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126Y1 -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 - Google Patents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126Y1
KR200356126Y1 KR20-2004-0010311U KR20040010311U KR200356126Y1 KR 200356126 Y1 KR200356126 Y1 KR 200356126Y1 KR 20040010311 U KR20040010311 U KR 20040010311U KR 200356126 Y1 KR200356126 Y1 KR 200356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tyrofoam
styrofoam
flame retardant
wast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호 filed Critical 이창호
Priority to KR20-2004-0010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1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8Macromolecular compounds porous, e.g. expanded polystyrene beads or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L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세절된 폐스티로폼과 열경화수지가 혼합되어 성형됨으로써 종래 스티로폼의 가연성 및 유독가스 배출을 억제하고 폐스티로폼을 재활용할 수 있는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입도 3~8mm 정도로 세절된 폐스티로폼과 멜라민수지 또는 요소수지 등의 열경화수지가 일체로 혼합되어 일정형태의 크기로 성형된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An incombustible insulator used waste styrofoam}
본 고안은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세절된 폐스티로폼과 열경화수지가 혼합되어 성형됨으로써 종래 스티로폼의 가연성 및 유독가스 배출을 억제하고 폐스티로폼을 재활용할 수 있는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스티로폼은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여 건축분야 뿐만아니라 산업전반에 걸쳐 단열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연성이 높고 유독가스의 배출이 많아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고, 재활용되는 것도 저조하여 전량 폐기되는데 이 때 폐기되는 스티로폼에 의해 환경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볍고 저렴한 스티로폼의 장점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단점인 가연성과 환경파괴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난연성으로 재활용하여 사용되는 단열재를 제공함에 있는 것으로, 세절된 폐스티로폼과 열경화수지가 혼합성형되어 특정 형상으로 형성된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절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폐스티로폼 100 : 단열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100)는 일정형태의 크기로 성형한 열경화수지의 단열재(100)의 내부에 세절된 폐스티로폼(1)(1')이 무수히 혼입되어 고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폐스티로폼(1)(1')의 입도는 3~8mm이며, 상기 열경화수지는 멜라민수지 또는 요소수지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멜라민수지 또는 요소수지의 열경화수지에 3~8mm의 입도로 세절된 폐스티로폼(1)(1')을 혼합시키고, 이를 금형에 넣어 120~150℃ 정도에서 3~5분간 가열압착시켜 단열재(100)로 성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은 세절된 폐스티로폼(1)(1')이 열경화수지에 의해 전혀 다른 기능을 가진 새로운 단열재(100)로 재생되게 되고, 금형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성형된다.
열경화수지로 사용되는 요소수지는 요소와 알데히드류의 축합반응으로 생긴 것으로 전기적특성, 기계적강도, 내열성, 착색성 등 매우 안정된 물성을 가진다. 그리고, 요소수지는 약 100~200℃에서 경화되는 열경화성의 성질이 있고, 인체에 무해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인체에 무해하여 폐스티로폼(1)(1')을 건축물의 내외장의 단열재(100)로 재활용할 때 사용하더라도 인체에 해를 주지 않아 친환경적인 제품으로 사용될 수 있고, 화재시에는 매연이나 유독가스의 발생이 없어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열경화수지로 사용되는 멜라민수지는 내열, 내수, 내산, 내알칼리성이 뛰어나고, 내아크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폐스티로폼(1)(1')이 요소수지 또는 멜라민수지에 혼합되어 성형됨으므써, 폐스티로폼(1)(1')의 표면이 요소수지층 또는 멜라민수지층이 되어 열경화성을 띠게 되어 결국 난연성을 가지게 되고, 연소에 의한 유독가스의 발생 또한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가연성 및 연소시 유독가스를 배출하는 스티로폼의 단점을 극복하고, 처리가 곤란하거나 환경을 파괴하는 폐스티로폼이 친환경적인 단열재(100)로 재생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폐기되거나 환경을 오염시키는 폐스티로폼(1)(1')이 세절되어 요소수지나 멜라민수지 등의 열경화수지에 혼합되어 성형됨으로써, 가연성이 높고 유독가스를 배출하던 종래의 스티로폼이 우수한 난연성을 가진 단열재(100)로 재활용되는 효과가 있고, 각종 건축물 등에 사용될 때에는 단열성능이 우수하고 화재시 매연이나 유독가스의 배출이 없어 친환경적이고 회재로 부터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정형태의 크기로 성형한 열경화성수지의 단열재(100)의 내부에 세절된 폐스티로폼(1)(1')이 무수히 혼입되어 고착된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
  2. 제 1항에 있어서, 폐스티로폼(1)(1')은 입도가 3~8mm인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
  3. 제 1항에 있어서, 열경화수지는 멜라민수지 또는 요소수지에서 선택된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
KR20-2004-0010311U 2004-04-14 2004-04-14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 KR200356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311U KR200356126Y1 (ko) 2004-04-14 2004-04-14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311U KR200356126Y1 (ko) 2004-04-14 2004-04-14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126Y1 true KR200356126Y1 (ko) 2004-07-12

Family

ID=4943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311U KR200356126Y1 (ko) 2004-04-14 2004-04-14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1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931B1 (ko) 단열재용 난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866063A (zh) 一种阻燃型无机复合eps保温板及其制备方法
KR101842000B1 (ko) 재활용 준불연 단열재
KR20180117511A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CN101143944A (zh) 一种聚乙烯用无卤膨胀型阻燃剂
KR200356126Y1 (ko) 폐스티로폼을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
KR101555612B1 (ko) 건축 외장재용 드라이비트 준불연 발포폴리스티렌 입자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07245B1 (ko) 불연성 무기질 단열재
KR101795750B1 (ko) 난연제 조성물, 난연성 스티로폼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42299A (ko) 난연성 및 소화성이 우수한 스치로폴 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51086A (ko) 그래핀 옥사이드를 이용한 eps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210725569U (zh) 应用于空调器上的新型防火电器盒
DE60125556D1 (de) Flammwidrige Zusammensetzung
KR101686447B1 (ko)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 충전재, 이를 이용한 불연성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JP3130257B2 (ja) 不燃性耐火組成物及び不燃性耐火発泡プラスチック
KR20030058968A (ko) 불연성 경량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84160B1 (ko) 건축용 난연제 조성물
KR20100107632A (ko) 톱밥과 목재칩을 이용한 불연내장 인테리어판넬의 제조방법
KR100865177B1 (ko) 발포 스티로폼 입자용 난연화 도포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난연화 도포제 조성물을이용한 난연처리방법
KR100334039B1 (ko) 페놀폼과 그것을 이용한 건축용 패널
JP3157598U (ja) 断熱材板
KR20160139947A (ko)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KR20110096427A (ko)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조성물
KR200325526Y1 (ko) 요소수지 발포체를 이용한 샌드위치 단열 판넬
KR20160061044A (ko) 불연단열 샌드위치판넬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한 불연단열 샌드위치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