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503B1 -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503B1
KR102452503B1 KR1020210002886A KR20210002886A KR102452503B1 KR 102452503 B1 KR102452503 B1 KR 102452503B1 KR 1020210002886 A KR1020210002886 A KR 1020210002886A KR 20210002886 A KR20210002886 A KR 20210002886A KR 102452503 B1 KR102452503 B1 KR 10245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wireless transmitter
receiver
audio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0454A (ko
Inventor
김일환
Original Assignee
윈텍정보(주)
김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텍정보(주), 김일환 filed Critical 윈텍정보(주)
Priority to KR1020210002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503B1/ko
Publication of KR2022010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6Portab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72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with extendable microphones or ear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3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udio recording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믹서의 잭에 연결되는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를 구비하는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송신기와 페어링되며,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는 인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무선 수신기; 로 이루어지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수신 시스템{System having portable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with built-in earphone jack}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반적인 무선 마이크 송수신기를 겸하면서, 다른 사용방법으로 시간 지연이 없도록 본인의 음성 또는 연주음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직접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대형 공연장이나 야외무대 또는 버스킹을 하는 실내외 장소에서 본인의 음성 또는 연주음을 시간 지연이 없이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 및 강의용 대형 무대나 방송 또는 음악을 연주하는 실내외 장소에서의 노래 또는 연주음 또는 음악들은 유무선 마이크를 통해서 믹서 장치에 입력된 다음 오디오 앰프와 스피커를 통해서 대중에게 전달되는 구조로, 스피커를 통해서 나온 사운드는 대형 홀 또는 강당 또는 실내의 벽 또는 물체들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이 지연된 음 즉 에코, 잔향, 반사된 음 등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시간이 지연된 음들은 공연자나 강사들이 립싱크를 맞추기가 어려운 환경을 제공하므로, 시간 지연이 없는 본인의 노래 또는 음성 또는 악기들의 반주음을 듣기 위해서 무대 위 가까이에 설치된 모니터링용 스피커를 이용하지만 야외 연주나 출장 초청 연주 시에는 주변 환경이 열악하여 그렇지 못한 환경이 존재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각 개인의 귀에 꽂아 들을 수 있는 무선 방식 인이어폰(In-earphone) 전용 시스템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전용 휴대용 인이어폰은 무대 활동에 지장을 주는 유선식 보다는 무선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기존의 휴대용 인이어폰용 무선 송수신시스템에서의 무선 송신장치는 대부분이 탁상 고정식으로 부피가 큰 관계로 이동 설치 및 취급이 용이하지 않은 불편한 점이 있다. 특히 초청 출장 공연이 많은 색소폰 연주자, 인디 밴드들의 악기 연주자들은 이를 매번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기가 불편하여 쉽게 이용을 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으며, 좁은 실내 환경에서 많은 연주자가 모여 연주를 할 때는 유선식 인이어폰을 주로 사용하는데 여러 명의 유선들이 서로 꼬여서 연주 활동에 불편한 환경을 제공한다.
실용신안 등록 제20-002500호는 강사가 선택한 외부기기의 음성신호와 영상신호를 본인의 음성과 혼합하여 청취하면서 유선으로 TV모니터에 출력시킴과 동시에, 외부기기의 음성신호와 사용자 본인의 음성신호를 외부 스피커에 유선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무선으로 외부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은 여러 명의 사용자가 음악을 송출하는 공연에는 활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휴대형 무선 송수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수신기의 출력은 외부의 오디오 앰프 입력 단자에 연결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무선 수신기의 오디오 출력은 임피던스가 600옴 이상으로, 외부 오디오 앰프 입력에는 레벨이 잘 맞으나, 상대적으로 입력 임피던스가 낮은 즉, 20옴에서 50옴 정도의 임피던스를 가지는 인이어폰 내부의 스피커를 크게 울리지 못하고 아주 약한 사운드로만 재생이 되므로 연주음이나 사운드가 크게 들리는 장소에서는 사용이 부적합하고, 소리가 크게 들리는 인이어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무선 수신기 외부에 오디오 앰프를 추가하고 그 오디오 앰프에 인이어폰을 꽂아서 사용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 불편한 사항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볍고 부피가 작고 설치가 간단하고 사용자가 부담 없이 몸에 쉽게 착용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송수신시스템을 제공하여 연주 활동을 편리하게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무선 송수신시스템에서 갖고 있는 사용상의 불편함, 송신기 및 수신기의 부피가 커서 취급이 불편함 등의 단점을 취급이 쉽고, 설치가 간편하며, 몸에 착용하기가 쉬운, 오디오 입력 플러그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송신기와 별도의 인이어폰용의 오디오 앰프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인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휴대용 무선 수신기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디오 믹서의 잭에 연결되는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를 구비하는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송신기와 페어링되며, 이어폰을 구동할 수 있는 오디오 앰프를 내장하고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는 인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무선 수신기; 로 이루어지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는 다수의 연주자가 연주하는 악기 소리를 오디오 믹서로부터 무선 송신기의 변조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수신기는 외부의 스마트폰의 녹음 잭에 연결되어 사운드를 녹음하기 위한 수신기플러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신기와 무선 수신기는 무선 송신기 1대에 대하여 무선 수신기 1대가 페어링 되거나, 무선 송신기 1대에 대하여 무선 수신기 복수 개가 페어링 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송신기의 본체에는 전원버튼, 볼륨증가버튼, 볼륨감소버튼, 채널 증가 버튼 및 채널 감소 버튼이 형성되고, 배터리 잔량, 음량, 채널 및 페어링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1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수신기의 본체에는 전원버튼 및 페어링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제2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무선 송신기 1대와 무선 수신기 1대를 페어링하는 경우, 무선 송신기의 전원을 ON하고 볼륨증가버튼을 소정 시간 이상 누르고, 무선 수신기의 전원을 ON하며, 각각의 제1 및 제2디스플레이부는 페어링 동작이 수행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무선 송신기 1대와 무선 수신기 복수대를 페어링하는 경우, 무선 송신기의 전원을 OFF하고 전원 버튼과 볼륨증가버튼을 소정 시간 이상 누르고, 무선 수신기의 전원을 차례로 ON하며, 각각의 제1 및 제2디스플레이부는 페어링 동작이 수행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연주자의 음악, 제2연주자의 음악,..., 제n 연주자의 음악이 전송되어 합해지는 오디오 믹서; 상기 오디오 믹서의 잭에 연결되는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를 통하여 오디오 믹서의 사운드를 전송 받는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송신기와 각각 페어링되어 무선 송신기의 사운드를 전송 받으며,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는 인이어폰용 잭을 구비하며, 상기 인이어폰용 잭은 각각의 연주자가 소지하여 듣고 있는 각각의 이어폰에 연결된, 동일한 구조의 제1 무선 수신기, 제2 무선 수신기, ..., 제n 무선 수신기로 이루어지는 무선 수신기 셋트;로 이루어지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무선 송수신기의 모니터링 장치의 부피가 크고 취급이 불편한 점을 보다 작고, 가볍고, 취급이 쉽고, 휴대하기 쉬운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일반 연주자나 강사들도 쉽게 사용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수신기는 앰프부를 자체 내장하므로, 인이어폰으로 증폭된 사운드를 들으면서 동시에 수신기 플러그를 통하여 스마트폰에 음악을 녹음할 수 있으므로 다기능을 구비하여 상품성이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송신기의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에서 콘덴서 마이크부를 구비한 무선 송신기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기존 무선 송신기를 개량한 본 발명의 무선 송신기의 실제 사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무선 수신기의 구성도;
도 6은 종래 기술의 무선 송신기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기존 무선 송신기를 개량한 본 발명의 무선 송신기의 실제 사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기의 사시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 송신기를 오디오 믹서에 연결하여 한 대 설치하고, 무선 수신기는 무선 송신기에 복수 개 페어링하여 연결함으로써 기타, 색소폰 및 드럼의 연주자가 각자의 무선 수신기를 통하여 이어폰으로 동시에 자신과 다른 연주자의 음악을 들으면서 자신의 악기를 연주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무선 송수신 시스템(1)은 무선 송신기(2)와, 무선 수신기(4)를 포함한다. 무선 송신기(2)는 사운드 믹서 또는 오디오 믹서의 PHONE 잭에 연결되는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2a)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기(4)는 외부의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스마트폰에서 녹음이 가능하도록 사운드를 출력하는 수신기 플러그(4a)와, 인이어폰에 사운드를 전달하는 이어폰용 잭(4b)을 포함한다. “사운드”는 인간의 음성 뿐만 아니라 악기 소리, 주위 환경의 소음 등 가청할 수 있는 모든 소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무선 송신기>
도 2는 본 발명의 무선 송신기(2)의 구성도이다.
무선 송신기(2)는, 외부의 오디오 믹서로부터 오디오 사운드가 입력되는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2a)와, 입력된 사운드를 변조하는 사운드 변조부(103)와, 변조된 사운드를 고주파로 변화하는 고주파 믹싱부(104)와, 송신용 고주파 무선 주파수를 제어하는 주파수 제어부(105)와, 무선 송신 안테나(106)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10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중의 하나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콘덴서 마이크부(101) 대신 이를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2a)로 대체한 점에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서 콘덴서 마이크부(101)를 구비한 무선 송신기(2‘)의 외형을 도시한다. 마이크(101’)에 대고 주로 노래 또는 강의나 연설을 하면 음성 사운드가 콘덴서 마이크부(101)를 통하여 입력되어 무선 송신기(2‘) 내부에서 처리되어 무선 수신기로 송출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콘덴서 마이크부(101) 대신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2a)를 사용하면, 무선 송신기(2)에 입력되는 사운드가, 인간의 음성뿐만 아니라 오디오 믹서에서 나오는 다양한 연주음, 악기음이 될 수 있으므로 무선 송신기(2)의 활용 영역을 크게 확장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믹서가 하나의 노래를 두고 동시 연주되는 악기음을 모두 포함하고 있을 때,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2a)를 통하여 전송되는 사운드가 무선 송신기(2)에서 믹싱되어 무선 수신기(4)로 동시 전송되므로 라이브 연주와 같은 현장에서의 사운드 송출이 매우 편리하다.
즉, 대부분의 연주 현장에서 구비되어 사운드를 총괄하는 오디오 믹서의 폰과 같은 출력 단자에 본 발명의 무선 송신기(2)의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2a) 만을 삽입함으로써 적절한 수신기를 구비하면 복수의 연주자나 가수가 시간 지연 없이 동시에 같은 사운드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무선 송신기(2)의 구조는 제한되지 않으며, 제작 방법은 다양하지만, 도 3의 무선 송신기(2‘)에서 콘덴서 마이크와 관련 부재를 제거하고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2a)로 대체하면 충분하며 경제성이 우수하고 제작비를 줄일 수 있다.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2a)는 3.5mm 플러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기존 무선 송신기(2’)를 개량한 본 발명의 무선 송신기(2)의 실제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두 기기의 외형과 기본적인 구조는 유사하지만, 용도와 기능의 확장성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이크(101‘)는 사람의 입에 가까이 인접해야 하며, 무선 송신기(2’) 본체를 인체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장착한다 하더라도, 특히 시청자나 관중이 많은 경우 눈에 보이지 않아야 하므로 호주머니나 허리 벨트에 착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케이블이 길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짧은 길이의 케이블에 연결되는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2a)만 설치하면 되므로 설계와 제작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선 송신기(2)의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2a)가 연결되는 오디오 케이블(2b) 속에 여분의 와이어 한 가닥을 더 구비하고 그 여분의 와이어 한 가닥을 무선 송신기(2)의 무선 송신 안테나(106)의 회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오디오 케이블(2b) 길이를 무선 주파수 파장의 2분의 1이 되는 길이로 하면 무선 전파가 가장 잘 발산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GHz의 신호를 송신하고 싶다면, 1GHz의 공기 중 파장은 30cm이므로, 무선 송신 안테나(106)에 연결되는 오디오 케이블(2b) 내부의 안테나용 와이어 길이를 15cm로 만들면 효과적인 1GHz용 무선 안테나를 제작할 수 있다. 다만, 모노폴( monopole) 안테나의 경우는 접지 상태가 이미지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주파수 파장의 4분의 1이 되는 길이로 제작한다.
<무선 수신기>
다음, 본 발명의 무선 수신기(4)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무선 수신기(4)는 이상 설명한 무선 송신기(2)와 쌍(pair)을 이루어 제공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무선 수신기(4)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무선 주파수 파장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길이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무선 수신 안테나(206)와, 고주파 수신부(204)와, 상대편 무선 주파수에 맞는 주파수를 동기시키는 무선 주파수 제어부(205)와, 사운드 복조부(203)와, 배터리부(207)와,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연결하기 위한 오디오 앰프부(201)를 포함한다.
오디오 앰프부(201)는 기존의 무선 수신기에는 없는 구성이며, 기존의 무선 수신기는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를 외부의 오디오 앰프나 스피커의 외부 마이크 입력부에 꽂아서 앰프와 스피커를 크게 울리는 용도로 사용되어, 무선 수신기 자체에는 오디오 앰프부가 내장되지 않아서 무선 수신기 자체의 사운드 출력으로는 이어폰에 만족한 음을 공급할 수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앰프부(201)를 설치하고, 사운드 복조부(203)가 전송한 사운드를 오디오 앰프부(201)를 통하여 이어폰을 바로 꽂아서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운드 복조부(203)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기 플러그(4a)를 통하여 스마트폰 녹음단자로 연결하여 스마트폰에서 동시 녹음을 진행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오디오 앰프로 증폭된 소리를 들을 수 있음과 동시에 스마트폰에 녹음을 동시에 진행할 수가 있다. 이러한 기능은 전술한 본 발명의 무선 송신기(2)와 더불어 발휘되며, 악기 연주자는 자신의 악기뿐만 아니라 다른 연주자의 악기 연주 소리를 포함하는 처음 오디오 믹서에서 나온 사운드를 무선 송신기(2) 및 무선 수신기(4)를 통하여 동시에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으므로 시간 지체가 없어 특히 여러 악기를 연주하는 경우 유용하다. 무선 수신기(4)는 기존의 스탠드 고정형 수신기가 아니라 사용자의 호주머니나 벨트에 달아 착용하기 편한 휴대용으로 제작되므로, 여러 연주자간의 유선 케이블이 꼬일 염려도 없다.
한편, 수신기 플러그(4a)는 사운드 복조부(203)에서 전송된 사운드를 입력 받아 외부의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음악을 녹음하기 위한 것이다. 수신기 플러그(4a)는 종전과 같이 사운드를 외부의 앰프에 전송하여 스피커를 통해 주위에 음을 송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개의 무선 수신기(4)를 동시 사용할 경우 한 개의 수신기는 수신기 플러그(4a)를 경유하여 스마트폰의 녹음 잭을 통해 현장음을 녹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녹음된 음악은 관객의 소리나 노이즈는 배제하고 무선 수신기(4)에서 전송되는 현장의 음악을 그대로 녹음하는 것인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도 6은 종래 기술에서 수신기 플러그(4a’)를 구비한 무선 수신기(4‘)의 외형을 도시한도면이다. 무선 수신기(4’)에는 수신기 플러그(4a’)가 연결되지만 이는 도시하지 않은 오디오 앰프에 삽입되기 위한 것이며 스마트폰용 녹음 기능은 수행하지 않는다.
도 7은 도 6의 기존 무선 수신기(4’)를 개량한 본 발명의 무선 수신기(4)의 실제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서의 4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에 연장된 구조이지만 케이블을 없애고 이어폰용 잭을 PCB에 직접 내장하여 외부 케이블을 없앤 모양일 수도 있다. 두 기기의 외형은 유사하지만, 내부의 구성, 용도와 기능의 확장성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수신기 플러그(4a)와 이어폰용 잭(4b)은 3.5mm 플러그와 잭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무선 송신기(2)와 무선 수신기(4)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송신기(2)의 사시도이다.
무선 송신기(2)는 유선형의 슬림한 본체(200)로 외관이 이루어진다. 측면에는 전원버튼(202), 볼륨증가버튼(204) 및 볼륨감소버튼(206)이 설치된다. 전방에는 외부 전원과의 접속을 위한 충전슬롯(212)이 형성된다. 다른 측면에는 채널의 주파수 변경을 위한 채널 증가 버튼(208)과 채널 감소 버튼(210)이 형성된다. 본체(200)의 상면에는 시인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부(D1)가 구획되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D1)에는 배터리 잔량, 음량 및 채널이 표시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08”의 음량임을 나타내고 있다.
무선 송신기(2)에서 전원버튼(202)을 3초 이상 누르면 디스플레이부(D1)에 “U--”가 표시되어 구동 개시임을 알리고, 다시 2초 이상 누르면 “OFF”가 표시되어 전원이 꺼진다. 전원이 켜진 후 예를 들어 10초 경과하면, 디스플레이부(D1)는 “━ ━ ━ ”로 전환되며, "━ "의 숫자는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고, “━ ━ ━”는 배터리가 충분하다는 표시이며, “━ ”은 충전을 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U--”는 기본적으로 음량을 표시하며, 볼륨증가 또는 감소버튼(204, 206)을 누르면 “--”가 숫자로 전환디어 표시된다. 음량은 예를 들어 “U00”에서 “U11”까지 오름차순 또는 내립차순으로 버튼으로 조정되며, 현재의 음량 상태가 숫자와 함께 디스플레이부(D1)에 표시된다.
“C--”는 기본적으로 채널(주파수)을 표시하며, 채널 증가 또는 감소버튼(208, 210)을 누르면 “--”가 숫자로 전환된다. 채널은 예를 들어 “C00”에서 “C11”까지 버튼으로 조정되며, 채널은 숫자와 함께 디스플레이부(D1)에 표시된다.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2a)는 오디오 믹서의 폰에 연결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수신기(4)의 사시도이다.
무선 수신기(4) 역시 유선형의 슬림한 본체(400)로 외관이 이루어진다. 측면에는 전원버튼(402) 및 외부 전원과의 접속을 위한 충전슬롯(404)이 형성된다. 본체(400)의 상면에는 시인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부(D2)가 구획되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D2)는 LED발광부로 이루어진다. LED발광부는 디폴트로 청색 LED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 수신기(4)는 외부의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스마트폰에서 녹음이 가능하도록 사운드를 출력하는 3.5mm의 수신기 플러그(4a)와, 이어폰에 사운드를 전달하는 인이어폰용 3.5mm 잭(4b)을 포함하고 있다.
무선 송신기(2)와 무선 수신기(4)의 페어링(pairing) 작업은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먼저, 무선 송신기 1대와 무선 수신기 1대를 페어링하는 경우, 무선 송신기(2)의 전원을 ON하고 볼륨증가버튼(204)을 예를 들어 7초 이상 누르면 디스플레이부(D1)의 표시가 “━”“━”“━”으로 움직이며 페어링 동작이 수행 중임을 알린다. 그리고, 무선 수신기(4)의 전원을 켜면 LED발광부가 점멸하여 페어링이 수행 중임을 알리고 정지하며, 무선 송신기(2)에는 “U--” 음량이 표시된다.
다음, 먼저, 무선 송신기 1대와 무선 수신기 복수 개를 페어링하는 경우, 무선 송신기(2)의 전원을 OFF하고 전원버튼(202)와 볼륨증가버튼(204)을 동시에 예를 들어 3초 이상 누르면 디스플레이부(D1)의 표시가 “━”“━”“━”으로 움직이며 페어링 동작이 수행 중임을 알린다. 그리고, 함께 동작할 무선 수신기(4)의 전원을 차례로 켜면 LED발광부가 점멸하여 페어링이 수행 중임을 알리고 정지하며, 무선 송신기(2)에는 “U--” 음량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 구축 시, 무선 송신기(2)와 무선 수신기(4)의 거리는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30m 정도로 설정하면 충분하다.
이상은 본 발명의 무선 송신기(2) 및 무선 수신기(2)의 일례를 도시하였으나, 추가로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으며, 버튼의 숫자나 위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 송신기(2)를 오디오 믹서에 연결하여 한 대 설치하고, 무선 수신기(4)는 무선 송신기(2)에 복수 개 페어링하여 연결함으로써 기타, 색소폰 및 드럼의 연주자가 각자의 무선 수신기(4)를 통하여 이어폰으로 동시에 자신과 다른 연주자의 음악을 들으면서 자신의 악기를 연주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현장 공연에 편리하며 한결 조화된 음악을 관중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9)

  1. 삭제
  2. 오디오 믹서의 잭에 연결되는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를 구비하는 무선 송신기; 및
    상기 무선 송신기와 페어링되며, 이어폰을 구동할 수 있는 오디오 앰프를 내장하고 이어폰을 연결할 수 있는 인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무선 수신기; 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는 연주자의 연주 악기 소리를 오디오 믹서로부터 무선 송신기의 변조부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 송신기는 오디오 믹서로부터 연주자의 악기 소리를 입력 받아 무선 수신기로 전송하며,
    상기 무선 수신기는 연주자가 휴대 가능하며,
    상기 무선송신기는, 오디오 입력용 플러그가 연결되는 오디오 케이블 속에 여분의 와이어 한 가닥을 더 구비하고 그 여분의 와이어 한 가닥을 무선 송신기의 무선 송신 안테나에 연결하고, 상기 여분의 오디오 케이블 길이를 무선 주파수 파장의 2분의 1이 되는 길이로 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002886A 2021-01-08 2021-01-08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수신 시스템 KR102452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886A KR102452503B1 (ko) 2021-01-08 2021-01-08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886A KR102452503B1 (ko) 2021-01-08 2021-01-08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454A KR20220100454A (ko) 2022-07-15
KR102452503B1 true KR102452503B1 (ko) 2022-10-07

Family

ID=8240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886A KR102452503B1 (ko) 2021-01-08 2021-01-08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5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953Y1 (ko) * 2001-03-08 2001-10-06 이상일 다목적 기능을 갖는 2채널 무선송신 핸즈프리와 무선수신기
KR200418764Y1 (ko) * 2006-04-04 2006-06-13 김종필 무선 음향 송출기
KR101544181B1 (ko) * 2014-05-27 2015-08-12 (주) 시지아이 인 이어 이어폰 출력과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갖는 다이렉트 박스 및 다이렉트 박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622B1 (ko) * 2003-04-22 2004-12-03 (주)유성씨앤씨 무선 교육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953Y1 (ko) * 2001-03-08 2001-10-06 이상일 다목적 기능을 갖는 2채널 무선송신 핸즈프리와 무선수신기
KR200418764Y1 (ko) * 2006-04-04 2006-06-13 김종필 무선 음향 송출기
KR101544181B1 (ko) * 2014-05-27 2015-08-12 (주) 시지아이 인 이어 이어폰 출력과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갖는 다이렉트 박스 및 다이렉트 박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454A (ko)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4664B2 (en) Device for generating chest-chamber acoustic resonance and delivering the resultant audio and haptic to headphones
US20130003984A1 (en) Headphones with expandable speaker enclosures
US20050281423A1 (en) In-ea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9143595B1 (en) Multi-listener headphone system with luminescent light emissions dependent upon selected channels
TW200951938A (en) Systems for combining inputs from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and devices
CN207340160U (zh) 一种无线k歌音响系统
US10264339B2 (en) Wearable vibration device
TW200811786A (en) A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with visual cues and a method to generate visual cues in a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CN109714671A (zh) 一种无线k歌音响系统
CN109658910A (zh) 一种无线k歌系统
KR20040011859A (ko) 알파벳 유자 모양의 어깨 착용형 진동 우퍼 스피커
KR102452503B1 (ko)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수신 시스템
KR200494601Y1 (ko) 오디오 입력 플러그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 송신기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
KR200494436Y1 (ko) 인이어폰용 잭을 구비한 휴대용 무선 수신기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
JP3489817B2 (ja) ヘッドフォン型送受信機
KR102055187B1 (ko) 음색 보정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기반의 음성 방송시스템
CN213518226U (zh) 一种直播声卡
KR200357328Y1 (ko) 복합 보청 시스템
KR200295326Y1 (ko) 알파벳 유자모양의 어깨착용형 진동 우퍼스피커
CN112218222A (zh) 一种居家听觉信息无障碍系统
KR102266407B1 (ko) 섹소폰의 벨 착탈용 마이크 앰프장치
JP3173995U (ja) デジタルワイヤレス送受信機
CN214591937U (zh) 一种麦克风和电子设备组件
TWI833415B (zh) 現場即時收音情境效果產生系統及其應用方法
WO2022261935A1 (zh) 一种多功能音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