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947A -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 Google Patents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947A
KR20160139947A KR1020150075899A KR20150075899A KR20160139947A KR 20160139947 A KR20160139947 A KR 20160139947A KR 1020150075899 A KR1020150075899 A KR 1020150075899A KR 20150075899 A KR20150075899 A KR 20150075899A KR 20160139947 A KR20160139947 A KR 20160139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eva
panel
flam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1571B1 (ko
Inventor
김경희
최재병
Original Assignee
신호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호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호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5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571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04B1/90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성 방음 방염 단열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단열재의 문제인 화재에 취약하며 방염효력이 있는 제품은 비록 화재에 잘 타지 않으나 화염 또는 열을 내부로 전이 되는 것을 막는 기능은 가지고 있지 못하여 결국 내부에서 발화가 발생하여 화재를 더 욱 크게 만드는 문제점을 친환경 무독성 소재로 만든 발포성 불연소재의 스펀지와 얇은 소재이면서도 단열재의 기능을 하는 Oxy-pad소재 또는 스티로폼 패널과 같은 두 철판과의 결합으로 기존의 단열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EVA 50~60 중량%, 인 계 난연제 5~10 중량%, 산화알루미늄(Al(OH3)) 및 징크보레이트(Zinc Borate) 억연제 3~7 중량%, 팽창 흑연 12~23 중량%을 포함하는 난연 조성물로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Environment Friendly and Fire-Retardant Material EVA Panel}
본 발명은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 흡음성 등이 탁월하여 건물내장재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EVA(Ethylene Vinyl Acetate)패널 제조에 있어서, 화재에 취약한 약점을 보완하여 화재 전이를 막고 유독가스가 생성되지 않도록 난연 조성물을 조성하여 난연성 EVA패널을 제조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에 관한 것이다.
급변하는 날씨와 에너지 자원에 대한 가격 상승 및 생산의 축소로 단열재에 대한 기능과 설치에 대한 규정을 국제적으로 강화시키고 있는 현실 속에서 단열재가 화재진압에 큰 문제를 가져다주는 요소로 지적받는 경우는 매우 많다.
이에 따라 소방산업기술의 발달로 화재의 가능성이 있는 건축자재 또는 소방 대상물을 전기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 장치를 통해 예방을 하고 있지만 화재 발생은 더욱 빈번하고 크게 발생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화재발생 상황에서 심한 피해를 주거나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주는 단열재 등은 방염의 기능을 인정받은 제품만 사용토록 법으로 정하고 있음에도 아직 단열재에 대한 방염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며 화재시 유독가스 발생과 화재전이에 대한 부분 역할도 하고 있다.
일례로 스티로폼을 이용한 단열재 샌드위치 패널은 가장 주되게 사용되는 제품이면서 화재에 가장 취약한 제품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패널 내부에 있는 스티로폼은 낮은 인화점으로 인해 주변의 고온에도 화염이 인가되며 양면의 철판에 의해 소화 진화 시에 소화액이 패널 내부로 주입되지 않아 소화진화에 대단히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하에는 기존의 다양한 방염, 난연 제품과 기술 등을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본다.
참고문헌1에; 베이스 레진으로 스폰지 스크랩(EVA,PP,PE)을 10-90부, 폐플라스틱10~80부, 바인더폴리머0~10부를 파쇄·혼합하고, 부재로 가소제1~5부, 가교제 0.1~5부, 발포제1~15부와 난연제4~40부를 베이스레진에 혼합하여 혼련하고 시트상으로 성형한 후 프레스에서 가열가압하여 얻는 스폰지 스크랩 발포체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2에; 에틸렌 및 아세트산비닐 또는 추가의 다른 극성기 함유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A)95∼5중량%, 올레핀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또는 추가의 다른 극성기 함유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B)5∼95중량% 및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수지(C)0∼49중량%를 함유하는 베이스 수지조성물 100중량부당 난연성 무기화합물(D)25∼250중량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3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Acetate :EVA) 공중합체, 발포제, 카본블랙, 할로겐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진 경량 충격음 차단층, 및 폴리프로필렌수지, 폴리에틸렌수지 및 폴리프로필렌수지/폴리에틸렌수지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수지, 할로겐계 난연제, 바륨설페이트,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건축용 소음차단재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4에; 밀도 15~60kg/m³인 연속기포 스펀지에 수성 난연성 코팅액을 함침하고 건조 경화시켜 환경친화적이고, 가볍고, 수분에 강하고, 표면판재 부착용 접착제와 상용성이 좋고, 준불연급 난연성을 보이는 비중 0.0165~0.09인 난연성 심재를 포함하는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5에; 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trimethoxy Silane:VTMS)이 그라프트 되어 있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과; 비닐트리메톡시실란(VTMS)가 그라프트 되어 있는 폴리이소부틸렌숙시닉산 무수물(Polyisobnutylene Succinic Anhydride , PIBSA)과; 무기금속 수산화물로 구성된 난연성 수지조성물 중량 95%에 대하여 실란가교용 촉매 마스터배치 중량 5%의 혼합물로 구성된 알루미늄 복합판넬 심재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6에 물, 나트륨 화합물, 장석 분말, 활석 분말, 규사 분말, 규조토, 산화아연, PVAc, 메탄올 및 MEK를 혼합 교반하여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100 중량%의 스티로폼 입자에 상기 코팅 용액을 1-8 중량%의 비율로 분사 코팅하여 난연성 스티로폼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의 난연성 스티로폼 입자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7에; 수지조성물은 베이스 수지 25 내지 40중량%; 금속수산화물의 난연제 30 내지 54중량%; 억연제 0.1 내지 30중량%; 및 난연보조제 0.1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난연성 경량 복합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8에; 무할로겐 난연제로서, 인 화합물과 1,3,5-트리아진 화합물의 조합으로 제조된 난연성 폴리올레핀 발포체가 개시되어 있고, 참고문헌9에; 발포 폴리스티렌용 난연화 도포제를 위한 수성 난연성 접착제의 제조방법, 수성 난연성 접착제를 이용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성형체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 참고문헌10에; 폴리머 에멀젼에 친수기를 갖는 실란 실리콘을 합성하여 얻어진 난연 코팅제를 비드에 코팅하여 발포시키는 발포수지용 난연 코팅제가 개시되어 있고, 참고문헌11에; 이피에스 예비발포체의 표면에 난연제와 접착제를 각각 독립적인 단계로 피복시켜 단열성과 접착성능을 향상시키는 난연성 이피에스 예비발포체의 코팅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다양한 난연 제품 등을 살펴보았으나 이하에는 본 발명과 직접 관련되는 EVA소재 패널에 대해 살펴본다.
EVA소재를 발포 성형기에서 패널,보드 등의 형태로 발포 성형한 성형체(이하, EVA패널이라 함.)는 그 특성이 무독성이면서 경량성, 보온성, 단열성 및 방음성이 매우 우수하고 생산비용이 비교적 저렴한 장점을 갖추고 있어 보온, 단열, 방음 등을 목적으로 하는 각종의 내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장점을 갖춘 EVA패널은 발포수지체로 내화성이 매우 불량하여 화재발생시 유해가스와 화염 발생, 화염의 전이(傳移)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EVA소재는 무독성으로서 유연성이 뛰어나며, 충격에 강하여 충격 방지 및 충격 흡수기능이 뛰어나다.
특히 단열성, 보온성, 진동방지 사용에 매우 적합한 데, 이러한 특징으로 제작된 제품으로는 신발 밑창, 케이블, 태양광 쉬트, 핫멜트 접착제, 코팅, 그리고 단순 스펀지 등으로도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EVA소재의 많은 제품 중 EVA패널은 단열성, 흡음성 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일반 스티로폼 단열재보다 무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제조 시에 첨가되는 많은 휘발성 또는 유기성 첨가물로 인해 화염과 고온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옥시팬(Oxy-PAN)섬유과 관련되는 데, 옥시팬(Oxy-PAN)섬유는 섬유 구조가 치밀하고 강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단열재로는 좋은 역할을 하나 화염에 약한 단점 등의 특성을 지닌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참고문헌 12 내지 참고문헌15 등에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1827, 2002.03.23. (참고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70972호, 2001.07.28. (참고문헌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6994호, 2006.03.27. (참고문헌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8997호, 2006.11.24. (참고문헌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8011호, 2011.12.26. (참고문헌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8576호, 2013.12.19. (참고문헌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1933호, 2014.04.07. (참고문헌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2844호, 2015.03.04. (참고문헌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3977호, 2015.04.21. (참고문헌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0543호, 2009.0.30. (참고문헌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7696호, 2010.05.10 (참고문헌1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61537호, 1999.07.26. (참고문헌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68770호, 2007.07.02. (참고문헌1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7882호, 2012.06.07.
(참고문헌15) 남재도·김재철·김현주·유동국·정창조·이영관·김광진, Oxy-PAN섬유의 산도 변화에 대한 형태학적 거동 특성, Polymer(Korea) Vol.26, No.4, pp492~500 (2002)
상기한 바와 같이 EVA는 무독성으로 경량성, 보온성, 단열성, 방음성 및 경제성이 뛰어난 반면에 열가소성 발포수지체로서 내열성이 불량한 결함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EVA패널의 취약한 내화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EVA패널의 발포, 성형과정에서 EVA에 난연제 조성물을 혼합하여 발포, 성형하는 방법으로 EVA에 난연성을 부여함으로써 우수한 방염(난연)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EVA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EVA패널에 난연성을 부여하여 화염의 열로 인한 파괴는 물론 연소에 의한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면서 자기소화성이 없어 주변 화재 열로 인해 쉽게 화염이 인가되는 취약성을 해결하여 내화성, 난연성을 갖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EVA 50~60 중량%, 인 계 난연제 5~10 중량%, 산화알루미늄(Al(OH3)) 및 징크보레이트(Zinc Borate) 억연제 3~7 중량%, 팽창 흑연 12~23 중량%을 포함하는 난연 조성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EVA 50~60 중량%, 펄라이트 5~15 중량%, 인 계 난연제 3~7 중량%, 산화알루미늄(Al(OH3)) 및 징크보레이트(Zinc Borate) 억연제 2~5 중량%, 팽창 흑연 12~23 중량%을 포함하는 난연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조성물에 100: 5~10의 중량비로 EVA 파우더를 더 포함한 난연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VA패널에 옥시팬(Oxy-PAN)섬유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팬(Oxy-PAN)섬유가 삽입된 EVA패널의 일면을 방음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된 EVA패널의 일면을 방음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VA패널의 양면에 철판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EVA패널이 가지는 단열성, 흡음성 등 기존의 우수한 기능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의 열 또는 화염의 영향을 최소화여 다른 공간으로의 화재 전이를 막아 더 큰 화재로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유독가스 발생을 방지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물론 재산적, 물질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특히 단열성, 흡음성 등이 우수한 EVA패널에 난연기능을 더함으로써 EVA패널을 건축내외장재 외에 더욱 다양한 용도와 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익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EVA패널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EVA패널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EVA패널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친환경 소재인 EVA에 난연 조성물을 조성, 첨가함으로써 난연성 EVA패널을 제조함에 특징이 있다.
EVA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브롬계, 인계, 염소계, 무기계의 난연제를 혼합하고, 억연제, 팽창 흑연(발포 흑연, 이하 팽창 흑연이라 함.)으로 난연 조성물을 조성하여 EVA패널을 발포, 성형한다.
그리고 필러(Filler)로 펄라이트(Perlite)를 첨가하여 EVA패널을 발포, 성형한다.
또, 상기 발포, 성형한 EVA패널은 옥시팬(Oxy-PAN)섬유를 인서트 성형하거나 난연성 접착제로 접착시켜 EVA패널을 구성한다.
또, 상기 발포, 성형한 방염 EVA패널은 방음벽 형태 등으로 구성하여 난연성과 단열성을 갖춘 방음벽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하다.
본 발명은 EVA에 난연 조성물을 첨가하여 EVA패널을 제조하는 것으로, EVA패널의 발포, 성형 등에 따른 제조 과정과 방법 등은 이미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며,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EVA패널의 제조 즉, 발포, 성형 등의 과정을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언급은 생략한다.
[실시예1]
EVA 50~60 중량%에 대하여;
난연제 5~10 중량%; 억연제 3~7 중량%, 팽창 흑연 12~23 중량%를 혼합하여 난연 조성물을 조성하고 성형기에서 발포,성형하여 EVA패널을 제조한다.
상기에서 난연제는 알려진 바와 같이 브롬계, 인계, 염소계, 무기계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EVA에 맞는 난연제로 인 계열을 선택, 사용한다. 물론 브롬계 및 무기계에서도 같은 성질의 난연제를 찾을 수 있다.
또, 억연제는 가장 알려진 산화알루미늄(Al(OH3)) 및 징크보레이트(Zinc Borate)를 사용하며, 이외에도 공지의 다른 억연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팽창 흑연은 발포입자경의 크기에 따라 300mesh ~ 50mesh 등으로 다양한 mesh 종류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100~80mesh 사이를 사용하고자 한다.
그러나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팽창 흑연의 mesh는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조하고자 하는 EVA패널의 폭(두께), 용도, 목적에 따라 최적의 발포입도를 가질 수 있도록 선택되어질 것이다.
한편, 상기 조성된 난연 조성물에 팽창 흑연의 발포 증폭을 위해 EVA 파우더를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난연 조성물에 대해 100: 5~10의 중량비로 EVA 파우더를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액상 EVA도 가능하나 가공 상의 편리를 위해 EVA 파우더를 권한다.
상기한 난연 조성물로 이루어져 성형기에서 발포, 성형되는 EVA패널은 불연성을 갖는 난연 발포체로 내부에 다공성의 방화층이 형성되어 EVA패널 표면에 800℃의 화염이 직접 닿게하여 시험한 결과 20분간 연소되지 않는 불연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시험결과는 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KS F2271)에 따른 난연 테스트의 난연 3급에 준하는 불연성 성능이다.
[실시예2]
EVA 50~60 중량%에 대하여;
펄라이트 5~15 중량%, 난연제 3~7 중량%; 억연제 2~5 중량%, 팽창 흑연 12~23 중량%를 혼합하여 난연 조성물을 조성하고, 성형기에서 발포,성형하여 EVA패널을 제조한다.한다.
상기에서 펄라이트는 충전제(Filler)로서 단열제, 방음제, 난연제, 경량성, 그리고 흡음성이 뛰어나며 가격이 저렴하여 EVA패널 제품화에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무독, 무미, 불연, 산, 알칼리에 견디며, 단열보온자재, 그리고 토양개량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응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펄라이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시험예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그리고 상기 난연제, 억연제, 팽창 흑연 등의 조성물은 전술한 실시예1과 동일한 것으로 중복되는 설명에도 불구하고 이를 다시 살펴본다.
난연제는 알려진 바와 같이 브롬계, 인계, 염소계, 무기계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EVA에 맞는 난연제로 인 계열을 선택, 사용한다. 물론 브롬계 및 무기계에서도 같은 성질의 난연제를 찾을 수 있다.
억연제는 가장 알려진 산화알루미늄(Al(OH3)) 및 징크보레이트(Zinc Borate)를 사용하며, 이외에도 공지의 다른 억연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팽창 흑연은 발포입자경의 크기에 따라 300mesh ~ 50mesh 등으로 다양한 mesh 종류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100~80mesh 사이를 사용하고자 한다.
그러나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팽창 흑연의 mesh는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조하고자 하는 EVA패널의 폭(두께), 용도, 목적에 따라 최적의 발포입도를 가질 수 있도록 선택되어질 것이다.
한편, 상기 조성된 난연 조성물에 팽창 흑연의 발포 증폭을 위해 EVA 파우더를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난연 조성물에 대해 100: 5~10의 중량비로 EVA 파우더를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액상 EVA도 가능하나 가공 상의 편리를 위해 EVA 파우더를 권한다.
상기 난연 조성물로 이루어져 성형기에서 발포, 성형되는 EVA패널은 불연성을 갖는 난연 발포체로 내부에 다공성의 방화층이 형성되어 EVA패널 표면에 800℃의 화염이 직접 닿게하여 시험한 결과 상기 실시예1의 경우에서와 같이 20분간 연소되지 않는 불연성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펄라이트는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많이 넣는다고 펄라이트만의 기능이 계속 향상되는 것이 아님을 아래 표 1의 가스토치 시험에서 알 수 있는데, EVA 패널 뒤쪽에 온도계를 놓고 가스토치로 불을 붙였을 때 후면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시험에서 15% 이상의 배합은 열 차단에 있어 큰 효과를 보여주지 못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펄라이트와 EVA 패녈 제작 시 균일한 분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sample EVA 패녈 perlite 5% perlite 10% perlite 15% perlite 20%
측정온도 420 250 210 215 255
[실시예3]
옥시팬(Oxy-PAN)섬유(10)는 단열재로 좋은 역할을 하나 화염에 약한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취약성을 해결하고, EVA패널(20)의 단열성을 더욱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이 옥시팬(Oxy-PAN)섬유(10)를 방염 EVA패널(20) 사이에 내재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뛰어난 단열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데 특징이 있다.
상기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에서 제조되는 EVA패널(20)에 옥시팬(Oxy-PAN)섬유(10)를 삽입한다.
상기 옥시팬(Oxy-PAN)섬유(10)의 삽입 방식은; 2개의 EVA패널(20) 사이에 난연 접착제로 옥시팬(Oxy-PAN)섬유(10)와 EVA패널(20)을 서로 접착,결합시켜 구성한다.
또는 상기 EVA패널(20)의 발포, 성형 과정에 옥시팬(Oxy-PAN)섬유(10)를 인서트하여 성형함으로써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옥시팬(Oxy-PAN)섬유(10)가 삽입된 EVA패널(20)은 뛰어난 단열성을 확보하게 되며, 화재 발생 시는 양쪽에 위치한 EVA패널(20)이 화염과 열을 차단함으로써 옥시팬(Oxy-PAN)섬유(10)가 화염으로부터 손상받지 않게 된다.
[실시예4]
상기 실시예3의 옥시팬(Oxy-PAN)섬유(10)가 삽입된 EVA패널(20)의 일면을 방음벽(30)으로 형성함으로써 난연 단열의 방음패널을 구성한다.
도 2와 같이 옥시팬(Oxy-PAN)섬유(10)가 삽입된 EVA패널(20)의 일면에 요철 음파소산형 등으로 방음벽(30)을 형성하여 뛰어난 단열성과 난연성은 물론 방음성을 함께 갖춘 EVA패널로 구성함으로써 오픈 셀로 구성되어진 EVA패널(20)로서 우수한 방음성을 갖춘 방음벽(30)이 화재에 취약한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
[실시예5]
상기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의 조성물로 제조된 EVA패널의 양면 또는 상기 실시예3에서와 같이 내부에 옥시팬(Oxy-PAN)섬유가 삽입된 EVA패널 양면에 철판을 난연 접착제로 결합함으로써 향상된 강도를 갖는 EVA패널을 구성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EVA패널(20)의 양면 또는 상기 실시예2에서와 같이 내부에 옥시팬(Oxy-PAN)섬유(10)를 삽입시킨 양 EVA패널(10)의 양면으로 철판(30)을 난연 접착제로 결합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사용한 부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0: 옥시팬(Oxy-PAN)섬유
20: EVA패널
30: 철판

Claims (7)

  1. EVA 50~60 중량%, 인 계 난연제 5~10 중량%, 산화알루미늄(Al(OH3)) 및 징크보레이트(Zinc Borate) 억연제 3~7 중량%, 팽창 흑연 12~23 중량%을 포함하는 난연 조성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2. EVA 50~60 중량%, 펄라이트 5~15 중량%, 인 계 난연제 3~7 중량%, 산화알루미늄(Al(OH3)) 및 징크보레이트(Zinc Borate) 억연제 2~5 중량%, 팽창 흑연 12~23 중량%을 포함하는 난연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조성물에 100: 5~10의 중량비로 EVA 파우더를 더 포함한 난연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VA패널에 옥시팬(Oxy-PAN)섬유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팬(Oxy-PAN)섬유가 삽입된 EVA패널의 일면을 방음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된 EVA패널의 일면을 방음벽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VA패널의 양면에 철판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KR1020150075899A 2015-05-29 2015-05-29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KR10171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99A KR101711571B1 (ko) 2015-05-29 2015-05-29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99A KR101711571B1 (ko) 2015-05-29 2015-05-29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47A true KR20160139947A (ko) 2016-12-07
KR101711571B1 KR101711571B1 (ko) 2017-03-02

Family

ID=5757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899A KR101711571B1 (ko) 2015-05-29 2015-05-29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718B1 (ko) 2020-07-14 2022-02-07 이세홍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갖는 다기능 샌드위치 패널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065A (ko) 1999-12-24 2001-07-05 손재익 저온멸균법을 이용한 목질계 당화액으로부터 고농도에탄올 제조 방법
KR20020021827A (ko) 2000-09-18 2002-03-23 전영식 스폰지 스크랩과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발포체 조성물 및그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030040620A (ko) 2001-11-15 2003-05-23 (주)글로벌디지탈미디어 기록매체 저장케이스 수납장
KR20060026994A (ko) 2004-09-22 2006-03-27 삼성토탈 주식회사 중량 충격 차음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건축용 소음차단재
KR20060118997A (ko) 2005-05-18 2006-11-24 전영식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KR20070068770A (ko) 2005-12-27 2007-07-02 강석환 면상 발열체용 탄소섬유의 제조법
KR100741311B1 (ko) * 2006-08-17 2007-08-01 주식회사 대흥 발포 합성수지 단열패널
KR100798124B1 (ko) * 2007-08-09 2008-01-28 김영식 불연건축용 패널
KR20090010543A (ko) 2007-07-23 2009-01-30 박종원 발포수지용 난연 코팅제
KR20100047696A (ko) 2008-10-29 2010-05-10 정우화인 주식회사 난연성 이피에스 예비발포체의 코팅 방법
KR20110138011A (ko)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하우솔 알루미늄복합판넬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7882A (ko) 2010-11-29 2012-06-07 주식회사 데크 탄소-세라믹 브레이크 디스크 및 이를 만드는 방법
KR20130138576A (ko) 2012-06-11 2013-12-19 (주)에코그린 난연성 스티로폼 입자의 제조 방법 및 난연성 스티로폼 보드의 제조 방법
KR101381933B1 (ko) 2013-02-21 2014-04-07 홍성산업 주식회사 난연성 경량 복합패널
KR20150022844A (ko) 2012-05-23 2015-03-04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난연성 폴리올레핀 발포체 및 그의 제조
KR101513977B1 (ko) 2015-01-29 2015-04-21 김영선 발포 폴리스티렌 성형체용 난연화 도포제를 위한 수성 난연 접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수성 난연 접착제를 이용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성형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065A (ko) 1999-12-24 2001-07-05 손재익 저온멸균법을 이용한 목질계 당화액으로부터 고농도에탄올 제조 방법
KR20020021827A (ko) 2000-09-18 2002-03-23 전영식 스폰지 스크랩과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발포체 조성물 및그 발포체의 제조방법
KR20030040620A (ko) 2001-11-15 2003-05-23 (주)글로벌디지탈미디어 기록매체 저장케이스 수납장
KR20060026994A (ko) 2004-09-22 2006-03-27 삼성토탈 주식회사 중량 충격 차음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건축용 소음차단재
KR20060118997A (ko) 2005-05-18 2006-11-24 전영식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KR20070068770A (ko) 2005-12-27 2007-07-02 강석환 면상 발열체용 탄소섬유의 제조법
KR100741311B1 (ko) * 2006-08-17 2007-08-01 주식회사 대흥 발포 합성수지 단열패널
KR20090010543A (ko) 2007-07-23 2009-01-30 박종원 발포수지용 난연 코팅제
KR100798124B1 (ko) * 2007-08-09 2008-01-28 김영식 불연건축용 패널
KR20100047696A (ko) 2008-10-29 2010-05-10 정우화인 주식회사 난연성 이피에스 예비발포체의 코팅 방법
KR20110138011A (ko)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하우솔 알루미늄복합판넬용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57882A (ko) 2010-11-29 2012-06-07 주식회사 데크 탄소-세라믹 브레이크 디스크 및 이를 만드는 방법
KR20150022844A (ko) 2012-05-23 2015-03-04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난연성 폴리올레핀 발포체 및 그의 제조
KR20130138576A (ko) 2012-06-11 2013-12-19 (주)에코그린 난연성 스티로폼 입자의 제조 방법 및 난연성 스티로폼 보드의 제조 방법
KR101381933B1 (ko) 2013-02-21 2014-04-07 홍성산업 주식회사 난연성 경량 복합패널
KR101513977B1 (ko) 2015-01-29 2015-04-21 김영선 발포 폴리스티렌 성형체용 난연화 도포제를 위한 수성 난연 접착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수성 난연 접착제를 이용한 난연성 발포 폴리스티렌 성형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참고문헌15) 남재도·김재철·김현주·유동국·정창조·이영관·김광진, Oxy-PAN섬유의 산도 변화에 대한 형태학적 거동 특성, Polymer(Korea) Vol.26, No.4, pp492~500 (20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571B1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115B1 (ko) 화재방지 및 발포 폴리에스터의 물성변경 방법
JP2007530745A (ja) 耐火保護のための自己セラミック化組成物
KR101866426B1 (ko) 난연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알루미늄 복합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7511A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1772761B1 (ko) 셀 균일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발포폴리스틸렌의 난연 마스터배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11571B1 (ko)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KR102263705B1 (ko)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064209A (ja) エポキシ樹脂発泡体
KR101489583B1 (ko)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2522502B1 (en) Reinforcing and flame protection lamination for cellular polymers
JP2003293482A (ja) 耐火被覆構造及び該耐火被覆構造の施工方法
JP2011173941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架橋発泡体
JP4158880B2 (ja) 複合耐火板
KR102404479B1 (ko) 폐 폴리올레핀 발포체 분말을 이용한 고난연성 및 친환경성 폴리올레핀계 나노복합 발포체의 제조방법
WO2016176040A1 (en) Optical fiber cable
KR101594845B1 (ko) 디플렉터 워터필름 수지 조성물
KR102381971B1 (ko) 고난연성 및 친환경 고무계 나노복합 마스터배치
KR102256428B1 (ko) 방화 차단용 가열 발포 고무패드의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방화 차단용 가열 발포 고무패드
KR102434208B1 (ko) 폐고무 발포체 분말을 이용한 고난연성 및 친환경성 고무계 나노복합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2404477B1 (ko) 고난연성 및 친환경성 고무계 나노복합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2360096B1 (ko) 폐고무 발포체 분말을 이용한 고난연성 및 친환경 고무계 나노복합 마스터뱃치
KR101569917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난연성 단열재 제조방법
KR20130066455A (ko) 고단열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KR102345586B1 (ko) 흡음홀이 형성된 난연 복합패널
KR101912777B1 (ko) 난연성 플라스틱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