1 (ko) * 2015-09-18 2017-02-24 (주)건융아이비씨 청각장애인용 건물 내 방송수신 및 강의 수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8617B2 (en) Bluetooth earphone
US10142735B2 (en) Dual mode headphone and method therefor
WO2020238274A1 (zh) 一种具有无线传输功能的助听器
JP3490663B2 (ja) 補聴器
KR20040011859A (ko) 알파벳 유자 모양의 어깨 착용형 진동 우퍼 스피커
JP2013247559A (ja) 聴覚補装具送信機及び聴覚補装具
JP4170143B2 (ja) 補聴システム
WO2005109950A1 (en) Bone conduction and wireless receiving set
KR200357328Y1 (ko) 복합 보청 시스템
KR20080014346A (ko) 보청기 겸용 무선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KR102055187B1 (ko) 음색 보정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기반의 음성 방송시스템
JP3431512B2 (ja) 音聴取装置
KR200295326Y1 (ko) 알파벳 유자모양의 어깨착용형 진동 우퍼스피커
KR102452503B1 (ko)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수신 시스템
KR200264637Y1 (ko) 보청기 겸용 라디오
KR200494601Y1 (ko) 오디오 입력 플러그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200494436Y1 (ko) 인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휴대용 무선 수신기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
JP3237275U (ja) 音声集音器、音声集音機能付き音声送信器、および、音声認識システム
KR200200211Y1 (ko) 휴대용 골도 보청기
US11595746B1 (en) Remote control of ear mounted audio devices
KR200269463Y1 (ko) 청각장애인용 fm 무선 보청 및 진동 체감 시스템
KR101099525B1 (ko)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
JP2000286736A (ja) 補聴機能付ラジオ受信機
KR100771946B1 (ko) 이어폰
KR101709581B1 (ko) 청각장애인용 건물 내 방송수신 및 강의 수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