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705B1 -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705B1
KR102263705B1 KR1020210029510A KR20210029510A KR102263705B1 KR 102263705 B1 KR102263705 B1 KR 102263705B1 KR 1020210029510 A KR1020210029510 A KR 1020210029510A KR 20210029510 A KR20210029510 A KR 20210029510A KR 102263705 B1 KR102263705 B1 KR 102263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foam
polyolefin foam
flame retardant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주
이중표
Original Assignee
황창주
이중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주, 이중표 filed Critical 황창주
Priority to KR1020210029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32B2255/1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synthetic resin or rubber layer being a foam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가교 폴리올레핀폼을 슬라이스한 후에 난연액을 포도하고 다중적층하여 기존의 난연성 가교 폴리올레핀폼에 비해 난연성능이 준불연등급 수준으로 우수하고, 열전도율, 일반 기계적물성, 내흡수성도 우수한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수지, 발포제, 난연제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S10)와,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압출시키는 단계(S20)와, 압출된 시트를 가교, 발포시켜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하는 단계(S30)와, 폴리올레핀폼을 슬라이스로 절단하는 단계(S40)와, 슬라이스한 폴리올레핀폼 표면에 액상의 난연액을 도포, 건조 후 합지시키는 단계(S50)와, 합지된 폴리올레핀폼의 표면의 1면 또는 양면에 표피재를 접착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및 그의 제조방법{Semi-nonflammable crosslinked polyolefin foa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난연성 가교 폴리올레핀폼을 슬라이스한 후에 난연액을 포도하고 다중적층하여 기존의 난연성 가교 폴리올레핀폼에 비해 난연성능이 준불연등급 수준으로 우수하고, 열전도율, 일반 기계적물성, 내흡수성도 우수한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교 폴리올레핀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발포제, 가교제, 조제, 산화방지제, 유무기계 충진제, 안료 등의 첨가제를 혼합한 후 압출기를 통해 시트를 제조한 다음에 화학가교 또는 전자선가교와 발포공정을 통하여 가교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가교 폴리올레핀폼은 스치로폼, 우레탄폼, 글라스울, 락울 등의 단열재에 비해 다양한 물성의 제품제조가 가능하고 단열성, 유연성, 성형성이 우수하여 건축 보온단열재로는 물론 일반산업자재, 전자, 자동차, 신발, 선박 등 각종 산업분야에 사용 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계인 폴리올레핀발포체는 가연성(可燃性)재료로서 화재에 매우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폼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배합과정에서 원료에 브롬이나 안티몬계난연제, 인계난연제,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미늄 등의 유,무기계 난연제를 혼합하여 난연제품을 제조하고 있으나 발포제품의 특성상 난연성능이 자소성 수준으로 한계가 있어서 최근들어 건축법강화로 난연성능이 준불연수준이상으로 고난연성능이 요구되는 건축단열재로 사용되는 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난연성 가교 폴리올레핀폼을 슬라이스한 후에 난연액을 포도하고 다중적층하여 기존의 난연성 가교 폴리올레핀폼에 비해 난연성능이 준불연등급 수준으로 우수하고, 열전도율, 일반 기계적물성, 내흡수성도 우수한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발포체의 제조방법은 폴리올레핀수지, 발포제, 난연제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S10)와,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압출시키는 단계(S20)와, 압출된 시트를 가교, 발포시켜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하는 단계(S30)와, 폴리올레핀폼을 슬라이스로 절단하는 단계(S40)와, 슬라이스한 폴리올레핀폼 표면에 액상의 난연액을 도포, 건조 후 합지시키는 단계(S50)와, 합지된 폴리올레핀폼의 표면의 1면 또는 양면에 표피재를 접착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폴리올레핀 혼합물은 폴리올레핀수지 100중량에 대하여 발포제 5-30중량부, 난연제 3-8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폴리올레핀수지는 PE, EVA, P 수지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고,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마이드(ADCA),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테트라민(DPT), 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TSH) 벤젠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OBSH)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며, 난연제는 브롬계 난연제, 산화안티몬, 인계 난연제,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미늄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폴리올레핀폼은 폴리올레핀 혼합물의 압축된 시트를 150-300℃의 발포로에서 가교, 발포시켜 화학적으로 가교된 폴리올레핀폼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압출된 시트를 전자가속기를 통과시키면서 전자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가교시킨 후 150-300℃ 고온의 발포로에서 연속적으로 발포시켜 전자선 가교발포 폴리올레핀폼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난연액의 도포는 슬라이스된 폴리올레핀폼 절단면 표면위에 난연성능이 뛰어난 수성의 난연액을 50-500g/m2 도포한 후 건조하고, 난연액이 도포되지 않은 다른 폴리올레핀 발포폼면과 열접착하여 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난연액은 액상의 규산나트륨용액(Sodium Silicates) 단독 또는 규산칼륨(Potassium Silicate), 유, 무기계 난연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표피재를 접착시키는 단계(S60)는 합지된 폴리올레핀폼의 표면의 1면 또는 양면에 유리섬유 알미늄시트를 열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유리섬유 알미늄시트는 50-200g/m2의 glass fiber cloth가 포함된 알미늄호일로 무게는 60-250g/m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은 기존의 난연성 가교 폴리올레핀폼에 비해 난연성능이 준불연등급 수준으로 우수하고, 열전도율, 일반 기계적물성, 내흡수성도 우수하여 준불연등급의 난연성능이 요구되는 건축단열재의 용도로는 물론 자동차 내장재, 신발, 전자, 선박, 기계 등 산업전반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수성(疏水性)인 폴리올레핀폼 표면에 난연성이 뛰어난 수성의 규산나트륨혼합액 도포가 가능해 폼의 단열성능이나 각종 기계적 물성의 저하없이 기존의 가교발포폼에 비해 난연성능이 월등히 우수한 고난연성의 가교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발포체의 제조과정에 대한 플로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발포체의 제조방법은 폴리올레핀수지, 발포제, 난연제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S10)와,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압출시키는 단계(S20)와, 압출된 시트를 가교, 발포시켜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하는 단계(S30)와, 폴리올레핀폼을 슬라이스로 절단하는 단계(S40)와, 슬라이스한 폴리올레핀폼 표면에 액상의 난연액을 도포, 건조 후 합지시키는 단계(S50)와, 합지된 폴리올레핀폼의 표면의 1면 또는 양면에 표피재를 접착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S10)는 폴리올레핀수지 100중량에 대하여 발포제 5-30중량부, 난연제 3-80중량부를 기본 성분으로 포함한다. 이때, 폴리올레핀수지는 PE, EVA, PP 수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고,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마이드(ADCA),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테트라민(DPT), 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TSH) 벤젠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OBSH)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며, 난연제는 브롬계난연제, 산화안티몬, 인계난연제,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미늄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폴리올페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가교제, 조제, 유무기계충진제, 항균제, 안료 등을 선택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압출시키는 단계(S20)는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single 또는 twin 압출기에 투입하고 80-150℃ 범위의 Screw, Cylinder로 시트형태로 압출시킨다. 이때, 스크류, 실린더의 온도가 기준 미만이면 투입되는 폴리올레핀 혼합물의 적정한 혼련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기준을 초과하면 압출기 실린더 내부에서 발포제가 분해되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하는 단계(S30)는 폴리올레핀 혼합물의 압축된 시트를 150-300℃의 발포로에서 가교, 발포시켜 화학적으로 가교된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하거나 또는 압출된 시트를 전자가속기를 통과시키면서 전자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가교시킨후 150-300℃고온의 발포로에서 연속적으로 발포시켜 전자선 가교 발포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한다.
슬라이스로 절단하는 단계(S40)는 수성의 난연액이 함침될 수 있도록 폴리올레핀폼을 슬라이스로 절단한다. 폴리올레핀폼은 cell이 독립기포이고 소수성(疏水性)이어서 흡수성이 거의 없으나 슬라이스 절단으로 cell 막을 노출시켜 난연액을 도포할 수 있게 된다.
폴리올레핀폼 표면에 난연액을 도포하는 단계(S50)는 슬라이스된 폴리올레핀폼 절단면 표면위에 난연성능이 뛰어난 수성의 난연액을 50-500g/m2 도포한 후 Dry oven으로 건조하고, 난연액이 도포되지 않은 다른 폴리올레핀 발포폼면과 열접착하여 필요한 두께로 합지시킨다. 이때, 수성의 난연액은 액상의 규산나트륨용액(Sodium Silicates) 단독 또는 규산칼륨(Potassium Silicate), 유, 무기계 난연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다중적층으로 폴리올레핀폼을 필요한 두께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합지된 폴리올레핀폼의 표면에 표피재를 접착시키는 단계(S60)는 합지된 폴리올레핀폼의 표면의 1면 또는 양면에 표피재를 접착시켜 다양한 물성을 갖도록 한다. 이때, 표피재는 열반사 및 난연성이 우수한 유리섬유 알미늄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리섬유 알미늄시트는 50-200g/m2의 glass fiber cloth가 포함된 알미늄호일로 무게는 60-250g/m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1> 준불연 화학가교 폴리올레핀폼의 제조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0kg에 ADCA계 발포제 25kg 브롬계 난연제(DBDPE) 6kg, 삼산화안티몬(Sb2O3) 2kg, 가교제(DCP) 0.7kg를 혼합하고 Single 압출기에서 90-120℃의 온도에서 3.5mm 두께의 시트로 압출하였다.
이어서 압출된 시트를 180-220℃ 고온의 수평발포로에서 화학가교, 발포시켜 밀도 25kg/m3, 두께 10mm의 자소성수준의 화학가교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하였다. 그 후, 발포폼에 고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우선 10mm 폼을 두께 5mm로 슬라이스한 다음에 슬라이스한 발포폼 cell 표면에 규산나트륨 용액을 300g/m2량을 도포한 후 건조로에서 건조한 다음 도포되지 않은 폼과 열접착방법으로 접착하였다.
그 다음에는 합지된 폼의 양면에 유리섬유 알미늄호일을 열접착방법으로 접착시켜 준불연 화학가교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준불연 전자선 가교 폴리올레핀폼
LDPE 수지 100중량%에 ADCA계 발포제 25중량% 브롬계 난연제(DBDPE) 6중량%, 삼산화안티몬(Sb2O3) 2중량%, 발포조제(ZnO) 1중량%, 산화방지제 1중량%를 혼합하고 Single 압출기에서 90-120℃의 온도에서 두께 3.5mm의 시트로 압출하였다.
이어서 압축된 시트를 전자선 가속기로 전자선 조사를 하여 가교시킨 다음 180-220℃ 고온의 수평발포로에서 발포시켜 밀도 25kg/m3, 두께 10mm의 자소성수준의 전자선가교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하였다. 그 후, cell이 독립기포이고 소수성인 이 발포폼에 준불연을 부여하기위해 두께 10mm 폼을 5mm 두께로 슬라이스하였다.
<실시예 2.1> 규산나트륨 도포층이 단층, 유리섬유 알미늄호일 양면접착
슬라이스한 5mm 발포폼의 cell 표면에 규산나트륨 용액을 80g/m2 량을 도포한 후 건조로에서 건조하고 도포되지 않은 폼과 열접착방법으로 접착한 다음에, 합지된 폼의 양면에 유리섬유 알미늄호일을 열접착방법으로 접착시켜 준불연 전자선 가교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규산나트륨 도포층이 2층
슬라이스한 5mm 발포폼의 cell 표면에 규산나트륨 용액을 250g/m2 량을 도포한후, 건조로에서 건조하고 도포면과 도포되지 않은 면을 교대로 2번 열접착하고 도포되지않은 2MM 발포폼을 한번 열접착하였다.
<실시예 2.3> 규산나트륨 도포층이 2층, 유리섬유 알미늄호일 양면접착
슬라이스한 5mm 발포폼의 cell 표면에 규산나트륨 용액을 80g/m2 량을 도포한 후, 건조로에서 건조하고 도포면과 도포되지 않은 면을 교대로 2번 열접착하고 도포되지 않은 5mm 발포폼을 열접착한 다음 발포폼 양면에 유리섬유 알미늄호일을 열접착하였다.
<실험예>
전술한 가교 폴리올레핀폼의 제조방법으로 표 1과 같은 각각의 조성으로 비교예 1, 2, 3, 4 및 실시예 1, 2.1, 2.2, 2.3을 제조하였다.
구 분(kg) 비교예 실시예
1 2 3 4 1 2.1 2.2 2.3
폴리올레핀 수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발포제 25 25 25 25 25 25 25 25
난연제1 6 6 24 24 6 6 6 6
난연제2 2 2 6 6 2 2 2 2
발포조제 - 1 1 1 - 1 1 1
가교제 0.7 - - - 0.7 - - -
산화방지제 - 1 1 1 - 1 1 1
수성난연액(층수) 0 0 0 0 1 1 1 2
표피재 - - - 1 양면 양면 - 1면
가교방법 화학 전자선 전자선 전자선 화학 전자선 전자선 전자선
표 1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발포제, 난연제는 기본구성 하드 세그멘트로서, 비교예 및 실시예는 모두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였다. 상기 폴리올레핀수지는 LDPE 수지. 발포제는 ADCA계 발포제, 난연제1은 브롬계 난연제(DPDPE), 난연제2는 삼산화안티몬계 난연제를 사용하였으며, 표피재는 100g/m2의 유리섬유 cloth가 포함된 유리섬유알미늄시트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3,4은 다량의 난연제를 첨가하였다. 제조된 비교예들와 실시예들의 두께, 밀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흡수율, 열전도율, 난연성, 가스유해성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기계적강도, 흡수율, 열전도율시험은 KSM3862 발포폴리에틸렌 보온재 시험방법으로 실시하였고, 난연성 및 총방출 열량시험은 KSF ISO 5660-1콘칼로리미터법으로 실시하였다.
구 분 비교예 실시예
1 2 3 4 1 2.1 2.2 2.3
두께(mm) 10 10 12 15 10 10 12 15
밀도(g/cm3) 0.03 0.03 0.03 0.03 0.07 0.07 0.06 0.07
인장강도(kgf/cm2) 2.8 2.7 2.5 2.5 2.8 2.7 2.7 2.7
인열강도(kgf/cm) 1.8 1.7 1.6 1.6 1,8 1.7 1.7 1.7
흡수율(%) 0.5 0.5 0.8 0.8 0.5 0.5 0.5 0.5
열전도율(kcal/mh℃) 0.032 0.031 0.033 0.033 0.032 0.031 0.031 0.031
난연성 x
자소성
x
자소성

자소성

자소성
O
준불연
O
준불연
O
준불연

준불연
가스유해성 x x x o o o o
총방출열량 (8MJ/㎡ 이하) x x x x 5 4 6 2
표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2.1의 경우는 규산나트륨 도포층이 하나이고 양면에 유리섬유 알미늄을 접착한 제품으로 비교예 1, 2와 비교시 폼의 기계적물성인 인장강도, 인열강도와 열전도율은 동일수준이상이고 가스유해성과 연소시 방출열량이 적고 난연성능이 준불연등급으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2는 규산나트륨 도포층이 2층인 제품으로 비교예 3과 비교시, 가교폼의 난연제량은 적으나 가스유해성과 연소시 방출열량이 적고 난연성능이 준불연등급으로 우수하며, 흡수율이 적고 기계적강도와 열전도율도 동일수준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2.3은 규산나트륨도포층이 2층이고 1면에 유리섬유알미늄시트를 접착한 제품으로 비교예4와 비교시, 가교폼의 난연제량은 적으나 가스유해성과 연소시 방출열량이 적고 난연성능이 준불연등급으로 우수하며, 흡수율이 적고 기계적강도와 열전도율또한 동일수준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폴리올레핀 발포폼이 비교예의 기존제품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Claims (9)

  1. 폴리올레핀수지, 발포제, 난연제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S10)와;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압출시키는 단계(S20)와; 압출된 시트를 가교, 발포시켜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하는 단계(S30)와; 폴리올레핀폼을 슬라이스로 절단하는 단계(S40)와; 슬라이스한 폴리올레핀폼 표면에 액상의 난연액을 도포, 건조 후 합지시키는 단계(S50)와; 합지된 폴리올레핀폼의 표면의 1면 또는 양면에 표피재를 접착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되,
    폴리올레핀폼은 폴리올레핀 혼합물의 압출된 시트를 150-300℃의 발포로에서 가교, 발포시켜 화학적으로 가교된 폴리올레핀폼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압출된 시트를 전자가속기를 통과시키면서 전자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가교시킨 후 150-300℃고온의 발포로에서 연속적으로 발포시켜 전자선 가교발포 폴리올레핀폼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발포체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혼합물은 폴리올레핀수지 100중량에 대하여 발포제 5-30중량부, 난연제 3-80중량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발포체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올레핀수지는 PE, EVA, P 수지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고,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마이드(ADCA),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테트라민(DPT), 톨루엔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TSH) 벤젠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OBSH) 중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며, 난연제는 브롬계난연제, 산화안티몬, 인계난연제,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미늄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발포체의 제조방법.
  4. 삭제
  5. 폴리올레핀수지, 발포제, 난연제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S10)와;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압출시키는 단계(S20)와; 압출된 시트를 가교, 발포시켜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하는 단계(S30)와; 폴리올레핀폼을 슬라이스로 절단하는 단계(S40)와; 슬라이스한 폴리올레핀폼 표면에 액상의 난연액을 도포, 건조 후 합지시키는 단계(S50)와; 합지된 폴리올레핀폼의 표면의 1면 또는 양면에 표피재를 접착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되,
    난연액의 도포는 슬라이스된 폴리올레핀폼 절단면 표면위에 난연성능이 뛰어난 수성의 난연액을 50-500g/m2 도포한 후 건조하고, 난연액이 도포되지 않은 다른 폴리올레핀 발포폼면과 열접착하여 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발포체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난연액은 액상의 규산나트륨용액(Sodium Silicates) 단독 또는 규산칼륨(Potassium Silicate), 유, 무기계 난연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발포체의 제조방법.
  7. 폴리올레핀수지, 발포제, 난연제를 혼합하여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S10)와; 폴리올레핀 혼합물을 압출시키는 단계(S20)와; 압출된 시트를 가교, 발포시켜 폴리올레핀폼을 제조하는 단계(S30)와; 폴리올레핀폼을 슬라이스로 절단하는 단계(S40)와; 슬라이스한 폴리올레핀폼 표면에 액상의 난연액을 도포, 건조 후 합지시키는 단계(S50)와; 합지된 폴리올레핀폼의 표면의 1면 또는 양면에 표피재를 접착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되,
    표피재를 접착시키는 단계(S60)는 합지된 폴리올레핀폼의 표면의 1면 또는 양면에 유리섬유 알미늄시트를 열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발포체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유리섬유 알미늄시트는 50-200g/m2의 glass fiber cloth가 포함된 알미늄호일로 무게는 60-250g/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발포체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의 어느 한 항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발포체.
KR1020210029510A 2021-03-05 2021-03-05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63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510A KR102263705B1 (ko) 2021-03-05 2021-03-05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510A KR102263705B1 (ko) 2021-03-05 2021-03-05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705B1 true KR102263705B1 (ko) 2021-06-10

Family

ID=7637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510A KR102263705B1 (ko) 2021-03-05 2021-03-05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7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056B1 (ko) 2022-09-07 2022-11-22 나상권 준불연 가교 폴리올레핀폼 및 그 제조방법
KR102510562B1 (ko) 2022-12-26 2023-03-15 나상권 법랑 분체를 포함하는 준불연 가교 폴리올레핀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011A (ko) * 2016-12-19 2018-06-27 김용호 준불연 합지 보드의 제조방법
KR20200076011A (ko) * 2018-12-18 2020-06-29 주식회사 휴비스 웨하스 보드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011A (ko) * 2016-12-19 2018-06-27 김용호 준불연 합지 보드의 제조방법
KR20200076011A (ko) * 2018-12-18 2020-06-29 주식회사 휴비스 웨하스 보드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056B1 (ko) 2022-09-07 2022-11-22 나상권 준불연 가교 폴리올레핀폼 및 그 제조방법
KR102510562B1 (ko) 2022-12-26 2023-03-15 나상권 법랑 분체를 포함하는 준불연 가교 폴리올레핀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705B1 (ko) 준불연 가교폴리올레핀폼 및 그의 제조방법
EP2666626B1 (en) Flame-retardant polyolefin foam and its production
KR100899112B1 (ko) 불연성 알루미늄 복합판넬 심재용 조성물
CN105754235A (zh) 改进的绝缘材料
US10696811B2 (en) Expansion system for flexible insulation foams
KR20100130949A (ko) 난연성 탄성 발포 물질
KR101825115B1 (ko) 화재방지 및 발포 폴리에스터의 물성변경 방법
US20230202133A1 (en) Composite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 foamed decorative sheet free of pvc and plasticizers
KR102456052B1 (ko) 발포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JP2006240207A (ja) 難燃防音材
KR20190068453A (ko) 불연 단열재
KR101489583B1 (ko) 발포 폴리스타이렌 폼 난연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2089A (ko) 고무발포 반사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6405225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フィルムおよび積層フィルム
KR20180128815A (ko) 천공된 피막구조를 가지는 준불연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2143690B1 (ko)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21764A (ko) 경질우레탄폼 복합 단열재의 제조방법
US20080203350A1 (en) Composition For Producing Sheet Material
WO2021157698A1 (ja) 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積層板
WO2017198841A1 (en) Decorative wall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ve wall panel
KR101711571B1 (ko) 친환경 난연성 eva패널
KR101977818B1 (ko) 압출 폴리스티렌 발포체용 난연 마스터 배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압출 폴리스티렌 발포체
JP2003191376A (ja) 複合耐火板
KR20190100618A (ko) 고난연 고단열 스티로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스티로폼
KR102504154B1 (ko) 단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